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450B1 -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450B1
KR102036450B1 KR1020180059563A KR20180059563A KR102036450B1 KR 102036450 B1 KR102036450 B1 KR 102036450B1 KR 1020180059563 A KR1020180059563 A KR 1020180059563A KR 20180059563 A KR20180059563 A KR 20180059563A KR 102036450 B1 KR102036450 B1 KR 10203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area
gateway
roip
roip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곤
Original Assignee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에프에이 (주) filed Critical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to KR102018005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mmon 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무전기를 사용한 동일 주파수 무선 통신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1 무전기가 결합된 제 1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고, 제 2 영역에 제 2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2 무전기가 결합된 제 2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전기에서 수신한 제 1 무선 신호와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제 2 무선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신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그 상태의 무선 통신 상황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1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무전기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무전기는 상기 제 2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무전기로 상시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전기는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 그룹 상호간에 음영 지역이 존재하더라도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among radio devices with same frequency in dead zone condition}
본 발명은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무전기를 사용한 동일 주파수 무선 통신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휴대폰 통화를 할 수 없거나 통화 감도가 낮아서 통화가 매우 불량한 지역이나 호가 폭주하는 지역에서는 통상적인 휴대폰과 같이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화를 하는 것보다는, 무전기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대)를 공유함으로써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직접 통화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무전기는 반이중(Half Duplex) 통신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무전기는 통신하는 두 지점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한 지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상태에서 다른 지점에서는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수신 측이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전송 방향을 명시적으로 바꾸어야 하는 PTT(Push To Talk) 기능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PTT 방식의 무전기 중에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 무전기(Family Radio Service;FRS)의 경우에는 전파 사용료를 내지 않고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27MHz(차량용)나 448MHz 또는462MHz 대의 극초단파(UHF)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전파 통달 거리는 3Km 이내에 해당된다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주파수를 일정 금액을 내고 유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파 통달 거리는 10Km∼20Km 이내에서 형성된다 하지만 그 비용은 휴대폰에 비하여 저렴한 편이다
또한 이러한 생활용 무전기 및 업무용 무전기(이하 "휴대용 무전기"라 함) 는 휴대전화에 비해 송신측에서 호출을 한 시점과 수신측에서 그 호출을 수신하는 시점간의 시간차가 적은 편이다 즉, 휴대전화처럼 호를 연결하고 벨을 울리는 시간이 필요 없이, 예를 들어 호출하는 쪽에서 휴대용 무전기 PTT를 눌러 말을 하면 수신단쪽의 휴대용 무전기 스피커에서는 짧은 시간내에 호출자의 음성이 들린다.
이처럼 휴대용 무전기는 비용의 저렴함과 사용의 간편함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PTT를 눌러 전송하면 수신측 무전기단에서는 곧바로 해당 음성이 들리므로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하나의 동일 주파수로 통신하는 복수개의 복수개의 휴대용 무전기의 경우 리피터를 사용할 수 없는 까닭에 특정 휴대용 무전기가 음영지역 외부에 있는 경우 상호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56024호, 발명의 명칭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음영 지역을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어 있는 영역에 있는 동일 주파수 무전기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은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무전기 그룹과, 상기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2 영역(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음영 지역을 경계로 분리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무전기 그룹간의 동일 주파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1 무전기가 결합된 제 1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고, 제 2 영역에 제 2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2 무전기가 결합된 제 2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전기에서 수신한 제 1 무선 신호와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제 2 무선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신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그 상태의 무선 통신 상황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1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무전기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무전기는 상기 제 2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무전기로 상시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전기는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전기와 상기 제 2 무전기 상호간의 무전기 통달 거리(수신 거리)는 상호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 그룹 상호간에 음영 지역이 존재하더라도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 상호간의 통신이 불가능한 종래의 무선 통신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단일 주파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제 1 영역의 무전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의 단일 주파수(동일 주파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단일 주파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또 다른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 상호간의 통신이 불가능한 종래의 무선 통신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지역의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1a) 상호간 또는 음영지역의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2a) 상호간의 통신만 가능하다. 즉, 음영 지역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1a)와 음영 지역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2a)는 장애물(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상호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단일 주파수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는 복수개의 제 1 무전기 그룹(1a, 1b)이 존재하고, 제 2 영역에는 복수개의 제 2 무전기 그룹(2a, 2b)이 존재하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는 장애물 등으로 인한 음영 지역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제 1 무전기 그룹 상호간,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제 2 무전기 그룹 상호간의 동일 주파수 통신만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음영 지역으로 인하여 무선 통신이 곤란한 제 1 및 제 2 영역에 있는 제 1 및 제 2 무전기 그룹간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영역의 제 1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의 무전기(1b)를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연동시키고, 제 2 영역의 제 2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의 무전기(2b)를 또 다른 제 2 RoIP 게이트웨이와 연동시킨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와 연동되어 있는 무전기(1b)와 무전기(2b) 상호간의 무전기 통달 거리(수신 거리)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배치시킨다.
