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17U - 천장등 - Google Patents

천장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17U
KR20180001017U KR2020160005730U KR20160005730U KR20180001017U KR 20180001017 U KR20180001017 U KR 20180001017U KR 2020160005730 U KR2020160005730 U KR 2020160005730U KR 20160005730 U KR20160005730 U KR 20160005730U KR 20180001017 U KR20180001017 U KR 201800010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eiling
circuit board
mounting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13Y1 (ko
Inventor
이봉례
Original Assignee
이봉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례 filed Critical 이봉례
Priority to KR2020160005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1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중앙으로 상부를 향해 회로 관통공과 케이스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기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공급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등 케이스; 상기 등 케이스의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케이스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등 케이스 장착공간에 삽입장착되면서 내부에 나선 결합되는 체결구를 통해 천장에 고정되는 위치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을 위치 조절구를 통해 천장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조절구에 장착되는 체결구에 의한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장등{A ceiling light}
본 고안은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하면서도 작업과정에서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는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 빛을 통해 주변을 밝혀주는 장치이고, 상기 등기구에 사용되는 광원은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및 삼파장등 등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등기구의 광원으로 기존 조명등에 비해 저소비전력과 고휘도 및 고수명을 갖는 특징으로 인해, 높은 수명과 함께 강한 발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LED(Light Emitting Diode)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상기 등기구는 사용 용도에 따라 천장등, 걸이등, 그 밖에 실외의 경관 조명등, 보완등, 가로등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천장등의 경우에는 주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조명부 및 그 밖에 안정기 등과 같은 전기부품이 조립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조립되어 조명빛을 투과시키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천장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천장등(10)은 천장 콘크리트(20)와, 상기 천장 콘크리트(20)의 하부에 격자형상으로 장착되는 나무판(30)과, 상기 나무판(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석고보드(40)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등(10)은 천장등 케이스(11)와, 상기 천장등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엘이디(13)가 장착되는 회로기판(12)과, 상기 회로기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4) 및 배선(1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천장등(10)은 천장등 케이스(11)와 다수개의 엘이디(13)가 장착되는 회로기판(12)과 전원공급장치(14) 및 배선(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석고보드(4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14) 및 배선(15)을 통한 회로기판(12)으로 전원공급시 엘이디(13) 빛이 하부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천장등(10)은 석고보드(40)의 하부에 지정된 위치로 설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천장등(10)의 설치시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작업시간과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종래의 천장등(10)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 천장등 케이스(11)를 파지한 후, 다른 한 손으로 체결구가 결합된 공구를 파지한 다음, 상기 회로기판(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체결구를 고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천장등(10)은 회로기판(12)에 형성되는 체결구 장착공에 체결구를 정확하게 삽입한 후 고정해야 함으로써 여러 명의 작업자와 작업시간이 필요하고, 상기 체결구를 고정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회로기판(12)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장등(10)은 지정된 방향으로 체결구를 고정하기 어려우므로 여러 번의 작업을 진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천장등(10)과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장등(10)은 회로기판(12)을 고정하는 체결구가 금속재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천장등(10)을 끄고 난 후에도 체결구에서 빛이 남아있는 잔불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15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3469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을 위치 조절구를 통해 천장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천장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장착공간을 통해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을 고정하면서도 환경에 따라 체결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천장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등은 천장에 장착되고 빛을 조사하는 천장등에 있어서, 하부 중앙으로 상부를 향해 회로 관통공과 케이스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기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공급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등 케이스; 상기 등 케이스의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케이스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등 케이스 장착공간에 삽입장착되면서 내부에 나선 결합된 체결구를 통해 천장에 고정되는 위치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 케이스를 구성하는 기판 장착부의 둘레와 상부에는 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 배출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장착부의 케이스 장착공간과 회로기판의 기판 장착공간은 천장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은 일 측 끝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기판 장착공간은 삽입공 및 가이드 공보다 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기판 장착부와 회로기판의 동일선상에는 천장등을 반경 방향을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공간이 더 형성되되, 상기 위치 조절공간은 일 측 끝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기판 장착공간은 삽입공 및 가이드 공보다 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을 구성하는 가이드 공의 외면에는 위치 조절구의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하여 조절구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을 위치 조절구를 통해 천장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조절구에 장착되는 체결구에 의한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장착공간을 통해 등 케이스와 회로기판을 고정하면서도 환경에 따라 체결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절연성 소재의 위치조절구를 통과하여 체결구가 천장등을 천장에 고정하므로 천장등을 끄고 난 후에도 체결구에서 빛이 남아있는 잔불현상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 구성도.