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13U - 기능성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기능성 조립식 화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13U
KR20180002713U KR2020170001116U KR20170001116U KR20180002713U KR 20180002713 U KR20180002713 U KR 20180002713U KR 2020170001116 U KR2020170001116 U KR 2020170001116U KR 20170001116 U KR20170001116 U KR 20170001116U KR 20180002713 U KR20180002713 U KR 201800027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pace
bottom plate
presen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윤 filed Critical 김세윤
Priority to KR2020170001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713U/ko
Publication of KR20180002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Abstract

기능성 조립식 화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기능성 조립식 화분은,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되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다수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들의 하부를 이루도록 상기 측판부들에 조립되되 상기 측판부들과 함께 박스(box)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지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저판부; 및 상기 저판부에 마련되며, 상기 측판부들과 상기 저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수분 배출공간과 수분 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공간 구획용 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조립식 화분{AN ASSEMBLING FLOWERPOT}
본 고안은, 기능성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FLOWERPOT)은 내부에 충전된 토양에 화초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어 두는 용기 또는 그릇의 총칭이다.
종전의 화분은 점토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내부에 토양을 담아 식재된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끔 한다. 다만, 상기 화분의 경우, 그 재질적인 한계로 인해 성형성이 떨어지고, 또한 구조적으로 불편해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에, 최근에는 사출 플라스틱이나 목재, 혹은 금속 등의 재질을 이용해서 화분을 제작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는 화분의 경우, 쉽게 부패하거난 도색이 벗겨져 미관을 저해함은 물론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종전의 화분은 바닥에 배수홀이 뚫린 단순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가뭄 시 대응이 어렵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기능성 조립식 화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262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38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880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4588호
본 고안의 목적은,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되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다수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들의 하부를 이루도록 상기 측판부들에 조립되되 상기 측판부들과 함께 박스(box)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지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저판부; 및 상기 저판부에 마련되며, 상기 측판부들과 상기 저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수분 배출공간과 수분 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공간 구획용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분 배출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저판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부들과 상기 저판부는 접착방식으로 접착조립되거나 레일식으로 맞물림조립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저판부에는 더미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부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더미 통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간 구획용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 구획용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 저장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더미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및 도 13은 각각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100)은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 저판부(1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와, 저판부(130)는 모두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은 접착방식으로 접착조립될 수 있다. 즉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을 접착시켜 한 몸체로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친환경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판부(130) 역시,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과 마찬가지로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저판부(130)는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의 하부를 이루도록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에 조립되며,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과 함께 박스(box)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처럼 그 내부에 흙을 채워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저판부(130)는 지면에 대해 이격 배치된다. 즉 저판부(130)의 높이가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의 하단부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저판부(130)에 형성되는 배출구(131)로 물이 잘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100)이 사각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기능성 조립식 화분(100)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타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100)의 하단부에는 휠(wheel)이 마련될 수도 있는데, 휠이 마련되면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공간 구획용 벽체(150)는 저판부(130)에 마련되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들과 저판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수분 배출공간(151)과 수분 저장공간(152)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구획용 벽체(150)는 사각 루프 타입의 벽체를 이룬다. 하지만, 공간 구획용 벽체(150)가 반드시 사각 루프 타입을 이룰 필요는 없다. 즉 원형이나 삼각형 등의 형상을 이루어도 무방하다.
수분 배출공간(151)에 대응되는 저판부(130)에는 배출구(131)가 형성되는 반면 수분 저장공간(152)에 저판부(130)에는 배출구(131)가 없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흙이 채워진 상태에서 물을 넣으면 수분 배출공간(151) 쪽의 물, 즉 수분은 배출구(131)로 빠질 수 있으나 수분 저장공간(152) 쪽의 수분은 그대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도, 그리고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200) 역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210,220), 저판부(1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 측판부(220)의 단부에는 제1 측판부(210)가 레일식으로 맞물림조립되기 위한 레일 조립부(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접착제가 필요치 않은 이점이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저판부(130) 역시 레일식으로 맞물림조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제1 및 제2 측판부(210,220)들을 레일식으로 맞물림조립시킬 경우, 조립이 임으로 해제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측판부(210,220)들의 단부에는 캡(260)이 결합된다. 고무재질로 적용될 수 있는 캡(260)은 제1 및 제2 측판부(210,220)들의 단부를 보호하면서도 제1 및 제2 측판부(210,220)들이 임의로 분해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300) 역시, 다수의 측판부(220), 저판부(3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분 저장공간(152)에 대응되는 저판부(330)에는 더미 통공(332)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측판부(120)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더미 통공(332)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360)가 마련된다.
수분 저장공간(152)에 물이 저장되면 좋긴 하지만 너무 장기간 물이 고이게 되면 물이 오염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도 9처럼 슬라이드 도어(360)를 이동시켜 더미 통공(332)을 개방한 후, 수분 저장공간(152) 내의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400) 역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 저판부(1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간 구획용 벽체(150)에는 더미 벽체(45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공간 구획용 벽체(150)에 더미 벽체(450)가 연결되면 전체 높이가 높아지면서 수분 저장공간(152)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미 벽체(450)는 끼움 방식으로 공간 구획용 벽체(150)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2는 및 도 13은 각각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500) 역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 저판부(1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550a,5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간 구획용 벽체(550a,550b)는 제1 실시예와 달리 2개의 파트(part)로 나뉘어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럴 경우, 도 13처럼 공간 구획용 벽체(550a,550b) 중 하나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분 배출공간(151)이 커지면서 수분 저장공간(152)이 좁아지는 등 그 공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600) 역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 저판부(130), 그리고 다수의 제1 내지 제3 공간 구획용 벽체(650a~55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제1 내지 제3 공간 구획용 벽체(650a~550c)가 사이즈별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내지 제3 공간 구획용 벽체(650a~650c)에 의해 제1 내지 제3 수분 배출공간(651a~651c)과 수분 저장공간(65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수분 배출공간(651a~651c)에도 다수의 제1 내지 제3 배출구(H1~H3)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배출구(H1) 쪽으로 갈수록 그 사이즈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기능성 조립식 화분(600) 내에 물을 넣으면 제1 수분 배출공간(651a)에서 물이 가장 빨리 빠지고 제3 수분 배출공간(651c) 쪽으로 갈수록 물이 천천히 빠지는 현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쉽게 빠지는 현상을 예방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립식 화분(7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1 및 제2 측판부(110,120), 저판부(130), 그리고 공간 구획용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수분 감지센서(770), 외부 알림부(790), 그리고 컨트롤러(780)가 더 마련된다.
수분 감지센서(770)는 수분 저장공간(152) 내의 수분량을 감지한다. 외부 알림부(790)는 램프나 부저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780)는 수분 감지센서(7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알림부(79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780)는 중앙처리장치(781, CPU), 메모리(7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7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781)는 본 실시예에서 수분 감지센서(7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알림부(79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7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781)와 연결된다. 메모리(7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7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7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7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780)는 수분 감지센서(7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알림부(79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780)가 수분 감지센서(7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알림부(79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7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7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으로써 폐기 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혹은 장기간 확보할 수 있어서 가뭄 등의 비상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조립식 화분 110,120 : 측판부
130 : 저판부 131 : 배출구
150 : 공간 구획용 벽체 151 : 수분 배출공간
152 : 수분 저장공간

