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90U -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 Google Patents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90U
KR20180001490U KR2020160006557U KR20160006557U KR20180001490U KR 20180001490 U KR20180001490 U KR 20180001490U KR 2020160006557 U KR2020160006557 U KR 2020160006557U KR 20160006557 U KR20160006557 U KR 20160006557U KR 20180001490 U KR20180001490 U KR 201800014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ehive
plate
outs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7695Y1 (en
Inventor
기웅도
Original Assignee
기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웅도 filed Critical 기웅도
Priority to KR2020160006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95Y1/en
Publication of KR20180001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9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봉용 가온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져 소초광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본체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판;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판의 내외측 사이의 열 출입을 차단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열차단 단열재; 상기 열차단 단열재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벌통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발열시 전자파가 발생되어 외판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히팅부재의 내측면 전체를 밀폐 또는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재;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판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열차단 단열재와 히팅부재 및 전자파 차단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외판과 동일한 크기 및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일정 두께의 내판; 상기 내판과 외판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내판 및 외판의 외측면 및 본체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는 방수부재;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벌통 내부 삽입시 벌통의 상단 테두리부에 걸려 바닥면과 수직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 지지하는 좌우 거치부; 상기 본체의 내외측면에 스며든 수분이나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본체를 감싸는 방수부재에 구비된 복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m plate for beeping, more particularly to an outer plate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a main body made of wood and having a siz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a size of a siblings.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sheath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block heat input and outpu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side sheathing; A hea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generating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outside the beehiv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for sealing or blocking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member so as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heating member from being em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plat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integrally joined to the out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is made of the same size and material as the outer sheathing so as to firmly bo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 inn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waterproof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and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plates are integrally joined; A left and right mounting unit configured to b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an out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held by the upper edge of the beeper when inserting the beeper, And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provided in a waterproof member surrounding the main body so that water or water permeating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main body can be escaped.

Description

양봉용 가온판{Heating device for beekeeping}{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본 고안은 양봉용 가온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씨가 추운 동절기에 벌통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온도로 발열되어 벌통 내부에서 꿀벌들의 활동과 봉구형성에 적합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양봉용 가온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ming plate for beekee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e warming plate for beekeep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a beehive in cold winter, and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plate for beekeeping.

양봉에 있어서 동절기에 꿀벌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How to manage bees in winter is very important in beekeeping.

즉, 꿀벌들은 동절기에 겨울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벌통 안에서 봉구를 형성하여 계속 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벌통 관리를 소홀하게 할 경우 월동 중에 애써 기른 꿀벌들을 모두 잃어버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In other words, bees do not hibernate in winter, but they continue to form a bee in the beehive. When the beehive management is neglected at this time, it is often the case that all the bees that have worked during winter are lost.

꿀벌은 주위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화하는 변온동물로 바깥온도가 낮아지면 봉구를 형성하고 날개짓을 통해 열을 발생, 봉구의 활동을 조절하면서 추운 동절기에도 살아남을 수 있으나, 추운 겨울철을 지내면서 봉구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많은 체력이 소모되고 이로 인해 각종 질병에 취약하게 됨으로써 생명을 잃은 경우가 있다.A bee is a thermophilic animal whose body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it forms a bong, generates heat through the wing, controls the activity of the bong, and can survive the cold winter season.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 lot of physical energy is consumed and it is vulnerable to various diseases, so that life is lost.

일반적으로 바깥온도가 영상 7℃ 인 경우 벌통안 및 벌통 내부의 봉구 주위의 온도는 10℃, 봉구표면은 15~17℃정도, 봉구 내부는 20℃ 이상을 유지하고, 봉구 중심부는 32℃ 이상의 온도를 유지한다.In general,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7 ° C, the temperature around the seal inside the beehive and the beehive is 10 ° C, the seal surface is about 15 to 17 ° C, the seal is kept at 20 ° C or more, Lt; / RTI >

또한, 동절기 바깥온도가 내려가면 봉구는 더욱 밀집되게 되는데, 바깥온도가 영하 13℃인 경우 봉구 주위는 영하 6~7℃ 정도이나 봉구 표면은 영상 6~7℃, 봉구 내부는 15~17℃ 정도를 유지하며, 봉구 중심부는 32℃ 이상을 유지한다.If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winter season is lower, the seal becomes more dense. If the outside temperature is -13 ℃, the seal is around 6 ~ 7 ℃, but the seal surface is 6 ~ 7 ℃ and the seal is 15 ~ And the center of the punch is maintained at 32 ° C or more.