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을 구성하는 등 케이스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원고안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 구성도이고,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을 구성하는 등 케이스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고안인 천장등(100)은 등 케이스(200), 회로기판(300), 위치조절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장등(10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천장 콘크리트, 천장 콘크리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나무판, 상기 나무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석고보드 등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등 케이스(200)와 회로기판(300)은 위치조절구(500)에 결합되는 체결구(700) 이외에도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상기 등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등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되는 커버(6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등 케이스(200)는 천장 콘크리트, 천장 콘크리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나무판, 상기 나무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석고보드의 하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등 케이스(20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 고안에서 상기 등 케이스(20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 케이스(200)는 하부 중앙으로 상부를 향해 회로 관통공(222)과 케이스 장착공간(224)이 형성되는 기판 장착부(220)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공급기 장착홈(2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등 케이스(200)는 원형 형상으로 하부에 회로기판(300)의 장착을 위하여 기판 장착부(220)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기판 장착부(220)에 위치하는 회로기판(3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기(400)의 장착을 위한 공급기 장착홈(240)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판 장착부(220)의 둘레와 상부에는 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 배출공(22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기판 장착부(220)는 중앙에 회로 관통공(222)을 형성하고 둘레와 상부에 간격을 열 배출공(226)을 형성하여 케이스 장착공간(224)에 위치하는 회로기판(3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224)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일 측 끝단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하여 삽입공(224a)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하여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224b)이 소정구간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224)은 천장등(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천장등(10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일 측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224a)을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한 환상형상의 가이드 공(224b)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224)을 구성하는 가이드 공(224b)의 외면에는 위치 조절구(500)의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하여 조절구 고정홈(224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구 고정홈(224c)은 가이드 공(224b)에 위치하는 위치 조절구(5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공(224b)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등 케이스(200)의 하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등 커버(6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이나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고안에서 상기 등 케이스(200)에는 끼움 홈(228)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등 케이스(200)는 등 커버(6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끼움 홈(228)을 형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기판 장착부(220)에는 천장등(100)을 반경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공간(229)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절공간(229)은 케이스 장착공간(224)와 마찬가지로 일 측 끝단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하여 삽입공(229a)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하여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229b)이 소정구간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 조절공간(229)은 천장등(100)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229a)을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한 환상형의 가이드 공(229b)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등 케이스(200)의 기판 장착부(220)에 장착되고 하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300)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고안에서 상기 회로기판(300)은 등 케이스(200)의 기판 장착부(220)와 대응하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판 장착부(220)의 케이스 장착공간(224)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판 장착공간(3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발광다이오드(34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 장착공간(320)은 케이스 장착공간(224)과 같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224)은 기판 장착공간(320)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판 장착공간(320)은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장착 및 위치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그 크기는 위치 조절구(500)의 원활한 삽입과 이동을 위하여 기판 장착공간(320)을 구성하는 삽입공(224a) 및 가이드 공(224b)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발광다이오드(34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발광다이오드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0)에는 