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62A -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62A
KR20180002262A KR1020160081516A KR20160081516A KR20180002262A KR 20180002262 A KR20180002262 A KR 20180002262A KR 1020160081516 A KR1020160081516 A KR 1020160081516A KR 20160081516 A KR20160081516 A KR 20160081516A KR 20180002262 A KR20180002262 A KR 2018000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oip
patch
group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곤
Original Assignee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에프에이 (주) filed Critical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to KR102016008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262A/ko
Publication of KR2018000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54Auto-negotiation, e.g. access control between switch gigabit interface connector [GBIC] and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04W76/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무전기를 사용하는 복수의 기관들이 특정 지역에 출동한 상태에서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일 무선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는 n개의 무전기 그룹 각각과 통신되는 제 1 내지 제 n 무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n 개의 채널 포트와, n 개의 채널 포트와 각각 연동되는 n 개의 RoIP 모듈과, n 개의 채널 포트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 포트를 그룹 통화가 가능하도록 패치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 개의 RoIP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n개의 채널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무선기 각각이 속하는 소정의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경우, 긴급 현장 출동 구조팀 또는 군분대 연합 작전 등에서 단일 통신망 구성이 가능하고, IP 네트워크 망을 사용함으로써 장소나 거리의 제한이 없는 무선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며, 게이트웨이에 부설된 키패드부를 조작하여 단일 통신이 가능한 그룹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RoIP Gateway for communicating each other by connecting different radio groups}
본 발명은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무전기를 사용하는 복수의 기관들이 특정 지역에 출동한 상태에서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일 무선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휴대폰 통화를 할 수 없거나 통화 감도가 낮아서 통화가 매우 불량한 지역이나 호가 폭주하는 지역에서는 통상적인 휴대폰과 같이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화를 하는 것보다는, 무전기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를 공유함으로써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화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무전기는 반이중(Half Duplex) 통신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무전기는 통신하는 두 지점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한 지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상태에서 다른 지점에서는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수신 측이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전송 방향을 명시적으로 바꾸어야 하는 PTT(Push To Talk) 기능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PTT 방식의 무전기 중에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 무전기(Family Radio Service;FRS)의 경우에는 전파 사용료를 내지 않고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27MHz(차량용)나 448MHz 또는 462MHz 대의 극초단파(UHF)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전파 통달 거리는 3Km 이내에 해당된다.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주파수를 일정 금액을 내고 유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파 통달 거리는 10Km∼20Km 이내에서 형성된다. 하지만 그 비용은 휴대폰에 비하여 저렴한 편이다.
또한 이러한 생활용 무전기 및 업무용 무전기(이하 "휴대용 무전기"라 함) 는 휴대전화에 비해 송신측에서 호출을 한 시점과 수신측에서 그 호출을 수신하는 시점간의 시간차가 적은 편이다. 즉, 휴대전화처럼 호를 연결하고 벨을 울리는 시간이 필요 없이, 예를 들어 호출하는 쪽에서 휴대용 무전기 PTT를 눌러 말을 하면 수신단쪽의 휴대용 무전기 스피커에서는 짧은 시간내에 호출자의 음성이 들린다.
이처럼 휴대용 무전기는 비용의 저렴함과 사용의 간편함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PTT를 눌러 전송하면 수신측 무전기단에서는 곧바로 해당 음성이 들리므로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소방서, 경찰서, 군부대 등에서 사용하는 무전기의 경우 특정 주파수대 또는 특정 채널을 사용하는 까닭에 상호간에 통신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재난이나 긴급 구조 활동이 발생하여 여러 기관에서 특정 장소에 집합하여 활동하는 경우 지휘, 통제, 의사 소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특허출원번호 : 1020120107241, 발명의 명칭 : "게이트웨이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의 무선통신 제공방법, 네트워크 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무전기를 사용하는 그룹간에 단일 무선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기반 게이트웨이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무전기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통화 거리의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기종 무선기 그룹을 상호 패치시키기 위하여 게이트웨이에 부착되는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조작을 통하여 간편하게 단일 통신이 가능한 그룹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는 n개의 무전기 그룹 각각과 통신되는 제 1 내지 제 n 무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n 개의 채널 포트와, n 개의 채널 포트와 각각 연동되는 n 개의 RoIP 모듈과, n 개의 채널 포트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 포트를 그룹 통화가 가능하도록 패치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 개의 RoIP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n개의 채널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무선기 각각이 속하는 소정의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패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패치 제어 모듈과, 상기 n 개의 RoIP 모듈 중 어느 하나의 RoIP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패치 제어 모듈에 저장된 패치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패치 설정 정보에 저장된 채널 포트의 정보를 확인한 후 그에 대응하는 채널 포트와 연동되어 있는 RoIP 모듈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시키는 발언권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제어 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RoIP 모듈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음성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 후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포트에 접속된 무전기와 통화 가능한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음성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긴급 현장 출동 구조팀 또는 군분대 연합 작전 등에서 단일 통신망 구성이 가능하다.
