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09U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 Google Patents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09U
KR20180001309U KR2020160006263U KR20160006263U KR20180001309U KR 20180001309 U KR20180001309 U KR 20180001309U KR 2020160006263 U KR2020160006263 U KR 2020160006263U KR 20160006263 U KR20160006263 U KR 20160006263U KR 20180001309 U KR20180001309 U KR 20180001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reducing
lifting
extension
bodi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07Y1 (ko
Inventor
장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0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는, 리프팅 와어어가 권취되도록 곡면을 가지며 리프팅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 저감부, 및 마찰 저감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찰 저감부를 리프팅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마찰 저감부와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마찰 저감부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센터라인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SIZE-ADJUSTABLE LIFTING JIG}
본 고안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구조물인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은 한번에 하나의 완성된 구조물로 제작되기보다는 소형의 블록 구조물(예를 들어, 블록 모듈 또는 블록 모듈의 의장품 등)로 나누어 제작된 후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이러한 블록 구조물의 형태나 크기는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
특히 블록 구조물은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리프팅 와이어를 블록 구조물의 형강에 체결한 후 기중기를 이용하여 옮기게 된다. 이때, 리프팅 와이어와 접하는 형강의 일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자칫 블록 구조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블록 구조물을 설치 또는 해체하는 과정에서 블록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프팅용 지그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프팅용 지그는 기설정된 블록 구조물의 형강 사이즈에 맞춰 제작되므로, 형강 사이즈가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리프팅용 지그의 사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기존 리프팅용 지그를 여러 사이즈의 형강에 모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643호(2015.05.18,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도 현장에서 사이즈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리프팅 대상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프팅 와어어가 권취되도록 곡면을 가지며, 리프팅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 저감부; 및 마찰 저감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찰 저감부를 리프팅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가 제공된다. 마찰 저감부와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마찰 저감부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센터라인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마찰 저감부는, 좌우로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 및 한 쌍의 몸체가 서로에 대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한 쌍의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낟. 한 쌍의 몸체는 서로 결합되어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몸체에는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봉 삽입홀이 구비되며, 연결봉 삽입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연결봉에는 오목부와 볼록부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리프팅 대상물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걸림부는 한 쌍의 몸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리프팅 대상물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 및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마찰 저감부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저감부는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연장부는 연장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연장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는, 연장부가 연장부 가이드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연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제작 없이도 현장에서 사이즈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리프팅 대상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선박용 의장품이 기중기의 리프팅용 와이어에 체결되어 들어올려지는 과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형강을 리프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프팅 대상물의 형강 사이즈가 상이할 경우에도 이에 맞춰 리프팅용 지그를 추가로 제작할 필요 없이 현장에서 리프팅용 지그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리프팅 대상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많은 리프팅 대상물 각각의 사이즈에 맞춰 수많은 리프팅용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리프팅 지그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리프팅 지그의 사이즈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선박용 의장품이 기중기의 리프팅용 와이어에 체결되어 들어올려지는 과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형강을 리프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100)는, 리프팅 대상물(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 저감부(110)와 상기 마찰 저감부(110)를 상기 리프팅 대상물(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찰 저감부(110)와 고정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마찰 저감부(110)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라인(CL)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마찰 저감부(110)가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마찰 저감부(110)는 리프팅 대상물(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찰 저감부(110)는 리프팅 와이어(10)가 리프팅 대상물(20)에 체결될 때 가해질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리프팅 와이어(10)가 권취될 수 있도록 곡면(111)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마찰 저감부(110)는 좌우로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112); 및 상기 한 쌍의 몸체(112)가 서로에 대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한 