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83U -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 Google Patents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83U
KR20180002183U KR2020170000136U KR20170000136U KR20180002183U KR 20180002183 U KR20180002183 U KR 20180002183U KR 2020170000136 U KR2020170000136 U KR 2020170000136U KR 20170000136 U KR20170000136 U KR 20170000136U KR 20180002183 U KR20180002183 U KR 20180002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light
gas station
spac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훈 filed Critical 김도훈
Priority to KR2020170000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183U/ko
Publication of KR20180002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너지저장장치(ESS), 지하 건축물, 및 전력 수전반 중 하나 이상의 지하 시설물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주유소 부지의 소유주인 시공의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시공의뢰 단말기라 할 때,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시설물의 시공 요청을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시공업체 중개 서버가, 상기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하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공업체와 시공의뢰자를 중계한다.

Description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Underground equipment in gas station site}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지하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2014년말부터 2016년 상반기까지 문을 닫은 주유소가 900곳에 육박했고 이전보다 6배 이상 늘었다. 1억원이 넘는 폐업비용이 없어 방치해 놓은 ‘유령 주유소’도 1600여곳이 넘는다. 올해 7월 기준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휴업 주유소는 575곳 이고, 신고도 하지도 않고 휴업상태에 들어간 곳도 1000곳 이상으로 추정된다. 1만 2058곳의 주유소 가운데 실제로 정상 영업하는 주유소는 1만개 정도에 불과하다. 이와같이 휴.폐점 주유소가 기하급수로 늘어나는 이유는 유가하락에 따른 경영난이 가장 크다.
업계에 따르면 판매가의 10%에서 유통비를 뺀 값이 주유소에 떨어지는 이윤이다. 유가하락으로 판매가가 줄어들수록 마진폭은 그만큼 줄어든다. 폐업하거나 휴점하는 주유소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나마 폐업한 곳은 사정이 좀 나은 곳이다. 주유소를 운영하다 폐업하려면 오염된 토양정화 비용이 드는데, 이 비용은 매장 크기에 따라 1억~2억원 수준이다. 이 비용을 부담한 899곳은 폐업 후 전업이 가능했지만 그렇지 못한 곳은 그냥 방치하고 있다. 따라서 주유소 회원사의 3분의 1정도가 주유소 문을 닫고 싶어하지만 폐업 비용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도심지 주유소의 업종변경 등으로 인하여 주유소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업종 변경을 하지 않고 리모델링을 통해 복합시설로 탈바꿈한 주유소도 상당히 많다.
시대의 트렌드에 맞게 커피 전문점, 패스트푸드점을 병설로 운영하며 기존의 유류 판매 중심에서 복합수익형 부동산으로 거듭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면에는 최근의 가파른 지가상승과 기존 주유소들의 수익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또한 저금리 시대를 맞아 주유소라는 부동산투자의 이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통행량과 유동인구가 보장되어 있는 대도로 변에 입지한 ‘주유소’라는 부동산의 특성으로 차량이나 도보 고객의 접근성이 좋고, 전체 주유소 매매 투자 금액의 대부분이 토지 비중이 높게 차지하고 있으므로 토지에 대한 투자와 영업 수익으로 인한 현금 유동성까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색다른 투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유소 거리 제한 폐지와 유가 자율화 이후 주유소 운영자의 수익성에도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가 깊어지면서 한계 수익에 내몰린 주유소들이 하나, 둘 폐업을 하면서 남아있는 주유소들은 오히려 그 수혜를 보는 상황이고 여기에 시대의 트렌드에 맞게 발 빠른 변화를 추구한 주유소는 더 큰 임대수익과 유류 판매 수익을 향유할 수 있게 됐다. 물론 리모델링 등 재투자에 일정 비용이 추가되기는 하나, 투자된 부분 이상으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한편, 건축물 시공시 냉난방과 채광 및 환기는 에너지절약과 건강관리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채광과 환기 구조에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연광이 사람의 건강에 많은 이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근 들어서는 자연광을 이용한 채광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구조물의 외벽이나 천장에 개폐 가능한 창문을 설치하여 보다 많은 양의 자연광이 건축구조물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하에 매립되는 건축물은 외벽이나 천장에 창문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자연광을 직접 전달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자연광에는 조명기능을 할 수 있을 만큼의 광량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성장ㆍ발육에 필요한 생육광(生育光) 공급 기능 및 자외선을 근간으로 하는 살균소독, 정화 등의 기능이 있는데, 지하 건축물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자연광의 이점을 전혀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1-0008013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지하 시설물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에너지저장장치(ESS), 지하 건축물, 및 전력 수전반 등 하나 이상의 지하 시설물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주유소 부지의 소유주인 시공의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시공의뢰 단말기라 할 때,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시설물의 시공 요청을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시공업체 중개 서버가, 상기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하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공업체와 시공의뢰자를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시공의뢰 단말기는, 지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할지를 태양광 발전 시공업체 중개서버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시공의뢰 