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30U - 중량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30U
KR20180002730U KR2020170001162U KR20170001162U KR20180002730U KR 20180002730 U KR20180002730 U KR 20180002730U KR 2020170001162 U KR2020170001162 U KR 2020170001162U KR 20170001162 U KR20170001162 U KR 20170001162U KR 20180002730 U KR20180002730 U KR 201800027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atch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nu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373Y1 (ko
Inventor
차승원
서정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1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7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체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중공형 파이프와, 장공을 관통하여 장공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부와, 파이프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체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본 고안은 중량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주요 장비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관실이나 구획실 및 엔진 내부에 설치된 여러 장비들은 중량체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시키기에는 매우 무겁고 이동 중에 낙하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들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박 내부에는 안내 레일이 구비된다. 보통 천정에 레일을 가설하여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체인블록(chain block)등을 설치하여 장비를 이동시킨다. 그러나, 체인블록 등을 캐리어로 이용하는 경우, 체인블록 자체가 가지는 높이 때문에, 정작 이송시키고자 하는 장비는 적용의 폭이 좁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인블록의 역할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되 이송장치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줄여, 보다 다양한 장비(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고, 협소한 작업장 내부에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2235호 (2016.08.24)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중량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중공형 파이프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부와, 상기 파이프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쇠부는, 고리 또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쇠와, 상기 걸쇠에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파이프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바와 나사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는 상기 지지바와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개재되며, 하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와 접하며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 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고, 간단한 장비의 구비만으로 능률적으로 작업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량체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걸쇠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중량체 이송장치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량체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량체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중량체 이송장치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중량체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량체 이송장치(1)는 협소한 선박 내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량체 이송장치(1)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장공(11)이 형성된 중공형 파이프(10)와, 장공(11)을 관통하여 장공(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부(20)와, 파이프(10)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는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중량체 이송장치(1)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파이프(10)는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3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고정홀(31)을 포함하고 있어, 천정에 설치된 고리(도시하지 않음) 등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파이프(10) 상에 형성된 장공(11)과 이동시키고자 하는 장비의 이동방향이 일치되도록 고정부(30)를 이용하여 파이프(10)를 작업장 천정에 고정할 수 있다. 파이프(1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장공(11)을 포함하고 있어, 장공(11)을 관통하여 걸쇠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10)는 재질에 따라 강도(强度, strength)의 증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이프(10)를 특수강 등의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파이프(10)의 크기를 더욱 줄여 가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장의 높이가 더 낮아지거나 공간이 보다 협소해지더라도 파이프(10)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걸쇠부(20)는 걸쇠(22)와 지지바(21)와 고정너트(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쇠(22)는 고리 또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바(21)가 연장되어 결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걸쇠(22)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볼트(B)가 걸쇠(22)의 일측을 통해 환 내부로 삽입되고 너트(N)가 타측에서 볼트(B)와 나사결합하여 환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중량체는 걸쇠(22)와 볼트(B) 사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중량체와 걸쇠(22), 걸쇠(22)와 볼트(B), 또는 걸쇠(22)와 너트(N) 사이에는 와셔(W)가 삽입될 수 있어 중량체가 볼트(B)에 걸리는 부분의 홀이 지나치게 크거나, 표면 요철이 심할 때 체결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너트(N)의 헐거워짐도 방지할 수 있다. 걸쇠(22)의 상면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지지바(21)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바(2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를 이용하여 걸쇠(22)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지지바(21)는 걸쇠(22)에 연장되어 파이프(10)의 장공(11)을 관통하여, 장공(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지지바(21)는 일측단부는 걸쇠(22)와 나사결합 하여 걸쇠(22)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타측단부는 고정너트(23)와 나사결합하여 파이프(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걸쇠(22)는 지지바(21)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어 단순 회전으로 걸쇠(22)와 지지바(21)의 연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걸쇠(22)의 교체가 매우 간편하다. 도면 상에는 걸쇠(22)가 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리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걸쇠(22)는 중량체(도시하지 않음)를 걸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나사결합만으로 손쉽게 지지바(21)에 고정할 수 있어서 작업 상황에 맞춰 걸쇠(22)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중량체 이송장치(1)는 고정너트(23)와 파이프(10) 사이에 지지블록(2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21)는 고정너트(23)와 나사결합하고, 고정너트(23)와 파이프(10) 사이에 지지블록(24)을 포함하므로, 고정너트(23)가 직접적으로 파이프(10) 상에 안착되지 않고 지지블록(24)을 일종의 받침대 삼아 안착될 수 있다.
