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70U -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70U
KR20180002070U KR2020160007629U KR20160007629U KR20180002070U KR 20180002070 U KR20180002070 U KR 20180002070U KR 2020160007629 U KR2020160007629 U KR 2020160007629U KR 20160007629 U KR20160007629 U KR 20160007629U KR 20180002070 U KR20180002070 U KR 20180002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cellular phone
phone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지
허강희
Original Assignee
김윤지
허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지, 허강희 filed Critical 김윤지
Priority to KR2020160007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070U/ko
Publication of KR20180002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전화 케이스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을 위해 본체에 부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1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한 걸이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Multifunctional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360도 회전이 가능한 걸이부재 및 받침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옷걸이나 손잡이에 걸어둘 수 있고, 동영상을 시청할 경우에는 걸이부재에 구비된 받침부에 의해 휴대전화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는 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의 목적으로 케이스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휴대전화 케이스에는, 휴대전화 본체의 측면 및 뒷면을 보호하는 케이스, 지갑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휴대전화 케이스는 휴대전화 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기능만 갖추고 있다.
한편 최근의 화장실에는, 옷을 걸 수 있는 옷걸이나 가방 등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휴대전화를 보관할 공간이 마땅치가 않다.
상기한 선반에 휴대전화를 올려놓을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선반 위에 휴대전화를 올려놓기를 꺼리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에서 휴대전화를 보관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전화 케이스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옷걸이나 문 손잡이에 간편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옷걸이나 문 손잡이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동영상을 시청할 때에 휴대전화가 안정적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전화의 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을 위해 본체에 부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한 걸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는, 360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의해 케이스 몸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360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옷걸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의 상부에 편평한 형상의 받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전화 케이스를 휴대폰을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옷걸이나 문 손잡이에 걸어둘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을 시청할 때에 휴대전화가 평면에서 안정적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 케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의 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을 위해 본체에 부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1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한 걸이부재(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0)는, 360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0)에 의해 케이스 몸체(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0)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10)에는 상기 회전부재(20)가 360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형홈(10a)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회전부재(20)가 상기 구형홈(10a)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옷걸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0)의 상부에는 편평한 형상의 받침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40)는, 휴대전화를 평면 상에 위치시키고 동영상 등을 시청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부(40)는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받침부(40)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에 의해, 휴대전화를 평면상에 경사지게 위치시킬 때, 휴대전화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0) 및 받침부재(40)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0)와 받침부재(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일시로 보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재(30)를 옷걸이나 문 손잡이부에 걸면 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 등에서 휴대전화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동영상 등을 시청할 때에는, 걸이부재(30)를 회전시켜 받침부(40)가 아래쪽으로 오도록 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40)가 평면에 접촉하면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40)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휴대전화가 안정적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가 있다.
휴대전화는 무게가 그리 무겁지 않으므로, 휴대전화 케이스의 한쪽에 구비된 걸이부재(30) 만으로도 휴대전화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몸체
10a: 구형홈
20: 회전부재
30: 걸이부재
40: 받침부

Claims (6)

  1. 휴대전화의 본체를 보호하거나 장식을 위해 본체에 부착되는 휴대전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1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한 걸이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360도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0)에 의해 케이스 몸체(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몸체(10)에는 상기 회전부재(20)가 360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형홈(1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옷걸이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의 상부에 편평한 형상의 받침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0)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KR2020160007629U 2016-12-28 2016-12-28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KR201800020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29U KR20180002070U (ko) 2016-12-28 2016-12-28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29U KR20180002070U (ko) 2016-12-28 2016-12-28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70U true KR20180002070U (ko) 2018-07-06

Family

ID=6290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629U KR20180002070U (ko) 2016-12-28 2016-12-28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0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1243B2 (en) Flexible kickstand an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09101003B4 (en) Hanger for hanging an article from a supporting surface
US11128337B2 (en) Case with integral stand and extendable member for mobile devices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US7389966B1 (en) Hanger device
US7516929B2 (en) Table edge supporting apparatus
US8576557B2 (en) Stand for portable hand held device
US9985678B1 (en) Smartphone case with hook
AU2018210691B2 (e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60107668A1 (en) Foldable case including cup and mobile device holder
US20060108497A1 (en) Holding device
WO2021061845A1 (en) Attachment stand and extendable member for mobile devices
US10920929B1 (en) Attachment stand and extendable member for mobile devices
US9192219B2 (en) Wrist rest apparatus
US20090050770A1 (en) Collapsible bathroom caddy
KR20180002070U (ko) 다기능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81074Y1 (ko) 받침구 겸용 걸이구가 구비된 공중화장실 전용 선반
US10149565B2 (en) Reconfigurable hanger
JP3213181U (ja) 長尺物ホルダ
US6520194B1 (en) Holder for canes, umbrellas and the like
KR101621870B1 (ko) 거울셋
JP2006320680A (ja) 伸縮自在のコップ安定置き台
KR20190001487U (ko) 가방걸이로 활용 가능한 휴대폰부착 거치링
KR101622199B1 (ko) 보관받침대가 형성된 욕실용 악세사리
JP2016198240A (ja) 家庭用具用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