그리고 제 1 및 2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기간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과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마스터 게이트로 간주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의 차이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결정을 주가 되어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기능이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케이스 1: 송신하는 무전기가 제 1 영역 안에 있는 경우의 동일 주파수 무선 통신 방법]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무전기가 소정의 동일 주파수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면 원칙적으로 제 1 영역내에 있는 모든 무전기에서 만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영역의 무전기(1b)도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음영 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제 2 영역내의 무전기들은 제 1 영역내의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다음,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인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영역의 무전기(1b)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는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로 송신된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간의 무선 신호 전송은 음영지역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 2 영역 내의 무전기들은 제 1 영역의 소정의 무전기에서 송신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와 동일한 무선 신호를 제 2 영역내의 무전기부터 수신받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를 제 2 RoIP 게이트와 연결된 무전기(2b)로 전달하고 무전기(2b)는 제 2 영역내의 무전기들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영역내의 모든 무전기들은 음영 지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 1 영역내의 임의의 무전기에서 전송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음영 지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영역내의 무전기들은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하는 단일 주파수의 무선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케이스 2: 송신하는 무전기가 음영 지역 안에 있는 경우의 동일 주파수 무선 통신 방법]
도 3은 예컨대 제 1 영역의 무전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한 도면으로 단일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임의의 무전기가 음영 지역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음영 지역내의 위치하는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한 무선 신호가 제 1 영역의 제 1 무전기 그룹에도 전송되지 않고 제 2 영역의 제 2 무전기 그룹에도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는 무전기(1b, 2b) 또한 음영지역의 무전기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호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불가능하다.
한편, 어떤 이유에서, 음영 지역내의 위치하는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한 무선 신호가 제 1 영역의 제 1 무전기 그룹에도 전송되고 제 2 영역의 제 2 무전기 그룹에도 전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영역의 무전기(1b)와 무전기(2b) 또한 동일한 주파수의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인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무전기(1b)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무선 신호를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RoIP 게이트웨이의 제어부는 동일한 주파수의 무선신호가 무전기(1b)에서도 수신되고 무전기(2b)에서도 수신되었음을 확인한다.
이처럼,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무전기들에서 동일한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경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해당 통신 상황을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서, 유지한다는 의미는 마스터 게이트웨이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음영 지역내에 위치하는 소정 무전기로부터 모두 정상적으로 동일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영역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및 제 RoIP 게이트웨이가 개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케이스 3 : 송신하는 무전기가 제 2 영역 안에 있는 경우의 동일 주파수 무선 통신 방법]
도 4는 제 2 영역에 있는 임의의 무전기에서 소정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제 1 영역의 무전기에서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의 프로세스는 도 2에서 설명한 방식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식이다.
즉, 음영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제 2 영역 내에 있는 임의의 무전기가 소정의 동일 주파수를 무선 송신하면 제 2 영역내에 있는 모든 무전기에서만 수신이 가능하고 제 1 영역내의 무전기에서는 수신을 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영역의 무전기(2b)는 제 2 영역내의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RoIP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다음, 음영지역의 존재로 인하여,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영역의 무전기(1b)는 제 2 영역의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상기 무선 신호와 동일한 무선 신호를 제 2 영역의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지 못한다.
