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78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78A
KR20180000878A KR1020160079117A KR20160079117A KR20180000878A KR 20180000878 A KR20180000878 A KR 20180000878A KR 1020160079117 A KR1020160079117 A KR 1020160079117A KR 20160079117 A KR20160079117 A KR 20160079117A KR 20180000878 A KR20180000878 A KR 20180000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housing
flow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419B1 (ko
Inventor
임형석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6007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측부에 측부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배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고 상부로 유동시키며 상기 측부배출홀로 공기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제1 팬,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팬이 유동시킨 공기를 상기 상부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제2 팬 및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보다 향상된 풍량 및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황사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문제가 심화되면서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실내에 공기청정기와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생활환경을 만드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설치된 공간으로 토출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며, 이때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등과 같은 장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과정에서 두 개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공기청정기의 제조에 있어서 두 개의 필터를 제조 및 설치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교환에 있어서도 두 개의 필터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필터교체와 같은 유지관리비용이 두 배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설치되므로, 실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공기청정기의 인근에서 다시 공기청정기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에 두 개의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두 개의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에 와류가 발생하여 공기청정기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보다 향상된 풍량 및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전면부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측부에 측부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배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고 상부로 유동시키며 상기 측부배출홀로 공기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제1 팬,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팬이 유동시킨 공기를 상기 상부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제2 팬 및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제1 팬이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전면부 및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동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동하우징은 상기 제1 팬이 상부로 유동시키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모듈의 양측부로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1 팬의 상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동유도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제2 팬이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유동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동하우징은 상기 유입홀의 일부와 상기 상부배출홀이 연통되는 보조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동하우징은 상기 보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일측에 상기 제1 팬 및 제2 팬의 구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모듈은 상기 하우징모듈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배출홀은 상기 컨트롤러모듈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복수개의 팬을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풍량의 공기를 3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둘째, 단일의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복수개 팬의 회전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순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1 팬 및 제1 유동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1 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유동유도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에 두 가지 경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1 팬 및 제1 유동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1 팬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유동유도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팬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에 두 가지 경로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일 실시예의 제2 유동하우징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일 실시예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고,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모듈(100), 제1 팬(200), 제1 유동하우징(300), 제2 팬(400), 제2 유동하우징(500), 필터모듈(600) 및 컨트롤러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모듈(10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유입홀(110), 측부배출홀(120) 및 상부배출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1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모듈(10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110)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지 않도록 비교적 작은 크기의 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측부배출홀(120) 및 상부배출홀(130)은 전술한 유입홀(11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측부배출홀(120)은 하우징모듈(10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배출홀(130)은 하우징모듈(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전면부의 유입홀(110)을 통해 유입하여 정화하고, 측부배출홀(120) 및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후술하는 제1 팬(200) 및 제2 팬(400)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팬(200)은 하우징모듈(1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고, 빨아들인 공기를 하우징모듈(100)의 내부 상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모듈(100)의 내부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팬(200)은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서 하부 뒷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방의 공기를 끌어들여 팬의 회전 측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팬(200)은 시로코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동하우징(300)은 전술한 제1 팬(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측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부로 유도하는 구성으로, 제1 팬(2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동하우징(300)은 제1 팬(200)의 측부, 하부, 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전면부 