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40A -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40A
KR20180001740A KR1020160080527A KR20160080527A KR20180001740A KR 20180001740 A KR20180001740 A KR 20180001740A KR 1020160080527 A KR1020160080527 A KR 1020160080527A KR 20160080527 A KR20160080527 A KR 20160080527A KR 20180001740 A KR20180001740 A KR 2018000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in body
optical mask
unit
mas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827B1 (ko
Inventor
김인권
Original Assignee
김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권 filed Critical 김인권
Priority to KR102016008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8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으며, 착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광조사부와,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무선 가동설정정보에 따라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동제어부가 마련된 광마스크 본체와, 광마스크 본체와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피부케어 설정모드에 대응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단말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피부진단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피부상태 정보 및 환경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피부의 진단 및 피부케어 프로세서에 대한 결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도록 구축되어 있어 관리 및 피부 케어 기능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하면서도 광마스크 본체의 구조는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phototherapy}
본 발명은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하여 피부케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피부가 탄력을 잃지 않도록 관리하여 젊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화장품을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피부 표피의 각질층 밑에는 두꺼운 단백질 보호층으로 방어벽이 형성되어 보호하고 있고, 이 단백질 보호층에 의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층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바이오 물질 등이 첨가되어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을 사용하더라도 진피층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또한 화장품의 영양이 진피층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여 피부 보호의 효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원적외선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를 미용하는 여러 가지의 피부 미용기기가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피부 미용기기는 사용시 지속적으로 미용기기를 파쥐한 상태로 안면에 접촉시키면서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조작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074882호에 개시된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한편,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를 자신의 피부에 맞게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의 경우 조작상의 번거러움이 있어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대응되게 가동조건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나, 광마스크 장치 자체적으로 지원하도록 구축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품의 가격 상승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구축되어 피부진단 및 피부케어 프로세서 결정에 대한 처리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담할 수 있게 구축된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는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으며, 착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광조사부와,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무선 가동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동제어부가 마련된 광마스크 본체와; 상기 광마스크 본체와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피부케어 설정모드에 대응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피부진단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피부상태를 측정하는 피부상태 측정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된 갈바닉 이온 발생부와;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도록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된 진동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수동케어모드와 자동케어모드의 선택을 지원하며,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피부상태 정보를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되게 처리하고, 상기 광마스크 본체로부터 수신된 피부상태 정보에 대응한 패턴의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따라 상기 갈바닉 이온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광조사부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전송되게 처리하고, 상기 광마스크본체는 상기 가동설정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갈바닉 이온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광조사부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또한,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자외선 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서버로부터 자외선지수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외선지수를 반영하여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자외선 지수를 측정하는 자외선 센서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설정되면,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대응한 피부케어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광마스크본체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게 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피부상태 정보 및 환경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피부의 진단 및 피부케어 프로세서에 대한 결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도록 구축되어 있어 관리 및 피부 케어 기능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하면서도 광마스크 본체의 구조는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마스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광마스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는 광마스크 본체(110)와 스마트폰(200)을 구비한다.
광마스크 본체(110)는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는 헬멧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광마스크 본체(110)에는 진동발생부(140), 광조사부(150), 센서부(160), 조작부(171), 스피커(173), 단말통신부(181) 및 가동제어부(185)를 구비한다.
진동발생부(140)는 광마스크 본체(110) 내에 장착되어 착용자(10)의 피부에 진동을 인가한다.
진동발생부(140)는 분당 2만회 정도의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진동체가 적용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140)는 착용자(10)의 두피에 접촉하여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광마스크 본체(110)의 두부 삽입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발생부(140)는 두부 이외에도 착용자의 이마, 볼 등 접촉가능한 피부에 접촉하여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 상의 광마스크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150)는 광마스크 본체(110) 내면에 장착되어 착용자(10)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광조사부(150)는 상호 다른 파장의 빛을 착용자(10)의 피부에 조사하도록 광마스크 본체(110) 내에 마련된 다수의 제1 및 제2 광원(151)(152)을 구비한다.
제1광원(151)은 420nm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되고, 제2광원(152)은 590nm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590㎚의 파장영역을 갖는 황색광은 피부 깊숙한 곳에 위치한 피지선까지 도달하는 파장으로 노폐물의 제거, 미백 및 피부재생에 효과적이다.
또한, 420nm의 파장영역을 갖는 광은 피부 바깥의 여드름균뿐만 아니라 피지선에 있는 여드름균도 없애고 여드름 재발의 확률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제1 및 제2 광원(151)(152)은 광원 구동부(153)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광조사부(150)는 착용자(10)의 피부상태에 따라 가동제어부(185)에 의해 제1광원(151)과 제2광원(152) 각각의 광조사 강도, 광조사 시간 등이 제어된다.
갈바닉 이온발생부(120)는 광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된 갈바닉 접촉패드(120a)를 통해 착용자(10)의 접촉 피부에 전류를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바닉 이온발생부(120)는 착용자(10)의 피부와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된 갈바닉 접촉패드(120a)와 갈바닉 접촉패드(120a)와 이격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접지패드(163b)와 통전 경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부(160)는 광마스크 본체(110)에 마련되며 자외선 지수를 측정하는 자외선 센서(161)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62)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피부상태를 측정하는 피부상태 측정센서 및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4)가 적용되어 있다.
