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34U -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 Google Patents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34U
KR20180000434U KR2020160004506U KR20160004506U KR20180000434U KR 20180000434 U KR20180000434 U KR 20180000434U KR 2020160004506 U KR2020160004506 U KR 2020160004506U KR 20160004506 U KR20160004506 U KR 20160004506U KR 20180000434 U KR20180000434 U KR 201800004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ntainer
toothpaste
container
toothbrush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4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34U/ko
Publication of KR20180000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칫솔이 보관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을 토출하는 치약 용기에 탈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Toothbrush and dental cleaner set therewith}
본 고안은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형 치약 용기에 결합되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여야 청결하고 튼튼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항상 입안을 청결히 하여 개운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수시로 양치질을 한다.
여기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아울러, 칫솔은 치약이 도포된 이후 사용되므로, 칫솔과 치약은 양치질을 할 때에 항상 함께 있어야 할 수반관계에 있으므로, 현대인들은 음식물을 섭취한 후 곧 바로 양치질을 하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각각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약 용기와 거치대를 마련하여, 치약과 칫솔을 함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칫솔이 보관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을 토출하는 치약 용기에 탈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세정 세트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치약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치약 용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를 두르는 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식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의 영역이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상기 연결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와 바닥면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치약 용기를 지지하거나 자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저면이 접촉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치약 용기를 둘러 상기 치약 용기에 고정될 때,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치약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의 전체 높이 중 60% 내지 80%의 높이에서 상기 치약 용기를 둘러 상기 치약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약 용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 및 상기 치약 용기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저면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 및 상기 치약 용기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펌핑 방향과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의 펌핑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치약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는, 튜브 형의 치약 용기에 대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세면대 등에 세워 보관할 수 있으며, 치약이 저장되는 치약 용기와 이에 탈착되는 거치대를 마련하여 치약과 칫솔을 함께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본 고안은 칫솔이 보관되는 거치대가 치약 용기에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치약 용기를 교체하더라도 거치대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약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배출되어, 치약 용기가 빈용기를 이루더라도, 치약 용기는 거치대에 의해 일 측이 지지되어 전복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치약 용기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 측에 연결된 거치대에 의해 치아 세정 세트의 전체 무게 중심이 변동되더라도, 거치대가 전복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부가 치약 용기에 기울어진 상태로 밀착되므로, 칫솔이 치약 용기 측으로 치우쳐 보관될 수 있으므로, 칫솔의 보관 유무에 관계없이 치아 세정 세트의 전체 무게 중심은 그 외측으로 변동되지 않고 그 중심부 측으로 쏠리게 되어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에 보관된 칫솔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칫솔이 거치대에 보관되더라도, 사용자는 일부 노출된 칫솔을 통해 칫솔의 소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전체 칫솔을 모두 꺼낼 필요없이 개별로 꺼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부에 보관되는 칫솔의 노출이 전체 길이 대비 20%이상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관된 칫솔을 꺼낼 때 칫솔의 헤드부를 잡지 않고, 핸들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안에 맞닿는 헤드부가 사용자의 손에 묻은 각종 세균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서 몸체부와 장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세정 세트(100)는 치약 용기(110),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치약 용기(110)는, 펌핑에 의해 치약을 토출하는 구성으로서, 그 내부에 치약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단부에 펌프(120)가 마련되어 펌핑을 통해 치약을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치약 용기(110)에 수용된 치약은 펌핑으로 인한 토출이 용이하도록, 튜브형의 치약에 대비하여 점도가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약 용기(110)는, 튜브 형태의 용기와 달리 사용자가 용기를 짜내기 위해 가압할 필요없이 펌프(120)를 작동시켜 토출하므로, 치약 용기(11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치약 용기(110)는 튜브 형의 용기에 대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세면대 등에 세워져 보관될 수 있다.