2. IP 네트워크 망을 사용함으로써 장소나 거리의 제한이 없는 무선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3. 게이트웨이에 부설된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여 단일 통신이 가능한 그룹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게이트웨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는 좌측에 매트릭스 타입의 키패드부가 부설되고 우측에 무전기가 접속되는 채널 포트가 8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키패드부는 m X n 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로 이루어지며, m은 그룹의 수를 나타내고 n 은 채널 포트의 수를 나타내며 m 과 n은 적어도 2 이상의 자연수이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의 구성은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키패드부와, 제어부와, 복수개의 RoIP 모듈1 ~ 8과, 복수개의 채널 포트(CH1~CH8)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부는 채널 포트 정보(CH1~CH8)와 그룹 정보(Group1~Group4)를 포함하고 있다.
채널 포트 정보는 CH1~CH8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 확장 가능하다. 여기서 채널 포트 정보 CH1~CH8은 상이한 무전기가 접속되는 RoIP 모듈1~8과 연동되는 채널 포트(CH1~CH8)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룹 정보는 상호 그룹화되어 상호 통화가 가능한 채널 포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2에 표시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2개의 채널 포트 CH1과 CH2는 그룹1로 분류되어 있고, 2개의 채널 포트 CH3와 CH4는 그룹2로 분류되어 있으며, 4개의 채널 포트 CH5~CH8은 그룹3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키패드부에 의하여 위와 같이 그룹화되어 있는 경우 채널 포트1에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 그룹과 채널 포트2에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 그룹은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 포트3에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 그룹과 채널 포트4에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 그룹은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채널 포트5 ~ 채널 포트8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 그룹들간에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 명세에서는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채널 포트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패치 또는 패치 상태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는 키패드부 이외에 컴퓨터 등을 입력을 통하여 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제어 모듈과 발언권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패치 제어 모듈은 사용자가 키패드부 또는 컴퓨터를 통해 입력한 채널 포트 패치(연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발언권 제어모듈이 참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컴퓨터를 통한 패치 설정은 기존의 경우에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새로이 제안하는 키패드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어 모듈의 동작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먼저, 키패드부를 통하여 패치 제어 모듈로 패치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패치 제어 모듈에서는 입력된 패치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이전에 설정된 패치 정보가 없는 경우 입력된 패치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패치 정보를 정보를 저장한다.
만약 이전에 설정된 패치 설정 정보가 있는 경우 기존 패치 설정 정보를 삭제한 후 새로이 입력된 패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키패드부를 통하여 그룹1에 CH1, CH2가 설정되는 경우, 패치 제어모듈은 CH1, CH2가 기존에 다른 그룹 예컨대 그롭2 또는 그룹3 등에 속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 다른 그룹에 속하고 있는 경우 이를 대체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된 패치 설정 정보 즉 그룹1에 CH1, CH2을 설정하는 정보를 그대로 저장한다.
다음, 발언권 제어 모듈은 각 채널 포트(채널 포트1~8)에 연결된 무전기의 오디오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오디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채널 포트의 패치 설정 여부를 패치 제어 모듈을 통하여 확인 한 다음, 해당 채널이 패치 상태인 경우 해당 그룹 내의 다른 채널에서 이미 발언중인지 확인하고, 발언이 가능한 상태이면 패치되어 있는 그룹내의 모든 채널로 오디오를 전송시킨다.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요소인 복수개의 RoIP 모듈과 이에 연동되어 있는 복수개의 채널 포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개의 RoIP 모듈과 이들 각각에 연동되는 8개의 채널 포트(채널 포트1~8)가 제공되었지만 RoIP 모듈과 채털 포트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확장 가능할 것이다.
먼저, 채널 포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채널 포트에는 소정의 무전기가 접속되며, 채널 포트에는 PTT 단자, 오디오 출력 단자, 오디오 단자, COR(Carrier Operated Relay) 단자가 제공되어 있다.
채널 포트에 접속되는 무전기는 통상 PTT 단자, 오디오 출력 단자, 오디오 단자를 구비하지만 무전기 중에는 COR 단자가 있는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의 범용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채널 포트에 COR 단자를 추가로 제공하였으며 이는 선택적인 요소일 수도 있다. 참고로, COR 단자를 제공하지 않는 무전기의 경우 오디오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음, 복수개의 RoIP 모듈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포트1~8과 연동되어 있다.