즉, 마스터 게이트웨이인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무선 신호와 동일한 무선 신호를 수신받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무선 신호를 제 1 RoIP 게이트와 연결된 무전기(1b)로 전달하고 무전기(1b)는 제 1 영역내의 무전기들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 1 영역내의 모든 무전기들은 음영 지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 2 영역내의 임의의 무전기에서 전송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음영 지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1 영역내의 무전기들은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임의의 무전기에서 송신하는 단일 주파수의 무선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영지역을 기준으로 양분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존재한다.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 상호간에는 정상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무전기 상호간에도 정상적인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영역에서 사용되는 무전기는 모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전기이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는 유무선 네트원크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각각 존재한다.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제 2 RoIP 게이트웨이에 각각에는 소정의 무전기(1b, 2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참고로 제 1 및 제 2 영역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와 연동되어 있는 무전기(1b)와 무전기(2b) 상호간의 무전기 통달 거리(수신 거리)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배치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 1 RoIP 게이트웨이와 제 2 RoIP 게이트웨이 중 하나를 마스터 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나머지 하나를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와 마스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무전기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 즉 2개의 무선 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마스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2개의 무선 신호가 동일한 경우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현재의 통신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마스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가 1개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마스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무전기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만이 있는 경우에는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로 해당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슬레이브 게이트웨이는 해당 무선 신호를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무전기로 전송하고 해당 무전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영역의 무전기들에 대하여 해당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영역의 무전기 상호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마스터 게이트웨이에 수신된 무선 신호가 슬레이브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만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게이트웨이는 해당 무선신호를 마스터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무전기로 전송하고 해당 무전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영역의 무전기들에 대하여 해당 무선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영역의 무전기 상호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무전기 그룹과, 상기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2 영역(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음영 지역을 경계로 분리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무전기 그룹간의 동일 주파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1 무전기가 결합된 제 1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고, 제 2 영역에 제 2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2 무전기가 결합된 제 2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전기에서 수신한 제 1 무선 신호와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제 2 무선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신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그 상태의 무선 통신 상황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1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무전기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무전기는 상기 제 2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무전기로 상시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전기는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제 1 무전기와 상기 제 2 무전기 상호간의 무전기 통달 거리(수신 거리)는 상호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Claims (2)

  1.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1 무전기 그룹과, 상기 동일 주파수로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제 2 영역(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음영 지역을 경계로 분리되어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 2 무전기 그룹간의 동일 주파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1 무전기가 결합된 제 1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고, 제 2 영역에 제 2 무전기 그룹 중 하나인 제 2 무전기가 결합된 제 2 RoIP 게이트웨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전기에서 수신한 제 1 무선 신호와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제 2 무선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에서 수신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신호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그 상태의 무선 통신 상황을 유지하고,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1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무전기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무전기는 상기 제 2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1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RoIP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2 무선 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 1 R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무전기로 상시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무전기는 상기 제 1 무전기 그룹으로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전기와 상기 제 2 무전기 상호간의 무전기 통달 거리(수신 거리)는 상호 겹치지 않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RoIP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2. 삭제
KR1020180059563A 2018-05-25 2018-05-25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KR10203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63A KR102036450B1 (ko) 2018-05-25 2018-05-25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63A KR102036450B1 (ko) 2018-05-25 2018-05-25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450B1 true KR102036450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63A KR102036450B1 (ko) 2018-05-25 2018-05-25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4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024B1 (ko) 1993-01-21 1998-11-16 루이스 에이. 헥트 복수 지렛점식 카드 방출 기구
KR101066881B1 (ko) * 2011-01-25 2011-09-26 주식회사 아이디앤엠테크 RoIP를 이용한 무전기 간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789639B1 (ko) * 2013-11-12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상향링크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024B1 (ko) 1993-01-21 1998-11-16 루이스 에이. 헥트 복수 지렛점식 카드 방출 기구
KR101066881B1 (ko) * 2011-01-25 2011-09-26 주식회사 아이디앤엠테크 RoIP를 이용한 무전기 간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789639B1 (ko) * 2013-11-12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상향링크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218B2 (en) Method for in-building distribution using wireless access technology
US11616877B2 (en) Device for intercom network
CN100438410C (zh) 用于在数字无线电网络系统内发送信息的系统
CN102917374A (zh) 根据802.11规范运行的扇区化的无线通信网络
CN106257850B (zh) 用于产生干扰信号的方法和系统
EP2541882A1 (en) Transmitting radio signals between a headset and a base station
KR102036450B1 (ko)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동일 주파수 무전기 상호간 통신 방법
EP1372299A1 (en) A system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JPH05268659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KR101676636B1 (ko) 터치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KR20180002262A (ko)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무전기 게이트웨이
KR101721949B1 (ko) 상이한 n 개의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JPH105184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10142954B2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201118587Y (zh) 无线对讲三同中继系统
EA010993B1 (ru) Беспроводная магистра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беспроводных ячеек
US20210367746A1 (en) Simplex and duplex distributed antenna system
JPH02193425A (ja) 移動通信方式
JP343152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53650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S60165129A (ja) 通信可能距離を制御した内線接続方式
KR20180002261A (ko) RoIP 게이트웨이
KR20170111312A (ko) 무전기 그룹을 상호 접속시켜 이기종 무전기 그룹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RoIP 게이트웨이
KR20020023566A (ko) 공중전화교환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1465858B1 (ko) 그룹망에서 단말기간 전송 중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