게다가, 치약 용기(1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약 용기(110)는 무게 중심이 중심부보다 아래에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이때 거치대(200)가 간섭되는 치약 용기(110)의 전후방은 좌우에 대비하여 단면적의 증가폭이 작게 이루어져 거치대(200)가 치약 용기(110)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치약 용기(110)는 거치대(200)가 설치되는 전후방 대비 좌우의 증가 폭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치약 용기(1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치약 용기(110)의 타원 형태는, 거치대(200)가 설치되는 전후방이 좌우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납작하고, 좌우가 볼록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치약 용기(110)에 장착되는 거치대(200)가 치약 용기(110)에 설치된 이후 거치대(200)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치대(200)가 맞닿는 치약 용기(110)의 일면의 곡률 반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은 커지되 거치대(200)가 마주하는 면은 좌우 대비 단면적이 작게 증가하여, 치약 용기(110)의 확장으로 인한 거치대(200)의 돌출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약 용기(110)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어 좌우가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무게 중심이 중심부보다 아래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치약 용기(110)는 거치대(200)가 맞닿는 일면은 평면에 가깝도록 큰 곡률반경을 이루고, 반대편은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반경을 이루어 반구 형상을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거치대(200)는 칫솔(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치약 용기(110)에 연결되어 치약 용기(110)와 결합되어 일체화되거나 치약 용기(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200)는 치약 용기(110)를 교체하더라도 거치대(200)를 개별로 보관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치약 용기(110)의 전체 길이가 일반적인 칫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거치대(200)의 전체 길이는 치약 용기(110)에 대비하여 50% 내지 90% 이하로 이루어져 거치대(200)에 보관된 칫솔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칫솔이 거치대(200)에 보관되더라도, 사용자는 일부 노출된 칫솔을 통해 칫솔의 소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200)는 몸체부(210), 연결부(220), 장식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는 칫솔이 보관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데, 치약 용기(110)와 유사하게 상하로 길이 방향을 이룰 수 있고, 칫솔을 꽂을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에 보관된 내용물의 잔여량에 관계없이 치약 용기(110)가 외력(사용자의 밀침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에 의해 쉽게 전복되지 않도록, 치약 용기(110)에 결합되어 치아 세정 세트(100)의 저면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와 바닥면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치약 용기(110)를 지지하거나 자립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는 저면이 접촉면(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0)가 치약 용기(110)를 둘러 치약 용기(110)에 고정될 때, 몸체부(210)의 저면은 치약 용기(110)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치약 용기(110) 내부의 내용물이 모두 배출되어, 치약 용기(110)가 빈용기를 이루더라도, 치약 용기(110)는 거치대(200)에 의해 일 측이 지지되어 전복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치약 용기(11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 측에 연결된 거치대(200)에 의해 치아 세정 세트(100)의 전체 무게 중심이 변동되더라도, 거치대(200)가 바닥면에 직접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치아 세정 세트(100)가 전복될 우려가 없다.
아울러,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에 마주하는 면이 치약 용기(11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치약 용기(110)와 몸체부(210)가 밀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에 마주하는 면 및 치약 용기(110)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저면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에 마주하는 면 및 치약 용기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치약 용기(110)의 펌핑 방향과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의 펌핑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치약 용기(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10)는 치약 용기(110)에 기울어진 상태로 밀착되므로, 칫솔이 치약 용기(110) 측으로 치우쳐 보관될 수 있으므로, 칫솔의 보관 유무에 관계없이 치아 세정 세트(100)의 전체 무게 중심은 그 외측이 아닌 그 중심부측으로 쏠리게 되어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연결부(220)는 치약 용기(110)에 거치대(2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210)에 마련되며 치약 용기(110)에 탈착된다.
