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60B1 -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60B1
KR102384260B1 KR1020210027589A KR20210027589A KR102384260B1 KR 102384260 B1 KR102384260 B1 KR 102384260B1 KR 1020210027589 A KR1020210027589 A KR 1020210027589A KR 20210027589 A KR20210027589 A KR 20210027589A KR 102384260 B1 KR102384260 B1 KR 10238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isposed
fa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153인터내셔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53인터내셔널주식회사 filed Critical 153인터내셔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살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타워형태의 본체를 포함하고, 공기 유입구는 공기 유출구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며, 공기 유출구는 공기 유입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본체의 반경 측으로 배출시킨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Air purifier using plasma modul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에 과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로 인해 대기 환경오염 및 실내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중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 및 각종 유해가스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이 호흡기를 통해 신체 내부로 침투될 경우 호흡기 질환은 물론,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장치는 넓은 공간에서 사용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큰 부피로 인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고, 투박한 형상으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함은 물론, 고가의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도 있으며, 큰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소형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08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화된 OH 라디칼을 대기중에 휘산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살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폭이 좁고 높이가 긴 타워형 구조를 적용하여 협소한 공간은 물론,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오브제와 같은 설치물로서 활용 가능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타워형태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유출구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반경 측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팬 유닛;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유닛;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로 이동 중인 공기에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상기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즈마 모듈;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유닛 통해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면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상기 플라즈마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수용하고, 둘레에 상기 공기 유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외면의 일 부분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관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절개된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관형의 여과필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플라즈마 모듈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통하는 공기 벤트 홀들이 형성되는 벤트 커버; 및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벤트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벤트 커버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 유닛이 수용되는 커버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벤트 커버와 동축 상태로 정렬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벤트 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공간을 기밀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벤트 커버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은,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가 상향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유닛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제1 팬 지지축들; 상기 제1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고리형상의 팬 지지블록; 상기 팬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팬 지지블록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고, 일 측은 상기 제1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면서 상기 팬 지지블록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타 측은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는 제2 팬 지지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팬 유닛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감지하는 파티클 센서; 및 상기 파티클 센서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클 센서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센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모듈은, 삼각 구조를 갖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둘레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수직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브라켓; 상기 벤트 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핀들;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스페이서 핀들에 체결되어 상기 플라즈마 브라켓을 상기 스페이서 핀들의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재들;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로 유동중인 공기와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공기 중의 수분을 분해하고 활성수소와 산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내부에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을 고정시키는 홀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팬, 상기 파티클 센서,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순환팬,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보드; 상기 커버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물리적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보드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은, 상기 팬 유닛의 상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기;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기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전원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과 상기 플라즈마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정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 입자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대전 유닛; 상기 대전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대전된 상기 미세 입자를 집진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집진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 유닛을 통과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입자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 유닛은, 상기 제2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가 중공된 고정 지지판; 상기 고정 지지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과 연통되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내부 공간에 전계를 형성하는 대전관; 및 상기 대전관을 관통하여 상기 대전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대전관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탄소선재다발을 포함하고, 상기 대전관에 인가되는 전류와, 상기 탄소선재다발에 인가되는 전류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띌 수 있다.
상기 집진 유닛은, 상기 제2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지지되어 상기 대전관과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면서 상기 대전된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면서 상기 대전된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패널들; 및 상기 집진패널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띄면서 상기 집진관과 상기 집진패널들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는 대전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패널들과 상기 대전패널들은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집진관의 내부에 통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통로들은 상기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플라즈마 모듈과, 공기 중의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공기정화 모듈을 함께 구비하므로, 이온화된 OH 라디칼을 대기중에 휘산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살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를 폭이 좁고 높이가 긴 타워형 구조로 적용하므로, 협소한 공간은 물론,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오브제와 같은 설치물로서 활용 가능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팬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센서 유닛 및 전원 공급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플라즈마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커버 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본체에 공기정화 모듈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1)(이하 '공기청정기(1)'라 함)는 공기 유입구(I)와 공기 유출구(O)를 포함하는 타워형태의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하측에서 공기가 유입되고, 상측에서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체(11)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I)는 공기 유출구(O)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본체(1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1)에 마련된 공기 유출구(O)는 공기 유입구(I)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본체(11)의 반경 측으로 배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공기청정기(1)는 팬 유닛(12), 센서 유닛(13), 플라즈마 모듈(14), 제어 유닛(15) 및 전원 공급 유닛(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유닛(12)은 본체(11)에 수용되어 공기 유입구(I)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유닛(12)은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공기 유입구(I)를 통해 본체(11)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공기 유출구(O)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닛(13)은 본체(11)에 수용되어 팬 유닛(12)의 하부에 배치되고, 팬 유닛(12)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 모듈(14)은 본체(11)에 수용되어 공기 유출구(O)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출구(O)로 이동 중인 공기에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15)은 본체(11)에 수용되어 팬 유닛(12), 센서 유닛(13) 및 플라즈마 모듈(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팬 유닛(12) 및 플라즈마 모듈(14)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닛(16)은 본체(11)에 수용되고, 제어 유닛(15) 통해 팬 유닛(12), 센서 유닛(13) 및 플라즈마 모듈(1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 팬 유닛(12), 센서 유닛(13), 플라즈마 모듈(14), 제어 유닛(15) 및 전원 공급 유닛(16)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는 베이스 블록(111)과, 케이스(112)와, 가이드 블록(113)과, 여과필터(114)와, 벤트 커버(115)와, 커버 캡(11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블록(111)은 지면(G)에 지지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블록(111)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G)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 유입구(I)와 연통되는 유로(1121)를 형성할 수 있다.
