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59U -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59U
KR20180000959U KR2020160005644U KR20160005644U KR20180000959U KR 20180000959 U KR20180000959 U KR 20180000959U KR 2020160005644 U KR2020160005644 U KR 2020160005644U KR 20160005644 U KR20160005644 U KR 20160005644U KR 20180000959 U KR20180000959 U KR 20180000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ire
holder portion
wire fix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311Y1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1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10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감아올리는 와이어를 결속시켜 중량물이 와이어로부터 이탈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와이어 고정장치는,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홀더부, 제1 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1 홀더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홀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장치{Wire lock}
본 고안은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감아 올리는 와이어를 결속시켜 중량물이 이탈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에는 대형크레인 등의 이송기기가 설치된다. 화물 등을 적재하거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에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화물 또는 선박 구조블록 등의 중량물을 연결하여 들어올려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보통 외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들어올려지는 중량물의 크기 또한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부피가 큰 대형 중량물의 경우, 와이어로프가 벌어지는 폭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운반되면, 기상 조건 악화로 인해 강풍 등의 상황이 오는 경우, 중량물이 작업장 상공에서 흔들리거나 이탈하여 중량물이 낙하하는 등, 와이어로부터의 이탈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선박의 작업조건 상 하중이 큰 화물이 대다수이므로, 와이어로부터 중량물이 이탈되는 경우, 선체의 손상 뿐만 아니라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이러한 문제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0002403호, (2000. 02. 07)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와이어를결속시켜 와이어로부터 중량물이 이탈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는,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홀더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홀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홀더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홀더부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외주면이 상기 제1 홀더부의 상기 내주면에 접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홀더부의 상기 길이방향 외측으로 양각 또는음각으로 형성되어 공구가 결합하는 공구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부의 일측벽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와 상기 제1 홀더부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주입구는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는, 들어올리고자 하는 중량물에 감겨 벌어져 있는 와이어를 결속시켜 중량물이 와이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중량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는, 외부로 돌출된 공구결합부에 의해 별도의 나사결합 없이도 간단한 회전조작만으로 와이어를 결속시킬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1)는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11)가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홀더부(10), 제1 홀더부(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제1 홀더부(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21)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홀더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1)는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의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림에 따라 벌어져 있는 와이어(W, 도 3 참조)를 결속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홀더부(20)의 양단에 형성된 공구결합부(22)가 제1 홀더부(10)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어, 이를 통해 공구를 통한 간단한 회전만으로도 와이어(W)를 와이어 고정장치(1) 내부로 가두 듯 결속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1)는 중량물을 감아올릴 때 벌어지게 되는 와이어(W)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결속시켜 와이어(W)로부터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며,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해 별도의 볼트 및 너트 등을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작업을 간소화하여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와이어 고정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와이어 고정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가 체결되어 와이어를 결속할 수 있는 구조이다.
제1 홀더부(10)는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11)가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부(10)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40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나사산(40a)에 의해 제2 홀더부(20)의 제2 나사산(40b)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홀더부(20)는 외경이 제1 홀더부(10)의 내경과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2 홀더부(20)의 외주면은 제1 홀더부(10)의 내주면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홀더부(20)의 외주면에는 제1 홀더부(10)의 제1 나사산(40a)과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40b)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 설치시에도 이탈 없이 용이하게 제1 홀더부(10) 내측으로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홀더부(20)도 제1 홀더부(10)와 마찬가지로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21)가 형성됨에 따라, 제2 홀더부(20)의 회전에 의해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의 중첩 또는 제1 삽입구(11)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홀더부(20)의 양 말단에는 공구결합부(2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구결합부(22)는 제2 홀더부(20)를 제1 홀더부(10)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공구가 결합하는 곳으로, 이러한 공구결합부(22)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양각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공구에 의해 파지하기 쉽도록 일정한 각이 형성된 기둥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된 공구결합부(22)를 파지하여 제2 홀더부(20)를 제1 홀더부(10)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각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공구가 삽입되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돌출부를 가지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구조일 수도 있고, 막대 형상의 공구가 완전히 관통하여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지는 구조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구결합부(22)의 구조를 이용하여, 제2 홀더부(20)의 회전 동작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제2 홀더부(20)는 공구결합부(2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1 홀더부(10)에 비해 양단의 공구결합부(22)의 길이만큼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구결합부(22)는 제2 홀더부(20)의 일측 말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조건과 위치에 맞게 제2 홀더부(20)의 양측 말단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고정장치는, 제1 홀더부(10)와 나사결합하는 제2 홀더부(20)를 회전시켜, 제2 홀더부(20)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어가 통과하는 제1 삽입구(11)는 제1 홀더부(10)의 일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홀더부(10)의 일측벽과 연결부(30)가 접하는 곳에 형성되어, 와이어(W)가 와이어 고정장치에 삽입되기 직전에 일차적으로 와이어를 모아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W)가 제2 홀더부(20) 내부로 수용되면 제2 홀더부(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제2 삽입구(21)와 제1 삽입구(11)의 중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를 완전히 중첩시켜 와이어(W)를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와이어를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제2 홀더부(20)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더부(20)를 회전시켜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의 중첩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어, 제2 홀더부(20)의 회전을 통해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의 중첩을 조절하여 제1 홀더부(10)의 제1 삽입구(11)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홀더부(20)를 조금만 회전시켜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가 일부 중첩되는 상태이더라도, 와이어(W)의 직경이 제1 삽입구(11)와 제2 삽입구(21)가 중첩되는 폭 보다 큰 경우, 와이어는 제1 삽입구(11)에 가로막혀 제2 삽입구(21)를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홀더부(10) 사이에는 제1 홀더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작업 대상이 되는 중량물의 폭에 맞는 연결부(30)의 길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홀더부(10)와 연결부(30)에는 각각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주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주입구(31)는 제1 홀더부(10)의 일측벽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 사이와 제1 홀더부(10) 외부를 연통할 수 있고, 또한, 연결부(30)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오일주입구(31)의 일단부가 연결부(30)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모두 연통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연결부(30) 외측에 형성된 오일주입구(31)로 윤활제 또는 오일을 주입하면, 연통되어 있는 통로를 관로로 삼아 윤활제 또는 오일이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에 형성된 나사산까지 흘러갈 수 있는 것이다.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 사이로 윤활제 또는 오일이 도달하면, 제1 홀더부(10)와 제2 홀더부(20)가 접하여 형성된 나사산(40)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홀더부(10) 또는 제2 홀더부(20)에 전체적으로 오일 코팅이 가능해진다.
오일주입구(31)로 주입되는 물질은 오일만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홀더부(10)로부터 제2 홀더부(2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액 등을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오일주입구(31)에 의해 별도의 장치나 처리 없이도 와이어 고정장치(1)를 편리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와이어 고정장치(1)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결속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는 와이어가 감고 있는 중량물(C)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모아진 상태가 되며, 와이어(W)로부터의 중량물(C)의 이탈은 방지된다. 제2 홀더부(20)는 공구결합부(22)를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2 삽입구(21)가 제1 삽입구(11)와 중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에 의한 중첩을 통해 제2 삽입구(21)가 외부로 노출되어 개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에 걸리는 힘에 의해 제2 삽입구(21) 또는 제1 삽입구(11)가 예상치 못하게 개구되어, 유동하는 중량물이 와이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와이어(W) 가 좌우 양측으로 밀어내며 벌어지려고 하는 힘은 제2 홀더부(20)에 회전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제2 삽입구(21)가 개구될 수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 고정장치(1)에 의해 와이어(W)가 중량물(C)을 양쪽으로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상공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W)를 결속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삽입구(21)가 제1 홀더부(10) 내측벽과 맞닿아 있어, 제2 삽입구(21) 와 제1 삽입구(11)의 중첩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와이어(W)가 단단히 결속되고, 개구된 제1 삽입구(11)를 통해 제2 홀더부(20)의 외주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간단히 와이어(W)의 결속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부피가 있는 중량물(C)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도르래에 감기는 와이어 등에도 도르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와이어 고정장치
10: 제1 홀더부 11: 제1 삽입구
20: 제2 홀더부 21: 제2 삽입구
22: 공구결합부 30: 연결부
31: 오일주입구 40: 나사산
40a: 제1 나사산 40b: 제2 나사산
C: 중량물

