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88U - 카드 리더기 - Google Patents

카드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788U
KR20180000788U KR2020160005312U KR20160005312U KR20180000788U KR 20180000788 U KR20180000788 U KR 20180000788U KR 2020160005312 U KR2020160005312 U KR 2020160005312U KR 20160005312 U KR20160005312 U KR 20160005312U KR 20180000788 U KR20180000788 U KR 201800007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ader
insertion port
unit
card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788U/ko
Publication of KR2018000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the housing being a portabl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신용 카드 업무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는,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프린터 출력부, 제 1, 2 카드 삽입구를 포함하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린터 출력부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신용 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드 리더기는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중계 서버 또는 VAN사 서버와 연결되어 IC 카드 결제 업무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IC 카드는 카드에 정보를 수록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자기띠 방식을 이용하는 마그네틱 카드와, 직접회로(Integrated Circuit; IC)칩을 내장하는 스마트 카드라고 불리는 IC 카드가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는 접촉식 카드이고, IC 카드는 비접촉식 카드라고 한다.
상기 접촉식 카드는 자기 띠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띠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접촉식 카드의 자기띠를 읽기 위해 별도로 접촉식 카드 리더기가 필요하다. 즉, 상기 접촉식 카드 리더기는 자기 헤드가 구비되어 있고, 카드 삽입구를 제공하며, 상기 카드 삽입구에 상측에서 하측방향 또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카드를 통과시키면 접촉식 카드의 이면에 부착된 자기 띠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기 헤드가 판독하여 화면으로 출력시키며, 이후 여러 정보를 조회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접촉식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와,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키입력부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프린터 출력부 및 커터부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카드를 삽입하는 카드 삽입구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촉식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에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프린터 출력부 및 카드 삽입구를 모두 분리되어 각각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카드 리더기의 크기 및 부피가 커지고, 이로인해 카드 리더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이 낮은 요인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카드 리더기의 디스플레이, 프린터 출력부 및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장치가 필요할 실정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제 1, 2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리더기 본체에 디스플레이부, 프린터 출력부 및 제 1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회전하는 커버부를 구성한 비접촉식 카드 및 접촉식 카드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카드 리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는,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프린터 출력부, 제 1, 2 카드 삽입구를 포함하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린터 출력부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더기 본체에 디스플레이부, 프린터 출력부 및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회전하는 커버부를 구성하여 커버부의 회전에 따라 리더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이로인해 프린터 출력부의 출력용지의 교체 및 제품의 다른 부품들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더기 본체에 비접촉식 카드(예컨데, IC 카드등)를 삽입 및 분리시키는 제 1 카드 삽입구 및 접촉식 카드(예컨데, 마그네틱 카드등)를 통과시키는 제 2 카드 삽입구를 구성함으로써, 비접촉식 카드 및 접촉식 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의 커버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의 커버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를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를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측면에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신용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신용 카드는 비접촉식 카드 및 접촉식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드기(100)는 비접촉식 카드 및 접촉식 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접촉식 카드는 IC 카드(160; 도 1에 도시됨)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접촉식 카드(미도시 됨)는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00)내에는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 및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 및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부(미도시 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은 상기 비접촉식 카드내에 구비된 IC칩(미도시 됨)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 리더부(미도시 됨)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접촉식 카드를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 도 1에 도시됨)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리더부가 상기 비접촉식 카드의 IC 칩의 정보를 읽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는 상기 IC 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비접촉식 카드가 상기 리더부와 비접촉될 수 있는 카드의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은 상기 접촉식 카드에 구비된 자기 띠(미도시 됨)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도록 MSR(Magnetic Strip Reader)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기 헤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식 카드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형성된 제 2 카드 삽입구(115; 도 1에 도시됨)를 통과시 상기 접촉식 카드의 자기띠(미도시 됨)가 상기 자기 헤드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부는 상기 접촉식 카드의 자기띠 데이터를 감지하여 읽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식 카드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접촉식 카드는 상기 자기 헤드부(미도시 됨)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부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카드의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 및 상기 IC 카드를 모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전자 장치(미도시 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100)의 커버부(120)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100)의 커버부(120)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1), 키입력부(112), 프린터 출력부(113) 및 제 1, 2 카드 삽입구(114)(115)를 포함하는 리더기 본체(110) 및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1),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를 일체로 구비하여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1), 프린터 출력부(113) 및 제 1 카드 삽입구(114)를 일체로 함께 구비한 커버부(120)를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버 힌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커버 힌지부(13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리더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4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40)에는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의 출력 용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140)에 출력 용지(150)이외에 다른 부품들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카드 삽입구(115)는 상기 리더기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는 비접촉식 카드인 IC 카드(160)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카드 삽입구(115)는 접촉식 카드인 마그네틱 카드(미도시 됨)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 디스플레이부(111), 프린터 출력부(113) 및 제 1 카드 삽입구(114)를 일체로 구비하여 회전하는 커버부(120)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커버 힌지부(130)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를 회전하여 리더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40)을 개폐함으로써, 프린터 출력부(113)의 출력용지(15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카드 삽입구(114)에 사용자의 IC 카드(160)를 삽입하고,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 구비된 리더부(114a)가 IC 카드(160)의 정보를 읽어내고, 키입력부(112)를 통하여 외부에서 다이얼 번호 등을 입력하며,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하여 외부에서 거래 상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거래 결과에 따른 영수증 등은 프린터 출력부(113)를 통하여 거래자들이 문서의 형태로 받아볼 수 있도록 출력된다. 