및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팬(200)의 회전에 의해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1 팬(200)의 측부로 유동할 때, 제1 유동하우징(300)의 개방된 부위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전술한 하우징모듈(100)의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배출홀(1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일부는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서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시로코팬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팬(2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주로 우측 상방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가 하우징모듈(100)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배출홀(120)로 나뉘어 토출될 수 있도록, 제1 유동하우징(300)에는 유동유도돌기(310)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동유도돌기(310)는 전술한 제1 팬(200)에 의해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하우징모듈(100)의 양측부로 분산시키기도록, 제1 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유동하우징(300)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측 상방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좌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면과, 우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면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양측부에 형성되는 측부배출홀(120)을 통해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팬(200)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측부배출홀(120)을 통해 토출되지 않고,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서 상부로 지속적으로 유동하여 제2 팬(4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팬(400)은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서 전술한 제1 팬(200)에 의하여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하우징모듈(100)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모듈(10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팬(400)은 하우징모듈(100)의 상부배출홀(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방의 공기를 상방으로 유동시켜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하우징모듈(10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팬(400)은 터보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동하우징(500)은 전술한 제2 팬(400)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유도하는 구성으로, 제2 팬(4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유동하우징(500)은 제2 팬(400)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 팬(200)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510)이 형성되며,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팬(200)의 회전에 의해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가 제2 팬(400)의 회전에 의해 제2 유동하우징(500)의 관통홀(510)을 통해 제2 유동하우징(5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 팬(400)을 통과하여 상부로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는 전술한 하우징모듈(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동하우징(500)은 전술한 하우징모듈(100)의 유입홀(110)의 일부와 상부배출홀(130)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보조유입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유입홀(520)은 제2 유동하우징(500)의 하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모듈(100)의 전면의 유입홀(110)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모듈(100)의 유입홀(1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제2 팬(400)의 회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유입되며, 전술한 제1 팬(200)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제2 팬(4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두 가지 경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첫번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홀(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 팬(200)을 통해 상부로 유동하고, 제2 유동하우징(500)의 관통홀(510)을 통해 제2 팬(400)을 거쳐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배출되는 경로일 수 있다.
또한, 두번째는 유입홀(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제2 유동하우징(500)의 보조유입홀(520)을 통해 바로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로 유동되고, 제2 팬(400)을 거쳐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배출되는 경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팬(200) 및 제2 팬(400)이 모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공기정화장치가 공기를 흡입하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제2 유동하우징(500)은 보조유입홀(5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2 팬(400)의 회전방향을 향해 유도하는 가이드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팬(400)은 상부에서 바라본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팬(200)을 통하여 상부로 공급된 공기는 제2 유동하우징(500)의 관통홀(510)을 거쳐 제2 팬(40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2 팬(400)의 회전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보조유입홀(5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유동하우징(500)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있는 공기와 충돌하여 와류가 발생하거나, 제2 팬(400)의 상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편심되어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522)의 구성을 통해, 보조유입홀(520)이 제2 팬(400)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유입홀(110)로부터 직접적으로 제2 팬(40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가이드부(522)의 구성은 상부배출홀(13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두 가지 경로에서 각각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방향 및 제2 팬(400)의 회전에 따른 회전 등에 영향을 받으며 혼합될 때, 서로 자연스럽게 혼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보조유입홀(520)의 가로막는 경사진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보조유입홀(520)의 방향을 제2 팬(400)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필터모듈(60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하우징모듈(100)의 내부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모듈(600)은 하우징모듈(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유입홀(110)의 내측면을 가로막도록 구비되어, 공기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모듈(600)은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다양한 구성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필터모듈(600)을 단일의 필터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필터의 교환 등과 같은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필터모듈(60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모듈(700)은 사용자가 전술한 제1 팬(200) 및 제2 팬(400)의 구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하우징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모듈(700)을 통하여 사용자는 제1 팬(200) 및 제2 팬(400)의 구동여부 또는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모듈(700)은 하우징모듈(10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모듈(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배출홀(130)은 컨트롤러모듈(700)을 둘러싸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 팬(400)을 통하여 상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부로 토출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가 가동되는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컨트롤러모듈(700)의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제1 팬(200) 및 제2 팬(40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모듈(100)의 일측에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통하여 복수개의 팬을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풍량의 공기를 3방향으로 토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일의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복수개 팬의 회전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모듈