본 발명의 RoIP 모듈은 오디오 입출력 단자, PTT 단자, COR 단자를 통해 해당 채널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무전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SIP, RTP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 스택 및 음성 Codec 등을 내장하여 상호 패치 연결된 무전기 그룹간의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의 기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그룹이 있다고 가정한다.
A 그룹은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무전기를 갖고 있는 집단을 나타내고, B 그룹은 경찰관들이 사용하는 무전기를 갖고 있는 집단을 나타내며, C 그룹은 군인들이 사용하는 무전기를 갖고 있는 집단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A 그룹에 속하는 집단은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전기를 통하여 A 그룹 내에서만 통화 가능하며, B 그룹에 속하는 집단은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전기를 통하여 B 그룹 내에서만 통화 가능하며, C 그룹에 속하는 집단은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전기를 통하여 C 그룹 내에서만 통화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특정 지역에 재난 또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A, B, 및 C 그룹이 모두 참여한 경우 타 그룹간에 서로 통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설치한 다음, A, B, C 그룹 각각에서 사용하는 사용하는 소정의 무전기를 8개의 채널 포트 중 임의의 채널 포트에 각각 접속시킨다.
예컨대 A 그룹에서 사용하는 무전기는 채널포트1, B 그룹에서 사용하는 무전기는 채널포트2, C 그룹에서 사용하는 무전기는 채널포트5에 접속시킨다고 가정한다.
다음, 이들 3개의 그룹간에 통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키패드부에서 채널 포트1에 대응하는 CH1과, 채널 포트2에 대응하는 CH2와, 채널 포트5에 대응하는 CH5를 그룹으로 묶어 패치 설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게이트웨이 관리자는 3개의 그룹이 모두 소통할 수 있도록 예컨대 그룹1에 위치하고 있는 CH1, CH2, 및 CH5에 대응하는 키패드를 선택하여 상호 패치시킨다.
이렇게 설정된 패치 정보는 패치 제어 모듈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다음, A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무전기 소유자가 소지한 무전기를 A1이라고 하면, A1 무전기에서 PTT 를 선택한 후 통화를 하면, A 그룹에 속하는 다른 무전기(A2, A3, A4...)로 무선 통신 신호가 전송됨은 물론 채널 포트1에 연결된 무전기로도 전송된 후 채널 포트1의 오디오 입력 단자를 통하여 해당 오디오(음성) 신호는 RoIP 모듈1로 전송된다.
RoIP 모듈1 내에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VAD(Voice Activity Detector)가 있으며, 감지된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를 거쳐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의 발언권 제어 모듈로 전송된다.
발언권 제어 모듈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패치 제어 모듈을 조회하여 채널 포트1에 패치 설정된 채널 포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채널 포트 1과 함께 패치 설정된 다른 채널 포트가 없는 경우 발언권 제어 모듈은 초기 동작 모드를 유지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예시처럼 채널 포트2와 채널 포트3이 상호 패치 연결되어 있다는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RoIP 모듈1에서 전송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채널 포트 2 및 채널 포트 3과 연결되어 있는 RoIP 모듈2 및 RoIP 모듈3으로 전송한다.
RoIP 모듈2와 RoIP 모듈3에서는 발언권제어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AC 변환기를 거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다음 오디오 출력 단자를 통하여 채널 포트2 및 채널 포트 3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무전기로 전송한다. 이때, RoIP 모듈2와 RoIP 모듈3은 해당 PTT 단자를 온시켜 접속되어 있는 무전기에서 오디오 신호가 송출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RoIP 모듈2와 RoIP 모듈3에서는 발언권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PTT 온 신호를 RoIP 모듈2와 RoIP 모듈3의 PTT 단자로 전송하고 예컨대 RTP 패킷으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내장된 코덱에서 음성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RoIP 모듈2와 RoIP 모듈3의 오디오 출력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B 그룹 및 C 그룹 무전망으로의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채널 포트2 및 채널 포트 3에 각기 접속되어 있는 B 그룹 및 C 그룹 의 무전기 사용자들과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키패드부를 디스플레이부로 대체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갖는 LCD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하며, rmm 기능은 전술한 키패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는 n 개의 채널 포트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 포트를 그룹 통화가 가능하도록 패치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하며 터치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 개의 RoIP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n개의 채널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무선기 각각이 속하는 소정의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경우 이기종 무전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그룹간에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VHF, UHF, TRS 등 주파수나 변조방식이 다른 이기종 무전기간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IP 네트워크와 연동시키는 경우 IP기반의 패킷 오디오 전송 기술이 적용되어 통화 품질이 우수하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거리의 제약없이 원격지의 또 다른 다른 유무선 통화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가능하게 하므로 범용적인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는 이기종 무선기간의 상호 연결은 물론, 타 주파수대역 무선 통신망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소나 거리의 제약없이 언제든지 통신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는 키패드부에서 단일 무선망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그룹을 설정하기 위하여 특정 그룹에 포함하고자 하는 채널 포트를 선택하고 이를 패치 제어 모듈에 저장한다.
