KR20180002896A -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96A
KR20180002896A KR1020177037011A KR20177037011A KR20180002896A KR 20180002896 A KR20180002896 A KR 20180002896A KR 1020177037011 A KR1020177037011 A KR 1020177037011A KR 20177037011 A KR20177037011 A KR 20177037011A KR 20180002896 A KR20180002896 A KR 2018000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signal
base station
uni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289B1 (ko
Inventor
홍양 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17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using directory or table loo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기지국(1)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서로 상관을 갖는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15)을 준비한다. 기지국(1)은, 이동국(2)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취득하고,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결정하고, 룩업 테이블(15)로부터,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취득한다. 기지국(1)은,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2)으로 송신하여, 이동국(2)에 인덱스값을 통지한다. 이동국(2)은,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서로 상관을 갖는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25)을 갖고, 기지국(1)으로부터 통지된 인덱스값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25)로부터 각 채널의 반복 횟수를 취득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BASE STATION,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복수 회, 송신함으로써,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 대 잡음비)이 낮은 환경하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이 있다. 또한, 단말기 등의 머신끼리가 통신하는 M2M(Machine-to-Machine, 머신 투 머신), 또는 머신과 네트워크상의 서버가 통신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머신 타입 커뮤니케이션)라고 불리는 통신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참조).
일본 특허 공표 제2012-5224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3-5245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3-520100호 공보
예를 들어,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power Ratio, 신호 대 잡음 간섭 전력비)이 낮은 환경하에서는, 송신 파워를 증강(파워 부스트)하거나, 송신을 반복함으로써, 커버리지를 확장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송신을 반복하는 경우, 기지국은, 송신의 반복 횟수 등의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이동국으로 통지한다.
그러나, 필요한 송신의 반복 횟수는, 기지국의 송신 파워에 의해 바뀌고, 또한 소요 품질이 다른 물리 채널에 의해서도 바뀐다. 그로 인해, 기지국은, 송신 파워를 증강하기 위한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와, 송신의 반복 횟수의 정보를, 물리 채널마다 이동국으로 통지하므로, 통지하는 정보량이 많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는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지국은, 송신부, 수신부, 취득부, 결정부 및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다. 송신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취득부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이동국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취득한다. 결정부는,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부로부터 복수 회, 반복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반복 횟수를 결정한다. 룩업 테이블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가 대응지어져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수신부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취득부에 의해,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수신 정보를 취득하고, 결정부에 의해,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결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취득하고, 송신부에 의해,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에 인덱스값을 통지한다.
이동국은, 송신부, 수신부, 생성부, 취득부 및 룩업 테이블을 구비한다. 송신부는,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생성부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생성한다. 취득부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인덱스값을 취득한다. 룩업 테이블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복수 회, 반복하여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의 반복 횟수가 대응지어져 있다. 그리고, 이동국은, 수신부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생성부에 의해,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정보를 생성하고, 송신부에 의해,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에 수신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이동국은, 수신부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정보에 따른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취득부에 의해,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인덱스값을 취득하고, 룩업 테이블로부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취득한다.
이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제1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제1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최대 결합 손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에 대한 반복 횟수와 파워 부스트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제2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제2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각 채널에 공통의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과 이동국(2)을 포함한다.
기지국(1)은, 송신부(11), 수신부(12), 취득부(13), 결정부(14) 및 룩업 테이블(15)을 갖는다. 송신부(11)는 기지국 송신부이고, 수신부(12)는 기지국 수신부이고, 취득부(13)는 기지국 취득부이고, 룩업 테이블(15)은 기지국 룩업 테이블이다. 기지국(1)에 있어서의 각 부(11∼14) 및 룩업 테이블(15)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기지국의 제1 예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국(2)은, 송신부(21), 수신부(22), 생성부(23), 취득부(24) 및 룩업 테이블(25)을 갖는다. 송신부(21)는 이동국 송신부이고, 수신부(22)는 이동국 수신부이고, 취득부(24)는 이동국 취득부이고, 룩업 테이블(25)은 이동국 룩업 테이블이다. 이동국(2)에 있어서의 각 부(21∼24) 및 룩업 테이블(25)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이동국의 제1 예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지국(1)은,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2)으로 송신한다. 이동국(2)은,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1)으로 송신한다. 그것에 의해, 기지국(1)에 수신 정보가 통지된다.
기지국(1)은,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수신 정보를 취득하고,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에 대해 물리 채널마다, 반복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반복 횟수를 결정한다.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는, 서로 상관을 갖는다. 그로 인해,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수신 정보마다 하나의 인덱스값에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1)은, 자국의 룩업 테이블(15)로부터,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취득하고,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2)으로 송신한다. 그것에 의해, 이동국(2)에 인덱스값이 통지된다.
이동국(2)은, 자국이 통지한 수신 정보에 따른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인덱스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이동국(2)은 자국의 룩업 테이블(25)로부터,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취득한다. 그것에 의해, 이동국(2)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를 취득할 수 있다.
·기지국의 제1 예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제1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은 송신부(11), 수신부(12), 취득부(13), 결정부(14) 및 룩업 테이블(15)을 갖는다.