또한, 꿀벌들의 경우 봉구 중심부 온도가 영상 32~35℃ 일때 산란이 가장 활발하여 왕성한 번식활동을 하게 되어 강군으로 육성하는데 유리하다.In the case of honey be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enter of the pike is 32 ~ 35 ℃, the spawning is most active and it is vigorous to cultivate the strong group because of the vigorous breeding activity.

따라서, 월동시에 벌통안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꿀벌들의 활동을 최소화하여 건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벌통 내부로 눈이나 비가 들어올 경우 벌통안의 습도가 높아져 과습으로 인해 폐사하거나 각종 병해충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벌통 내부의 환경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beehive at the same time so as to minimize the activity of the bees and maintain the healthy state. When the rain or snow enters the beehive, the humidity in the beehives increas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environment inside the beehive.

이와 같이, 꿀벌은 외부 기상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월동하는 기간동안 강한 봉군 상태가 유지되어야 이듬해 봄철 유밀기에 강한 봉군이 형성되어 많은 꿀을 딸 수 있게 된다.Thus, the be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ternal weather environment, and a strong swelling condition should be maintained during the winter season, so that a strong swarm is formed in the spring of the next spring, so that many honey can be harvested.

따라서, 양봉 농가에는 겨울철이 다가오면 꿀벌들의 안전한 월동을 위해 다양한 보온장치를 마련한다.Therefore, when the winter is approaching the beekeeping farmhouse, various warming devices are provided for the safe wintering of bees.

즉, 벌통 내부의 봉구온도를 산란과 육아에 적합한 동태온도를 유지해서 봄철 유밀기에 맞춰 강군을 양성하기 위해 벌통 바닥에 보일러를 설치하거나 벌통 내외부에 다양한 가온장치를 설치하여 벌통 내부의 적정온도 유지로 꿀벌의 체력소모를 줄이면서 생식능력 증강을 통해 개체수 증가에 따른 강군을 육성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to maintain the dynamic temperature suitable for spawning and child-rearing in the beehiv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boiler on the beehive bottom or to se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inside the beehive to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in the beehive.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bees and increase their fertility, so that they can cultivate a stronger army as the population increases.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가온장치를 살펴보면, 벌통 바닥에 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보일러의 가동에 따른 경비소요가 많으며, 벌통 내부를 적정 온도로 맞추는데 어려움이 많았다.When the boil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eehive, it takes a lot of cost to install the beehiv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nside of the beehive to the proper temperature.

또한, 벌통 내부에 열 전구를 설치하거나 격리판에 열선을 설치하여 벌통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온도와 전자파에 민감한 꿀벌들에게 성장과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heat bulb is installed inside a beehive or a heat line is installed on a separator to keep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beehive properly. However, this method also has a problem that growth and activity are degraded to bee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ctromagnetic waves .

또한, 벌통 바닥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덮개에 열선을 부착하여 외부로부터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 방법은 열손실이 너무 많고 벌통 내부의 온도 조절이 어려우며,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In addition, a method of transferring heat from the outside by attaching a hot wire to the bottom of the beehive or attaching a hot wire to the cover was applied. However, this method has too much heat loss,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ehive, and a risk of fire.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과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1581307호로 ‘벌통용 가온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inconvenienc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Patent No. 10-1581307 discloses a beeharden heating apparatus.

상기‘벌통용 가온장치’는 벌통의 배후에 설치되는 벌통용 가온장치로, 벌통을 향하는 선단부에 가이드 판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측면 고정판이 구비되며, 후위에는 후방 고정판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기립 되게 배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호스 거치대가 다단으로 배치된 호스 지지대와; 상기 각 호스 거치대에 안착 지지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열선과, 상기 호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부동액으로 이루어진 가온부재와, 상기 가온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에 전기를 공급하고, 전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박스; 및 상기 가이드 판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판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벌통과 가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주는 간격 조절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The 'honeycomb heating apparatus' is a honeycomb heating apparatus installed at the rear of a beehold. The 'beeharden heating apparatus' comprises a fixing member having a guide plate at a front end thereof facing the honeycomb, a side fixing plate at both sides thereof, and a rear fixing plate at the rear thereof; A hose support disposed vertically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hose cradles arranged in a height direction; A hose having a shape bent in a multi-step manner so as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each of the hose cradles, a heating member built in the hose, an antifreezing agent filled in the hose, and a heating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ting member A control box installed to be abl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heating wire and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And a gap adjuster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insert the guide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plate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beehive and the warming member.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벌통용 가온장치는 구조와 구성이 복잡하고,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벌통의 갯수에 따라 그 설비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oneycomb heating apparatus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a disadvantage of being fixedly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honeycomb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volum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ehives.