상기 프린터 출력부는 출력 용지(150)를 외부로 배출하고, 배출된 출력 용지(150)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있다. 예를들면,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는 커터부(113a)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부(113a)는 출력된 출력 용지(150)를 절단하여 출력 슬롯(113b)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에는 IC 카드(160)의 정보를 읽어 내는 리더부(114a)가 모듈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더부(114a)는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출력 용지(150)를 다사용하여 교환이 필요할 경우,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 구비된 커버부(120)를 잡고 리더기 본체(110)의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더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4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 구비된 커버 힌지부(130)에 의해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1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120)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11),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리더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40)에서 다사용한 출력 용지(150)를 빼낸 다음 새로운 출력 용지(150)로 교체하고, 다시 상기 커버부(120)를 상기 커버 힌지부(130)에 의해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부 공간(140)을 닫는다. 이때, 상기 커버부(120)의 일체로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11),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도 함께 역으로 회전하여 다시 원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에 비접촉식 카드인 IC 카드를 삽입하면, 앞서 언급한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IC 카드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가 접촉식 카드인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상기 카드 리더기(100)에 구비된 상기 제 2 카드 삽입구(115)에 통과시키면, 상기 카드 리더기(100)에 구비된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자기 헤드부)이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자기 띠(미도시 됨)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하여 읽는다. 상기 접촉식 카드에 대한 카드 리더기(100)의 동작 설명은 앞서 설명하여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의 출력용지(150)를 교체시 간편하게 커버부(120)를 회전한 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출력 용지(150)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120)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11),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가 상기 커버부(12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1), 상기 프린터 출력부(113)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114)를 리더기 본체(110)에 구비하지 않고, 커버부(120)에 구비하여 제품의 설치 공간을 줄여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공간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200)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202)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카드 리더기(200)의 제 1 카드 삽입구(20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서 앞서 설명하여 생략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200)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202)를 디스플레이부(201)의 좌측면에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200)는 디스플레이부(201), 키입력부(212), 프린터 출력부(미도시 됨) 및 제 1 카드 삽입구(202)를 리더기 본체(210)에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 상기 프린터 출력부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좌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비접촉식 카드인 IC 카드(26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좌측면에 배치된 제 1 카드 삽입구(202)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리더기 본체(210)에 구비된 리더부(미도시 됨)가 IC 카드(260)의 정보를 읽어내고, 키입력부(212)를 통하여 외부에서 다이얼 번호 등을 입력하며,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하여 외부에서 거래 상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접촉식 카드인 마그네틱 카드(미도시 됨)를 상기 리더기 본체(210)의 측면에 구비된 제 2 카드 삽입구(215)에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더기 본체(210)에 구비된 자기 헤드부(미도시 됨)가 마그네틱 카드(260)에 구비된 자기띠의 정보를 읽어내고, 키입력부(212)를 통하여 외부에서 다이얼 번호 등을 입력하며,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하여 외부에서 거래 상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의 좌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202)에 IC 카드(260)의 삽입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한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300)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302)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리더기(300)의 구성 중 제 1 카드 삽입구(302)를 디스플레이부(301)의 상면 및 좌측면이 아닌 우측면에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300)는 디스플레이부(301), 키입력부, 프린터 출력부(미도시 됨) 및 제 1 카드 삽입구(302)를 리더기 본체(310)에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 본체(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3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30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1)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비접촉식 카드인 IC 카드(36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1)의 우측면에 배치된 제 1 카드 삽입구(302)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리더기 본체(310)에 구비된 리더부(미도시 됨)가 IC 카드(360)의 정보를 읽어내고, 키입력부(312)를 통하여 외부에서 다이얼 번호 등을 입력하며, 디스플레이부(301)를 통하여 외부에서 거래 상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접촉식 카드인 마그네틱 카드(미도시 됨)를 상기 리더기 본체(310)의 측면에 구비된 제 2 카드 삽입구(315)에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더기 본체(310)에 구비된 자기 헤드부(미도시 됨)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에 구비된 자기띠의 정보를 읽어내고, 키입력부(312)를 통하여 외부에서 다이얼 번호 등을 입력하며, 디스플레이부(301)를 통하여 외부에서 거래 상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30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1)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302)에 IC 카드(360)의 삽입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카드 리더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카드 리더기 : 100 리더기 본체 : 110, 210, 310
디스플레이부 : 111, 201, 301 키입력부 : 112, 212, 312
프린터 출력부 : 113 제 1 카드 삽입구 : 114, 202, 302
제 2 카드 삽입구 :115, 215, 315
커버부 : 120, 220, 320 커버 힌지부 : 130, 230, 330
내부 공간 : 140 출력 용지 : 150
IC 카드 : 160, 260, 360