송신부(11)는, 룩업 테이블(15) 및 안테나(16)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11)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안테나(16)로부터 이동국(2)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부(11)는, 안테나(16)로부터 이동국(2)으로,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부(11)는, 안테나(16)로부터 이동국(2)으로, 룩업 테이블(15)로부터 얻어진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그것에 의해, 기지국(1)으로부터 이동국(2)에 인덱스값이 통지된다.
수신부(12)는 안테나(17)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12)는 이동국(2)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17)를 통해 수신한다.
취득부(13)는, 수신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취득부(13)는, 수신부(1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이동국(2)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취득한다. 결정부(14)는, 취득부(13)에 의해 취득된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부(11)로부터 복수 회, 반복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결정한다.
룩업 테이블(15)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가 대응지어져 있다. 룩업 테이블(15)로부터는, 결정부(14)에 의해 결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이 얻어진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은,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인터페이스(103)를 갖는다.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인터페이스(103)는 버스(104)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프로세서(101)는, 후술하는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한다. 그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1)에 있어서의 취득부(13) 및 결정부(14)가 실현되어도 된다. 프로세서(101)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에이시크)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등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메모리(102)는, 룩업 테이블(15)을 유지하고 있다. 메모리(102)는, 부트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프로세서(101)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메모리(102)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의 회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룩업 테이블(15), 각종 프로그램 또는 회로 정보는, 메모리(102)의 불휘발성 영역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메모리(102)의 불휘발성 영역은, 예를 들어 마스크 ROM(마스크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ROM(Read Only Memory, 롬)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메모리(102)에 있어서, 휘발성 영역은, 프로세서(10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메모리(102)의 휘발성 영역은, 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디램)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인터페이스(103)는, 송신부(11) 및 수신부(12)와의 사이의 신호나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03)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과의 사이의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1)에 있어서의 수신부(12) 및 송신부(11)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에 있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1)에 있어서 실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되면, 기지국(1)은 수신부(12)에 의해, 이동국(2)으로부터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 그리고, 기지국(1)은, 취득부(13)에 의해,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수신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
이어서, 기지국(1)은, 결정부(14)에 의해, 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마다, 무선 신호의 송신을 반복하는 반복 횟수를 결정한다(스텝 S3). 그리고, 기지국(1)은, 룩업 테이블(15)로부터, 스텝 S3에서 결정한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취득한다(스텝 S4).
계속해서, 기지국(1)은, 송신부(11)에 의해, 스텝 S4에서 취득한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2)으로 송신한다(스텝 S5). 그것에 의해, 기지국(1)은, 이동국(2)에 인덱스값을 통지한다. 그리고, 기지국(1)은, 일련의 무선 통신 방법을 종료한다. 이 이후, 기지국(1)은, 이동국(2)에 통지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의해, 이동국(2)과 각 물리 채널의 통신을 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1)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1)은 이동국(2)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통지한다. 그로 인해, 기지국(1)이 이동국(2)에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통지하는 경우에 비해, 기지국(1)이 이동국(2)에 통지하는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기지국(1)으로부터 이동국(2)으로, 이동국(2)의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동국의 제1 예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제1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은 송신부(21), 수신부(22), 생성부(23), 취득부(24) 및 룩업 테이블(25)을 갖는다.
송신부(21)는, 생성부(23) 및 안테나(26)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21)는, 안테나(26)로부터 기지국(1)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부(21)는, 안테나(26)로부터 기지국(1)으로, 생성부(23)에 의해 생성된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그것에 의해, 이동국(2)으로부터 기지국(1)에, 이동국(2)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가 통지된다.
수신부(22)는, 안테나(27)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22)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27)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부(22)는,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27)를 통해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22)는, 자국이 통지한 수신 정보에 따른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27)를 통해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생성부(23)는, 수신부(22)에 접속되어 있다. 생성부(23)는, 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된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자국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생성한다. 취득부(24)는 수신부(22)에 접속되어 있다. 취득부(24)는, 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인덱스값을 취득한다.
룩업 테이블(25)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덱스값 각각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가 대응지어져 있다. 룩업 테이블(25)으로부터는, 취득부(24)에 의해 취득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가 물리 채널마다 얻어진다.
룩업 테이블(25)로부터 얻어진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의 정보는, 룩업 테이블(25)에 접속된 출력 단자(28)로부터, 이동국(2)에 있어서,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에 보내진다. 예를 들어,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의 정보는, 출력 단자(28)로부터 송신부(21)나, 송신부(2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등에 보내져도 된다.
이동국(2)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동국(2)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시 및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101)는 후술하는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한다. 그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2)에 있어서의 생성부(23) 및 취득부(24)가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룩업 테이블(25)은, 메모리(102)에 유지된다. 또한, 인터페이스(103)는, 송신부(21) 및 수신부(22)와의 사이의 신호나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2)에 있어서의 송신부(21) 및 수신부(22)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에 있어서 실시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이,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2)에 있어서 실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에 있어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되면, 이동국(2)은 수신부(22)에 의해, 기지국(1)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11). 기지국(1)은, 도 5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스텝 S1 전에, 이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이동국(2)은 생성부(23)에 의해, 수신한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자국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12). 그리고, 이동국(2)은, 송신부(21)에 의해, 스텝 S12에서 생성한 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1)으로 송신한다(스텝 S13). 그것에 의해, 이동국(2)은, 기지국(1)에 이동국(2)의 수신 상태를 통지한다.
