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77U -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 Google Patents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77U
KR20180002677U KR2020170005107U KR20170005107U KR20180002677U KR 20180002677 U KR20180002677 U KR 20180002677U KR 2020170005107 U KR2020170005107 U KR 2020170005107U KR 20170005107 U KR20170005107 U KR 20170005107U KR 20180002677 U KR20180002677 U KR 201800026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auxiliary
shotgun
bulletproof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이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주 filed Critical 이형주
Publication of KR20180002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7/00Shotgun ammunition
    • F42B7/02Cartridges, i.e. cases with propellant charge and missile
    • F42B7/10Ball or slug shotgun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이 개시되는 것으로, 탄환몸체(10)의 하부에는 탄환몸체(10)가 탄피로부터 빠져나올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탄발부(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부에는 탄발부(30)가 구비되되, 상기 탄발부(30)는,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되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제1탄발공간부(31)와;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측으로 하향연장되되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호형의 제2탄발공간부(32)와;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제2탄발공간부(32)를 연결하되 탄발 시 수축됨이 가능하도록 절곡 연결하는 수축연결부(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에 호형안착면(41)을 갖는 보조탄알지지부(40)가 구비되며, 상기 탄알은,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선단 사이에 위치되는 주탄알(51)과;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의 호형안착면(4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보조탄알(5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bullet for shotgun}
본 고안은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거리가 연장되고 명중률을 높일 수 있으며 발사된 탄환이 탄피와의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된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에 관한 것이다.
근자들어 유해동물, 특히, 덩치가 크고 개체수가 많은 멧돼지로 인해 작물, 과수원, 분묘와 같은 유해동물의 먹을거리가 있는 야외 장소가 피해를 입고 있으며, 특히 농작물이나 먹을거리를 심어 놓으면 농작물이 자라기도 전에 유해동물들이 땅을 헤집어놓거나 모두 파먹어서 농민들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농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유해동물들이 산에서 도심지까지 출몰하여 시민들에게 위협을 주거나 피해를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수단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유해동물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 목책기나 덫, 차단끈, 총포(수렵)를 이용하여 살생, 포획하는 수단 및 기피제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이 대상 농작물이나 시설물에 접근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수단이 있다.
이중, 총포를 이용한 유해퇴치수단의 경우에는 엽총으로 탄환을 발사하여 직접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을 퇴치하고 있으며, 엽총으로 사용되는 탄환의 경우 산탄이라 불리우는 탄환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산탄이라 함은, 발사된 산탄이 폭발할 때 여러 개의 작은 탄알이 터져 나오는 탄환을 말하는 것으로, 잘고 작은 탄환 또는 연지탄을 많이 모아 발사하는 탄자이고 사격하면 탄환들이 넓게 퍼지면서 한꺼번에 발사되며 일반탄에 비해 사정거리와 관통력이 떨어지지만 탄이 확산되는 면 전체에 피해를 가할 수 있어 근거리에서 위력적이다.
그러나, 종래 산탄의 경우 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유해동물을 명중시키기 위해서는 유해동물에 근접하여 사격을 해야 함에 따라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명중률이 떨어져 자칫 유해동물의 흥분에 의해 상해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사된 여러 개의 작은 탄알이 확산되기 때문에 유해동물 주변에 있는 예를 들어 사냥개 또는 엽사로 하여금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은 물론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공개 10-1995-7004669호인 내수성 산탄 마개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컵 부분이 강철 산탄 장전용으로 사용되고 마개 부분이 산탄통의 컵 부분과 추진제 장전물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바깥쪽으로 퍼진 나팔형 탄성 립을 하나 이상 가지고 이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창하는 마개부분이 산탄통 본체의 내부 표면을 압착하여 습기가 추진제 장전물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밀폐부를 형성함으로서, 추진제 장전물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실용공고 20-1988-0003587호인 공기총의 산탄용 실탄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통형으로 내부에 공기 압축실이 형성된 실탄본체의 전단부 내면에 공기 유출방지용 링팩킹을 삽착하고 후단부에는 요구에 통공이 형성된 마개를 나삽하는 것에 있어서, 실탄본체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산탄 저장실이 형성된 심봉을 받침왓셔에 끼워서 스프링으로 탄지되게 내장시키고 심봉의 후단부에는 타격봉을 돌성하여 마개의 통공으로 관통되게 했으며 타격봉 주위의 요입부에는 다수의 압축공기 유입공을 산탄 저장실로 경사지게 천공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실탄의 구조를 간소화 시켜 제작비를 절감시킴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실탄을 직접 실탄의 내부에 내장하게 함으로서 실탄의 부피를 줄이고 발사시에 최대한의 탄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여러 개의 탄알이 확산되는 산탄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산탄이 갖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1995-7004669호(1995.11.20. 공개) 대한민국공고실용 20-1988-0003587호(1988.10.12. 공고)
