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66U - 중량 조절형 아령 - Google Patents

중량 조절형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66U
KR20180001466U KR2020180001823U KR20180001823U KR20180001466U KR 20180001466 U KR20180001466 U KR 20180001466U KR 2020180001823 U KR2020180001823 U KR 2020180001823U KR 20180001823 U KR20180001823 U KR 20180001823U KR 20180001466 U KR20180001466 U KR 20180001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hreaded portion
plate
h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41Y1 (ko
Inventor
최원진
서정헌
Original Assignee
최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진 filed Critical 최원진
Priority to KR2020180001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4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중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중공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위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일부 영역에는 제1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 상기 손잡이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이 형성된 중량체유닛; 및 상기 중량체유닛을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사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산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비나사산부가 마련된 체결봉을 가지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량 조절형 아령{WEIGHT ADJUSTABLE DUMBBELL}
본 고안은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중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바(bar) 형태의 손잡이부의 양단으로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지칭한다.
팔 운동을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근력에 맞는 적절한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 초기시에는 가벼운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다가 운동을 지속함에 따라 근력이 증가하면 점차로 높은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아령은 손잡이부와 양단의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운동 중량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해당되는 중량의 아령을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 이로 인해 비용 부담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근력의 증가에 따라 필요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량 조절형 아령은 중량체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중량체의 탈부착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중량체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3775호 (발명의 명칭 : 중량 조절형 아령, 2018. 04. 04.공개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중량체유닛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중공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위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일부 영역에는 제1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 상기 손잡이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이 형성된 중량체유닛; 및 상기 중량체유닛을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사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산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비나사산부가 마련된 체결봉을 가지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제1 나사산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비나사산부의 위치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나사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위치결정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비나산부와 상기 제1 나사산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의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체결봉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은, 중심부위에 제1 적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층홀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적층홀로부터 상하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중량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베이스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와, 상기 제1 나사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마련된 제1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은, 상기 제1 적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적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나사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3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나사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4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중량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3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4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4 나사부가 마련된 제2 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체결봉의 일측단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유닛이 상기 체결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과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위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는 추가 중량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봉이 결합된 부위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의 중공부가 결합되는 중공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외주면 중 상기 제2 비나사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위치결정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먼저 각 중량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각 중량플레이트가 결합된 중량체유닛을 체결봉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한 번에 결합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중량체유닛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체결봉에 제2 비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제2 비나사산부와 제1 나사산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중량체유닛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체결봉 및 체결홀의 일부만 나사부산부를 형성함에 따라 아령의 제조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각 위치결정홈부가 형성된 것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중량체유닛의 중량플레이트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유닛과 손잡이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유닛과 손잡이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의 (a)는 체결봉의 제2 비나사산부와 체결홀의 제1 나사산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체결봉을 회전시켜 제1 나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가 나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손잡이유닛(100)과, 중량체유닛(200), 및 체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유닛(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유닛(100)은 손잡이(110)와 베이스플레이트(120) 및 손잡이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110)의 외주면에는 파지요철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손잡이(110)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상기 손잡이유닛(100)이 상기 중량체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유닛(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상기 손잡이(110)의 양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위에는 상기 체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21)의 일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체결봉(31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나사산부(122)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비나사산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체결홀(121)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베이스 나사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나사홀(12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후술할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130)는 상기 손잡이(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손잡이(110)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 결합부(130)에 상기 손잡이(11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손잡이(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중량체유닛(200)은 상기 손잡이유닛(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중량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중량체 플레이트는 상기 손잡이유닛(10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아령 운동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 플레이트는 사용 조건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00)의 양측에 다른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량체유닛(200)은 제1 중량플레이트(210)와, 제1 나사(220)와, 제2 중량플레이트(230) 및 제2 나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홀수층으로 적층되는 중량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짝수층으로 적층되는 중량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는 중심부위에 제1 적층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층홀(211)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 나사홀(2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는 상기 제1 적층홀(211)로부터 