단말기가,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건축물의 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로 시공할지에 대한 시공 정보를 상기 시공업체 중개 서버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하 건축물은,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물; 및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와, 상기 도광부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는 하판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광전달유닛;을 포함하며, 기 상판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이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구조물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상면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엘이디와,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이 구비되며,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와,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마련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위치시키고,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표면을 환기구를 구비하여 지하 공간의 냉풍 외기 또는 온풍 외기가 컨테이너 박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을 에너지저장장치(ESS), 지하 건축물, 및 전력 수전반 등으로 시공하여 활용함으로써, 주유소 부지의 토양 정화 작업을 대체하여 경제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에 마련된 지하 시설물의 예시 그림.
도 2는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에 지하 시설물 시공을 요청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평단면도.
도 7은 고안에 의한 광전달유닛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
도 8은 고안에 의한 광전달유닛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
도 9는 고안에 의한 광전달유닛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고안에 의한 광전달유닛 제5 실시예의 수직단면도.
도 11은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의 단면도.
도 12는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의 상면도.
도 13은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에 마련되는 광원 전달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4는, 고안에 의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에 마련된 지하 시설물의 예시 그림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공간에 지하 시설물 시공을 요청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주유소 부지에는, 오일을 저장하며 휘발성 유증기가 발생하는 저장탱크(T)를 지하 공간에 구비하여, 저장탱크(T)에 저장된 오일을 차량에 공급하는 주유건을 구비하는 주유기(P)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저장탱크(T)를 제거하고, 주유소 지하의 땅을 더 파내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가에 저장탱크(T) 대신에, 에너지저장장치(ESS), 지하 건축물을 포함한 지하 시설물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이라 함은, 주유소 부지로 등록된 부지의 지하에 있는 저장탱크(T)가 매장되어 있어 지하 공간을 말한다.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는,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 장치를 말한다. 여기에는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관련 장치들이 모듈화되어 마련될 수 있다.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위치함으로써,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을 대체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에서의 가장 큰 단점인 밤에 충전을 못한다는 부분은 에너지저장장치(ESS)로서 보완될 수 있다. 통행량과 유동인구가 보장되어 있는 도로변에 입지한 ‘주유소’라는 부동산의 특성으로 차량이나 도보 고객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에너지저장장치 내의 배터리는 발열을 하기 때문에 이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데, 지하 땅의 저온을 이용하여 냉방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지하 건축물은,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된 건축물을 말한다.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지하 건축물을 둠으로써, 주유소 부지의 지하의 토양정화비용이 들지 않으며, 오히려 지하주택에 드는 토목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지하 5m부터 약 15도 정도의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만큼 지하에 주택을 건설하면 냉난방비가 대폭 감소된다. 주유소 부지의 지상은 빈 공간이 되어 조망권이 확보될뿐더러 자연 녹지로 꾸밀 수 있거나 주차장 시설 또는 태양광발전 시설을 놓을 수 있다. 나아가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마련되는 지하 건축물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지하 건축물은, 전력 수전반의 건축물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주유소 부지 내에 지하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업체에 시공할 지하 시설물의 종류를 제시하며 시공의뢰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0), 시공의뢰 단말기(2000),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 및 시공업체 단말기(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0)은, 시공의뢰 단말기(2000),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 및 시공업체 단말기(40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공의뢰 단말기(2000)는, 주유소 부지의 소유주인 시공의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시공의뢰 단말기(20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시공의뢰 단말기(2000)는,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시설물의 시공 요청을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로 전송한다. 시공의뢰 단말기(2000)는,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건축물의 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이하,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이라 함)로 시공할지에 대한 시공 정보를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로 함께 제공한다.