- 특허등록 제10-1581307호(등록일: 2015. 12.23, 발명의 명칭: 벌통용 가온장치)- Patent Registration No. 10-1581307 (Registered on May 12, 2015, title of invention: Heating device for beeharden) - 등록실용신안 제20-305923호(등록일: 2003.02.17, 고안의 명칭: 벌통 전열판)-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305923 (Registered Date: Feb. 17, 2003, name of design: beehive heat plate) - 특허공개 제10-2012-31324호(공개일: 2012.04.03, 발명의 명칭: 봄 벌의 사육장치 및 방법)- Patent Publication No. 10-2012-31324 (Publication date: 2012.04.03, title of invention: Breeding device and method of spring bees)

본 고안은 종래의 양봉용 가온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 및 구성이 간단하면서 벌통의 측면이나 바닥 어느 곳에나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고, 벌통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는 양봉용 가온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beekeeping warm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beekeeping warming apparatu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고안은 전기 이용시 발생되는 전자파의 위험을 줄이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누전의 위험성을 줄이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가온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plate for beekeeping which can reduce the risk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when electricity is used and prevent moisture infiltratio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while reducing the risk of electric leak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목재로 이루어져 소초광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본체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일정 두께의 외판;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판의 내외측 사이의 열 출입을 차단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열차단 단열재; 상기 열차단 단열재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벌통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발열시 전자파가 발생되어 외판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히팅부재의 내측면 전체를 밀폐 또는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재;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판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열차단 단열재와 히팅부재 및 전자파 차단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외판과 동일한 크기 및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일정 두께의 내판; 상기 내판과 외판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내판 및 외판의 외측면 및 본체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는 방수부재; 벌통 내부에서 본체가 수직 설치되는 경우 벌통 내부 양쪽에 본체가 걸쳐지도록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 구비되는 좌우 거치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wood and has a siz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cepter, and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main body;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sheath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block heat input and outpu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side sheathing; A hea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generating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outside the beehiv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for sealing or blocking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member so as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heating member from being em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plat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integrally joined to the out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is made of the same size and material as the outer sheathing so as to firmly bo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 inn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waterproof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and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plates are integrally joined; And a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eehive when the main body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eehive.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를 감싸는 방수부재에는 내판과 외판의 외측면 또는 본체의 테두리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anel or the rim of the main body so as to communicate air.

또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좌우 거치부는 상하 회동 또는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벌통 내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본체의 내측으로 접철 또는 이동 가능한 가변구조로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ay be vertically pivotable or slidable left and right so as to have a variable structur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main body or being folded or moved inwardly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inside the beehive.

또한, 상기 좌우 거치부는 회동구조 또는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의 양 측변에 밀착되거나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 본체의 외부로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ㄷ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have a C-shaped cross-section so as to have a pivoting structure or a sliding structure and com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main body or at leas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moves inward.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소초광과 동일한 크기 또는 유사한 크기로 구성되어 벌통의 사양기 일측에 수직 설치되거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 구비된 거치부를 접어서 벌통의 내부 바닥에 위치시켜 외부 기온이 영하를 유지하는 동절기에 꿀벌이 월동을 나는데 벌통 내부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and structure is constructed to have the same size or similar size as the sod-like light, and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ecification base of the beehive, or folded on both sides of the long- In winter,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drops below freezing, the bees will be able to keep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beehive properly.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는 히팅부재의 일측면, 즉 소초광을 향하는 일 측면에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가온시 전자파로 인한 꿀벌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heat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capabl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n one side of a heating member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supplying electric power, that is, Do not cause damage.

또한, 가온판의 외측면에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커버가 감싸여진 구조로 이루어져 사양기에 물이나 설탕물을 공급할 때나 외부에서 빗물등이 침투할 경우 전기장치가 구비된 가온판 내부로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누전 등에 의한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rm plate is covered with a waterproof cover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When water or sugar water is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machine or rain water penetrates from the outside,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heating plate provided with the electric device To prevent electrical safety accidents caused by electric leakage or the occurrence of fire.