이어서, 이동국(2)은 수신부(22)에 의해, 스텝 S13에서 송신한 수신 정보에 따른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다(스텝 S14). 그리고, 이동국(2)은 취득부(24)에 의해,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로부터 인덱스값을 취득한다(스텝 S15).
이어서, 이동국(2)은 룩업 테이블(25)로부터, 스텝 S15에서 취득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취득한다(스텝 S16). 그리고, 이동국(2)은 일련의 무선 통신 방법을 종료한다. 이 이후, 이동국(2)은 기지국(1)으로부터 통지된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에 의해, 기지국(1)과 각각 채널의 통신을 행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2)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이동국(2)은 기지국(1)으로부터 인덱스값이 통지되면, 룩업 테이블(25)로부터, 그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취득할 수 있다. 즉, 기지국(1)은 이동국(2)에,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채널마다 통지하는 대신에, 인덱스값을 통지하면 된다. 그로 인해, 기지국(1)이 이동국(2)에 반복 횟수를 채널마다 통지하는 경우에 비해, 기지국(1)이 이동국(2)으로 통지하는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기지국(1)으로부터 이동국(2)으로, 이동국(2)의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MTC 시스템에의 적용예
예를 들어, 인접하는 셀과의 경계 부근에 이동국이 있는 경우 등, SINR이 낮은 환경하에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통신하는 데 필요한 값보다도 SINR이 낮아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송신 파워를 증강(파워 부스트)하거나, 송신을 반복함으로써,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경우가 있다.
도 9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최대 결합 손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표는, 3GPP TR 36.888 V2. 0.2, "Study on provision of low-cost MTC UEs based on LTE"에서 소개되어 있다. 이 표에 있어서, MCL(Maximum Coupling Loss)은, 최대 결합 손실이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는,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이다. TDD(Time Division Duplex)는, 시분할 복신 방식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표에서는, UE(User Equipment, 이동국)는, 1개의 송신 안테나와 2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다. 따라서, MCL(FDD, 2×2eNB)은,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2개씩 갖는 eNB(evolutional Node B, 기지국)와, 송신 안테나를 1개 갖고, 또한 수신 안테나를 2개 갖는 UE가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의 최대 결합 손실이다. 또한, MCL(TDD, 8×8eNB)은,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8개씩 갖는 eNB와, 송신 안테나를 1개 갖고, 또한 수신 안테나를 2개 갖는 UE가 시분할 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의 최대 결합 손실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결합 손실은, 물리 채널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의 경우, 최대 결합 손실은, PUCCH(1a)에서는 147.2dB이고, PRACH에서는 141.7dB이고, PUSCH에서는 140. 7dB이다. 또한,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의 경우, 최대 결합 손실은, PDSCH에서는 145.4dB이고, PBCH에서는 149.0dB이고, SCH에서는 149.3dB이고, PDCCH(1A)에서는 146.1dB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결합 손실은, 복신의 방식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분할 복신 방식의 경우, 최대 결합 손실은, PUCCH(1a)에서는 149.4dB이고, PRACH에서는 146.7dB이고, PUSCH에서는 147.4dB이다. 또한, 시분할 복신 방식의 경우, 최대 결합 손실은, PDSCH에서는 148.1dB이고, PBCH에서는 149.0dB이고, SCH에서는 149.3dB이고, PDCCH(1A)에서는 146.9dB이다. 여기서, 최대 결합 손실 MCL은, 예를 들어 다음의 (1)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at00001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는, 물리 상향 제어 채널이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이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물리 상향 셰어드 채널이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물리 하향 셰어드 채널이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이다. SCH(Synchronization Channel)는 동기 채널이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다.
현재의 SINR의 값이 물리 채널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의 SINR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 그 차분을 제로로 하는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필요해진다. 송신 파워의 증강 레벨과 송신의 반복 횟수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을 만족시킬 수 있다. UE가 커버리지 홀에 있는 경우,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은, 예를 들어 0dB∼20dB 정도이다.
각 물리 채널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의 SINR은, 각 물리 채널의 목적에 따라 다른 수신 확률이 고려되어,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 SINR의 값과 각 물리 채널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의 SINR의 값의 차로서 부여되는 각 물리 채널에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은, 물리 채널마다 차가 있게 된다. 현재의 SINR의 값과 각 물리 채널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의 SINR의 값의 차는, 각 물리 채널에 대한 송신 파워를 증대시키거나, 송신의 반복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그 양쪽에 의해 메울 수 있다. 따라서, 각 물리 채널에 대한 송신의 반복 횟수는, 각 물리 채널에 대한 송신 파워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로 인해, 각 물리 채널에 대한 송신 파워의 증강 레벨이 정해지면, 각 물리 채널에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을 만족시키는 송신의 반복 횟수가 물리 채널마다 정해진다. 또한, 최대 결합 손실의 값은, 도 9에 나타내는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에 대한 반복 횟수와 파워 부스트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어 물리 채널 PHYCH1에 대해서는,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10dB이고, 송신을 10회 반복함으로써, 10dB의 게인을 얻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물리 채널 PHYCH2에 대해서는,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PHYCH1과 동일한 10dB이지만, 송신을 4회 반복함으로써 6dB의 게인을 얻고, 또한 파워 부스트에 의해 4dB의 게인을 얻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물리 채널 PHYCH3에 대해서는,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12dB이고, 송신을 4회 반복함으로써 6dB의 게인을 얻고, 또한 파워 부스트에 의해 6dB의 게인을 얻어도 된다. 또한,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 송신의 반복 횟수 및 파워 부스트의 각 값은, 도 10에 나타내는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PHYCH1, PHYCH2 및 PHYCH3은, 예를 들어 PDSCH, PDCCH, PHICH 또는 EPDCCH 등이어도 된다.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는, 물리 하이브리드 AQR 지시 채널이다.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확장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이다.
