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47U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Google Patents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2047U KR20180002047U KR2020160007589U KR20160007589U KR20180002047U KR 20180002047 U KR20180002047 U KR 20180002047U KR 2020160007589 U KR2020160007589 U KR 2020160007589U KR 20160007589 U KR20160007589 U KR 20160007589U KR 20180002047 U KR20180002047 U KR 2018000204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e
- humidity
- fan
- moisture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로 이중으로 온실을 구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스에 배출팬을 설치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습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따뜻한 공기와 함께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는 기본 골조에 비닐 등을 덮어 고정시키고,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외부 환경과 무관하게 내부의 온도를 작물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치로서, 추운 동절기에도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온실 하우스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통해 햇빛이 내부로 투과되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고, 수분은 관리자가 별도의 급수시설을 통해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그리고, 추운 동절기에는 온실 내부에 별도로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온실 내부온도를 작물생육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동절기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야간에는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까지 이르러 작물에 병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온실 내의 상대습도는 온도가 내려가는 야간에 높고, 일사량 유입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는 낮에는 낮다. 특히 야간에 기온이 떨어지면 상대습도는 포화 상태에 이르고, 무가온 온실의 경우 주간에 관수한 물이 밤이 되면 토양으로부터 증발해 온실 내 상대습도를 끌어올리고 아침이 되면 적정 범위인 60~80%를 훨씬 넘어 완전 포화상태까지 이르기도 한다.
이와 같이, 온실 내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면, 작물의 잎과 줄기에 물방울이 맺히는 환경이 조성되어 각종 병의 발생이 많아지고 작물의 내병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야간에 저온으로 관리하는 온실의 경우에는 시설내부에 발생하는 안개로 인하여 온실 내부로의 광 투과율이 떨어져 작물의 광합성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실 내부에 투습성이 양호한 보온성 자재를 사용하여 야간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상대습도를 저하시켜 병 발생을 경감시키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612호), 온실 내부에 제습기를 설치하여 강제적인 제습으로 오이의 노균병,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그리고 온실 내부에 환기팬을 설치하여 강제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612호와 같이, 온실 내부에 투습성이 양호한 보온성 자재를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온실 내부에 다량의 습기가 발생되는 경우 상대습도를 저하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온실 내부에 제습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습기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으며,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 방법은 온실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 및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전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배출팬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팬의 가동으로 인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가 30~40%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덕트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어 배출되는 습기를 상부로 비산시키는 동시에 따뜻한 공기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산팬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확산팬 중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로 이중으로 온실을 구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스에 배출팬을 설치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습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따뜻한 공기와 함께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커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커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커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10)는 외부 하우스(11)와, 외부 하우스(11)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12)와, 내부 하우스(12)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13)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스(11)는 외부 프레임(111)과, 외부 프레임(111)을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외부커버(112)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커버(112)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두꺼운 투명한 비닐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하우스(12)는 외부 하우스(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외측부는 외부 하우스(11)의 내측부와 50cm~70cm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내부 하우스(12)는 실질적으로 커텐 구조로, 내부 프레임(121)과, 내부 프레임(12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보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커텐(122)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보온커텐(122)이 일체로 내부 프레임(121)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보온커텐(122)은 복수 개로 분할된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커텐이 내부 프레임(121)에 적재 적소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이들 커텐들은 보온커텐 개폐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온커텐(122)은 내부 하우스(12)의 보온을 위해 내피와 외피 사이에 보온재가 다겹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보온재로는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한지로 이루어진 종이 보온재 또는 숯으로 이루어진 판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재는 다수의 습기 배출공이 형성된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부 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습기 배출공은 0.1 내지 0.5mm의 크기로 형성된다.
습도 조절수단(13)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대습도가 포화상태, 예를 들면 80%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배출팬(131)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습도 조절수단(13)은 내부 하우스(12)의 내측 전후방측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의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131)과,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32)와,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배출팬(131)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133)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하우스(12)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일측부가 배출팬(131)에 결합되어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배출공(131a)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덕트(134)를 더 포함한다.
배출팬(131)은 내부 하우스(12)의 내부 프레임(121)에 설치되고, 설치되는 개수는 내부 하우스(12)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팬(131)은 내부 프레임(121)에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각각 양측부에 상하로 설치된다. 즉, 배출팬(131)은 효과적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고, 후방측 또한 양측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된다.
습도센서(132)는 도 5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의 내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2) 내부의 상대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판넬(133)로 제공한다.
제어판넬(133)은 도 4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배출팬(131)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로 배출한다. 이때, 제어판넬(133)은 배출팬(131)의 가동으로 인해 내부 하우스(12)의 상대습도가 30~40% 수준(습도센서의 측정치)으로 낮아지면 배출팬(131)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배출덕트(134)는 도 4와 같이, 배출팬(13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각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되는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덕트(134)는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출공(131a)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팬(131)에서 배출덕트(134)로 배출되는 습기는 배출공(131a)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된다.
한편, 배출덕트(134)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팬(131)에 의해 배출덕트(134)의 내부로 배출되는 습기는 흡수패드를 통해 흡수하고, 뜨거운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습기 조절수단(13)은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는 확산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팬(135)은 내부 하우스(12)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제어판넬(133)에 의해 제어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이면 제어판넬(133)에 의해 배출팬(131)이 가동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습기가 배출덕트(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팬(131)에 의해 습기뿐만 아니라 난방에 의해 가열된 내부의 따뜻한 공기까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열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10)는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되는 습기와 따뜻한 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에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열손실을 보상한다.