본 고안은 탄발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사거리가 연장되며 명중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사된 탄환이 탄피와의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된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은, 내측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절개부를 갖는 탄환몸체와, 상기 탄환몸체의 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구와, 상기 탄환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탄알을 포함하는 엽총용 탄환에 있어서, 상기 탄환몸체의 하부에는 탄환몸체가 탄피로부터 빠져나올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탄환몸체가 탄피로부터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탄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발부는, 상기 탄환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되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환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제1탄발공간부와; 상기 탄환몸체의 하면측으로 하향연장되되 상기 제1탄발공간부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탄환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호형의 제2탄발공간부와; 상기 제1탄발공간부와 제2탄발공간부를 연결하되 탄발 시 수축됨이 가능하도록 절곡 연결하는 수축연결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에 호형안착면을 갖는 보조탄알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알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와 상기 탄환몸체의 선단 사이에 위치되는 주탄알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와 상기 보조탄알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탄알지지부의 호형안착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보조탄알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보조탄알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고, 상기 보조탄알은 상기 수용부 바닥면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는 보조탄알지지부 각각에 구비되는 호형안착면에 각각 안착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보조탄알의 직경은 8mm ~ 13.5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탄알의 직경은 16 ~ 17.5mm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탄환몸체의 하부에 탄발력에 대응하는 탄발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탄발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탄발 시 탄발부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탄환몸체가 탄피로부터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으며 구획구에 의해 구획된 주탄알과 보조탄알에 의해 사거리가 긴 유해동물에 대한 원거리 사격이 가능하여 유해동물 근처에 접근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나 상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탄알과 보조탄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산탄이 비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명중률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이 탄피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절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에 수용부(11)가 구비되고 절개부(12)를 갖는 탄환몸체(1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수용부(11)를 구획하는 구획구(2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는 탄알을 포함하는 엽총용 탄환에 관한 것으로 탄환몸체(10)에 탄발부(30)가 구비되어 탄발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탄발 시 탄발부(30)의 수축되었다가 팽창되는 것에 의한 밀어내는 힘에 의해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으며 구획구(30)에 의해 구획된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에 의해 사거리가 긴 유해동물에 대한 원거리 사격이 가능하여 유해동물 근처에 접근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나 상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산탄이 비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명중률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부에 탄환몸체(10)가 탄피로부터 빠져나올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탄발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기 탄발부(30)는,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되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제1탄발공간부(31)와,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측으로 하향연장되되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호형의 제2탄발공간부(32)와,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제2탄발공간부(32)를 연결하되 탄발 시 수축됨이 가능하도록 절곡 연결하는 수축연결부(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탄발시 탄환몸체(10)의 하면측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제2탄발공간부(32) 및 수축연결부(33)가 일시적으로 수축되었다가 빠르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탄발력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탄피(101)로부터 탄환몸체(10)가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어 탄피(101)로부터 탄환몸체(10)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탄환이 발사되기 전 상기 탄환몸체(10)는 탄피(101)로부터 보호받도록 탄피(101)에 의해 덮어진 상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탄환몸체(10)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탄피(101)에 의해 덮어지게 되는 바, 엽사가 방아쇠를 당겨 가해지는 충격이 탄환몸체(10)의 하면에 전달될 때 탄피(101)에 의해 선단이 덮어진 탄환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탄발부(30)의 제1탄발공간부(31)와 제2탄발공간부(32) 및 수축연결부(33)가 일시적으로 수축되었다가 빠르게 팽창되기 때문에 탄환몸체(10)의 선단을 덮고 있는 탄피(101)가 찢어짐이 용이하여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탄피(101)로부터 빠져나간 탄환몸체(10)의 절개부(13)가 탄환몸체(10)의 날아가는 속도에 의해 절개되어 벌어지게 되고, 절개부(13)의 벌어짐에 따라 탄환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이 표적물을 향해 발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탄발부(30)에 의해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감에 따른 탄환의 불발을 방지할 수 있고, 탄환몸체(10)가 탄발부(30)에 의해 빠르게 빠져나감에 따른 탄환몸체(10)의 발사속도가 증대되어 절개부(13)의 벌어짐 동작이 용이함은 물론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이 표적물을 향해 발사되는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산탄과 같이 많은 양의 탄알이 발사되지 않고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이 발사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탄알이 발사되는 산탄에 의해 발생되는 총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에 호형안착면(41)을 갖는 보조탄알지지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주탄알(51)은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선단 사이에 위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탄알(52)은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의 