·기지국의 제2 예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제2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MTC 시스템에 있어서, PDCCH 및 PDSCH의 2개의 물리 채널에 대해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31)은,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수신부(32), CP(Cyclic Prefix, 사이클릭 프리픽스) 제거부(33) 및 FFT(Fast Fourier Transform, 고속 푸리에 변환)부(34)를 갖는다. 또한, 기지국(31)은, PUSCH 신호 복조부(35), 결정부(36) 및 룩업 테이블(37)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31)은 PDSCH 신호 생성부(38), PDCCH 신호 생성부(39), PBCH 신호 생성부(40),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41), CP 부가부(42) 및 RF 송신부(43)를 갖는다.
RF 수신부(32)는, 안테나(44)에 접속되어 있다. RF 수신부(32)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44)를 통해 수신한다. RF 수신부(32)는 수신부의 일례이다.
CP 제거부(33)는 RF 수신부(32)에 접속되어 있다. CP 제거부(33)는, RF 수신부(3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한다. FFT부(34)는, CP 제거부(33)에 의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제거된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그것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가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PUSCH 신호 복조부(35)는, FFT부(3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PUSCH 신호를 복조한다. PUSCH 신호 복조부(35)는, PUSCH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PUSCH 신호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SINR값을 취득한다. SINR값은, 이동국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의 일례이다. PUSCH 신호 복조부(35)는, 취득부의 일례이다.
결정부(36)는, PUSCH 신호 복조부(35)에 의해 취득된 SINR값에 기초하여, PDCCH 및 PDSCH에 대한 송신의 반복 횟수와, 송신 파워를 증강하기 위한 파워 오프셋량을 결정한다. 결정부(36)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SINR값에 기초하여, 각 물리 채널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을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37)로부터는, 결정부(36)에 의해 결정된 PDCCH 및 PDSCH 각각에 대한 송신의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인덱스값이 얻어진다. 인덱스값은, PDCCH 및 PDSCH에 대해 공통이다. 파워 오프셋량은, PDCCH 및 PDSCH 각각에 대해 설정된다.
PDSCH 신호 생성부(38)는, PDSCH 신호를 생성한다. PDSCH 신호 생성부(38)는, PDCCH 및 PDSCH에 대한 인덱스값 및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생성한다. PDCCH 신호 생성부(39)는, PDCCH 신호를 생성한다. PBCH 신호 생성부(40)는, PBCH 신호를 생성한다.
IFFT부(41)는, PDSCH 신호 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PDSCH 신호, PDCCH 신호 생성부(39)에 의해 생성된 PDCCH 신호, 또는 PBCH 신호 생성부(40)에 의해 생성된 PBCH 신호에 대해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그것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가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CP 부가부(42)는, IFFT부(41)에 의해 변환된 시간 영역의 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한다. RF 송신부(43)는, CP 부가부(42) 및 안테나(45)에 접속되어 있다. RF 송신부(43)는, CP 부가부(42)에 의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45)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RF 송신부(43)는, 송신부의 일례이다.
도 13은,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37)은 예를 들어 0, 1, 2, …, 15의 16개의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16개의 레코드를 갖는다. 각 레코드에는,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SINR값에 대응하는 SINR값과, PDSCH 및 PDCCH 각각에 대한 반복 횟수의 기준값 및 반복 횟수의 보정값이 설정되어 있다.
룩업 테이블(37)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SINR값에 대응하는 SINR값은, 미리 기지국(31)의 설치 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다.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SINR값에 대응하는 SINR값은,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어진다.
반복 횟수의 기준값은, 파워 오프셋량이 0dB인 경우의 반복 횟수이다. 룩업 테이블(37)에 있어서, 반복 횟수의 기준값은, 미리 기지국(31)의 설치 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다. 반복 횟수의 기준값은,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어진다. 반복 횟수의 기준값에 의해, 도 13 중 어느 레코드를 사용할지가 결정되고, 그것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얻을 수 있다.
