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89U -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 Google Patents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2689U KR20180002689U KR2020170001062U KR20170001062U KR20180002689U KR 20180002689 U KR20180002689 U KR 20180002689U KR 2020170001062 U KR2020170001062 U KR 2020170001062U KR 20170001062 U KR20170001062 U KR 20170001062U KR 20180002689 U KR20180002689 U KR 2018000268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hole
- rod
- extension
- buckl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벨트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표리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벨트의 타 단부와 결속되는 벨트 결속부를 포함하는 양면 버클에서,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는 벨트 결속부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양측이 개방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를 결속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은 양단에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과 결속되는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를 각각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양면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버클의 잦은 전환 사용에도 불구하고 버클이 고장나거나 풀리지 않는 견고한 구조의 양명 버클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4627호는 "개량형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버클 본체와 고정체 사이에 연결체를 탄력적으로 결속하여 버클의 착용감을 향상되게 함과 동시에 버클 본체의 양면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하는 버클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52410호는 "벨트의 양면 사용 및 분리가 용이한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버클 몸체의 회전 줄임쇠를 착용자가 임의로 간단하게 회전동작시켜 벨트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버클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포함한 다수의 양면 버클은 나사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탄설하고 있으며,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착용자는 탄력적으로 버클을 잡아당긴 후, 방향을 바꿔 버클 또는 벨트의 양면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나사 및 스프링을 이용한 종래의 양면 버클은 앞뒤로 전환이 계속됨에 따라, 버클 몸체와 벨트가 결속되는 벨트 결속부 간의 결속이 헐거워지는 고장이 쉽게 발생하며, 급기야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가 분리되는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고객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헐거움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나사를 과도하게 조이는 경우가 있지만, 고정나사를 과도하게 조이게 되는 경우에는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이동 유격이 없어 전환이 불가하거나 가능하더라도 과도한 힘으로 잡아 당겨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고객의 불만 대상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양면 버클의 잦은 사용에도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결속이 헐거워지지 않는 양면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를 양산으로 조립함에 있어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함으로써 일정한 유격 및 일정한 힘으로 동작할 수 있는 양면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고장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의 발생 요인을 해결하며 항상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의 양면 버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표리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벨트의 타 단부와 결속되는 벨트 결속부를 포함하는 양면 버클에서,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는 벨트 결속부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양측이 개방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를 결속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은 양단에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과 결속되는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를 각각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속"이라 함은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여 결속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외에도 중간의 스프링 등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되 결속되는 두 요소 간의 간격이 유동 가능하되 일정 범위 내에서 한정되어 결속되는 것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연결축은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 간의 회전축으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에,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 간에 일정 유동을 허락하면서 상호 물리적으로 결속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서는 고정 나사에 의해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가 상호 결속되지만,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고정 나사가 풀리는 경향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양 단에 확장부가 형성된 연결축에 의해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허용 범위 외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은 벨트 결속부를 상대적으로 자주 회전시킨다고 해도, 연결축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구조적으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양측으로 개방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연결축에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지만,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버클 몸체의 제1 관통홀과 결속되는 제1 확장부를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할 수가 있다.
