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42A -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 Google Patents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42A
KR20180001342A KR1020160080346A KR20160080346A KR20180001342A KR 20180001342 A KR20180001342 A KR 20180001342A KR 1020160080346 A KR1020160080346 A KR 1020160080346A KR 20160080346 A KR20160080346 A KR 20160080346A KR 20180001342 A KR20180001342 A KR 2018000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joint
chair
operating t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102016008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42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제1 아암; 제2 아암;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시키는 제1 관절부; 수술 도구를 위치시킬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가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를 연결시키는 제2 관절부;를 포함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가 개시된다. 이로써, 수술시 작업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OPERATING TABLE OF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에 관한 것이다.
진료용 의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술, 치료, 진단, 검사 등을 수행하는 의료기기 장비로서, 수술용 로봇, 검사 장비, 치료용 기기, 치과용 기기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치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안과, 산부인과, 비뇨기과등 병의원에서 사용하는 유닛 체어와 같은 진료용 의자는 환자가 앉거나 누워 진료 및 치료를 받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료용 의자에는 여러 가지 보조장치가 설치되어 의사가 진료 또는 수술할 때 편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2013-0017594 (2013.02.20) 또는 한국특허공개공보 2010-0121405(2010.11.17)에는 치과용 유닛 체어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시 작업의 편리성이 극대화된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로서,
제1 아암; 제2 아암;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시키는 제1 관절부;
수술 도구를 위치시킬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가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를 연결시키는 제2 관절부;를 포함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에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는 수술용트레이가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받침부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1 아암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가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를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암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아암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상기 제2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암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아암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상기 진료용 의자에 구비된 레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아암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제3 관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및 수술시에 작업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술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수술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술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수술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구성요소들(21, 23, 25, 26, 27, 28, 29)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가 설치되는 진료용 의자(예를 들면, 병의원용 유닛트 체어(10))도 같이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유닛트 체어(10)는 예시적인 진료용 의자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다른 종류의 진료용 의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진료용 의자(10)에 구비된 레그(1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관절부들(22, 23, 26), 관절부들(22, 23, 26)에 의해 상하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된 복수의 아암들(21, 25), 및 받침부(2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아암들(21, 25)은 장방형의 막대로 구성될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진료용 의자(10)에 구비된 레그(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암(21), 제 2 아암(25), 제1 아암(21)과 제2 아암(25)을 연결시키는 제1 관절부(23), 받침부(27), 및 제2 아암(25)과 받침부(27)를 연결시키는 제2 관절부(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27)에는, 모니터(24)와, 수술 도구 등을 위치시킬 수 있는 수술용트레이(‘쟁반’)(28)와, 이러한 수술용트레이(28)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29)가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술용트레이(28)와 베이스부(29)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관절부(23)는 제1 아암(21)과 제2 아암(25)이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암(21)과 제2 아암(25)을 연결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아암(25)이 상하 이동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면 제2 아암(25)이 회전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관절부(26)는 제2 아암(25)과 받침부(27)가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아암(25)과 받침부(27)를 연결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부(2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도 7을 참조하면 받침부(27)가 회전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관절부(23)는, 받침부(27)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제1 아암(21)과 제2 아암(25)이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예를 들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 가능하도록 제1 아암(21)과 제2 아암(25)을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관절부(26)는, 제1 아암(21)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제2 아암(25)과 받침부(27)가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아암(25)과 받침부(27)를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아암(25)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아암(25)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제1 관절부(23)와 연결되어 있고, 제2 아암(25)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제2 관절부(26)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아암(21)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아암(21)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진료용 의자(10)에 구비된 레그(1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아암(21)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제1 관절부(23)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24)는 제3 관절부(22)에 의해서 받침부(27)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제3 관절부(22)는 받침부(27)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모니터(24)와 받침부(27)를 연결시킨다. 도 9에는 모니터(24)의 회전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24)는 수술 작업에 필요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대(20)는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 즉 360도 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수술시 작업의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진료용 의자 20: 수술대
21: 제1 아암 23: 제1 관절부
25: 제 2 아암 26: 제2 관절부
22: 제3 관절부 24: 모니터
27: 받침부

Claims (7)

  1.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로서,
    제1 아암;
    제2 아암;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시키는 제1 관절부;
    수술 도구를 위치시킬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가 서로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를 연결시키는 제2 관절부;를 포함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는 수술용트레이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받침부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이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1 아암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가 서로 상하 및 회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아암과 상기 받침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아암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상기 제2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양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아암의 양 단부 중에서 일 단부는 상기 진료용 의자에 구비된 레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아암의 양 단부 중에 타 단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7. 제4항에 있어서,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제3 관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KR1020160080346A 2016-06-27 2016-06-27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KR20180001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6A KR20180001342A (ko) 2016-06-27 2016-06-27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46A KR20180001342A (ko) 2016-06-27 2016-06-27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42A true KR20180001342A (ko) 2018-01-04

Family

ID=6099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46A KR20180001342A (ko) 2016-06-27 2016-06-27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3910B2 (ja) マルチポート手術ロボットシステム構造
JP5101519B2 (ja) ロボット手術システムの機器インターフェース
US9218053B2 (en) Surgical assistant system
US20180055708A1 (en) Upper Extremity Positioner
US20160296294A1 (en) Surgical system with configurable rail-mounted mechanical arms
EP3714829A1 (en) Adaptor
JP6950040B2 (ja) ロボット取付け式リトラクタシステム
JP2024020633A (ja) 追跡カメラ技術を有するロボット手術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164824A1 (en) Surgical system with configurable rail-mounted mechanical arms
CN107028662B (zh) 远程操作装置及远程手术系统
JP2016187563A (ja) 肢固定装置
US20210391058A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navigated orthopedic surgeries
JP2021142373A (ja) 滅菌ドレープおよび手術器具の取付方法
US20210093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WO2020044994A1 (ja) ロボット手術器具
JP7123862B2 (ja) 医療機器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071122A (ko)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JP3176733U (ja) 無影灯装置及び診療灯装置
KR20180001342A (ko)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EP39779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KR20160002128U (ko)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JP2023001903A (ja) ロボット外科手術システムのためのエンドエフェクタアームの重力補償
EP4271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endoscopic conduit harvesting
JP7198016B2 (ja) 手術器具
Herman et al. Development and first in vivo trial of EvoLap, an active laparoscope pos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