여기서 피부상태 측정센서는 피부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여 피부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163)가 적용되었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서(163)는 외부로 노출된 임피던스 측정 단자(163a)와 접지패드(163b) 사이에 기준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임피던스 측정단자(163a)에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저항 상태에 대응하는 전류값을 측정한다.
일 예로서, 임피던스 측정단자(163a)는 두피부분과 접촉하고, 접지패드(163b)는 턱부분에 접촉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다.
조작부(171)는 전원버튼(미도시)을 포함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스피커(173)는 제어부(185)에 제어되어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단말통신부(181)는 가동제어부(185)에 제어되어 스마트폰(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통신부(181)는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가동제어부(185)는 단말통신부(181)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무선 가동설정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가동요소인 광조사부(150), 진동발생부(140), 갈바닉 이온발생부(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가동 제어부(185)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지시되어 단말통신부(181)를 통해 수신된 피부관리 프로세서 정보에 따라 갈바닉 이온발생부(120), 진동발생부(140), 광조사부(15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한다.
스마트폰(200)에는 광마스크 본체(110)와 단말통신부(181)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피부케어 설정모드에 대응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단말통신부(181)를 통해 전송하는 피부진단모듈(210)이 탑재되어 있다.
참조부호 220은 스마트폰(220)에 탑재되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기이다.
피부진단모듈(210)은 광마스크 본체(110)로 센서부(160)의 측정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수신된 측정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진단하고, 진단된 피부상태에 대응하는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피부진단모듈(210)은 수동케어모드와 자동케어모드의 선택을 지원한다.
피부진단모듈(210)은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피부상태 정보를 광마스크 본체(110)에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되게 처리하고, 광마스크 본체(110)로부터 수신된 피부상태 정보에 대응한 패턴의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따라 갈바닉 이온발생부(120), 진동발생부(140) 및 광조사부(15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광마스크 본체(110)에 전송되게 처리한다.
이러한 피부진단 모듈(210)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수신된 피부저항값 정보로부터 지성피부, 중성피부, 건성피부와 같은 피부상태를 분류하고, 자외선 지수, 습도에 따라 인가할 갈바닉 이온전류량, 진동의 자극세기, 적용할 광파장, 광조사 시간, 광조사세기 등을 달리하여 적용하는 피부케어 프로세서가 기록된 룩업테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피부케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진단 모듈(210)은 실행되면, 단말 통신부(181)와의 교신하며 단말통신부(181)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진단된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스마트폰(22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이후 진행될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며,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단말 통신부(181)를 통해 제어부(185)에 전달한다.
또한, 피부진단모듈(210)은 자동케어모드가 설정되면,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대응한 피부케어 안내 정보를 스마트폰(200) 또는 광마스크 본체(11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게 처리한다.
또한, 피부진단모듈(210)은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자외선 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서버 예를 들면 기상청서버(26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자외선지수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외선지수를 반영하여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광마스크 본체(110)의 자외선 센서(161)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피부진단모듈(210)은 등록된 보관 주소를 기준으로 100미터 이내로 도달하면 오늘의 자외선지수 정보와 피부케어를 수행하는 것을 권유하는 안내방송을 음성메시지로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보관 주소는 광마스크 본체(110)가 보관된 집주소를 등록하면 된다.
또한, 피부진단모듈(210)은 스마트폰(200)에 저장된 음악을 광마스크 본체(110)의 스피커(17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도 지원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한편, 피부관리 프로세서는 노폐물제거 기능을 하기 위한 모드와,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모드,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기 위한 맛사지 기능을 하는 모드 및 주름살제거와 같이 피부의 탄력성을 활성화시키는 모드 등을 피부진단, 자외선세기 및 습도에 따라 자극 세기 및 지속시간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조작부(171)로부터 피부케어실행 모드가 선택되면,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 즉, 자외선센서(161), 습도센서(162) 및 생체전기 임피던스 센스(163)에서 측정된 정보를 단말 통신부(181)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적용된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와는 다르게, 피부케어실행모드의 설정은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피부진단모듈(210)의 구동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81)는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피부상태 정보 및 환경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피부의 진단 및 피부케어 프로세서에 대한 결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도록 구축되어 있어 관리 및 피부 케어 기능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하면서도 광마스크 본체의 구조는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광마스크 본체 120: 갈바닉 이온 발생부
140: 진동발생부 150: 광조사부
160: 센서부 181: 단말통신부
185: 가동제어부 200: 스마트폰
210: 피부진단모듈

Claims (6)

  1. 인체의 안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안면부분이 삽입되는 개방구를 갖으며, 착용자의 안면에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광조사부와,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무선 가동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동제어부가 마련된 광마스크 본체와;
