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22U - 치약 용기 - Google Patents

치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22U
KR20180001222U KR2020160006124U KR20160006124U KR20180001222U KR 20180001222 U KR20180001222 U KR 20180001222U KR 2020160006124 U KR2020160006124 U KR 2020160006124U KR 20160006124 U KR20160006124 U KR 20160006124U KR 20180001222 U KR20180001222 U KR 20180001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toothpaste
container
fixing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아람
이지혜
문교태
하원호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6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222U/ko
Priority to CN201720641489.XU priority patent/CN206827253U/zh
Publication of KR20180001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A47K201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에 대향하는 고정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면에 설치되는 메인부재; 및 상기 메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상기 메인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 용기{Toothpaste container}
본 고안은 치약 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치약 용기가 벽면 또는 거울에 설치되어 공간활용이 향상될 수 있으며, 치약 용기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치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여야 청결하고 튼튼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항상 입안을 청결히 하여 개운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수시로 양치질을 한다.
여기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아울러, 치약이 고점도를 이루는 경우, 튜브형 치약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튜브형 치약 용기를 직접 가압해 내부의 치약을 외부로 밀어내어 사용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튜브형 용기본체를 직접 짤 필요없이, 펌프를 이용하여 치약을 칫솔에 공급할 수 있도록 치약을 저점도로 형성하고 펌프가 구비되는 통 형태의 용기본체에 치약을 수용시키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핑 작용을 위한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해도 직립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 본체가 쓰러질 우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치약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는,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에 대향하는 고정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빨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빨판은,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이 상기 고정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치약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에서 상기 고정면을 향해 치우치도록, 후면과 저면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이 상기 고정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상기 후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상기 후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전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면은, 거울 또는 벽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약 용기는, 펌핑 작용을 위한 펌핑부가 마련되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펌핑부의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하더라도, 치약 용기가 거울이나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시 치약 용기가 넘어질 우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약 용기를 바닥면에 세워 보관할 필요없이 벽면 또는 거울에 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의 용기본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배출부(120),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핑 작용에 의해 치약이 토출될 수 있도록 튜브형의 용기에 수용되는 치약이 고점도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저점도로 이루어져, 치약 용기(100) 내의 치약은 유동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고정부(130)는 다양한 변형예를 이룰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용기본체(110)는 치약을 수용하며, 도자기 등의 재질에 대비하여 자체 하중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본체(110)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용기본체(110)는 튜브 형의 용기에 대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세면대 등에 세워져 보관되거나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약 용기(100)가 마련되는 화장실의 공간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정면인 벽면 또는 거울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는, 배출부(120)가 마련되는 일측(상부)에 대비하여 타측(하부)의 단면적이 큰 상협하광 형태, 일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10)는 배출부(120)가 마련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는 형태, 일례로 밑면의 단면적이 상부 대비 크게 형성되는 원뿔대, 각뿔대 또는 이러한 형상이 뒤집혀진 형태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의 수평 절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그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는, 용기본체(110)가 연결부재(1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재(132)가 끼움되게 한 쌍의 고리(132A)에 대응하여 홈을 이루는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는, 오목부(111)가 생략되고 용기본체(110)의 하부방향으로 고정부(130)가 걸림되도록 단턱(112)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본체(110)는 일측인 상부와 타측인 하부 사이에서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하여 단턱(11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10)는 상협하광 형태를 이루되 중심부에 단턱(112)이 마련되는데, 단턱(112)으로부터 상부까지 일정한 비율로 단면적이 감소되고, 단턱으로부터 밑면까지 일정한 비율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형태, 즉 트리 형태를 이룸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턱은 용기본체(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부 영역이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용기본체의 하부방향으로 고정부(130)가 걸림되도록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단턱(112)과 오목부(111)가 개별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단턱(112)의 둘레면에 오목부(111)가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111)와 단턱(112)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출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치약을 배출하는데, 펌핑 작용을 통해 저점도의 치약을 소량씩 배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부(120)는 펌핑부(121), 흡입관(122) 및 토출관(123)을 포함한다.
펌핑부(121)는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실린더(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치약을 빨아올린다. 여기서, 펌핑부(121)는 흡입관(122)을 따라 치약을 빨아올릴 수 있다.
흡입관(122)은 치약이 경유하는 배출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펌핑부(121)에 연결되어 용기본체(11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토출관(123)은 펌핑부(121)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치약을 토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토출관(123)은 하단부가 용기본체(1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절곡되어 사용자를 향하도록 마련되게 '┌' 또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관(123)의 배출구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치약의 배출방향과 치약의 낙하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면으로부터 진입된 칫솔의 헤드가 상부를 향하게 한 상태로, 칫솔의 헤드와 배출구가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토출관(123)은 주둥이를 이루어 배출구를 형성하고, 토출관(123)과 통하도록 실린더가 토출관(12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 안에서 피스톤이 상하 이동될 수 있어, 실린더의 하부에 끼워진 피스톤의 상승에 따른 압력 변화로 인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치약이 흡상될 수 있다. 여기서, 펌핑부(121)에는 실린더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고, 스프링과 별도로 볼 밸브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펌핑 작용이 수행되도록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핑부(121)는 사용자가 토출관(123)을 누르거나 놓아주는 동작을 통해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치약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는 용기본체(110)를 고정면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10)의 후면에 대향하는 고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메인부재(131) 및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부재(131)는 고정면에 설치되어 연결부재(132)에 설치된 용기본체(110)를 고정면 상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고정면에 접착제, 스티커 부착 등의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후술되는 빨판(131A)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연결부재(132)는 용기본체(110)를 메인부재(131)에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연결부재(132)가 메인부재(131)에 연결되며, 용기본체(110)가 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재(132)는 한 쌍의 고리(13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고리(132A)는 일단이 메인부재(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타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오므라져 용기본체(110)와 결합되거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벌어져 용기본체(110)와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부재(132)는 용기본체(1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본체(110)가 맞닿는 내주면에 미끄럼방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는 끈끈한 물질(반복적으로 붙였다 뗄 수 있는 물질 등, 공지된 물질이 적용될 수 있음) 또는 마찰력이 높은 재질(일례로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재는 연결부재(132)의 내주면에 도포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연결부재(13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주머니 형상을 이루어 연결부재(132)를 커버하여 고정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배치 및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30)는 용기본체(110)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인부재(131)와 연결부재(132)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일례로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음)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금속(도시하지 않음)(일례로 철)이 마련되어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제, 스티커 등의 방식으로 용기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고, 용기본체(110)가 고정된 연결부재(132)가 메인부재(131)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고정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30)는 연결부재(132)가 생략되고 빨판(131A)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빨판(131A)은 용기본체(110)의 후면이 고정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도록, 용기본체(110)의 후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져 치약 용기(100)가 고정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상협하광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10)의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이 고정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치약이 용기본체(110)의 내부 바닥에서 고정면을 향해 치우치도록, 후면과 저면이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는, 용기본체(110)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후면과 예각을 이루고 전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는 용기본체(110)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후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치약이 용기본체(110)의 내부 바닥에서 고정면을 향해 치우치게 됨으로써 잔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32)가 생략되고 용기본체(110)에 빨판(131A)이 직접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한 쌍의 고리(132A)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32)가 빨판(131A)인 메인부재(131)에 고정되어 연결부재(132)와 메인부재(1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메인부재(131)에 의해 용기본체(110)가 고정면에 설치되도록, 한 쌍의 고리(132A)에 용기본체(110)가 탈부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펌핑 작용을 위한 펌핑부(121)가 마련되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펌핑부(121)의 구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중심부로부터 상부에 형성되어 위치가 불안정하더라도, 용기본체(110)가 거울이나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시 치약 용기(100)가 넘어질 우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치약 용기(100)를 바닥면에 세워 보관할 필요없이 벽면 또는 거울에 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치약 용기 110: 용기본체
111: 오목부 112: 단턱
120: 배출부 121: 펌핑부
122: 흡입관 123: 토출관
130: 고정부 131: 메인부재
131A: 빨판 132: 연결부재
132A: 고리