관형태로 형성된 케이스(112)는 베이스 블록(111)에 결합되어 지면(G)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내부에 팬 유닛(12), 센서 유닛(13), 플라즈마 모듈(14) 및 전원 공급 유닛(16)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12)의 둘레에는 공기 유입구(I)가 복수로 형성되고, 케이스(112)의 외면의 일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3)은 케이스(1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12)의 절개된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블록(113)은 케이스(112)의 절개된 부분에 결합되면서, 케이스(112)에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유로(1121)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113)의 일면에는 센서 유닛(13) 및 전원 공급 유닛(16)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블록(113)은 일면에 결합된 센서 유닛(13) 및 전원 공급 유닛(16)을 지지할 수 있다.
여과필터(114)는 케이스(112)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필터(114)는 케이스(112)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공기 유입구(I)를 통해 유로(112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벤트 커버(115)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원통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112)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플라즈마 모듈(14)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벤트 커버(115)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유로(1121)와 공기 유출구(O)를 연통하는 공기 벤트 홀들(115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캡(116)은 벤트 커버(115)에 결합되어 벤트 커버(11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캡(116)은 축방향을 따라 벤트 커버(115)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어 커버 캡(116)과 벤트 커버(115) 사이에 공기 유출구(O)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캡(116)의 내부에는 제어 유닛(15)이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캡(116)은 하우징부(1161) 및 커버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61)는 벤트 커버(115)에 결합되어 벤트 커버(115)와 동축 상태로 정렬되는 결합부(1161A) 및 결합부(1161)로부터 연장되어 축방향을 따라 벤트 커버(115)에 대향 배치되는 수용부(1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62)는 하우징부(116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161)의 내부공간을 기밀시킬 수 있다.
공기 유출구(O)를 형성하는 벤트 커버(115)의 상면(1152)과, 하우징부(1161)의 하면(1161C)은, 공기 유출구(O)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가 상향으로 확산되도록, 지면(G)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팬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팬 유닛(12)은 베이스 블록(111)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제1 팬 지지축들(121)과, 제1 팬 지지축들(121)에 결합되어 베이스 블록(1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고리형상의 팬 지지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2)은 팬 지지블록(12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순환팬(123)과, 팬 지지블록(122)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고, 일 측은 제1 팬 지지축들(121)에 결합되면서 팬 지지블록(122)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타 측은 벤트 커버(115)에 결합되는 제2 팬 지지축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센서 유닛 및 전원 공급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유닛(13)은 팬 유닛(12)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감지하는 파티클 센서(131)와, 파티클 센서(131)를 내부에 수용하고, 가이드 블록(113)에 결합되어 파티클 센서(131)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센서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플라즈마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모듈(14)은 삼각 구조를 갖는 수평 플레이트(1411)와, 수평 플레이트(1411)의 둘레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수직 플레이트들(1412)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브라켓(141)과, 벤트 커버(115)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핀들(14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모듈(14)은 수평 플레이트(1411)를 관통하면서 스페이서 핀들(142)에 체결되어 플라즈마 브라켓(141)을 스페이서 핀들(142)의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재들(14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모듈(14)은 수직 플레이트들(1412)에 각각 배치되고, 공기 유출구(O)로 유동중인 공기와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공기 중의 수분을 분해하고 활성수소와 산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과, 내부에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을 수용하고, 수직 플레이트들(1412)에 결합되어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을 고정시키는 홀더들(1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은 마이크로 플라즈마 방전으로 공기 중의 수분을 분해하여 수소양이온(H+)을 발생시키는 판상 전극(+전극)과, 고전압 전자 방사에 의해 산소이온(O₂-)생성과 함께 전극표면의 전자가 +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양이온(H+)과 반응하여 활성수소(H) 생성하는 침상 전극(-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에 의해 생성된 활성수소(H)와 산소이온(O₂-)이 결합하여 하이드로페록시래디컬(HOO-)로 생성되고, 생성된 하이드로페록시래디컬(HOO-)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유해물질(각종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을 포위하고 단백질 구조의 수소 결합을 파괴하여 공기를 살균 처리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커버 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15)은 하우징부(1161)에 수용되어 순환팬(123), 파티클 센서(131),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 및 전원 공급 유닛(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순환팬(123),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144) 및 전원 공급 유닛(16)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보드(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15)은 커버부(1162)에 배치되어 제어보드(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물리적 압력에 대응하여 제어보드(151)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152)와, 커버부(1162)에 배치되어 제어보드(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유닛(16)은, 팬 유닛(12)의 상부공간에 수용되어 제어보드(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기(161)와, 