또한, 본 고안은 가온판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 접철 가능한 거치부가 구비되어 거치부를 펼칠 경우 사양기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시켜 사용 가능하고, 소초광의 갯수가 많아 수직 설치가 어려운 경우 양측 거치부를 접거나 본체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본체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환경이나 꿀벌의 개체군에 따라 벌통 내부에서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vertically positioning one side of the specifier when the mounting part is provided with a foldable mounting part at one en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eating plate. If the number of the soot lights is large and vertical installation is difficult, Or by sliding i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main body. Thus, it is possible to various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the population of be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의 결합된 상태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벌통 내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온판을 수직 설치하는 조립 상태도이고,
도 6은 벌통의 내측 바닥에 본 고안에 따른 가온판이 설치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heat insulat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bonded state of 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state view of a bean bar vertically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of use in which a hea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beehive.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벌통 내부에 수직 또는 내부 바닥에 수평 설치되어 벌통 외부에 구비된 자동전원공급장치 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벌통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소초광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is install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inner bottom of the beehive to supply power from the automatic power supply unit provided outside the beehive, so that the beehive can be properly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s of the same or similar size to the size of the soot light.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길이방향의 일측 좌우 양단에 접철 가능한 구조 또는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의 거치부를 두어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부를 펼치거나 접철시켜 벌통 내부의 필요한 위치에 알맞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can be fold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can be installed at a necessary position in the beehive by expanding or folding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

또한, 본 고안은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이 이루어지는 히팅부재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소초광에 기거하는 꿀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소초광을 향하는 일측면에 전자파 차단부재가 부착되어 꿀벌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harmful bees from harming the health of bees by attach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to one side of the sochy light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heating member, .

또한, 본 고안은 본체의 내·외측면에 수밀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부재가 씌워져 전열장치가 구비된 히팅부재 측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이나 합선 등 전기적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proof member for preventing penetration of watertightness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heating member provided with the heat transfer device, thereby preventing occurrence of electric danger such as short circuit or short circuit And the like.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warming plate for bee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내측, 외측의 방향성 용어는 가온판에서 발열이 이루어져 열이 방출되는 방향을 내측으로 설명하고, 가온판에서 발열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향을 외측으로 설명하며, 또한 좌우, 상하 , 위·아래 및 전후 방향표시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되는 것으로, 그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달리 표현될 수도 있다.Inside and outside directional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heat is generated by the heating plat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 is emitted is described in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plate is block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is described outside And left and right, up and down,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directions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located.

따라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Accordingly, the directional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의 구성을 분리한 분리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의 결합된 상태의 일측 수직 절단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arming plate 100 for b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beeping warm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eeping warm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은 벌통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초광 또는 사양기와 크기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본체(90)가 구성되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재형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warming plate 100 for b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90 having the same or similar size as a sieve-like light or specifier installed vertically in a beehive, Shaped plat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즉, 본체(90)의 전체적인 형상이 하나의 판재형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밀착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이며, 길이방향의 일측 양쪽 상단에는 본채(9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가능한 구조의 거치부(70,71)가 각각 형성된다.2, the main body 90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nd the main body 90 is fixed to both upper ends of the body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of a structure capable of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체(90)에 형성된 상기 거치부(70,71)는 벌통 내부에 수직 설치될 경우 벌통의 내측 상단에 양쪽 거치부(70,71)가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종래의 소초광이나 사양기의 구조와 동일하다.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formed in the main body 90 are provided to allow both mounting portions 70 and 71 to be extend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beehive when the beehive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beehive. I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light and specification machine.

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은 상기 거치부(70,71)의 일 측단이 본체(9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구(72)로 고정되고 그 자유단인 타단 측이 아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However, in the warming plate 100 for beep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is fixed to the main body 90 by a fixing member 72 so as to be rotatable, And is rotatable in the downward direction.

즉, 상기 가온판(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부(70,71)가 고정구(72)로 고정된 부위를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철될 수 있게 되어 벌통 내부에서 필요한 위치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eating plate 100,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can be opened or folded based on a portion fixed by the fixing member 72, And the lik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은 외부에서 본체(90)의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이 이루어져 열을 방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본체(9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35)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선(35)에는 벌통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전원자동공급장치(도시안됨)와 연결되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beeping warm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90 to generate heat and heat is emitted. The power supply line 35 is connected to a separate automatic power supply unit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beeper and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do.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의 본체(90) 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tructure of the body 90 of the warming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즉, 상기 본체(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가 그 두께 방향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판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최외측에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소초광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일정 두께의 외판(10)이 구비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9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in a thickness direction thereof to form a single plate. The main body 90 is made of wood at the outermost side and has a size The thickness of the outer sheath 10 is adjusted.