천장등(100)을 반경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공간(360)이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절공간(360)은 기판 장착부(220)의 위치 조절공간(229)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기판 장착공간(320)와 마찬가지로 일 측 끝단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하여 삽입공(362)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하여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364)이 소정구간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 조절공간(360)은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장착 및 위치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일 측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362)을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한 환상형의 가이드 공(364)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기(400)는 등 케이스(200)의 공급기 장착홈(240)에 장착되고 회로기판(3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기(4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공지된 전원공급기를 택일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기(400)는 공급기 장착홈(240)에 장착되어 배선(420)을 통해 회로기판(3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 조절구(500)는 등 케이스(200)와 회로기판(300)의 장착공간(224, 320)과 조절공간(229, 360)에 삽입장착되면서 체결구(700)를 통해 천장에 고정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구(500)는 중공 형상으로 내면에 나선(510)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지판(52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520)의 사이에는 끼움 결합부(5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 조절구(500)는 장착공간(224)과 조절공간(229)의 삽입공(224a, 229a) 및 가이드 공(320, 360)에 삽입된 후, 상기 지지판(5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530)를 가이드 공(224b, 229b)에 배치 및 이동시킨 다음,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내부에 체결구(700)를 나선결합된 채로 천장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조절구(500)는 장착공간(224, 320)에 강도보강 및 고정을 위하여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내면에 결합되는 체결구(700)는 천장에 천장등(100)을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나선(510)에 체결구(70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224, 320) 및 조절공간(229, 34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천장등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중앙으로 상부를 향해 회로 관통공(222)과 케이스 장착공간(224)이 형성되는 기판 장착부(220)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공급기 장착홈(240)이 형성되는 등 케이스(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회로 관통공(222)은 중앙에 형성하고 둘레와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열 배출공(226)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224)은 일 측 끝단에 위치 조절구(500)의 삽입을 위하여 삽입공(224a)을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이동을 위하여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224b)이 소정구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등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기판 장착부(220)의 내부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판 장착부(220)의 케이스 장착공간(224)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판 장착공간(3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발광다이오드(340)가 장착되는 회로기판(3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00)의 공급기 장착홈(240)에 전원공급기(400)를 장착한 후, 배선(420)의 일 측을 전원공급기(400)에 결합한 다음, 반대 측을 회로기판(300)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와 회로기판(300)의 장착공간(224, 320)에 중공 형상으로 내면에 나선(510)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지판(52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520)의 사이에는 끼움 결합부(530)가 형성되는 위치 조절구(50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위치 조절구(500)의 내면 나선(510)에 체결구(700)를 결합한 후 상기 위치 조절구(500)를 장착공간(224)에 삽입 및 장착하면 천장등(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천장등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천장등(100)을 천장 콘크리트, 천장 콘크리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나무판, 상기 나무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석고보드의 하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와 회로기판(300)의 장착공간(224)에 위치하는 위치 조절구(500)의 위치를 가이드 공(224b, 320)를 통해 조절한 후, 상기 위치 조절구(500)에 체결된 체결구(700)를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한 다음, 상기 등 케이스(200)의 하부에 등 커버(600)를 장착하면 천장등(10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종래 천장등 설치 작업시는 예컨대, 작업자가 왼손으로 등 케이스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는 전동공구에 정전기를 이용하여 나사와 같은 피스를 붙인 다음, 사다리를 올라가서 왼손에 파지한 등 케이스를 천장면에 붙이고 나사를 박을 위치에 맞게 천장면을 따라 등 케이스를 이동시킨 후, 오른손에 파지한 전동공구를 등 케이스의 홈쪽으로 이동시켜서(이때, 나사가 전동공구에서 탈락하는 일이 다반사임), 머리 위로 나사를 등 케이스의 홈에 밀어 넣고 박아 넣어 등을 체결한다(이때, 나사가 튀거나, 경사지게 박히면서 등 케이스나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발함). 나사를 박아 넣은 후에 등 케이스의 위치가 적당치 않다고 판단되면 다시 나사를 뽑아 내어야 하는 문제도 생기며, 다행히 적절한 위치에 천장등이 부설되었더라도 나사가 회로기판과 접촉함으로 인해 잔불 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경우, 나사와 같은 체결구가 박혀 있는 위치 조절구가 등 케이스의 가이드 홈에 미리 끼워진 채로 제공되므로, 작업자는 전동공구를 나사 머리에 댄 채 손쉽게 박아주기만 하면 위치 조절구에 체결된 나사가 천장과 수평으로 견고하게 천장에 박힐 수 있으며 등 케이스나 회로기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나사가 박힐 수 있으며, 부설된 천장등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나사를 뽑지 않고도 가이드 홈을 따라 위치 조절구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며 잔불 현상도 원천적으로 해소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인 천장등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천장등, 200 : 등 케이스,
220 : 기판 장착부, 222 : 회로 관통공,
224 : 케이스 장착공간, 226 : 열 배출공,
228 : 끼움 홈, 240 : 공급기 장착홈,
300 : 회로기판, 320 : 기판 장착공간,
340 : 발광다이오드, 400 : 전원공급기,
420 : 배선, 500 : 위치 조절구,
510 : 나선, 520 : 지지판,
530 : 끼움 결합부, 600 : 등 커버,
700 : 체결구.