가이드 블록(113)에 결합되어 전원 공급기(161)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전원 브라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의 본체에 공기정화 모듈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공기청정기(1)는 공기정화 모듈(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정화 모듈(17)은 본체(11)에 수용되어 팬 유닛(12)과 플라즈마 모듈(14)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정화 모듈(17)은 팬 유닛(12)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 입자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대전 유닛(171)과, 대전 유닛(171)의 상부에 배치되고, 대전된 미세 입자를 집진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172)과, 집진 유닛(172)의 상부에 배치되고, 집진 유닛(172)을 통과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입자 측정 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 유닛(171)은 제2 팬 지지축들(124)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가 중공된 고정 지지판(1711)과, 고정 지지판(1711)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 지지판(1711)과 연통되고,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내부 공간에 전계를 형성하는 대전관(1712)과, 대전관(1712)을 관통하여 대전관(1712)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켜 대전관(1712)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탄소선재다발(17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전관(1712)에 인가되는 전류와, 탄소선재다발(1713)에 인가되는 전류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띌 수 있다.
집진 유닛(172)은 제2 팬 지지축들(124)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클램프(1721)와, 클램프(1721)에 지지되어 대전관(1712)과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면서 대전된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관(1722)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유닛(172)은 집진관(1722)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고,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면서 대전된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패널들(1723)과, 집진패널들(1723) 사이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대전된 미세 입자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띄면서 집진관(1722)과 집진패널들(1723)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는 대전패널들(17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집진패널들(1723)과 대전패널들(1724)은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집진관(1722)의 내부에 통로들(1722A)을 형성할 수 있다.
교번 배치된 집진패널들(1723)과 대전패널들(1724)에 의해 형성된 통로들(1722A)은 본체(11)의 축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형성되어,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살균 처리하는 플라즈마 모듈(14)과, 공기 중의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공기정화 모듈(17)을 함께 구비하므로, 이온화된 OH 라디칼을 대기중에 휘산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살균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를 폭이 좁고 높이가 긴 타워형 구조로 적용하므로, 협소한 공간은 물론,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오브제와 같은 설치물로서 활용 가능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공기청정기
11. 본체
I. 공기 유입구
O. 공기 유출구
111. 베이스 블록
112. 케이스
1121. 유로
113. 가이드 블록
114. 여과필터
115. 벤트 커버
1151. 공기 벤트 홀들
1152. 상면
116. 커버 캡
1161. 하우징부
1161A. 결합부
1161B. 수용부
1161C. 하면
1162. 커버부
12. 팬 유닛
121. 제1 팬 지지축들
122. 팬 지지블록
123. 순환팬
124. 제2 팬 지지축들
13. 센서 유닛
131. 파티클 센서
132. 센서 브라켓
14. 플라즈마 모듈
141. 플라즈마 브라켓
1411. 수평 플레이트
1412. 수직 플레이트들
142. 스페이서 핀들
143. 브라켓 고정부재들
144.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145. 홀더들
15. 제어 유닛
151. 제어보드
152. 입력부
153. 표시부
16. 전원 공급 유닛
161. 전원 공급기
162. 전원 브라켓
17. 공기정화 모듈
171. 대전 유닛
1711. 고정 지지판
1712. 대전관
1713. 탄소선재다발
172. 집진 유닛
1721. 클램프
1722. 집진관
1722A. 통로들
1723. 집진패널들
1724. 대전패널들
173. 보조 입자 측정 센서
G. 지면

Claims (3)

  1.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타워형태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 유출구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반경 측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팬 유닛;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팬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유닛;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로 이동 중인 공기에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상기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즈마 모듈;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팬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플라즈마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지면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팬 유닛, 상기 센서 유닛, 상기 플라즈마 모듈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수용하고, 둘레에 상기 공기 유입구가 복수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외면의 일 부분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관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절개된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지지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관형의 여과필터;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플라즈마 모듈이 결합되어 지지되며,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통하는 공기 벤트 홀들이 형성되는 벤트 커버; 및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벤트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벤트 커버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어 유닛이 수용되는 커버 캡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벤트 커버와 동축 상태로 정렬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벤트 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공간을 기밀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벤트 커버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은,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가 상향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팬 유닛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제1 팬 지지축들;