연결축은 스프링에 의해서 관통홀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서 2단 구조로 제공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축은 제1 확장부보다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며 제1 확장부로부터 연장된 제1 로드 및 제1 로드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지며 제1 로드로부터 연장된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제2 로드의 단부에 제2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로드 및 제2 로드는 다양한 단면, 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작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제2 로드의 주변으로 제2 확장부를 제2 관통홀 내에서 탄성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더 제공될 수가 있다. 스프링은 제2 확장부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며 제2 로드보다 큰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단부는 제2 관통홀의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로드의 길이에 의해서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 간의 최단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압축 길이 역시 제2 관통홀의 설계에 의해서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스프링이 사용된다고 가정할 때, 스프링의 기본적인 압축 거리가 제2 관통홀의 지지구조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버클 몸체 및 벨트 결속부를 벌리기 위한 힘도 작업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가 될 수 있다.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한정하면, 제1 관통홀은 제1 로드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제2 로드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제2 로드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은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제2 로드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제2 확장부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제1 수용부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제2 확장부가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은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의 경계, 즉 제2 수용부의 단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벨트 결속부의 회전이 반복되어도 마찰 등으로부터 스프링의 단부를 보호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버클 몸체는 벨트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부를 덮는 회전 조임판을 더 포함하며, 회전 조임판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삽입부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돌기는 벨트의 진입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라운드면 및 벨트의 퇴출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조임판이 닫히면서 벨트 단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벨트의 외면에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돌기의 첨단이 벨트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임판은 제1 돌기 사이에 제공되어 제1 돌기와 교번적으로 제공되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돌기의 첨단은 제1 돌기의 첨단에 비해 퇴출방향을 향해 치우침으로써 벨트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양면 버클에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양측으로 개방되며, 개방된 관통홀을 연결축으로 연결하되 양 단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허용 범위 내에서만 이격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대적인 회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도 연결축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잦은 사용에도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결속이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양면 버클은 최소 2단 구조의 연결축을 이용함으로써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 간의 최단 거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버클 몸체와 벨트 결속부를 양산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일정한 유격 및 일정한 힘으로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양면 버클은 제품 고장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의 발생 요인을 해결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는 높은 품질의 버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자 및 판매자에게는 AS 비용 및 판매 후 사후관리 부담의 경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축의 구조 및 연결축에 의한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면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의 회전 조임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축의 구조 및 연결축에 의한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면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의 회전 조임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연결축의 구조 및 연결축에 의한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양면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100)은 벨트(170)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버클 몸체(110) 및 버클 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170)의 표리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벨트(170)의 타 단부와 결속되는 벨트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 결속부(130)는 중앙의 회전 걸림쇠(prong)를 중심으로 주변의 프레임(132)이 형성된 구조로 제공되지만, 벨트 결속부는 벨트와의 다양한 결합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프롱 방식이 아닌 플레이트-앵커핀 방식, 래칫 방식, 2개의 링을 이용한 방식 등 종래의 다양한 벨트 결속 방식을 이용할 수가 있다.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는 벨트 결속부(130)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양측이 개방된 제1 관통홀(120) 및 제2 관통홀(140)을 각각 포함하며, 연결축(150)은 제1 관통홀(120) 및 제2 관통홀(140)을 통과하여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를 결속시킨다. 