외부의 광량(예컨대, 태양광)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로 시공할 경우, 시공 비용 등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 광량의 도달 여부가 중요하다. 나아가,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업체가 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로 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시공 정보도 함께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나아가, 시공의뢰 단말기(2000)는, 지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할지를 태양광 발전 시공업체 중개서버(미도시)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지하에 건물이 있으므로 지상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외부 광량이 많으면 지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할지(투자회수기간 등 산정)를 결정하여, 태양광 발전 시공업체 중개서버(미도시)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는, 시공의뢰 단말기(2000)로부터 수신한 지하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시공의뢰자와 시공업체를 중개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지하 시설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시공할 수 있는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시공업체 단말기(400)의 전화번호를 시공의뢰 단말기(2000)에 중개한다. 또한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지하 건축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지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시공의뢰자에게 중개한다.
나아가, 시공의뢰 단말기(2000)가,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로 시공할지에 대한 시공 정보를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로 전송하는 경우,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시공의뢰자에게 중개한다. 후술할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의 경우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의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중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는,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업체의 상호명, 연락처, 사업자번호, 위치 등의 시공업체 정보를 각 시공업체별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시공업체 중개 서버(3000)는,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의 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시공의뢰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중개해줄 수 있으며, 또는 시공 후기 평가가 가장 높은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중개해줄 수 있다.
한편,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이 시공되는 경우, 외부 광량이 지하에 있는 지하 건축물에 도달하는 구조로 시공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이러한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과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의 수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지하에 매립되도록 건설되되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연광을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채광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광으로부터 제공되는 채광 이외의 여러 가지 이점(생육광 공급, 살균소독, 정화 등)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구조물(100)과, 상기 구조물(10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광전달유닛(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연광이 광전달유닛(200)을 통해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해 상기 구조물(100)에는 별도의 환기구(300)가 연통되고, 상기 구조물(100)의 가운데 부위에는 승강통로(120)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통로(120)는 계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통로(12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자연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으로 제공된 자연광이 내부를 타고 일면(개구부(110)를 향하는 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장착위치 및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이어 배열되는 두 개의 구조물(100) 사이에 배치되는 광전달유닛(200)(도 3에서는 가운데 위치하는 광전달유닛(200))의 경우에는 상단으로 유입된 자연광이 좌우측면으로 모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의 투명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구조물(100) 바깥쪽 외벽에 장착되는 광전달유닛(200)(도 3에서는 좌우측에 위치하는 광전달유닛(200))의 경우에는 상단에 유입된 자연광이 좌우측 중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면으로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끝단으로 제공된 빛이 어느 일면으로 전달되는 구조는 종래의 조명장치용 도광판 등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구조물(100)의 내부공간으로 더욱 많은 양의 자연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10) 전체를 덮는 구조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가 적은 채광량을 원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개구부(110)의 일부만을 덮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광전달유닛(200) 자체가 반투명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전달유닛(200) 중 상면은 지상으로 노출되므로 쉽게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광전달유닛(200)의 상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면 광전달유닛(200)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오염 및 손상이 쉽게 되지 아니하도록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광전달유닛(200) 전체를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하면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상기 광전달유닛(200) 중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측과 지반에 안착되는 하측만이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210)와, 상기 도광부(210)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판(230)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전달유닛(200)이 도광부(210)와 하판(230)과 상판(220)으로 구분되면, 하판(230)과 상판(220)만을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광전달유닛(200)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판(220)은 자연광 유입량이 극대화되도록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하판(230)이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면 상판(220)을 통해 하향 유입된 자연광 대부분이 하판(230)을 투과하여 지하로 흡수되므로,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광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230)은 강도가 높은 지지층(232)과 상기 지지층(232)의 상면에 부착되는 반사층(234)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판(230)의 상면에 반사층(234)이 구비되면, 상판(220)을 통해 하향 유입된 자연광이 하판(230)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는바, 