호형안착면(41)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분리되어 발사되는 과정에서 절개부(13)가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이 표적물을 향해 발사되는 바, 이 때 구획구(20)에 의해 탄환몸체(10)의 개방된 상부측에 위치되는 주탄알(51)이 먼저 표적물을 향해 날아가고 이후 보조탄알(52)이 주탄알(51)을 따라 표적물을 향해 날아가기 때문에, 주탄알(51)과 보조탄알(52)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획구(20)는 코르크재질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물기 및 습기에 대한 내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경량의 재질에 의해 탄환 전체에 대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는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고, 상기 보조탄알(52)은 상기 수용부(11) 바닥면(11a)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는 보조탄알지지부(40) 각각에 구비되는 호형안착면(41)에 각각 안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 및 이 보조탄알지지부(40)에 안착되는 보조탄알(52)의 개수는 탄알 발사 시에 산발되어 복수개의 탄알이 비산됨을 방지하기 위해 2개 ~ 3개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보조탄알(52)의 직경은 8mm ~ 13.5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탄알(51)의 직경은 16 ~ 17.5mm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때 보조탄알(52) 및 주탄알(51)의 직경은 달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탄환몸체 11 : 수용부
11a : 수용부 바닥면
12 : 절개부 20 : 구획구
30 : 탄발부 31 : 제1탄발공간부
32 : 제2탄발공간부 33 : 수축연결부
40 : 밀착지지부 41 : 호형안착면
51 : 주탄알 52 : 보조탄알

Claims (3)

  1. 내측에 수용부(11)가 구비되고 절개부(12)를 갖는 탄환몸체(1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수용부(11)를 구획하는 구획구(2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는 탄알을 포함하는 엽총용 탄환에 있어서,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부에는
    탄환몸체(10)가 탄피로부터 빠져나올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탄환몸체(10)가 탄피(101)로부터 빠르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탄발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탄발부(30)는,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되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제1탄발공간부(31)와;
    상기 탄환몸체(10)의 하면측으로 하향연장되되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탄환몸체(10)의 내측방향으로 파여진 호형의 제2탄발공간부(32)와;
    상기 제1탄발공간부(31)와 제2탄발공간부(32)를 연결하되 탄발 시 수축됨이 가능하도록 절곡 연결하는 수축연결부(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에 호형안착면(41)을 갖는 보조탄알지지부(40)가 구비되며,
    상기 탄알은,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탄환몸체(10)의 선단 사이에 위치되는 주탄알(51)과;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되 상기 구획구(20)와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의 호형안착면(4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보조탄알(5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알지지부(40)는 상기 수용부(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고,
    상기 보조탄알(52)은 상기 수용부(11) 바닥면(11a)으로부터 복수개 돌출되는 보조탄알지지부(40) 각각에 구비되는 호형안착면(41)에 각각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탄알(52)의 직경은 8mm ~ 13.5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탄알(51)의 직경은 16 ~ 17.5mm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KR2020170005107U 2017-03-02 2017-09-28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KR2018000267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9 2017-03-02
KR20170000999 2017-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77U true KR20180002677U (ko) 2018-09-12

Family

ID=6358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07U KR20180002677U (ko) 2017-03-02 2017-09-28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6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347B1 (ko) 2020-07-27 2021-03-09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KR20210056160A (ko) 2019-11-08 2021-05-18 김성우 반주용 영상기기 거치대 및 이를 활용한 영업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87Y1 (ko) 1985-08-29 1988-10-12 노명수 공기총의 산탄용 실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87Y1 (ko) 1985-08-29 1988-10-12 노명수 공기총의 산탄용 실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160A (ko) 2019-11-08 2021-05-18 김성우 반주용 영상기기 거치대 및 이를 활용한 영업방법
KR102224347B1 (ko) 2020-07-27 2021-03-09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다기능 블루투스 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2949A (en) Anti-personnel fragmentation weapon
US8701325B1 (en) Duplex weapon system
US7305788B1 (en) Battering ram with explosive discharge
JPS628720B2 (ko)
US2668499A (en) Bomb for laying wire entanglements
US6311623B1 (en) Power-packed arrowhead
KR20180002677U (ko) 탄발부를 갖는 엽총용 탄환
KR102211635B1 (ko) 산불확산방지용 소화탄을 이용한 산불진화시스템
US3323456A (en) Cartridge having flash and noise projectile
US20070119094A1 (en) Mole gun
US8316772B1 (en) Wall breaching fragmentation warhead
KR200483806Y1 (ko) 엽총용 탄환
KR102041828B1 (ko) 분산자탄과 고폭약을 구비한 발사체
KR200488286Y1 (ko) 화약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JP2007097564A (ja) 有害鳥獣駆除玩具
JP3194511U (ja) 鳥獣威嚇撃退装置
KR101226431B1 (ko) 범죄자 포박, 검거 호신용 거미줄 총
KR101592394B1 (ko) 액체탄
US8550005B1 (en) Non-lethal delivery canister, threat mitigation system, and methods for mitigating bomber and perpetrator threats
KR200456506Y1 (ko) 연습용 축사탄
KR940002319Y1 (ko) 무살상용 탄환
KR200495610Y1 (ko)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KR101804396B1 (ko) 대인 저지용 비살상 가스식 탄환
KR200141290Y1 (ko) 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
CN211510410U (zh) 一种畜牧用牛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