반복 횟수의 보정값은, 파워 오프셋량에 따라서 반복 횟수의 기준값을 보정하는 값이다. 반복 횟수의 보정값은, 예를 들어 반복 횟수의 기준값에, 파워 오프셋량으로부터 도출되는 보정 계수를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인덱스값을 k로 나타내면, 인덱스값 k의 레코드에는,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되는 SINR값에 대응하는 SINR 값으로서 SINRk가 설정되어 있다. k는, 0∼15의 정수이다. 또한, 인덱스값 k의 레코드에는,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의 기준값으로서 RLPDSCH,k가 설정되어 있고, PDCCH에 대한 반복 횟수의 기준값으로서 RLPDCCH,k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덱스값 k의 레코드에는,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의 보정값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2)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계산식이 설정되어 있다. PDCCH에 대한 반복 횟수의 보정값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의 (3)식으로 나타내어지는 계산식이 설정되어 있다. aPDSCH 및 aPDCCH는, 각각 PDSCH 및 PDCCH에 대한 보정 계수이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PDS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POPDSCH로 나타내면, PDSCH에 대한 보정 계수 aPDSCH는, 예를 들어 다음의 (4)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PDC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POPDCCH로 나타내면, PDCCH에 대한 보정 계수 aPDCCH는, 예를 들어 다음의 (5)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POPDSCH의 취득값은, 예를 들어 0dB, 2dB, 4dB 및 6dB여도 된다. 또한, POPDCCH의 취득값은, 예를 들어 0dB, 2dB, 4dB 및 6dB여도 된다. 또한, POPDSCH의 취득값과, POPDCCH의 취득값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결정부(36)에 의해 각 물리 채널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이 결정되면, 도 13에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37)로부터, 각 물리 채널에 대해 각각의 파워 오프셋량과 반복의 기준값을 사용하여, 반복 횟수의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기지국(3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기지국(31)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시 및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101)는, 기지국(31)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한다. 그것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31)에 있어서, RF 수신부(32) 및 RF 송신부(43)를 제외한 각 부(33∼36, 38∼42)가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룩업 테이블(37)은, 메모리(102)에 유지된다. 또한, 인터페이스(103)는, RF 송신부(43) 및 RF 수신부(32)와의 사이의 신호나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31)에 있어서의 RF 송신부(43) 및 RF 수신부(32)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기지국(31)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5에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정보는 SINR값이다. 또한, 스텝 S3에서는, 기지국(31)은 결정부(36)에 의해,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을 결정한다. 또한, 스텝 S5에서는, 기지국(31)은 RF 송신부(43)에 의해, 인덱스값 및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31)에 의하면, 기지국(31)은, 이동국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에 대해 공통의 인덱스값을 통지한다. 그로 인해, 기지국(31)이 이동국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채널의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통지하는 경우에 비해, 기지국(31)이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기지국(31)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이동국의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31)에 의하면, 기지국(31)은, 이동국에 파워 오프셋량을 채널마다 통지한다. 그것에 의해,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에 대해 공통의 인덱스값과, 물리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이동국이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를 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기지국(31)에 의하면, 룩업 테이블(37)에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에 기초하여, 파워 오프셋량에 따라서 반복 횟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37)을 사용하여 구한 반복 횟수의 보정값과,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SINR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반복 횟수가 일치하는 인덱스값을 찾아냄으로써, 용이하게 인덱스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37)에 있어서, SINR값 및 반복 횟수의 기준값이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어지므로, 룩업 테이블(37)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동국의 제2 예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국의 제2 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MTC 시스템에 있어서, PDCCH 및 PDSCH의 2개의 물리 채널에 대해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51)은, RF 수신부(52), CP 제거부(53) 및 FFT부(54)를 갖는다. 또한, 이동국(51)은, PDSCH 신호 복조부(55), PDCCH 신호 복조부(56), 기준 신호 복조부(57), PBCH 신호 복조부(58), 룩업 테이블(59) 및 SINR 계산부(60)를 갖는다. 또한, 이동국(51)은, RF 송신부(61), CP 부가부(62), IFFT부(63), PRACH 신호 생성부(64), PUSCH 신호 생성부(65) 및 유저 데이터 버퍼(66)를 갖는다.
RF 수신부(52)는, 안테나(67)에 접속되어 있다. RF 수신부(52)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안테나(67)를 통해 수신한다. RF 수신부(52)는, 수신부의 일례이다.
CP 제거부(53)는, RF 수신부(52)에 접속되어 있다. CP 제거부(53)는, RF 수신부(5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한다. FFT부(54)는, CP 제거부(53)에 의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제거된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그것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가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PDSCH 신호 복조부(55)는, FFT부(5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PDSCH 신호를 복조한다. PDSCH 신호 복조부(55)는, PDSCH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PDSCH 신호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인덱스값 및 파워 오프셋량을 취득한다. PDSCH 신호 복조부(55)는 취득부의 일례이다.
PDCCH 신호 복조부(56)는, FFT부(5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PDCCH 신호를 복조한다. 기준 신호 복조부(57)는, FFT부(5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기준 신호를 복조한다. PBCH 신호 복조부(58)는, FFT부(5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PBCH 신호를 복조한다.
룩업 테이블(59)로부터는, PDSCH 신호 복조부(55)에 의해 취득된 인덱스값 및 PDS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PDS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에 따른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가 얻어진다. 또한, 룩업 테이블(59)로부터는, PDSCH 신호 복조부(55)에 의해 취득된 인덱스값 및 PDS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PDSCH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에 따른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가 얻어진다. 룩업 테이블(59)은, 도 13에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37)과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룩업 테이블(59)로부터 얻어진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 및 물리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는, 룩업 테이블(59)에 접속된 출력 단자(69)로부터, 이동국(51)에 있어서, 그들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로 보내진다.