110 : 유입홀 120 : 측부배출홀
130 : 상부배출홀
200 : 제1 팬
300 : 제1 유동하우징
310 : 유동유도돌기
400 : 제2 팬
500 : 제2 유동하우징
520 : 보조유입홀 522 : 가이드부
600 : 필터모듈
700 : 컨트롤러모듈

Claims (8)

  1. 전면부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측부에 측부배출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배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고 상부로 유동시키며 상기 측부배출홀로 공기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제1 팬;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팬이 유동시킨 공기를 상기 상부배출홀로 배출시키는 제2 팬; 및
    상기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모듈;
    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이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전면부 및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동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하우징은,
    상기 제1 팬이 상부로 유동시키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모듈의 양측부로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1 팬의 상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동유도돌기가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이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유동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하우징은,
    상기 유입홀의 일부와 상기 상부배출홀이 연통되는 보조유입홀이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하우징은,
    상기 보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 팬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의 일측에 상기 제1 팬 및 제2 팬의 구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모듈은 상기 하우징모듈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배출홀은 상기 컨트롤러모듈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160079117A 2016-06-24 2016-06-24 공기정화장치 KR10187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117A KR101874419B1 (ko) 2016-06-24 2016-06-24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117A KR101874419B1 (ko) 2016-06-24 2016-06-24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78A true KR20180000878A (ko) 2018-01-04
KR101874419B1 KR101874419B1 (ko) 2018-07-04

Family

ID=6099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117A KR101874419B1 (ko) 2016-06-24 2016-06-24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1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87A1 (ko)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3919A (ko) 2018-02-02 2019-08-12 블루필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 정화 장치
KR20190094971A (ko) 2018-02-06 2019-08-14 블루필 주식회사 개인용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90096900A (ko) 2019-08-12 2019-08-20 블루필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 정화 장치
KR20200065620A (ko) 2018-11-30 2020-06-09 박근배 유해가스 정화시스템
KR20200120247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CN112378068A (zh) * 2020-11-26 2021-02-19 武汉指南房地产经纪服务有限公司 一种健身房内空气净化除菌设备
CN112503708A (zh) * 2020-12-03 2021-03-16 张传保 一种恶臭气体净化设备
KR102384260B1 (ko) 2021-03-02 2022-04-20 153인터내셔널주식회사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KR102433009B1 (ko) 2022-02-11 2022-08-18 주식회사 디보슨 공기청정기 겸용 멸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290B1 (ko) * 2019-08-07 2022-09-01 주식회사 세스코 공기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300B1 (ko) * 2004-05-18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40096971A (ko) * 2013-01-29 2014-08-06 코웨이 주식회사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300B1 (ko) * 2004-05-18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40096971A (ko) * 2013-01-29 2014-08-06 코웨이 주식회사 순환구조 공기조화장치
KR101461849B1 (ko) * 2014-04-15 2014-11-20 박진영 회전식 공기청정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87A1 (ko)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3919A (ko) 2018-02-02 2019-08-12 블루필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 정화 장치
KR20190094971A (ko) 2018-02-06 2019-08-14 블루필 주식회사 개인용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00065620A (ko) 2018-11-30 2020-06-09 박근배 유해가스 정화시스템
KR20200120247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KR20190096900A (ko) 2019-08-12 2019-08-20 블루필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 정화 장치
CN112378068A (zh) * 2020-11-26 2021-02-19 武汉指南房地产经纪服务有限公司 一种健身房内空气净化除菌设备
CN112378068B (zh) * 2020-11-26 2022-10-18 武汉指南房地产经纪服务有限公司 一种健身房内空气净化除菌设备
CN112503708A (zh) * 2020-12-03 2021-03-16 张传保 一种恶臭气体净化设备
KR102384260B1 (ko) 2021-03-02 2022-04-20 153인터내셔널주식회사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KR102433009B1 (ko) 2022-02-11 2022-08-18 주식회사 디보슨 공기청정기 겸용 멸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419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JP2015098028A (ja) 壁掛け式の空気清浄機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JP2019501358A (ja) 空気清浄機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JP2018516754A (ja) 湿式型空気清浄器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10017685A (ja) 空気清浄機
KR20060134620A (ko) 공기청정기
JP2018513955A (ja) 空気清浄機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15222171A (ja) 空気調和機
CN104990153A (zh) 一种空气净化加湿方法和空气净化加湿器
KR20160090222A (ko) 휴대용 에어워셔
KR102327971B1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CN204943692U (zh) 一种空气净化加湿器
JP2013070791A (ja) 空気清浄機
KR102043834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629979B1 (ko) 공기 청정기
JP2013011416A (ja) 空気清浄機及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100674276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615257B1 (ko) 공기조화기
WO2022114150A1 (ja) 地面還気装置及び汚染物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