구조물(100)의 개구부(110)로 전달되는 광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지하에 건설되는 구조물(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100)의 각 외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00)의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100)의 외측벽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구조물(100)의 개구부(110)를 덮을 수 있다면 다양한 규격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는 광전달유닛(200)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구부(110)를 통해 충분한 양의 자연광이 전달되지만, 날씨가 흐린 날에는 개구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광량이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날씨가 흐린 날에도 개구부(110)를 통해 충분한 광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230)의 상면과 상기 상판(220)의 저면에 각각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판(230)과 상판(220)에 엘이디(240)가 구비되면 날씨가 흐려 자연광 광량이 적은 경우, 상기 엘이디(240)를 점등시킴으로써 개구부(11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30)과 상판(220)뿐만 아니라 도광부(210)의 측벽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엘이디(240)의 배열패턴 및 개수는 광전달유닛(200)의 규격이나 개구부(110)의 크기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광전달유닛(200) 제3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부(210)가 하나의 블럭으로 제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도광부(210)가 블럭 형태로 제작되면 제조원료 사용량이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부(210)는 제조원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220)과 하판(230)은 도광부(210)의 개방된 상측 및 하측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의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작되면, 도광부(210)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달유닛(200)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광부(210)의 내부로 유입된 자연광 대부분이 개구부(1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도광부(210)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25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 내벽면에 반사시트(250)가 부착되면 상판(220)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의 대부분이 개구부(110) 측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채광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시트(250)는 상판(220)과 하판(230)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상판(220)과 하판(230) 및 도광부(2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광전달유닛(200) 중 개구부(110)와 마주보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전체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220)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 광량이 부족하더라도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으로 충분한 채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시트(250)에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은 광전달유닛(200)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하건축물은 상판(220)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이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엘이디(240)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구조물(100) 내부공간의 채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240)의 점등을 제어하는 광량센서(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량센서(400)는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240)가 점등되도록 점등신호를 발생시키는바, 날씨에 상관없이 구조물(100)의 실내공간을 밝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다 많은 양의 자연광을 개구부(11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광부(210)의 수평단면적이 넓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상기 도광부(210)의 수평단면적이 넓어지면 광전달유닛(200) 설치를 위한 공간이 넓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상판(220)으로 유입되는 자연광의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이 상광 하협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광부(210)의 상측 내벽이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지하에 매립되는 부위는 좁더라도 많은 양의 자연광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채광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광전달유닛(200) 제5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광전달유닛(200)은 단순히 자연광을 전달하는 도광판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테리어용품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전달유닛(200)은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수족관 기능까지 겸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부(210)는 내부공간이 외부와 완벽하게 격리되도록 방수처리되어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210) 중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500)와, 상기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부(210)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고 투명창(212)이 구비되면, 사용자는 도광부(210) 내에 물고기를 키울 수 있고, 도광부(210) 내의 물고기가 투명창(212)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노출되는바, 상기 광전달유닛(200)이 인테리어용품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광부(2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에 파동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부(210) 내부로 유입된 자연광은 상기 파동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빛반사가 형성되는바, 보다 자연스럽고 고급스러운 채광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210)와 상판(220), 하판(230)에는 반사판(250)과 엘이디(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판(250)과 엘이디(240)의 장착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지하 건축물은 컨테이너일 수 있다. 지하 건축물이 컨테이너로 구현될 때의 예시를 도 11 내지 도 13과 함께 상술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의 상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컨테이너에 마련되는 광원 전달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지하 건축물이 도 11과 같이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는 거주용, 보관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광원 전달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전달체는, 투명 재질의 본체와,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서, 상기 본체의 측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반사판을 구비한다.