Claims (4)

  1. 환경 친화적인 폐플라스틱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되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다수의 측판부;
    상기 측판부들의 하부를 이루도록 상기 측판부들에 조립되되 상기 측판부들과 함께 박스(box)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지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저판부; 및
    상기 저판부에 마련되며, 상기 측판부들과 상기 저판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수분 배출공간과 수분 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공간 구획용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저판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부들과 상기 저판부는 접착방식으로 접착조립되거나 레일식으로 맞물림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저판부에는 더미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부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더미 통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획용 벽체에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 구획용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분 저장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더미 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립식 화분.
KR2020170001116U 2017-03-08 2017-03-08 기능성 조립식 화분 KR201800027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16U KR20180002713U (ko) 2017-03-08 2017-03-08 기능성 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16U KR20180002713U (ko) 2017-03-08 2017-03-08 기능성 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13U true KR20180002713U (ko) 2018-09-18

Family

ID=6370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16U KR20180002713U (ko) 2017-03-08 2017-03-08 기능성 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7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378A (zh) * 2021-07-07 2021-08-27 贵州民族大学 一种湿地生态修复人工浮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210A (ko) 2001-09-25 2003-03-31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 확산 반사막 형성용 조성물, 광 확산 반사막의 형성방법 및 광 확산 반사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20110003872U (ko)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사베코 다방향 무폐색 노즐을 이용한 통합형 집진 장치
KR20140008804A (ko) 2012-07-12 2014-0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04588U (ko) 2014-06-16 2015-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설치 작업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210A (ko) 2001-09-25 2003-03-31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광 확산 반사막 형성용 조성물, 광 확산 반사막의 형성방법 및 광 확산 반사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20110003872U (ko)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사베코 다방향 무폐색 노즐을 이용한 통합형 집진 장치
KR20140008804A (ko) 2012-07-12 2014-0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04588U (ko) 2014-06-16 2015-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설치 작업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378A (zh) * 2021-07-07 2021-08-27 贵州民族大学 一种湿地生态修复人工浮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9221A (zh) 一种水循环花盆
KR20180002713U (ko) 기능성 조립식 화분
SG191916A1 (en) Planting device
KR20180131514A (ko) 합성수지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
CN102524122A (zh) 一种鲍鱼养殖笼及其制作方法
CN208857126U (zh) 一种三格式防堵塞化粪池
CN205912657U (zh) 一种简易室外木塑宠物屋
WO2010083560A1 (en) Water storage evaporation control
KR200466727Y1 (ko) 지중케이블보호판
CN202183995U (zh) 一种新型双层花盆
CN207589597U (zh) 轻质墙板
CN206547418U (zh) 一体式多层花盆
CN201560518U (zh) 一种砖头
CN103669156A (zh) 绿化资材与绿化停车场
CN218007237U (zh) 一种户外用种植箱及种植机构
CN208708237U (zh) 一种组合式植物培养装置
CN204377512U (zh) 一种花礼盒
CN207201438U (zh) 一种适用于建筑墙体的垂直花园系统
CN201794090U (zh) 一种挡土墙
CN207369710U (zh) 一种新型育苗穴盘托盘
BR102015031359B1 (pt) Muro tanque modular em polietileno para armazenamento de água de chuva
CN202594930U (zh) 一种组合式化粪池
KR200428904Y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CN208717797U (zh) 既美观又安全的防撞桶
CN204151891U (zh) 一种建筑用落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23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2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29

Effective date: 2018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