쌍의 몸체(112)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봉(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몸체(112)는 호를 갖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113)을 통해 대향하는 면이 서로 결합될 경우 반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몸체(112)로 구성되는 마찰 저감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113)을 통해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라인(CL)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팅 대상물(20)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형강(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112)를 서로에 대해 이격되는 정도(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형강(21)의 너비에 맞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형강에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형강(21)의 너비가 좁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형강(21)의 너비가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형강(21)은 도시된 바와 같은 H 형강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봉(113)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몸체(112) 사이에 여러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봉(113)이 몸체(1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12)에는 연결봉 삽입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봉 삽입홀(114)은 연결봉(113)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봉 삽입홀(114)에는 오목부(115)와 볼록부(116)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봉(113)에는 오목부(115)와 볼록부(116)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오목부(115)와 볼록부(116)는 서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경우는, 오목부(115)가 연결봉 삽입홀(114) 내측에 형성되고, 볼록부(116)가 연결봉(113)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비록 도 6에서는 오목부(115)가 연결봉 삽입홀(114) 내측에 형성되고, 볼록부(116)가 연결봉(113)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115)와 볼록부(116)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봉(113)과 연결봉 삽입홀(114) 각각에 오목부(115)와 볼록부(116)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됨으로써,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한 쌍의 몸체(112)가 서로에 대해 이격되는 정도(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강(21)의 너비에 맞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고정부(120)는 마찰 저감부(110)를 파지하고자 하는 리프팅 대상물(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0)는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마찰 저감부(11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20)는 리프팅 대상물(20)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걸림부(121)는 한 쌍의 몸체(112) 각각의 모서리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112)는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라인(CL)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걸림부(121)는 상기 한 쌍의 몸체(112)를 통해 리프팅 대상물(20)의 형강(2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20)가 마찰 저감부(110)의 몸체(112)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걸림부(121)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실시예의 고정부(120)와 같이 마찰 저감부(110)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판형일 수 있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림부(121)는 갈고리 형상의 막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막대 형상의 걸림부는 한 쌍의 몸체(112)의 장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100)와 동일 또는 상응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를 갖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찰 저감부(1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몸체로 구성된 마찰 저감부(110)는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저감부(110)는 마찰 저감부(110)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여 사이즈 조절이 어렵다. 이를 대신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는 고정부(120)가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0)는 리프팅 대상물(20)의 형강(21)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121)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121)로부터 연장되어 마찰 저감부(110)에 결합되는 연장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부(121)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갈고리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22)는 판형의 걸림부(121)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막대형일 수 있다.
막대형의 연장부(122)는 마찰 저감부(11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찰 저감부(110)에는 그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 가이드홀(117)이 형성될 수 있고, 막대형의 연장부(122)는 상기 연장부 가이드홀(117)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 가이드홀(1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저감부(110)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그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따라서, 막대형의 연장부(122)는 연장부 가이드홀(117)에 삽입되어 좌우방향(도 8의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 결과 리프팅 대상물(20)의 형강(21) 사이즈가 상이하더라도, 연장부(122)가 마찰 저감부(110)의 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정도(연장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형강(21)의 다양한 너비에 맞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형강(21)에 마찰 저감부(110)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122)가 막대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연장부(122)는 판형의 걸림부(121)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판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부 가이드홀(117)은 상기 판형의 연장부에 상응하여 판형의 구멍일 수 있으며, 판형의 연장부는 그 단부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구비함으로써 마찰 저감부(110)의 연장부 가이드홀(1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200)는 연장 조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조절부(130)는 