그리고, 상기 외판(10)의 내측면, 즉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서 그 전면에는 외판(10)을 통해 이루어지는 열 출입을 차단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진 열차단 단열재(20)가 설치되며, 상기 열차단 단열재(20)는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섬유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heat insulating material 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sheathing 10, that is, in the direction shown in the figure, so as to block heat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outside sheathing 10,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0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 synthetic fiber, or the like.

또한, 상기 열차단 단열재(20)의 내측, 즉 그 전면으로는 벌통의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히팅부재(30)의 일측에는 벌통 외부로 인출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자동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공급선(35)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A heating member 30 for generat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eehiv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20, And a power supply line 35 connected to an automatic power supply unit that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beehive to supply power.

상기 히팅부재(30)는 난방필름과 같은 면상 발열체 또는 열선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코일방식, 가열된 온수가 호스로 공급되는 온수공급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급적 전자파 발생이 적은 방열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member 30 may be constituted by a surface heating element such as a heating film or a coil system in which heat ray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hot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heated hot water is supplied through a hose, and the like. .

그리고, 상기 히팅부재(30)의 내측면에는 히팅부재(30)의 발열시 전자파가 발생되어 그 전면(외판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전자파 차단부재(40)가 구비된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4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member 30 to prevent electromagnetic waves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heating member 30 generates heat and to prevent the electromagnetic wave from being emit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ing member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40)는 금속재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중량의 증가와 가격의 상승, 시공의 어려움 등을 감안하여 전자파 차단물질이 포함된 합성섬유제품인 차폐재를 이용하여 중량이 가볍고 시공이 용이하며 금속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owever, considering the increase in weight, increase in price, difficulty in construction, etc., the shielding material, which is a synthetic fiber product contain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ice is set at a lower price.

또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40)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판(10)의 내측면으로 순서대로 적층되는 열차단 단열재(20)와 히팅부재(30) 및 전자파 차단부재(40)의 상호간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판(10)과 동일한 크기 및 재질로 구성되는 일정 두께의 내판(5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eat shielding material 20 lamin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sheathing 10 and the heating member 30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40 are firm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40 And an inner plate 50 of the same size and material as those of the outer sheath 10 is coupled to the inner sheath 50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이와 같이, 최외측 외판(10)의 내측면으로 열차단 단열재(20), 히팅부재(30), 전자파 차단부재(40) 및 내판(50)이 순서대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판(10)과 내판(50)의 외측면을 방수부재(60)가 감싸도록 구성되어, 외판(10)과 내판(50)을 통해 또는 외판(10)과 내판(50) 사이로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eat shielding material 20, the heating member 30,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40 and the inner plate 50 are join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most outside sheathing 10 in this order, The waterproof member 60 is configured so as to enclose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anel 10 and the inner panel 50 so that moistur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panel 10 and the inner panel 50 or between the outer panel 10 and the inner panel 50 .

이와 더불어 상기 방수부재(60)는 내판(50)과 외판(10)의 각 외측면 뿐만 아니라 내판과 외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방수부재(60)가 감싸는 육면(六面) 중 어느 한 면 이상에는 복수개의 통기공(65)이 관통 형성되어 목재로 이루어진 내판과 외판에 스며든 수분이나 내판(50)과 외판(10) 사이로 스며든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배출공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proofing member 60 is configured to enclose not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nel 50 and the outer panel 10 but also the rim formed by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A plurality of vent holes 65 ar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ix surfaces so that water permeated between the inner plate made of wood and the outer plate and the moisture permeated between the inner plate 50 and the outer plate 1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serve as a vent hole.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수부재(60)가 외판(10)의 외측면과 내판(50)의 내측면에만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외판(10)과 내판(5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90)의 사방 테두리부를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어 벌통 내부에 수직 설치시에 상부측에서 빗물 또는 사양액이 본체(90)의 상단 테두리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waterproof member 60 is provid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ath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heath 50. However, the outer sheath 10 and the inner sheath 50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rainwater or the specimen from flowing into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90 from the upper side when vertically installed inside the beehold, .