예를 들어,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는, PDSCH 신호 복조부(55)로 보내진다. PDSCH 신호 복조부(55)는,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PDSCH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PDC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는, PDCCH 신호 복조부(56)로 보내진다. PDCCH 신호 복조부(56)는, PDC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PDCCH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PDSCH나 PDCCH와 마찬가지로, PRACH나 PUSCH에 대해서도, 각각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PRA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는, PRACH 신호 생성부(64)로 보내진다. PRACH 신호 생성부(64)는, PRA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PRACH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PUS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는, PUSCH 신호 생성부(65)로 보내진다. PUSCH 신호 생성부(65)는, PUS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PUSCH 신호를 생성한다.
SINR 계산부(60)는, 기준 신호 복조부(57)에 의해 복조된 기준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SINR값을 계산한다. SINR 계산부(60)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기준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SINR값을 계산할 수 있다. SINR값은, 이동국(51)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정보의 일례이다. SINR 계산부(60)는, 생성부의 일례이다.
유저 데이터 버퍼(66)는, SINR 계산부(60)에 의해 얻어진 SINR값을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PUSCH 신호 생성부(65)는, 유저 데이터 버퍼(66)에 저장되어 있는 SINR값을 포함하는 PUSCH 신호를 생성한다. PRACH 신호 생성부(64)는, PRACH 신호를 생성한다.
IFFT부(63)는, PRACH 신호 생성부(64)에 의해 생성된 PRACH 신호 또는 PUSCH 신호 생성부(65)에 의해 생성된 PUSCH 신호에 대해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그것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가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CP 부가부(62)는, IFFT부(63)에 의해 변환된 시간 영역의 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한다. RF 송신부(61)는, CP 부가부(62) 및 안테나(68)에 접속되어 있다. RF 송신부(61)는, CP 부가부(62)에 의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68)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RF 송신부(61)는, 송신부의 일례이다.
이동국(5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동국(51)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시 및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101)는, 이동국(51)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한다. 그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51)에 있어서, RF 수신부(52) 및 RF 송신부(61)를 제외한 각 부(53∼58, 60, 62∼65)가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룩업 테이블(59)은, 메모리(102)에 유지된다. 유저 데이터 버퍼(66)는 메모리(102)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103)는 RF 송신부(61) 및 RF 수신부(52)와의 사이의 신호나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51)에 있어서의 RF 송신부(61) 및 RF 수신부(52)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동국(51)에 의해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8에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는 기준 신호이고, 수신 정보는 SINR값이다. 또한, 스텝 S14에서는, 이동국(51)은, 인덱스값 및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51)에 의하면, 이동국(51)은,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값이 통지되면, 룩업 테이블(59)로부터, 그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취득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이동국(51)에,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의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통지하는 대신에, 인덱스값을 통지하면 된다. 그로 인해, 기지국이 이동국(51)에 반복 횟수를 물리 채널마다 통지하는 경우에 비해, 기지국이 이동국(51)에 통지하는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51)으로, 이동국(51)의 신호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51)에 의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51)에 물리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이 통지된다. 그것에 의해, 이동국(51)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 채널에 대해 공통의 인덱스값과, 물리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물리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이동국(51)에 의하면, 룩업 테이블(59)에 인덱스값마다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에 기초하여, 파워 오프셋량에 따라서 반복 횟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59)에 있어서, 반복 횟수의 기준값이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어지므로, 룩업 테이블(59)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이동국 A 및 이동국 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동국 A와 이동국 B에서,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 A에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15dB이고, 이동국 B에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이 20dB이어도 된다.
무선 접속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기지국은, 이동국 A 및 이동국 B에 동기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1). 이어서, 기지국은, PBCH 신호에 의해 시스템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를 이동국 A 및 이동국 B로 송신한다. 이 시점에서는, 기지국은, 이동국 A 및 이동국 B에 필요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을 모르기 때문에, 최대의 반복 횟수로 PBCH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2).
이어서, 이동국 A 및 이동국 B는, 최대의 반복 횟수로 PRACH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23). 이어서, 기지국은, 셀 고유의 기준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이동국 A 및 이동국 B로 송신한다(스텝 S24). 이동국 A 및 이동국 B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면, SINR값을 계산하고, 또한 커버리지의 확장 레벨을 대략적으로 결정한다(스텝 S25). 또한, 기지국은, 최대 반복 횟수로 PDCCH 신호를 이동국 A 및 이동국 B로 송신한다(스텝 S26).
이어서, 이동국 A 및 이동국 B는, 최대의 반복 횟수로, SINR값을 포함하는 PUSCH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에 SINR값을 피드백한다(스텝 S27). 기지국은, SINR값을 포함하는 PUSCH 신호를 수신하면, SINR값에 기초하여, 각 채널, 예를 들어 PDCCH 및 PDSCH에 대한 반복 횟수 및 파워 오프셋량을 결정한다(스텝 S28).
이어서, 기지국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각 채널에 공통의 인덱스값과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 A 및 이동국 B로 송신함으로써, 이동국 A 및 이동국 B에 인덱스값을 통지한다(스텝 S29). 또한, 기지국은,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 A 및 이동국 B로 송신함으로써, 이동국 A 및 이동국 B에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을 통지한다(스텝 S30).