상하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홀(2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나사홀(21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베이스 나사홀(124)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221)와, 상기 제1 나사부(221)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홀(212)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나사부(221)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 나사홀(124)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부(222)의 직경은 상기 제1 나사홀(21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나사부(221)의 직경이 상기 제2 나사부(2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는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는 상기 제1 적층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적층홀(2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홀(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나사홀(21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3 나사홀(2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는 상기 제2 나사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나사홀(21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4 나사홀(23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240)는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나사(240)는 상기 제2 나사홀(213)에 체결되는 제3 나사부(241)와, 상기 제2 나사부(222)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4 나사홀(233)에 체결되는 제4 나사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나사부(241)의 직경은 상기 제2 나사홀(213)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 나사부(242)의 직경은 상기 제4 나사홀(233)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나사부(241)의 직경이 상기 제4 나사부(2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량체유닛(200)의 상기 각 중량플레이트는 사각형 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각 모서리 부위에는 모따기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중량플레이트를 사각형 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에 의해, 사용자가 운동을 멈추고 아령을 바닥에 놓았을 경우, 아령이 굴러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유닛(300)은 상기 중량체유닛(200)을 상기 손잡이유닛(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300)은 체결봉(310)과 이탈방지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봉(310)은 상기 제1 적층홀(211) 및 상기 제2 적층홀(23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체결홀(1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봉(310)은 상기 제1 나사산부(122)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부(311)와, 상기 제2 나사산부(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220)산 폭만큼 형성된 제2 비나사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나사산부(312)의 폭은 상기 제1 나사산부(12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봉(31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나사산부(122)의 위치와 상기 제2 비나사산부(312)의 위치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봉(310)의 일단이 상기 체결홀(121)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봉(310)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나사산부(122)와 상기 제2 나사산부(31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는 상기 체결봉(310)의 일측단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유닛(200)이 상기 체결봉(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한다.
상기 손잡이유닛(1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나사부(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위치결정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체결봉(31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봉(310)에 형성된 제2 비나사산부(312)의 위치와 상기 체결홀(121)에 형성된 제1 나사산부(122)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만 상기 체경봉(310)을 상기 체결홀(121)에 바로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중량플레이트가 상기 체결홀(121)을 가리고 있어 상기 체결홀(121)상에서 상기 체결봉(310)을 여러 번 회전시켜야만 상기 제2 비나사산부(312)의 위치와 상기 제1 나사산부(122)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나사산부(122)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나사산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300)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의 외주면 중 상기 제2 비나사산부(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위치결정홈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봉(31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와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340)를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에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340)를 일직선상에 배치도도록 하여 상기 체결봉(31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호간을 더욱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추가 중량체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는 상기 중량체유닛(200)과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부위에 중공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유닛(300)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와 상기 체결봉(310)이 결합된 부위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의 중공부(410)가 결합되는 중공부 결합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유닛(300)의 중공부 결합부(330)에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의 중공부(41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체결유닛(300)에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는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가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는 운동을 필요로 할 때,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만을 가지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유닛(100)에 상기 중량체유닛(200)을 제외한 추가 중량플레이트(400)만 장착하여 운동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있어서, 중량체유닛(200)을 탈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사용자의 운동량에 적당한 개수의 중량플레이트를 선택한 다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적층시켜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먼저, 상기 중량체유닛(200)의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와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를 상기 제2 나사(240)를 통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의 중심부의에 형성된 제1 적층홀(211)과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제2 적층홀(23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적층홀(211)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형성된 제2 나사홀(213)에 상기 제2 나사(240)의 제3 나사부(241)를 체결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의 제2 적층홀(231)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형성된 제4 나사홀(233)에 상기 제2 나사(240)의 제4 나사부(242)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면,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230)가 결합된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를 제1 나사(220)를 통해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체결홀(1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상기 제1 적층홀(21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121)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상기 베이스 나사홀(124)에 상기 제1 나사(220)의 제1 나사부(221)를 각각 체결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의 제1 적층홀(211)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제1 나사홀(212)에 상기 제1 나사(220)의 제2 나사부(222)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21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유닛(300)에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중공부(410)를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중공부 결합부(330)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와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340)를 일직선상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31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에 형성된 체결홀(121)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140)와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340)를 일직선상에 배치시키면, 상기 제2 비나산부(312)와 상기 제1 나사산부(122)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310)의 일단이 상기 체결홀(121)에 삽입시킨 후에 상기 체결봉(310)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나사산부(122)와 상기 제2 나사산부(312)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유닛(100)에 각 중량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유닛(100)으로부터 상기 각 중량플레이트의 탈거방법은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손잡이유닛 110: 손잡이
111: 내부공간 120: 베이스플레이트
121: 체결홀 122: 제1 나사산부
123: 제1 비나산부 124: 베이스 나사홀
130: 손잡이 결합부 140: 제1 위치결정홈부
200: 중량체유닛 210: 제1 중량플레이트
211: 제1 적층홀 212: 제1 나사홀
213: 제2 나사홀 220: 제1 나사
221: 제1 나사부 222: 제2 나사부
230: 제2 중량플레이트 231: 제2 적층홀
232: 제3 나사홀 233: 제4 나사홀
240: 제2 나사 241: 제3 나사부
242: 제4 나사부 300: 체결유닛
310: 체결봉 311: 제2 나사산부
312: 제2 비나사산부 320: 이탈방지 플레이트
330: 중공부 결합부 340: 제2 위치결정홈부
400: 추가 중량플레이트 410: 중공부