특히, 연결축(150)의 양단에는 제1 관통홀(120) 및 제2 관통홀(140)과 결속되는 제1 확장부(152) 및 제2 확장부(154)가 각각 볼트 헤드 또는 나사 헤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확장부(152)는 리벳팅에 의해서 조립 과정 도중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확장부(154) 및 로드(156)가 형성된 연결축(150)을 벨트 결속부(130)의 제2 관통홀(140)로부터 삽입하여, 제1 확장부(152)에 대응하는 단부를 버클 몸체(110)의 삽입부(112)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단부를 리벳팅하여 제1 확장부(15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100)은 벨트 결속부(130)를 상대적으로 자주 회전시킨다고 해도, 제1 확장부(152) 및 제2 확장부(154)에 의해서 연결축(1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애초부터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축과 벨트 결속부를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잦은 사용에 의해서 그 결속이 풀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관통홀(120) 및 제2 관통홀(140)이 양측으로 개방된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며, 제1 확장부(152) 및 제2 확장부(154)는 제1 관통홀(120) 및 제2 관통홀(140)의 바깥쪽 입구에서 관통홀과 물리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확장부(152)는 제1 관통홀(120)의 바깥쪽 입구와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면서 결속되며, 제2 확장부(154)는 제2 관통홀(140)의 바깥쪽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스프링(16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간접적인 결속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연결축(150)에 제1 확장부(152) 및 제2 확장부(154)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확장부(152) 및 제2 확장부(154) 중 적어도 하나는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확장부(152)가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벨트 결속부에 위치한 제2 확장부(154)가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체적인 구조도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축(150)의 제2 확장부(154)는 스프링(160)에 의해서 제2 관통홀(140)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1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버클 몸체(110)와 벨트 결속부(130) 간의 최소 이격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서 확장부들을 연결하는 연결축(150)의 로드(156)는 2단 구조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축(150)은 제1 확장부(152)보다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며 제1 확장부(152)로부터 연장된 제1 로드(157) 및 제1 로드(157)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지며 제1 로드(157)로부터 연장된 제2 로드(158)를 포함하며, 제2 로드(158)의 단부에 제2 확장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확장부(152), 제2 확장부(154), 제1 로드(157) 및 제2 로드(158)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각각 지름 또는 반지름에 의해서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위 요소들은 다양한 단면, 예를 들어 다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158)의 주변으로 스프링(160)이 제공되며, 스프링(160)은 제2 확장부(154)를 제2 관통홀(140) 내에서 탄성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160)은 제2 확장부(154)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며 제2 로드(158)보다 큰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로드(158)를 수용하면서 일면으로 제2 확장부(154)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타면으로 제2 관통홀(140)의 내부에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관통홀(120)은 제1 로드(157)에 대응하며, 제2 관통홀(140)은 제2 로드에 대응하는 제1 수용부(142) 및 제2 확장부(154)에 대응하는 제2 수용부(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확장부(152)가 형성되면서 제1 로드(157)는 제1 관통홀(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제2 로드(158)가 제1 관통홀(120)의 입구에 지지되면서, 제2 로드(158)의 길이에 의해서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 간의 최단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144)에서는 제2 확장부(154) 및 제1 수용부(142)의 단부 사이로 스프링(160)이 개재되고, 스프링(160)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버클 몸체(110)와 벨트 결속부(130)는 상호 이격되었다가 다시 최소 거리를 유지하도록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제2 로드(158)의 길이에 의해서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가 과도하게 접근하여 회전 전환이 불가능할 정도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160)의 기본적인 압축 거리가 제2 확장부(154) 및 제1 수용부(142) 간의 거리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를 벌리기 위한 힘도 작업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버클 몸체(110) 및 벨트 결속부(130)를 연결하는 연결축(150)이 풀어지면서 스프링(160)이 헐거워지게 되고, 결국 제대로 된 탄성 흡수 역할을 못하는 경우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관통홀(120)은 제1 로드(157)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제2 로드(158)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제2 로드(158)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140)은 제1 관통홀(120)과 연통되면서 순차적으로 제1 수용부(142) 및 제2 수용부(144)를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수용부(142)는 제2 로드(158)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제2 확장부(154)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144)는 제1 수용부(142)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제2 확장부(154)가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160)은 제1 수용부(142) 및 제2 수용부(144)의 경계, 즉 제2 수용부(144)의 내측 단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스프링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벨트 결속부(130)의 회전이 반복되어도 마찰 등으로부터 스프링(160)의 단부를 보호할 수가 있다.