이와 더불어, 상기 외판(10), 열차단 단열재(20), 히팅부재(30), 전자파 차단부재(40) 및 내판(50)이 일체로 결합된 장방형의 본체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는 상기 본체(90)를 벌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할 때 벌통의 내부 상단 테두리부에 본체(90)가 걸릴 수 있도록 좌우 거치부(70,71)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of which the outer plate 10, the heat insulating member 20, the heating member 30,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40 and the inner plate 50 are integrally joined, 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70 and 71 ar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dge of the beehive so that the main body 90 can be caught by the beehive when the beehive is vertically installed inside the beehiv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70,71)는 상기 본체(90)의 좌우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되, 그 일단이 본체(90)의 상단 테두리부를 일정 길이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90)에 고정구(72)로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90)의 상단부와 수평상태로 펼쳐지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고정구(72)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위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어 본체(90)의 길이방향 양 측변에 밀착되도록 접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ar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at both ends of the body 9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70 and 71 surround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90 And is configured to be opened horizont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90 while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90 with the fixing tool 72. The other end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ortion fixed by the fixing tool 72 And is foldabl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main body 90.

특히, 상기 거치부(70,71)는 고정구(72)에 의해 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본체(90)의 좌우 양 측변에 밀착시 본체(90)의 테두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최소한으로 돌출되어 본체의 길이 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ㄷ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동 후 본체(90)의 양 측변에 상기 거치부(70,71)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are pivoted on the basis of a fixed point by the fixing member 72 and protrude at least outward from the rim of the main body 90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90 Shaped cross-section so as to reduce the length or volum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can be fit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90 after the rota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은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초광이나 사양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양기의 일측에서 본체의 양쪽에 구비된 거치부(70,71)를 펼쳐서 벌통의 내부 양단에 걸쳐져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벌통의 내부에 소초광의 갯수가 많거나 꿀벌의 개체수가 증가되어 공간확보가 필요한 경우 벌통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벌통의 바닥면에 설치해서 사용할 경우 본체(90)의 양단에 구비된 거치부(70,71)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그 설치가 편리하도록 구성된다.The beeping warm plat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eads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from one side of the specification machine in the same manner as the sowing light or the specification machine provided inside the beehive, Or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ehive when the number of the beehives is increased or the number of bees is increased and the space is secured.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90 are folded to minimize the volume, so that the mounting is easy.

즉, 상기 거치부(70,71)는 벌통 내부에서 가온판(1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 가능한 접철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벌통의 구조나 크기 및 꿀벌의 개체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ar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beehive and the number of bees by providing a folding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or collap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eating plate 100 is installed in the beehive. .

한편, 도 3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의 결합 상태에 따른 수직절단 단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vertically sectioned state of the beeping warm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은 복수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열차단 단열재(20), 히팅부재(30), 전자파 차단부재(40)가 순서대로 위치되어 외판(10)과 내판(50)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되고, 그 외측면에는 복수의 통기공(65)이 형성된 방수부재(60)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된다.3, the beeping warm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heat insulating members 20, a heating member 30,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40 in this order, 10 and the inner plate 50 and a waterproofing member 60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65 formed therein is enclosed on the outer side thereof.

그리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술한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본체(90)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 구비되는 거치부(70,71)의 구조가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4 shows a warming plate 100 for beep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 embodiment is that the mounting portions 70, 70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body 9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71 have different structures.

즉,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거치부(70,71)의 구조가 고정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에 반해서,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부(70,71)가 본체(90)의 상단에 추가로 결합되는 방수패널(74)의 양단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9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본체(90)의 내측 방향으로 후퇴되어 거치부(70,71)의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차이점이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ther e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one end fixed t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In 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mounting portions 70, 71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body 90 or are retra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90 so as to be slidable laterally from both ends of the waterproof panel 7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90, (70, 71) can be drawn out.

상기 본체(90)의 상단에 결합되는 방수패널(74)은

Figure utm00001
형 또는 ∩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내판(50)과 외판(10)의 상단 테두리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벌통의 내부에 수직 설치시에 상부에서 낙하되는 빗물 등이 본체(9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그 좌우 양단 전·후면에는 소정의 걸림돌기 또는 레일 형상의 가이드부(73)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73)에 거치부(70,71)가 끼움 결합되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proof panel (7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90)
Figure utm00001
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inner panel 50 and the outer panel 10 so that rainwater or the like falling dow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ehive pipe 90 when vertically installed therein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90 And a guide portion 73 having a predetermined locking projection or a rail shape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guide portion 73.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are fitted to the guide portion 73, It can be made possible.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온판의 거치부(70,71) 역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벌통 내부에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9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가온판의 설치가 편리하도록 한다.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of the heating plate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li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main body 90 according to the positions provided inside the beehive, .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온판(100)이 벌통(20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벌통(200)의 내부 바닥에 수평상태로 상기 가온판(100)이 설치된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5 shows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heating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eehive 200. In FIG. 6, And the heating plate 100 is installed.