Claims (7)

  1. 치약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에 대향하는 고정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판은,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이 상기 고정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치약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에서 상기 고정면을 향해 치우치도록, 후면과 저면이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반대되는 전면이 상기 고정면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상기 후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과 전면이 평행하되, 저면이 상기 후면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전면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거울 또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용기.
KR2020160006124U 2016-10-21 2016-10-21 치약 용기 KR20180001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24U KR20180001222U (ko) 2016-10-21 2016-10-21 치약 용기
CN201720641489.XU CN206827253U (zh) 2016-10-21 2017-06-05 牙膏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24U KR20180001222U (ko) 2016-10-21 2016-10-21 치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22U true KR20180001222U (ko) 2018-05-02

Family

ID=6216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24U KR20180001222U (ko) 2016-10-21 2016-10-21 치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52095U (zh) 清洁器具
CN209074982U (zh) 牙齿清洁器具和用于牙齿清洁器具的清洁工具
US9144298B2 (en) Oral care fluid delivery system
US8251110B2 (en) Filling adapter
US8647007B2 (en) Pump toothbrush with integrated dentifrice dispensing platform and disposable bristle head
US20110070016A1 (en) Water pump toothbrush
US9907390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CN208926670U (zh) 清洁器具
WO2010128975A1 (en) Liquid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US9814301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180001222U (ko) 치약 용기
KR20180001219U (ko) 치약 용기
KR101648375B1 (ko) 착탈식 칫솔꽂이
US6715521B2 (en) Toothpaste dispensing unit
JP5789101B2 (ja) 詰替えボトル装置
KR20180002309U (ko) 치약 용기
CN205306851U (zh) 压泵式挤牙膏器及包含该挤牙膏器的牙膏供给装置
US10897986B2 (en) Brush device that dispenses cleaning fluid
KR20180001221U (ko) 치약 용기
KR20180001218U (ko) 치약 용기
KR20180001224U (ko) 치약 용기
KR20180001220U (ko) 치약 용기
US7360961B1 (en) Toothbrush
US9833816B2 (en) Apparatus for quickly and efficiently cleaning and disinfecting sink drains and sink overflow holes
KR20180000434U (ko)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