이동국 A 및 이동국 B는, 인덱스값 및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를 취득한다. 이 이후, 채널마다의 반복 횟수 및 채널마다의 파워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A 및 이동국 B 사이에서 통신 링크가 유지된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통지하는 정보량의 삭감 효과에 대해
도 17은, 각 채널에 공통의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HYCH1, PHYCH2, PHYCH3 및 PHYCH4의 물리 채널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채널에 공통의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경우, 기지국은, 인덱스값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41). 또한, 기지국은, PHYCH1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42). 또한, 기지국은, PHYCH2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43). 또한, 기지국은, PHYCH3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44). 또한, 기지국은, PHYCH4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45).
한편,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경우, 기지국은, PHYCH1에 대한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1). 또한, 기지국은, PHYCH2에 대한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2). 또한, 기지국은, PHYCH3에 대한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3). 또한, 기지국은, PHYCH4에 대한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4).
또한, 기지국은, PHYCH1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5). 또한, 기지국은, PHYCH2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6). 또한, 기지국은, PHYCH3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7). 또한, 기지국은, PHYCH4에 대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PDSCH 신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S58).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파워 오프셋량이 0dB, 2dB, 4dB 및 6dB의 4값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으로 하고, 반복 횟수가 1, 2, …, 15 및 16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인덱스값은, 0, 1…, 14 및 15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파워 오프셋량을 통지하는 데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2비트이면 된다. 또한,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데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4비트이면 된다. 또한,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데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4비트이면 된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인덱스값의 통지에 4비트가 필요하고, 4채널분의 파워 오프셋량의 통지에 8비트가 필요하므로, 합계 12비트 필요해진다. 그것에 대해, 도 18에 나타내는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4채널분의 반복 횟수의 통지에 16비트가 필요하고, 4채널분의 파워 오프셋량의 통지에 8비트가 필요하므로, 합계 24비트 필요해진다.
즉, 인덱스값을 통지함으로써,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경우보다도, 통지에 필요로 하는 비트수가 반감된다. 또한 채널수가 증가하면, 인덱스값의 통지에 필요로 하는 비트수는 바뀌지 않지만,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데 필요로 하는 비트수가 증가하므로, 인덱스값을 통지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비트수는,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비트수의 절반 이하이면 충분해진다. 이와 같이, 인덱스값을 통지함으로써, 채널마다 반복 횟수를 통지하는 경우보다도, 통지에 필요로 하는 비트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를 이동국으로 하였지만, 단말기는, 이동하지 않고, 어느 지점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1 : 기지국
2 : 이동국
11, 21 : 송신부
12, 22 : 수신부
13, 24 : 취득부
14, 36 : 결정부
15, 25, 37, 59 : 룩업 테이블
23 : 생성부
32, 52 : RF 수신부
35 : PUSCH 신호 복조부
43, 61 : RF 송신부
55 : PDSCH 신호 복조부
60 : SINR 계산부

Claims (14)

  1. 복수의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국과 통신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물리 채널 중의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제4 신호에 대한 반복 횟수를 지시하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인덱스 값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복 횟수 기준 값, 복수의 수신 정보 값, 및 복수의 반복 횟수 보정 값과 연관된 복수의 인덱스 값으로 구성된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덱스 값 각각은 상기 복수의 물리 채널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기준 값은 파워 오프셋 값에 따라 보정되는,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4 신호의 송신 파워를 변경하기 위한 파워 오프셋량을 포함하는 제5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기지국.
  6. 복수의 물리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상기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물리 채널 중의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제4 신호에 대한 반복 횟수를 지시하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인덱스 값은 상기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는, 이동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인덱스 값에 따라 상기 제4 신호를 반복해서 송신하는, 이동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PUSCH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이동국.
  9.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반복 횟수 기준 값, 복수의 수신 정보 값, 및 복수의 반복 횟수 보정 값과 연관된 복수의 인덱스 값으로 구성된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덱스 값 각각은 상기 복수의 물리 채널의 각각과 연관되는, 이동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4 신호의 송신 파워를 변경하기 위한 파워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제5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이동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 기준 값은 상기 파워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보정되는, 이동국.