Claims (5)

  1.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홀더부;
    상기 제1 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홀더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며, 일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홀더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홀더부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외주면이 상기 제1 홀더부의 상기 내주면에 접하여 나사결합되는 와이어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제1 홀더부의 상기 길이방향 외측으로 양각 또는음각으로 형성되어 공구가 결합하는 공구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부의 일측벽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와 상기 제1 홀더부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주입구는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고정장치.
KR2020160005644U 2016-09-29 2016-09-29 와이어 고정장치 KR200487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44U KR200487311Y1 (ko) 2016-09-29 2016-09-29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44U KR200487311Y1 (ko) 2016-09-29 2016-09-29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59U true KR20180000959U (ko) 2018-04-06
KR200487311Y1 KR200487311Y1 (ko) 2018-09-04

Family

ID=6196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644U KR200487311Y1 (ko) 2016-09-29 2016-09-29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141A (zh) * 2021-10-15 2021-12-31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用吊具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03A (ko) 1998-06-19 2000-01-15 김영환 파워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뮤트 제어장치
KR20050115760A (ko) * 2004-06-05 2005-12-08 김사현 로프의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03A (ko) 1998-06-19 2000-01-15 김영환 파워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뮤트 제어장치
KR20050115760A (ko) * 2004-06-05 2005-12-08 김사현 로프의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141A (zh) * 2021-10-15 2021-12-31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一种电缆铺设用吊具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311Y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0269A (en) Telescopic turnbuckle
CA2824780C (en) Transport device
US6017071A (en) Swiveling hoist assembly
US4223869A (en) Load binder apparatus
KR200477884Y1 (ko) 중장비용 고리의 안전장치
EP2388227A1 (de) Kranhaken mit einer Hakengewichtsanordnung
KR200487311Y1 (ko) 와이어 고정장치
KR20170038177A (ko) 나사 연결체를 위한 인장 디바이스, 나사 연결체를 조이기 위한 방법 및 나사산구비 너트
US4131264A (en) Load binder apparatus
JP4757243B2 (ja) 落下防止具
US3933390A (en) Attachment devices for underwater salvage
EP2461441A2 (en) wheel for installing cables
US5842729A (en) Lifting tongs device
US10099900B2 (en) Clamp device for lifting equipment and other items to an elevated position
ES2795051T3 (es) Prensa de vulcanización móvil
US6719241B2 (en) Cable tie-off device for cable lifts
CN108770632A (zh) 无人攀爬式伐树辅助系绳装置
JPS6015009Y2 (ja) ロ−プよりもどし装置
EP3210873A1 (en) Line tensioner
CN221051367U (zh) 一种水下航行体艇上放线装置的专用吊索具
KR102653912B1 (ko) 밀폐공간 작업 및 구조용 클램프
US9273797B2 (en) Chain valve release tool
US20060169959A1 (en) Pulley and hoist adapter for bolts all-thread rods
CN214527746U (zh) 一种防尘省力的防风拉索
AU2012210854B8 (en) Trans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