    상기 제1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고리형상의 팬 지지블록;
    상기 팬 지지블록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팬 지지블록의 상면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고, 일 측은 상기 제1 팬 지지축들에 결합되면서 상기 팬 지지블록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타 측은 상기 벤트 커버에 결합되는 제2 팬 지지축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팬 유닛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감지하는 파티클 센서; 및
    상기 파티클 센서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클 센서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센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즈마 모듈은,
    삼각 구조를 갖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둘레에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수직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브라켓;
    상기 벤트 커버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핀들;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상기 스페이서 핀들에 체결되어 상기 플라즈마 브라켓을 상기 스페이서 핀들의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고정부재들;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출구로 유동중인 공기와 접촉되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공기 중의 수분을 분해하고 활성수소와 산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를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내부에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을 수용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을 고정시키는 홀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팬, 상기 파티클 센서,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순환팬, 상기 플라즈마 이온 유닛들 및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보드;
    상기 커버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물리적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보드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상기 커버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유닛은,
    상기 팬 유닛의 상부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기; 및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기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전원 브라켓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팬 유닛과 상기 플라즈마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정화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 모듈은,
    상기 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 입자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대전 유닛;
    상기 대전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대전된 상기 미세 입자를 집진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집진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 유닛을 통과한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입자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KR1020210027589A 2021-03-02 2021-03-02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KR10238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589A KR102384260B1 (ko) 2021-03-02 2021-03-02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589A KR102384260B1 (ko) 2021-03-02 2021-03-02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260B1 true KR102384260B1 (ko) 2022-04-20

Family

ID=8139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589A KR102384260B1 (ko) 2021-03-02 2021-03-02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78A (ko)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교원 공기정화장치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JP2018532975A (ja) * 2015-09-14 2018-11-08 ハ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小型空気清浄機
KR101986780B1 (ko) * 2018-01-22 2019-06-07 주식회사 숨터 융합형 나노워셔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2975A (ja) * 2015-09-14 2018-11-08 ハ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小型空気清浄機
KR20180000878A (ko)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교원 공기정화장치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KR101986780B1 (ko) * 2018-01-22 2019-06-07 주식회사 숨터 융합형 나노워셔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32206B (zh) 具气体监测的行动装置
WO2010023979A1 (ja) イオン検出装置及びイオン発生装置
US5180404A (en) Corona discharge arrangements for th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by the corona discharge
KR100737447B1 (ko) 살균방법, 살균장치, 이온발생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전기기기 및 공기정화장치
KR101112002B1 (ko) 집진 시스템
CN209188372U (zh) 具气体监测的行动装置
KR100971031B1 (ko) 이온 이동도 분광기
TWM567364U (zh) Gas detection device
KR20180021779A (ko) 플라스마 주입 공기 여과 및 멸균 시스템
EP4015925A1 (en) Method of filtering indoor air pollution
CN116099662A (zh) 电晕放电式空气净化装置
US20210245088A1 (en) Miniature gas detec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384260B1 (ko) 플라즈마 모듈을 활용한 공기청정기
JP5242673B2 (ja) 検出器およびイオン源
KR20090104034A (ko) 검출 장치 및 예비-농축기
US11944935B2 (en) Gas detection purification device
US7098462B2 (en) Microfabricated device for selectively removing and analyzing airborne particulates from an air stream
RU2503083C1 (ru)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спектрометр ионной подвижности
KR101007730B1 (ko) 지능형 공기 정화 시스템
KR100545455B1 (ko) 내부 정화기능을 갖는 가스 식별 장치
KR101990892B1 (ko) 이온 이동도 분광기
TWI698633B (zh) 具氣體監測之行動裝置
CN114450039A (zh) 电晕放电区中的成分分离方法和使用所述方法的无臭氧消毒器
KR101068827B1 (ko) 유량라인이 일체화된 드리프트 튜브장치
WO2011075992A1 (zh) 过滤装置、过滤方法以及痕量检测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