  12.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물리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이동국과 통신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
    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기;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기; 및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기;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기; 및
    상기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물리 채널 중의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제4 신호에 대한 반복 횟수를 지시하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제3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인덱스 값은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기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송신기는 상기 인덱스 값에 따라 상기 제4 신호를 반복해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기는 PUSCH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77037011A 2013-09-26 2013-09-26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92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6154 WO2015045079A1 (ja) 2013-09-26 2013-09-26 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83A Division KR101814303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96A true KR20180002896A (ko) 2018-01-08
KR101927289B1 KR101927289B1 (ko) 2018-12-10

Family

ID=527422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83A KR101814303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77037011A KR101927289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83A KR101814303B1 (ko) 2013-09-26 2013-09-26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596661B2 (ko)
EP (3) EP3249969B1 (ko)
JP (1) JP6123905B2 (ko)
KR (2) KR101814303B1 (ko)
CN (2) CN109617658B (ko)
WO (1) WO2015045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002B1 (ko) 2015-04-10 2020-03-05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Mtc 장치의 lc-pdcch 반복 레벨 선택
HUE049649T2 (hu) * 2015-05-15 2020-09-28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ációs transzport blokk vezetéknélküli hálózatokban
JP2018526870A (ja) * 2015-07-10 2018-09-13 富士通株式会社 重複送信に基づくマルチユーザ重畳伝送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10757583B2 (en) * 2017-08-10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bas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ing in multi-beam systems
CN110312218A (zh) * 2018-03-27 2019-10-08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驻留子带的重配置方法和装置
WO2019191985A1 (zh) * 2018-04-04 2019-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10351742A (zh) * 2018-04-04 2019-10-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数据发送方法及移动接入设备
CN110474719B (zh) * 2018-05-11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重复传输的方法和装置
JP6815357B2 (ja) * 2018-09-07 2021-01-20 Kddi株式会社 繰り返し送信が用いられ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送信電力ブーストを行う基地局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45204B2 (en) * 2018-10-05 2021-03-09 Itron, Inc. Battery power management for a cellular device
US20220086765A1 (en) * 2019-01-17 2022-03-17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for 2-step rach
WO2021068209A1 (zh) * 2019-10-11 2021-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发送与接收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WO2022025038A1 (ko) * 2020-07-30 2022-02-03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5223B1 (en) * 1997-03-14 2004-05-26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Mobile station position estimation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037273B2 (ja) * 1998-07-23 2000-04-24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
US6898743B2 (en) * 2000-07-03 2005-05-24 Lg Electronics Inc. Data rate matching method in 3GPP2 system
GB2380105B (en) * 2001-07-09 2003-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mapping tfci bits for a hard split mod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330049B1 (en) 2002-01-21 2004-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in an HSDPA system
KR20060013466A (ko) 2004-08-07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핸드오프 영역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단말들의 상태 정보 시그널링 방법
JP4580770B2 (ja) * 2005-02-01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US8059608B2 (en) * 2005-06-14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spatial diversity for cellular single frequency networks
WO2007013561A1 (ja) * 2005-07-29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およびこれらの方法
KR100650739B1 (ko) * 2005-10-04 2006-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메시지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N101039452B (zh) * 2006-03-15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增强的专用信道中调度信息的传输方法及基站节点
CN101193421B (zh) * 2006-11-23 201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前向接入信道状态下随机接入控制方法、系统及装置
WO2008112233A2 (en) 2007-03-14 2008-09-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plink starvation avoidance in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US7738535B2 (en) * 2007-05-22 2010-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ilot channel amplitude dependencies from RAKE receiver output
JP4981905B2 (ja) 2007-06-12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JP5108450B2 (ja) * 2007-10-22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JP2009290451A (ja) * 2008-05-28 2009-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447368B2 (en) * 2008-11-13 2013-05-21 Lantiq Deutschland Gmbh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66280A1 (en) * 2008-12-08 2010-06-17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control signaling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JP5477793B2 (ja) * 2008-12-26 2014-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897266B2 (en) 2009-03-27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via upper layer
JP5020300B2 (ja) * 2009-10-28 2012-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538930B2 (ja) * 2010-02-04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913222B2 (ja) * 2010-02-12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1762468B1 (ko) 2010-02-12 2017-07-2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머신간 통신에서의 액세스 제어 및 혼잡 제어
WO2011119680A2 (en) * 2010-03-23 2011-09-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fficient signaling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EP2369890A1 (en) 2010-03-26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Connection peak avoidance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WO2011136519A2 (en) * 2010-04-28 2011-1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adio frame including multiple types of subframes and apparatus thereof
CN102158901B (zh) * 2011-02-16 2014-01-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网络侧进行终端操作配置的方法及网络侧装置
CN102724746A (zh) * 2011-03-29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过程中前导码发送功率的控制、确定方法及系统
US9554286B2 (en) * 2011-12-02 2017-01-24 Lea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wireless device
WO2013187669A1 (en) * 2012-06-11 201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152063A (zh) * 2012-12-17 2019-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的分配方法、用户设备及基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86755B2 (en) 2017-06-20
US9596661B2 (en) 2017-03-14
EP3249969B1 (en) 2020-02-19
KR20160043067A (ko) 2016-04-20
US20170105183A1 (en) 2017-04-13
EP3051871A1 (en) 2016-08-03
CN109617658A (zh) 2019-04-12
CN105594249B (zh) 2019-03-01
JP6123905B2 (ja) 2017-05-10
US9907031B2 (en) 2018-02-27
KR101927289B1 (ko) 2018-12-10
KR101814303B1 (ko) 2018-01-02
CN105594249A (zh) 2016-05-18
US20170251436A1 (en) 2017-08-31
CN109617658B (zh) 2021-07-09
EP3249968A1 (en) 2017-11-29
EP3249969A1 (en) 2017-11-29
US20160192299A1 (en) 2016-06-30
EP3051871A4 (en) 2016-10-05
JPWO2015045079A1 (ja) 2017-03-02
WO2015045079A1 (ja) 2015-04-02
EP3249968B1 (en) 2019-10-23
EP3051871B1 (en)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89B1 (ko)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AU201829851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568057B2 (en)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relat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69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76368B2 (en) Method for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74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710133B (zh) 波束管理系统和方法
CN107078889B (zh) 无线通信系统中具有多个天线的装置的信号发送方法和装置
US20190069260A1 (en) Method for executing rstd measurement-relat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139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전송 방법
WO202010633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ide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6409170B2 (ja) 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3205981A1 (en) Interference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US11997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using supplementary uplink
CN108809556B (zh) 发送和接收参考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