따라서 패치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소정 무전기 그룹 중에서 누군가가 자신의 무전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면 발언권 제어 모듈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단일 무선망 통신이 가능하도록 패치되어 있는 나머지 그룹의 무전기 사용자들에게 통화 내용을 전송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경우, 긴급 현장 출동 구조팀 또는 군분대 연합 작전 등에서 단일 통신망 구성이 가능하고, IP 네트워크 망을 사용함으로써 장소나 거리의 제한이 없는 무선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며, 게이트웨이에 부설된 키패드부를 조작하여 단일 통신이 가능한 그룹 설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무전기 그룹 각각과 통신되는 제 1 내지 제 n 무전기가 접속될 수 있는 n 개의 채널 포트와,
    상기 n 개의 채널 포트와 각각 연동되는 n 개의 RoIP 모듈과,
    상기 n 개의 채널 포트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 포트를 그룹 통화가 가능하도록 패치 설정하도록 조작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 개의 RoIP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n개의 채널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n 무선기 각각이 속하는 소정의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의 일측에 부설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n 개의 채널 포트 중에서 그룹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패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패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패치 제어 모듈과,
    상기 n 개의 RoIP 모듈 중 어느 하나의 RoIP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패치 제어 모듈에 저장된 패치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패치 설정 정보에 저장된 채널 포트의 정보를 확인한 후 그에 대응하는 채널 포트와 연동되어 있는 RoIP 모듈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시키는 발언권 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발언권 제어 모듈에서 전송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RoIP 모듈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음성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킨 후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포트에 접속된 무전기와 통화 가능한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음성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n개의 무전기 그룹에 속하는 임의의 그룹의 무전기 소유자가 소지한 무전기에서 PTT 를 선택한 후 통화를 하면, 상기 임의의 그룹에 속하는 다른 무전기로 무선 통신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KR1020160081516A 2016-06-29 2016-06-29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KR20180002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16A KR20180002262A (ko) 2016-06-29 2016-06-29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16A KR20180002262A (ko) 2016-06-29 2016-06-29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62A true KR20180002262A (ko) 2018-01-08

Family

ID=6100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16A KR20180002262A (ko) 2016-06-29 2016-06-29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935A1 (en) * 2018-12-28 2020-07-02 Cubic Corporation Radio-over-internet-protocol (roip) gateway talk group configuration
KR102300881B1 (ko) 2021-03-12 2021-09-10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라디오 오버 아이피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935A1 (en) * 2018-12-28 2020-07-02 Cubic Corporation Radio-over-internet-protocol (roip) gateway talk group configuration
KR102300881B1 (ko) 2021-03-12 2021-09-10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라디오 오버 아이피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EP4057770A1 (en) 2021-03-12 2022-09-14 Unionplace Co., Ltd. Gateway apparatus for radio over ip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4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multi-watch for group ptt services
US86062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844224B2 (en) Method for supporting simultaneously multiple-path Bluetooth audio applications
US20190123804A1 (en) Relaying device,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relaying devices
WO2001043351A2 (en) Group call for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WO2010001983A1 (ja) 通信システム
EP2541882B1 (en) Transmitting radio signals between a headset and a base station
KR101676636B1 (ko)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CA3069409A1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earset having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KR20180002262A (ko)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CN106488023A (zh) 一种对讲通话方法、系统和移动终端
KR101721949B1 (ko)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EP1372299A1 (en) A system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20180002261A (ko) RoIP 게이트웨이
KR20170111312A (ko)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KR20210122250A (ko) 덱트 휴대용 디바이스 베이스 스테이션
KR20200041669A (ko) R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다방향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16357B1 (ko) RoIP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36450B1 (ko)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CN210578542U (zh) 一种对讲机蓝牙wifi适配器
KR20050040544A (ko)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00060093A (ko) RoIP 기반의 단일주파수 단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중계 시스템
KR2004010678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2200A (ko) Ip 인터콤 및 무전기 상호간 통화 중계용 디지털 네크워크 및 이를 이용한 중계방법
KR20150142410A (ko) 블루투스 기반의 그룹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