본체는, 아크릴, PMMA, PC,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투명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상을 통해 유입되는 빛은 반사판을 통해 반사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로 빛이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광원 전달체를 적용할 경우 건물 방향에 상관없이 시공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에 유리하다. 또한 반사판을 두기 위한 별도의 땅을 팔 필요가 없어 시공비용, 토지비용이 대폭 절약될 수 있다.
한편,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예시를 도 14와 함께 상술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시공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마련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위치시키고, 컨테이너 박스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환기구(A)를 구비하여 지하 공간의 냉풍 외기 또는 온풍 외기가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터리는 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경우 수명 및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25℃ 내외 정도가 적정 온도이다. 따라서 컨테이너 박스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환기구(A)를 구비하여 여름철에는 냉풍 외기가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겨울철에는 온풍 외기가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전력변환장치(PCS;Power Change System)와 배터리(BAT;battery)로 구성이 되며 배터리의 경우 발열 문제로 컨테이너에 따로 공조설비(냉방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최근 삼성 휴대폰 배터리의 리튬이온의 경우 특히 온도에 민감한데 50도 내외에서 폭발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이다. 즉 공조설비를 갖추는데 초기 투자비용 이외에 냉방을 하기 위해 전력을 소비해야하는 등 이중으로 비용이 들어간다.
그런데 땅속 5m부터는 기온이 약 15도 내외이므로 본 고안은 이를 냉방에 이용하면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별도의 강제 공조냉방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여름의 경우 지상의 외기가 땅속으로 들어와서 지하의 저온으로 열교환하게 되고 이를 컨테이너 박스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컨테이너에 불어주면 자연 공조냉방설비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P:주유기
T:저장탱크
A:환풍구
100 : 구조물 110 : 개구부
120 : 승강통로 200 : 광전달유닛
210 : 도광부 212 : 투명창
220 : 상판 230 : 하판
232 : 지지층 234 : 반사층
240 : 엘이디 250 : 반사시트
300 : 환기구 400 : 광량센서
500 : 산소발생기 600 : 여과기

Claims (12)

  1. 에너지저장장치(ESS), 지하 건축물, 및 전력 수전반 중 하나 이상의 지하 시설물이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위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유소 부지의 소유주인 시공의뢰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시공의뢰 단말기라 할 때,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시설물의 시공 요청을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시공업체 중개 서버가, 상기 시공의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지하 시설물의 종류에 따른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시공업체와 시공의뢰자를 중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공의뢰 단말기는, 지상에 태양광 발전소를 시공할지를 태양광 발전 시공업체 중개서버로 함께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시공의뢰 단말기가,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건축될 지하 건축물의 시공 요청을 하는 경우,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의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로 시공할지에 대한 시공 정보를 상기 시공업체 중개 서버로 함께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하 건축물은,
    외부의 광량이 지하 건축물 내부로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지하 건축물인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광량 도달 지하 건축물은,
    실내공간을 갖도록 지하에 설치되며, 외벽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물; 및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투명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도광부와, 상기 도광부의 하측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반사층이 구비되는 하판과, 자연광 투과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도광부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광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통해 유입된 자연광이 상기 도광부를 통해 상기 구조물의 실내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면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엘이디와,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으로 유입되는 광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엘이디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광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는 물이 채워지고,
    상기 도광부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투명창이 구비되며,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와, 상기 도광부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하 건축물은 컨테이너이며,
    상기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광원 전달체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원 전달체는,