예를 들어, 연결부(220)는 치약 용기(110)에 마주하는 면이 치약 용기(11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치약 용기(110)에 밀착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220)는 치약 용기(110)를 두르는 고리 형태 특히, 일측이 개구된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연결부(220)는 거치대(200)가 치약 용기(110)에 설치시, 상부에서 하부로 거치대(200)를 내려서 고정하는 경우에는 고리의 개구된 부분에 펌프(1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무론,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어 거치대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고리의 개구된 부분이 벌어져 치약 용기(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20)는, 거치대(200)의 상단부, 즉 몸체부(2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220)의 높이는 몸체부(210)의 전체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20)는 치약 용기(110)의 전체 높이 중 60% 내지 80%의 높이에서 치약 용기(110)를 둘러 치약 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몸체부(210)와 연결부(220)의 높이가 치약 용기(110)의 전체 높이에 대비하여 80% 이하의 높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몸체부(210)에 보관되는 칫솔의 노출이 전체 길이 대비 20%이상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관된 칫솔을 꺼낼 때 칫솔의 헤드부(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잡지 않고, 핸들부(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안에 맞닿는 헤드부가 사용자의 손에 묻은 각종 세균들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식부(230)는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부(210)(또는 연결부)에 돌출형성되는데, 일례로 장식부(230)는, 몸체부(21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220)의 영역이 치아 세정 세트(100)의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몸체부(210)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부(220)의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치아 세정 세트(100)를 전방에서 바라보는 경우 연결부(220)는 장식부(230)에 의해 가려져 전체 형상이 깔끔하게 형상화되도록 치약 용기(110)와 거치대(200)가 일체화된 듯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특히, 장식부(230)는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상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날개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좌측에는 꽃 형상이 마련되고, 우측에는 나비 형상이 마련되는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이 대칭을 이루거나 서로 다른 형상이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식부(230)는 몸체부(210) 및/또는 연결부(220)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져 하나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부(230)가 몸체부(210) 및/또는 연결부(220)와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있고, 또한 개별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식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교체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몸체부(210)에는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장식부(230)에는 끼움홈(211)에 결합되는 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홈(211)과 돌기(231)는 결합을 위한 구조물로서, 형성되는 위치가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공지된 결합관계가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장식부(230)는,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 등을 통해 몸체부(210) 대신 연결부(22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치약 용기(110)와 이에 탈착되는 거치대(200)를 마련하여, 세면대 등에 세워 보관할 수 있으며, 치약과 칫솔을 함께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치약 용기(110)를 교체하더라도 거치대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거치대(200)로 인해 치아 세정 세트(100) 전체의 무게중심이 변동되더라도 치약 요기(110)와 거치대(200) 각각이 지지되고, 서로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치아 세정 세트 110 : 치약 용기
120 : 펌프 200 : 거치대
210 : 몸체부 211 : 끼움홈
220 : 연결부 230 : 장식부
231 : 돌기

Claims (14)

  1. 칫솔이 보관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펌핑에 의해 치약을 토출하는 치약 용기에 탈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의 영역이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상기 연결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와 바닥면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치약 용기를 지지하거나 자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저면이 접촉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거치대; 및
    펌핑에 의해 치약을 토출하는 치약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치약 용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를 두르는 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치약 용기를 둘러 상기 치약 용기에 고정될 때,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치약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치약 용기의 전체 높이 중 60% 내지 80%의 높이에서 상기 치약 용기를 둘러 상기 치약 용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용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 및 상기 치약 용기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저면에 예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에 마주하는 면 및 상기 치약 용기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치약 용기의 펌핑 방향과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약 용기의 펌핑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치약 용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 세트.
KR2020160004506U 2016-08-04 2016-08-04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KR201800004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06U KR20180000434U (ko) 2016-08-04 2016-08-04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06U KR20180000434U (ko) 2016-08-04 2016-08-04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34U true KR20180000434U (ko) 2018-02-14

Family

ID=6128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06U KR20180000434U (ko) 2016-08-04 2016-08-04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3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554Y1 (ko) 휴대용 치간 칫솔
ES2496985T3 (es) Sistema de higiene buco-dental
CA2746666C (en) Toothbrush charging station with brush storage device
EP3153130B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RU2560252C2 (ru) Набо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639974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колпачком
US6547104B1 (en) Combination toothpaste dispenser and oral hygiene assembly
US20130230349A1 (en) Toothpaste tube clip attachment device for storing a toothbrush unto stand-up cap toothpaste tube
US20170224099A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140147818A (ko) 자동 치약 분배 메커니즘을 갖는 칫솔
KR20180000434U (ko)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 세트
US20200046175A1 (en) Dental hygiene storage device with salt and water dispensers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AU2013406765B2 (en) Oral care implement with cover member
KR20100006495U (ko) 치약을 구비한 칫솔
US20170208934A1 (en) Dental cradle systems
KR200453662Y1 (ko) 충진용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20090009112A (ko) 다기능 칫솔
KR200493985Y1 (ko) 치약 용기
KR200493984Y1 (ko) 치약 용기
KR200366366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0418029Y1 (ko) 치간 칫솔용 케이스
KR20180001221U (ko) 치약 용기
KR20180001218U (ko) 치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