본 고안에 따른 가온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소초광(150) 및 사양기(80)가 구비된 벌통(200)의 내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사양기(80)의 외측에서 본체(90)의 일측에 구비된 거치부(70,71)가 펼쳐진 상태로 벌통(20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본체(90)의 히팅부재(3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35)은 벌통(200) 외부로 인출되어 전원자동공급장치(도시안됨)와 연결되어 상기 히팅부재(3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열로 인한 가온상태가 유지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a beehive 2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heating lights 150 and a specifier 80, The power supply line 35 connected to the heating member 30 of the main body 90 is inserted into the beehiv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s 70 and 7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eehive 90 are extended, 200 to be connected to an automatic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o that the heating member 30 is supplied with power so that the heating state due to heat generation is maintained.

벌통(200)의 내부에 수직 설치시에 본체(90)의 내측면, 즉 상기 내판(50)이 사양기(80)를 향하도록 삽입되며, 본체(90)의 중앙부에 구비된 히팅부재에서 발열된 열은 전자파 차단부재에 의해 전자파는 차단되고 발열된 열만 내판을 거쳐 벌통 내부로 열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90, that is, the inner side plate 50 is inserted so as to face the specification device 80 when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eehive 200, and the heating member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90 generates heat The electromagnetic wave is block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eehive through the inner plate only by the heat generat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200)의 내부에 소초광(150)이 다수 설치되어 가온판(100)을 수직으로 설치가 어려운 경우, 본체의 양단에 구비된 거치부를 접은 상태에서 소초광(150)의 하단부인 벌통 내부 바닥판 상면에 위치시켜 사용 가능하며, 이때 내판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6, in a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incineration lights 150 are installed in the beehive 200 and it is difficult to vertically install the heating plate 100, the mount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ezel 200 are folded It can be u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plate of the beehive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soot light 150. In this case, the inner plate may be installed so as to face upward.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봉용 가온판은 꿀벌들의 월동을 위해 벌통의 내부에 수직 또는 내부 바닥판 상면에 수평 설치되어 벌통 내부를 설정된 온도에 따라 꿀벌의 생육과 번식에 적합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꿀벌의 폐사를 방지하고, 건강한 강군을 유지시켜 봄철 채밀기에 개체수 증대를 통해 벌꿀 수확이 용이하도록 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 warm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or inner bottom plate of the beehive for the wintering of bees, so that the beehive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growth and propagation of bees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And to maintain a healthy stronghold, so that honey can be harvested easi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spring harvest season.

한편, 상기 가온판의 발열온도는 벌통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온도센서(도시안됨)에 의해 실시간 감지된 온도가 온도자동조절장치로 전달되어 설정된 온도 이하일 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온도자동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온도자동조절장치의 구성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separately installed in the beehive is delivered to the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the temperature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performed by using a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device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n be easily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known technique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10 : 외판 20 : 열차단 단열재
30 : 히팅부재 35 : 전원공급선
40 : 전자파 차단부재 50 : 내판
60 : 방수부재 65 : 통기공
70,71 : 거치부 73 : 가이드부
74 : 방수패널 80 : 사양기
90 : 본체 100 : 가온판
150 : 소초광 200 : 벌통
10: Shell plate 20: Thermal insulation material
30: Heating member 35: Power supply line
40: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50: inner plate
60: Waterproof member 65: Ventilation hole
70, 71: mounting portion 73: guide portion
74: Waterproof panel 80: Specification machine
90: Body 100: Heating plate
150: Socho light 200: Beehive

Claims (4)