버클 몸체(110)는 벨트(170)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부(112)를 덮는 회전 조임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조임판(114)은 힌지축의 중심에 인접한 위치에서 삽입부(11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버클의 회전 조임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조임판(214)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돌기(216) 및 제2 돌기(218)를 포함하며, 제1 돌기(216) 및 제2 돌기(218)는 회전 조임판(214)의 힌지축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돌기(216)는 벨트의 진입방향(I)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라운드면 및 벨트의 퇴출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조임판(214)이 삽입부를 닫으면서 벨트 단부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벨트의 외면에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제1 돌기(216)의 첨단(pointed end)이 벨트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2 돌기(218)의 첨단은 제1 돌기(216)의 첨단에 비해 퇴출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치우침으로써 제1 돌기(216)와의 상호 조합을 통해 벨트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양면 벨트 110 : 버클 몸체
120 : 제1 관통홀 130 : 벨트 결속부
140 : 제2 관통홀 142 : 제1 수용부
144 : 제2 수용부 150 : 연결축
152 : 제1 확장부 154 : 제2 확장부
157 : 제1 로드 158 : 제2 로드
160 : 스프링 170 : 벨트
120 : 제1 관통홀 130 : 벨트 결속부
140 : 제2 관통홀 142 : 제1 수용부
144 : 제2 수용부 150 : 연결축
152 : 제1 확장부 154 : 제2 확장부
157 : 제1 로드 158 : 제2 로드
160 : 스프링 170 : 벨트
Claims (6)
- 벨트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표리에 대응하여 전환되고 상기 벨트의 타 단부와 결속되는 벨트 결속부를 포함하는 양면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 및 상기 벨트 결속부는 상기 벨트 결속부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양측이 개방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버클 몸체 및 상기 벨트 결속부를 결속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은 양단에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과 결속되는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 또는 상기 제2 확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리벳팅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 확장부보다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1 확장부로부터 연장된 제1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1 로드로부터 연장된 제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의 단부에 상기 제2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의 주변으로 상기 제2 확장부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2 로드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스프링이 제공되면서, 상기 스프링의 단부가 상기 제2 관통홀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2 로드의 길이에 의해서 상기 버클 몸체 및 상기 벨트 결속부 간의 이격 거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1 로드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로드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로드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2 로드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되 상기 제2 확장부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확장부가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경계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몸체는 상기 벨트의 상기 일 단부를 수용하는 삽입부를 덮는 회전 조임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조임판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부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벨트의 진입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라운드면 및 상기 벨트의 퇴출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임판은 상기 제1 돌기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돌기와 교번적으로 제공되는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돌기의 첨단은 상기 제1 돌기의 첨단에 비해 상기 퇴출방향을 향해 치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버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062U KR20180002689U (ko) | 2017-03-06 | 2017-03-06 |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062U KR20180002689U (ko) | 2017-03-06 | 2017-03-06 |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689U true KR20180002689U (ko) | 2018-09-14 |
Family
ID=6358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062U KR20180002689U (ko) | 2017-03-06 | 2017-03-06 |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2689U (ko) |
-
2017
- 2017-03-06 KR KR2020170001062U patent/KR20180002689U/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18902B2 (en) | Tubular spring hinge assembly | |
US7870644B2 (en) | Hinge and interference assembly thereof | |
US8555465B2 (en) | Detent hinge | |
CA2628663C (en) | Snap together electrical receptacle | |
US20130201438A1 (en) | Miniaturized elastic hinge, in particular for eyeglasses | |
US7625083B2 (en) | Spring hinge structure for eyewear | |
JP2003174925A (ja) | 単一ピース型関節結合アセンブリ | |
JP6983832B2 (ja) | パーソナル音響システム及びその可撓性イヤーピースマウント | |
US7290310B2 (en) | Hinge | |
CN107920638B (zh) | 硅酮夹扣 | |
KR20180002689U (ko) | 잦은 사용에도 풀리지 않는 양면 버클 | |
EP3318156B1 (fr) | Dispositif d'attache | |
KR20010033894A (ko) | 스웰 래치조립체 | |
US20100031477A1 (en) | Adjustable retainer | |
US20080312001A1 (en) | Rotation Shaft Having Function of Anti-Vibrating | |
US10988089B2 (en) | Slidable operator-display support | |
JP2002268017A (ja) | 眼鏡の新テンプル連結構造 | |
JP2002333012A (ja) | ヒンジ装置 | |
CN109383330A (zh) | 将座椅靠背连接到立板的可缩回枢轴销总成 | |
US5367784A (en) | Roll tape measure | |
TWI658196B (zh) | 傢俱鉸鏈 | |
JP2003194041A (ja) | ヒンジ | |
JP3151218B2 (ja) | 帯状可撓要素の所定張力を指示するための装置 | |
CN209952215U (zh) | Vr手柄 | |
WO2020174830A1 (ja) |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