연장부(122)가 연장부 가이드홀(117)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정도(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장 조절부(130)는 연장부(122)가 연장부 가이드홀(117)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122)는 막대형상의 단부에 나사산(도 9 참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장 조절부(130)는 상기 막대형 연장부(122)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조절부(130)를 이용함으로써 연장부(122)가 마찰 저감부(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고정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연장부(122)가 마찰 저감부(110)의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돌출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강(21)의 너비에 상관없이 마찰 저감부(110)를 형강(2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 저감부(110)의 몸체 상부에는 길이 조절용 홈(118)이 구비될 수 있다. 길이 조절용 홈(118)은 연장부 가이드홀(117)에 삽입된 연장부(1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조절용 홈(118)을 통해 연장부(122)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연장 조절부(130)의 나사를 연장부(122)의 나사산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조절부(130)가 나사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 저감부(110)에 대해 연장부(122)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연장 조절부(130)의 형태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 대상물의 형강 사이즈가 상이할 경우에도 이에 맞춰 리프팅용 지그를 추가로 제작할 필요 없이 현장에서 리프팅용 지그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리프팅 대상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리프팅 와이어 20: 리프팅 대상물
21: 형강 100, 200: 리프팅 지그
110: 마찰 저감부 111: 곡면
112: 몸체 113: 연결봉
114: 연결봉 삽입홀 115: 오목부
116: 볼록부 117: 연장부 가이드홀
118: 길이 조절용 홈 120: 고정부
121: 걸림부 122: 연장부
130: 연장 조절부

Claims (7)

  1. 리프팅 와어어가 권취되도록 곡면을 가지며, 리프팅 대상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 저감부; 및
    상기 마찰 저감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마찰 저감부를 상기 리프팅 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저감부와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마찰 저감부의 중심을 가로지는 가상의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라인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부는
    좌우로 대칭되어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 및
    상기 한 쌍의 몸체가 서로에 대해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반원 형상을 이루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에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봉 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 삽입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리프팅 대상물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리프팅 대상물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찰 저감부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부는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연장부 가이드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연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KR2020160006263U 2016-10-27 2016-10-27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KR200486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63U KR200486807Y1 (ko) 2016-10-27 2016-10-27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63U KR200486807Y1 (ko) 2016-10-27 2016-10-27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9U true KR20180001309U (ko) 2018-05-08
KR200486807Y1 KR200486807Y1 (ko) 2018-07-02

Family

ID=6216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63U KR200486807Y1 (ko) 2016-10-27 2016-10-27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176A (ja) * 1995-01-30 1996-08-13 Nippo Kensetsu:Kk 吊り具
KR20030019807A (ko) * 2001-08-31 2003-03-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형강 트러스 운반용 보강구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운반방법
KR20140130848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링로프용 리프팅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176A (ja) * 1995-01-30 1996-08-13 Nippo Kensetsu:Kk 吊り具
KR20030019807A (ko) * 2001-08-31 2003-03-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형강 트러스 운반용 보강구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운반방법
KR20140130848A (ko) * 2013-05-02 2014-1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링로프용 리프팅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07Y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543C2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RU2019134424A (ru) Четырехточечный рычаг подвески
KR200486807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용 지그
EP3143218B1 (en) Clamping element; floors or walls formed by such clamping elements, boards and beams
KR101526274B1 (ko) 오비탈 용접로봇용 양방향 와이어 송급장치
CN208650390U (zh) 插板式箱型梁可调连接节点
DE202014103774U1 (de) Hohlwandanker
CN103883860A (zh) 液晶拼接支架及液晶拼接系统
JP6706396B2 (ja) ロープ端末の締結装置、及びロープ端末の締結方法
US9793698B2 (en) Deadend termination clamp and collet
AU2009215875B2 (en) Cable termination with an elliptical wall profile
JP6095185B2 (ja) 連結手段
JP6834113B2 (ja) ターンバックルをロックするための機構
US874417A (en) Means for gripping and coupling wire ropes, rod, &c.
KR20150141189A (ko) 케이블과 케이블 지지 장치의 조립체
JP2018200836A (ja) 弛度調整用連結具
KR101708475B1 (ko) 철근정착장치
JP6486854B2 (ja) 接続端子函補助クランプ
EP2235287B1 (de) Seilschlaufenhalterung
KR200474389Y1 (ko) 턴버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난간
KR101273560B1 (ko) 너트가 장착된 사출성형기용 타이바 및 사출성형기
NL2000775C2 (nl) Kleminrichting.
US1730656A (en) Cable clamp
KR20170024462A (ko) 인양용 체결구
RU2015129002A (ru) Тросовый аморти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