목재로 이루어져 소초광과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본체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일정 두께의 외판;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판의 내외측 사이의 열 출입을 차단하도록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열차단 단열재;
상기 열차단 단열재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벌통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재;
상기 히팅부재의 발열시 전자파가 발생되어 외판의 반대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히팅부재의 내측면 전체를 밀폐 또는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부재;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판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열차단 단열재와 히팅부재 및 전자파 차단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외판과 동일한 크기 및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일정 두께의 내판;
상기 내판과 외판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의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내판 및 외판의 외측면 및 본체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는 방수부재;
벌통 내부에서 본체가 수직 설치되는 경우 벌통 내부 양쪽에 본체가 걸쳐지도록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양단에 구비되는 좌우 거치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가온판.
An outer shell made of wood and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cept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main body;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sheath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block heat input and outpu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side sheathing;
A hea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and generating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outside the beehive;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for sealing or blocking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member so as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heating member from being emit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plat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integrally joined to the out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heat shielding material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is made of the same size and material as the outer sheathing so as to firmly bo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 inn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waterproof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and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plates are integrally joined;
And a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eehive when the main body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beeh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감싸는 방수부재에는 내판과 외판의 외측면 또는 본체의 테두리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가온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or a rim of the main body so that air can be communicated to the waterproof member surrounding the main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좌우 거치부는 상하 회동 또는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벌통 내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본체의 내측으로 접철 또는 이동 가능한 가변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가온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re vertically pivotable or can slide left and right and are formed in a variable structure that protrudes outwardly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inside the beehive, Bean cu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거치부는 회동구조 또는 슬라이딩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의 양 측변에 밀착되거나 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 본체의 외부로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ㄷ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가온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have a cantilevered cross section so as to have a pivoting structure or a sliding structure and com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main body or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when the main body moves inward.
KR2020160006557U 2016-11-10 2016-11-10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KR2004876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57U KR200487695Y1 (en) 2016-11-10 2016-11-10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57U KR200487695Y1 (en) 2016-11-10 2016-11-10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90U true KR20180001490U (en) 2018-05-18
KR200487695Y1 KR200487695Y1 (en) 2018-10-23

Family

ID=6229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57U KR200487695Y1 (en) 2016-11-10 2016-11-10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9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66Y1 (en) * 2019-01-22 2019-12-12 이위득 High-conductivity bee-warming pla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038Y1 (en) * 1986-09-12 1989-05-15 구교정 A beehive installed heater
US6475061B1 (en) * 2000-11-01 2002-11-05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ites in a beehive
KR200305923Y1 (en) 2002-12-12 2003-03-03 장봉환 bee heated
KR20120031324A (en) 2010-09-24 2012-04-03 현정원 Breeding system and method of honeybee in spring
CN104663511A (en) * 2015-02-04 2015-06-03 叶达华 Honeycomb partition with heating member and beehive
KR101581307B1 (en) 2014-05-09 2015-12-30 영광군 Heating apparatus for the hi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038Y1 (en) * 1986-09-12 1989-05-15 구교정 A beehive installed heater
US6475061B1 (en) * 2000-11-01 2002-11-05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ites in a beehive
KR200305923Y1 (en) 2002-12-12 2003-03-03 장봉환 bee heated
KR20120031324A (en) 2010-09-24 2012-04-03 현정원 Breeding system and method of honeybee in spring
KR101581307B1 (en) 2014-05-09 2015-12-30 영광군 Heating apparatus for the hive
CN104663511A (en) * 2015-02-04 2015-06-03 叶达华 Honeycomb partition with heating member and beehiv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특허공개공보 104663511(2015.06.0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66Y1 (en) * 2019-01-22 2019-12-12 이위득 High-conductivity bee-warm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95Y1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2408C (en) The method of a thermal treatment of bee colonies and a device for pursuance of this method
WO1996028018A1 (en) Solar-powered beehive cooler and ventilator
KR20170017504A (en) Beehive having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entrance
KR20210111540A (en) Pet house
KR200487695Y1 (en) Heating device for beekeeping
KR20200064475A (en) Auto cooling and heating IOT beehive system for smart farm
GB2465640A (en) Horse blanket provided with a fan
KR20120031324A (en) Breeding system and method of honeybee in spring
KR101597988B1 (en) Natural Convection type Underground Heating Unit and Agricultural Heating Apparatus
US81399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in a wet saw basin
KR200490320Y1 (en) Beekeeping box with built-in feeders of pollen and sugared water
KR200490666Y1 (en) High-conductivity bee-warming plate
KR101581307B1 (en) Heating apparatus for the hive
US20150137557A1 (en) Temperature-Controlled Personal Mobility Device Enclosure
JP3018150B2 (en) Thermostatic box for pollinating insects such as bumblebees
KR20220135709A (en) Heating device for vinyl house
ES1224080U (en) HABITACLE FOR BEE COLONIE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20130050630A (en) Seperating type rearing apparatus
US20140001171A1 (en) Heater for reptile breeding
KR200232451Y1 (en) The apparatus for keep warm with auto opening and closing of beehive
CN214853658U (en) Heat preservation type honeybee breeding box
KR200305923Y1 (en) bee heated
KR20120111140A (en) Bee keeping cover
US20230276774A1 (en) Beehive Solar Heater
KR102391936B1 (en) Beehives using flow path assembly based heated floor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