Claims (5)

  1. 천장에 장착되고 빛을 조사하는 천장등에 있어서,
    하부 중앙으로 상부를 향해 회로 관통공과 케이스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기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공급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등 케이스;
    상기 등 케이스의 기판 장착부에 장착되고, 케이스 장착공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등 케이스 장착공간에 삽입장착되면서 내부에 나선 결합된 체결구를 통해 천장에 고정되는 위치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 케이스를 구성하는 기판 장착부의 둘레와 상부에는 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 배출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장착부의 케이스 장착공간과 회로기판의 기판 장착공간은 천장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은 일 측 끝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기판 장착공간은 삽입공 및 가이드 공보다 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기판 장착부와 회로기판의 동일선상에는 천장등을 반경 방향을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공간이 더 형성되되,
    상기 위치 조절공간은 일 측 끝단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곡면 형상의 가이드 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기판 장착공간은 삽입공 및 가이드 공보다 큰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장착공간을 구성하는 가이드 공의 외면에는 위치 조절구의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하여 조절구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KR2020160005730U 2016-10-05 2016-10-05 천장등 KR200487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0U KR200487013Y1 (ko) 2016-10-05 2016-10-05 천장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0U KR200487013Y1 (ko) 2016-10-05 2016-10-05 천장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17U true KR20180001017U (ko) 2018-04-13
KR200487013Y1 KR200487013Y1 (ko) 2018-07-26

Family

ID=6196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30U KR200487013Y1 (ko) 2016-10-05 2016-10-05 천장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1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129A (ja) * 2001-08-24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20110034697A (ko) 2008-11-28 2011-04-05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조명기구
KR200455157Y1 (ko) 2011-04-19 2011-08-19 김재성 엘이디 천장등
KR200478164Y1 (ko) * 2014-02-18 2015-09-03 임성규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조명기구
KR101573432B1 (ko) * 2014-03-18 2015-12-01 주식회사 루멘스 렌즈 조립체, 발광 소자 패키지,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백라이트 유닛, 조명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2024B1 (ko) * 2016-02-07 2016-08-29 한국보빈 주식회사 방충을 위한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129A (ja) * 2001-08-24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20110034697A (ko) 2008-11-28 2011-04-05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조명기구
KR200455157Y1 (ko) 2011-04-19 2011-08-19 김재성 엘이디 천장등
KR200478164Y1 (ko) * 2014-02-18 2015-09-03 임성규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조명기구
KR101573432B1 (ko) * 2014-03-18 2015-12-01 주식회사 루멘스 렌즈 조립체, 발광 소자 패키지,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 백라이트 유닛, 조명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2024B1 (ko) * 2016-02-07 2016-08-29 한국보빈 주식회사 방충을 위한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13Y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982B1 (ko) 라인형 led 조명 기구
US8708522B2 (en) Reconfigurable lighting fixture
KR101706023B1 (ko) 천장부착형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1425014B1 (ko) 설치 각도의 가변이 가능한 엘이디 직착등
KR20130008369A (ko)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KR20160000972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조명장치
US20110286204A1 (en) Universal Ceiling Fan Uplight Kit
KR101746555B1 (ko) 가변 고정 수단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200487013Y1 (ko) 천장등
KR20160127216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70514B1 (ko) 엘이디 조명기구용 등 커버 고정장치
KR101159632B1 (ko) 원터치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조명기구
US20130100650A1 (en) Downlight led retrofit kit
KR101781800B1 (ko) 천장 매입형 엘이디 조명기기의 안정기 홀더
KR20170059129A (ko) 조명장치
KR101613999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210462734U (zh) 一种可调节筒灯
JP2006228552A (ja) 照明装置用芯ずれ調整具、ダウンライト形照明装置及び昇降装置付きダウンライト形照明装置
KR101417839B1 (ko) 작업성 향상 조명등
KR101379461B1 (ko) 천장용 led 램프 및 그 사용방법
KR101301937B1 (ko) 전구형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426672B1 (ko) 포커스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01932B1 (ko) 다운 라이트
KR200310384Y1 (ko) 천정등기구
JP3184156U (ja) セード付きled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