Claims (6)

  1.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중공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결합되고 중심부위에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일부 영역에는 제1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제1 비나사산부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손잡이유닛;
    상기 손잡이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이 형성된 중량체유닛; 및
    상기 중량체유닛을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나사산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산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비나사산부가 마련된 체결봉을 가지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제1 나사산부의 위치와 상기 제2 비나사산부의 위치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나사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위치결정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비나산부와 상기 제1 나사산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의 일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체결봉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나사산부와 상기 제2 나사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은,
    중심부위에 제1 적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적층홀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적층홀로부터 상하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나사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중량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베이스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와, 상기 제1 나사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가 마련된 제1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은,
    상기 제1 적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적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나사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3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나사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4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중량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에 상기 제2 중량플레이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3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4 나사홀에 체결되는 제4 나사부가 마련된 제2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체결봉의 일측단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량체유닛이 상기 체결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유닛과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위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중량플레이트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는 추가 중량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봉이 결합된 부위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추가 중량플레이트의 중공부가 결합되는 중공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외주면 중 상기 제2 비나사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위치결정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봉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제1 위치결정홈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홈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KR2020180001823U 2018-04-25 2018-04-25 중량 조절형 아령 KR200490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23U KR200490541Y1 (ko) 2018-04-25 2018-04-25 중량 조절형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23U KR200490541Y1 (ko) 2018-04-25 2018-04-25 중량 조절형 아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66U true KR20180001466U (ko) 2018-05-16
KR200490541Y1 KR200490541Y1 (ko) 2020-01-08

Family

ID=6229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23U KR200490541Y1 (ko) 2018-04-25 2018-04-25 중량 조절형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620A (ko) 2019-06-19 2020-12-30 (주)넘버원1스포우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덤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630U (ja) * 2000-08-07 2001-08-31 ▲衆▼成工業股▲分▼有限公司 亜 鈴
KR101318546B1 (ko) * 2012-10-15 2013-10-16 안태진 중량 조절형 아령
KR200474598Y1 (ko) * 2013-09-02 2014-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조립식 아령
KR101767916B1 (ko) * 2016-06-21 2017-08-17 최광준 아령
KR20180033775A (ko) 2016-09-26 2018-04-04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630B2 (ja) * 1991-05-14 2000-08-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630U (ja) * 2000-08-07 2001-08-31 ▲衆▼成工業股▲分▼有限公司 亜 鈴
KR101318546B1 (ko) * 2012-10-15 2013-10-16 안태진 중량 조절형 아령
KR200474598Y1 (ko) * 2013-09-02 2014-09-29 신신상사 주식회사 조립식 아령
KR101767916B1 (ko) * 2016-06-21 2017-08-17 최광준 아령
KR20180033775A (ko) 2016-09-26 2018-04-04 서정헌 중량 조절형 아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620A (ko) 2019-06-19 2020-12-30 (주)넘버원1스포우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덤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41Y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432B2 (en) Training device
US20190240521A1 (en) Reconfigurable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20160175640A1 (en) Tribar
US9623275B2 (en) Dumbbell castor exercise device
US8123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ally coupling incremental weights to exercise apparatus
US6866617B2 (en) Exerciser assembly having adjustable handgrip
US20150024911A1 (en) Stability Bar System
US10220237B2 (en) Exercise training device
US20090054214A1 (en) Exercise apparatus
US10046198B1 (en) Wheel exercising device
US20070149366A1 (en) Weight training machine having a selector device that is operated easily and conveniently
KR101858958B1 (ko) 중량 조절형 아령
US20070135271A1 (en) Weight plate
KR20180001466U (ko) 중량 조절형 아령
US7789813B2 (en) Dumbbell and adaptor with securable incremental weight plate feature
US20130123072A1 (en) Variable weight device for exercising the hands, wrists, arms and fingers
US20070135273A1 (en) Weight securing system
US7001310B1 (en) Adjustable weight exercise device
US20070123398A1 (en) Weight lifting bar
WO2000062864A9 (en) Improved weightlifting assemblies with an incorporated locking system and an attachable insert assembly
US20140287890A1 (en) Exercise weight plate with integral retaining mechanism.
US10960254B2 (en) Exercise device
KR101626945B1 (ko) 복합 운동 기구
US3181864A (en) Adjustable weight ball for bowling
KR101839517B1 (ko) 중량 조절형 아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