더욱이, 배출덕트(134)와 확산팬(135)을 통해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편중되지 않고 내부 하우스(12)를 균일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확산팬(135)을 통해 비교적 강한 바람으로 배출덕트(134)를 통해 배출되는 습기를 비산시켜 습기가 내부 하우스(12)의 보온커텐(122)에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온실 하우스 11 : 외부 하우스
12 : 내부 하우스 13 : 습도 조절수단
111 : 외부 프레임 112 : 외부커버
121 : 내부 프레임 122 : 보온커텐
131 : 배출팬 132 : 습도센서
133 : 제어판넬 134 : 배출덕트
135 : 확산팬
12 : 내부 하우스 13 : 습도 조절수단
111 : 외부 프레임 112 : 외부커버
121 : 내부 프레임 122 : 보온커텐
131 : 배출팬 132 : 습도센서
133 : 제어판넬 134 : 배출덕트
135 : 확산팬
Claims (6)
-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 및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전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배출팬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팬의 가동으로 인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가 30~40%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어 배출되는 습기를 상부로 비산시키는 동시에 따뜻한 공기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팬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확산팬 중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ko) | 2016-12-27 | 2016-12-27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ko) | 2016-12-27 | 2016-12-27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047U true KR20180002047U (ko) | 2018-07-06 |
KR200487259Y1 KR200487259Y1 (ko) | 2018-08-30 |
Family
ID=629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ko) | 2016-12-27 | 2016-12-27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25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2779A (ko) * | 2018-11-27 | 2020-06-04 | 김범술 | 비닐하우스의 결로억제 시스템 |
KR20200072330A (ko) * | 2018-12-12 | 2020-06-22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고온기 온실의 분무 냉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612B1 (ko) | 2006-12-08 | 2009-05-21 | 손경락 | 자동적으로 습도가 조절되는 온실 하우스 |
KR101266753B1 (ko) * | 2013-02-06 | 2013-05-28 | 조광진 | 농작물 재배용 공기막 필름 |
KR20130134063A (ko) * | 2012-05-30 | 2013-12-1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결로 발생 억제 온실 및 이러한 온실의 제어 방법 |
KR20150025436A (ko) * | 2013-08-29 | 2015-03-1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피복 온실 |
KR20160017149A (ko) * | 2014-07-31 | 2016-02-16 | 주식회사 익성 | 비닐하우스 습기제거용 보온재 |
JP2016508366A (ja) * | 2013-01-28 | 2016-03-22 | キョンファ パク | 湿度を基準にする最適な体感温度制御システム |
-
2016
- 2016-12-27 KR KR2020160007589U patent/KR20048725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612B1 (ko) | 2006-12-08 | 2009-05-21 | 손경락 | 자동적으로 습도가 조절되는 온실 하우스 |
KR20130134063A (ko) * | 2012-05-30 | 2013-12-1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결로 발생 억제 온실 및 이러한 온실의 제어 방법 |
JP2016508366A (ja) * | 2013-01-28 | 2016-03-22 | キョンファ パク | 湿度を基準にする最適な体感温度制御システム |
KR101266753B1 (ko) * | 2013-02-06 | 2013-05-28 | 조광진 | 농작물 재배용 공기막 필름 |
KR20150025436A (ko) * | 2013-08-29 | 2015-03-1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피복 온실 |
KR20160017149A (ko) * | 2014-07-31 | 2016-02-16 | 주식회사 익성 | 비닐하우스 습기제거용 보온재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6-508366호(2016.03.22.)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2779A (ko) * | 2018-11-27 | 2020-06-04 | 김범술 | 비닐하우스의 결로억제 시스템 |
KR20200072330A (ko) * | 2018-12-12 | 2020-06-22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고온기 온실의 분무 냉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259Y1 (ko) | 2018-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7633B1 (ko) | 습도를 기준으로 하는 최적의 체감 온도 제어 시스템 | |
US10716266B2 (en) | Agricultural house | |
US20160157440A1 (en) | Greenhouse having an air mixing chamber which is equipped with a heating unit at an ambient air inlet | |
JP5603658B2 (ja) | 植物環境管理システム | |
WO2022031836A1 (en) | Greenhouse | |
CN204540145U (zh) | 一种智能控温夏栽香菇大棚 | |
KR101518277B1 (ko) | 이중 피복 온실 | |
JP2017086038A (ja) | 制御装置および施設園芸ハウス | |
KR200487259Y1 (ko) |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 | |
KR101976264B1 (ko) |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 |
JP7081124B2 (ja) | 制御装置及び農業用ハウス | |
Kittas et al. | 1. Structures: design,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 |
Worley | Greenhouses: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 |
KR20180104848A (ko) | 육묘 재배 하우스 | |
KR20160084356A (ko) | 습도에 따른 온도를 제어하는 동식물 생육용 온풍기 | |
KR102376159B1 (ko) | 다단 통풍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 | |
JP2000160718A (ja) | 換気装置及び涼気供給構造 | |
JP2007061014A (ja) | 除湿機能付温室装置 | |
JP6692067B2 (ja) | 農業用温調システム、農業用ハウス | |
KR102169054B1 (ko) | 온실 과습 예방 장치 | |
KR101391096B1 (ko) | 2중 비가림 표고버섯 표준 재배사 | |
US20240122127A1 (en) | Cultivation greenhouse | |
KR20150117983A (ko) | 시설재배 하우스의 보온장치 | |
CN216600986U (zh) | 一种空气混合均质化气候室 | |
Singh et al. | Protected Cultivation: Microclimate-Based Agriculture Under Green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