지지블록(24)은 파이프(10)와 고정너트(23) 사이에 개재되어, 파이프(10)와 고정너트(23)가 직접 맞닿지 않는다. 지지블록(24)은 파이프(10) 보다 경도(hardness)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파이프(10) 표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24)은 하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파이프(10)와 접하고,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고정너트(23)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지지블록(24) 하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비해, 하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파이프(10)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진다. 만약, 지지블록(24)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파이프(10) 상에 안착된다면, 파이프(10)와 면과 면으로 접하는 것이 아니고 선과 선으로 접하게 되어, 파이프(10) 상에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고 마찰이 커지게 된다. 걸쇠부(20)에 형성되는 힘이 전달되는 면적이 좁아서, 파이프(10)의 특정 부분에 힘이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장공(11)이 형성된 부분이 집중 하중을 받게 되고,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지블록(24)과 파이프(10)가 접하는 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파이프(10)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파이프(10) 상단에 가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힘의 분산이 이루어져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지지블록(24)의 하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역시 분산되고 지지블록(24)이 이동할 때 파이프(10)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장공)에 일어날 수 있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24)이 파이프(10)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식을 갈바닉 부식이라고 하는데, 서로 다른 금속들의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작용을 말한다. 선박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바다를 운항하게 되므로, 선체 내부는 늘 바닷물에 의한 습기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는 일종의 전해질 역할을 하여, 두 가지 금속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부식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지지블록(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와 고정너트(23)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여 절연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파이프(10)와 고정너트(23)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면, 파이프(10)를 형성하는 금속과 고정너트(23)를 형성하는 금속 간의 전위차가 크고 바닷물의 수증기 또는 산소가 전해질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전기가 통하지 않아 부식이 방지된다. 따라서, 파이프(10)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키고, 고정너트(23)의 교체주기도 매우 길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량체 이송장치(1)는 걸쇠부(20)에 중량체가 고정되고, 걸쇠부(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중량체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된다. 파이프(10)는 안내 레일의 역할을 하므로 천정 부근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고정부(30)는 고정홀(31)을 이용하여 천정에 형성된 고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파이프(10)를 지지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30)는 파이프(10)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는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는 파이프(10)의 장공(11)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파이프(10)를 균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30)가 지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장공(1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파이프(10)의 지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대칭인 양쪽 지점에서 파이프(10)를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고정부(30)는 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 균형유지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고정부(30)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중량체 이송장치
10: 파이프 11: 장공
20: 걸쇠부 21: 지지바
22: 걸쇠 23: 고정너트
24: 지지블록 30: 고정부
31: 고정홀 B: 볼트
N: 너트 W: 와셔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중공형 파이프;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부; 및
    상기 파이프 양단을 각각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중량체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고리 또는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쇠와, 상기 걸쇠에 연장되어 상기 장공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파이프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바와 나사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중량체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지지바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중량체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개재되며, 하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와 접하며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를 지지하고, 상기 파이프 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중량체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중량체 이송장치.
KR2020170001162U 2017-03-10 2017-03-10 중량체 이송장치 KR200489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62U KR200489373Y1 (ko) 2017-03-10 2017-03-10 중량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62U KR200489373Y1 (ko) 2017-03-10 2017-03-10 중량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30U true KR20180002730U (ko) 2018-09-19
KR200489373Y1 KR200489373Y1 (ko) 2019-06-10

Family

ID=6370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62U KR200489373Y1 (ko) 2017-03-10 2017-03-10 중량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091Y1 (ko) * 1986-09-11 1990-10-31 정태선 로울러 스케이트의 유압 구동장치
KR100884043B1 (ko) * 2008-11-25 2009-02-19 오정준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 체결장치
KR20100000089A (ko) * 2008-06-24 2010-01-06 이동일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1652235B1 (ko) 2014-06-20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091Y1 (ko) * 1986-09-11 1990-10-31 정태선 로울러 스케이트의 유압 구동장치
KR20100000089A (ko) * 2008-06-24 2010-01-06 이동일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0884043B1 (ko) * 2008-11-25 2009-02-19 오정준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 체결장치
KR101652235B1 (ko) 2014-06-20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73Y1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2819B2 (ja) レール、特にオーバヘッドコンベアまたは巻上機の走行レールを懸架するための装置
JP5032820B2 (ja) レール、特にオーバヘッドコンベアまたは巻上機の走行レールを懸架するための装置
CA2874138C (en) Fleet angle tolerant sheave
US2422865A (en) Quick detachable hook
KR101677891B1 (ko) 인양용 체결구
CN205222439U (zh) 一种可调节钢卷吊具
CN103818824A (zh) 一种可翻转h型钢吊运装置
KR200489373Y1 (ko) 중량체 이송장치
JP2007135805A (ja) 構造物のステップボルト取り付け構造
US7014230B1 (en) Structure hoist-use base hoisting ring
CN211004157U (zh) 一种安全阀快速吊装用工具
KR20160111730A (ko) 스크류 클램프
CN103303831B (zh) 锁绳器
CN210682934U (zh) 一种超窄钢板专用吊架
CN203915828U (zh) 一种自动锁紧式安全带
CN204691293U (zh) 一种钢结构施工保护设备
CN211226041U (zh) 一种起重机抓斗钢丝绳的固定调整装置
KR20160121196A (ko) 해상용 크레인 장치
CN218881670U (zh) 一种钢梁用安全带锁具
CN217376999U (zh) 一种双滑块c型吊具
CN216190519U (zh)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小车顶抗磨块安装结构
CN217437460U (zh) 一种高强度电梯绳轮
KR101599341B1 (ko) 트롤리
CN211733594U (zh) 一种管道吊钩
CN204607398U (zh) 皮带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