    투명 재질의 본체;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서, 상기 본체의 측변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반사판;
    을 포함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주유소 부지의 지하 공간에 마련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위치시키고,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표면을 환기구를 구비하여 지하 공간의 냉풍 외기 또는 온풍 외기가 컨테이너 박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KR2020170000136U 2017-01-06 2017-01-06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KR201800021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36U KR20180002183U (ko) 2017-01-06 2017-01-06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36U KR20180002183U (ko) 2017-01-06 2017-01-06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83U true KR20180002183U (ko) 2018-07-16

Family

ID=6304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36U KR20180002183U (ko) 2017-01-06 2017-01-06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183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1152A (ja) * 1986-10-15 1988-05-06 Tokyo Tatsuno Co Ltd 給油所を有する建築物
JPH10241433A (ja) * 1997-02-21 1998-09-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JP2001035219A (ja) * 1999-07-21 2001-02-09 Sanyo Electric Co Ltd 太陽光採光システム
JP2004139169A (ja) * 2002-10-15 2004-05-13 Masakazu Takemori 住宅リフォーム仲介システム
KR101034477B1 (ko) * 2009-12-31 2011-05-17 (주)현창네오텍 자연광을 이용하는 실내조명장치
KR20110008013U (ko) 2011-07-23 2011-08-12 김태섭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1152A (ja) * 1986-10-15 1988-05-06 Tokyo Tatsuno Co Ltd 給油所を有する建築物
JPH10241433A (ja) * 1997-02-21 1998-09-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JP2001035219A (ja) * 1999-07-21 2001-02-09 Sanyo Electric Co Ltd 太陽光採光システム
JP2004139169A (ja) * 2002-10-15 2004-05-13 Masakazu Takemori 住宅リフォーム仲介システム
KR101034477B1 (ko) * 2009-12-31 2011-05-17 (주)현창네오텍 자연광을 이용하는 실내조명장치
KR20110008013U (ko) 2011-07-23 2011-08-12 김태섭 태양광의 유입을 제어하고 지하수를 이용하여 공조 기능을 하는 친환경 지하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dossary et al. Domestic energy consumption patterns in a hot and humid climate: A multiple-case study analysis
Council LEED v4 for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ni et al. Ten questions concerning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for solar neighborhoods
Iannaccone et al. Smart-ECO buildings towards 2020/2030: innovative technologies for resource efficient buildings
KR20180002183U (ko) 주유소 부지내의 지하 시설물
Singh et al. A review on building energy index (bei) in different green government buildings (GGBS) in Malaysia
Luchkina Business center construction project as the model of resource-saving building
Sumiyati et al. The gaps of passive strategy option in Indonesia’s green building regulation
Jain A sustainable vision for urban India
Jakhar Energy Conservation in Buildings
Azarbayjani et al. Environmental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Endurance and Change in Material Culture
SHOJAEI Co-thrive: back to the future
Shahmohamadi et al. The conceptual framework to achieve energy consumption balance in Kuala Lumpur shophouses for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with focusing on anthropogenic heat factor
Kurnitski et al. nZEB case studies
El-Hussieny How to have a Smart City that Achieves Sustainability with Green Architecture Concepts
Mustafa The sustainable housing district
Spek Sustainability enhancement of the new housing estate Boekhorst
Sugathan Research on the Potential of Photovoltaic Technologies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an Urban Mixed Use Residential Community. A Case Study for Net Zero Energy Community in Dubai, UAE
Shinde COLLEG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Guidance spg
Council Cool and Humid Climates
Council Temperate and Mixed Climates
Almashehari How Green Building Passive Design Techniques Can Enhance the Lighting and Thermal Indoor Environment in Museums
Gabrielaitiene et al. Replicable Measures from Sustainable Energy Action Plans (SEAPs) of Ukraine
Daly et al. Clean technology applications in tourism accommo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