    상기 광마스크 본체와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피부케어 설정모드에 대응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피부진단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피부상태를 측정하는 피부상태 측정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사용자의 피부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된 갈바닉 이온 발생부와;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인가하도록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마련된 진동발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수동케어모드와 자동케어모드의 선택을 지원하며,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피부상태 정보를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되게 처리하고, 상기 광마스크 본체로부터 수신된 피부상태 정보에 대응한 패턴의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따라 상기 갈바닉 이온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광조사부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 가동설정정보를 상기 광마스크 본체에 전송되게 처리하고,
    상기 광마스크본체는 상기 가동설정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갈바닉 이온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 및 상기 광조사부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선택되면, 자외선 지수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서버로부터 자외선지수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외선지수를 반영하여 피부관리 프로세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외선 지수를 측정하는 자외선 센서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진단모듈은 상기 자동케어모드가 설정되면, 결정된 피부관리 프로세서에 대응한 피부케어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광마스크본체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KR1020160080527A 2016-06-28 2016-06-28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KR10181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27A KR101816827B1 (ko) 2016-06-28 2016-06-28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27A KR101816827B1 (ko) 2016-06-28 2016-06-28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40A true KR20180001740A (ko) 2018-01-05
KR101816827B1 KR101816827B1 (ko) 2018-01-11

Family

ID=6100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27A KR101816827B1 (ko) 2016-06-28 2016-06-28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8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186A (zh) * 2019-01-14 2019-04-26 太极石股份有限公司 一种太极石纤维智能面膜
WO2019182236A1 (ko) * 2018-03-21 2019-09-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 포토닉스 장치, 및 그 이용을 통한 욕창의 치료방법
KR20190111432A (ko) * 2018-03-22 2019-10-02 이해명 브이알 피부미용마스크를 가진 산소챔버 겸용 안마의자
KR102071177B1 (ko) * 2019-05-14 2020-01-29 김동근 피부관리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20200134168A (ko) * 2019-05-21 2020-12-01 (주)휴마코스 마시지 기능이 있는 마스크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WO2021025315A1 (ko) * 2019-08-02 2021-02-11 조이웰 주식회사 폴더블 led 산소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33B1 (ko) * 2018-12-10 2019-05-09 엘앤메디텍(주) 손가락 마사지 장치
KR20210049396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마스크형 피부 미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0770B1 (ko) * 2019-12-27 2020-11-19 주식회사 이노파트너스 맞춤형 안면 피부 케어를 위한 접촉식 올인원 피부미용기기
KR20210099476A (ko) 2020-02-04 2021-08-12 오경진 착용자 안면밀착형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82B1 (ko) * 2010-10-29 2011-10-19 (주) 로우티에스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36A1 (ko) * 2018-03-21 2019-09-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 포토닉스 장치, 및 그 이용을 통한 욕창의 치료방법
KR102001512B1 (ko) * 2018-03-21 2019-10-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 포토닉스 장치
KR20190111432A (ko) * 2018-03-22 2019-10-02 이해명 브이알 피부미용마스크를 가진 산소챔버 겸용 안마의자
CN109675186A (zh) * 2019-01-14 2019-04-26 太极石股份有限公司 一种太极石纤维智能面膜
KR102071177B1 (ko) * 2019-05-14 2020-01-29 김동근 피부관리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71178B1 (ko) *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KR20200134168A (ko) * 2019-05-21 2020-12-01 (주)휴마코스 마시지 기능이 있는 마스크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WO2021025315A1 (ko) * 2019-08-02 2021-02-11 조이웰 주식회사 폴더블 led 산소 마스크
KR20210016213A (ko) * 2019-08-02 2021-02-15 조이웰 주식회사 폴더블 led 산소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827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827B1 (ko) 피부미용 광마스크 장치
KR101074882B1 (ko)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101754840B1 (ko)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광 치료 기능을 포함한 이명치료기 장치
KR101450762B1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방법
KR101892816B1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그를 이용한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7485364A (zh) 用于对生物医疗装置进行无线充电的方法和器械
KR20220043223A (ko)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물과 그 보관 장치
CN105407824A (zh) 皮肤治疗装置的基于位移的控制
KR102137865B1 (ko) 휴대용 다기능 피부 미용 치료기
CN111417919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KR102285201B1 (ko) 약품용액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JP2009039503A (ja) 美容マッサージ機器
JP3661645B2 (ja) 生体光計測装置を用いた意思誘導装置、生体光計測装置を用いた入出力装置、生体光計測装置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生体光計測装置の制御方法
CN115591131A (zh) 一种近视防控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44621B1 (ko) 마시지 기능이 있는 마스크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1086196B1 (ko) 칼라 발 반사요법 기기
KR102116334B1 (ko)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101845869B1 (ko) 광 테라피 글래스 및 광 테라피 글래스의 미용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KR20210035710A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마스크
KR20190103535A (ko) 분리형 카트리지를 구비한 피부미용 치료기
JP6862947B2 (ja) 情報処理装置、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70929B1 (ko)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96354B1 (ko) 다기능 피부마사지기
KR20190099370A (ko) 다기능 피부미용 치료기
KR20190070477A (ko) 안면 피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