Claims (7)

  1.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프린터 출력부, 제 1, 2 카드 삽입구를 포함하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프린터 출력부 및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여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 본체에는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커버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리더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프런터 출력부의 출력 용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 삽입구는 비접촉식 카드를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제 2 카드 삽입구는 접촉식 카드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는 IC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KR2020160005312U 2016-09-08 2016-09-08 카드 리더기 KR201800007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12U KR20180000788U (ko) 2016-09-08 2016-09-08 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12U KR20180000788U (ko) 2016-09-08 2016-09-08 카드 리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88U true KR20180000788U (ko) 2018-03-16

Family

ID=6180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12U KR20180000788U (ko) 2016-09-08 2016-09-08 카드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78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1558A (ja) * 2019-04-24 2020-1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決済端末
KR20220126524A (ko) * 2021-03-09 2022-09-16 (주) 제이티아이 카드리더모듈이 분리되는 카드 단말기
US11935026B2 (en) 2019-04-24 2024-03-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ayment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1558A (ja) * 2019-04-24 2020-1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決済端末
US11935026B2 (en) 2019-04-24 2024-03-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ayment terminal
KR20220126524A (ko) * 2021-03-09 2022-09-16 (주) 제이티아이 카드리더모듈이 분리되는 카드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996B1 (en) Memory card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rough single wire protocol
US10140609B2 (en) Integrated point of sale (POS) mobile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140114861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ped communicator
US20120122520A1 (en) Payment-enabled mobile telephone assembly
US20120280035A1 (en) Magnetic stripe-based transactions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6291054B2 (ja) カードリーダ
KR20180000788U (ko) 카드 리더기
CN105989403B (zh) 存储卡的存取装置及存储卡存取装置的控制方法
US20180278730A1 (en) Plastic metal hybrid house of a sale-integrated transaction mobile device
EP2573715A2 (en) Microsd device loaded with a smart card
US10579838B2 (en) Integrated card swiping device
TWM494362U (zh) 可攜式支付裝置
CN101840486A (zh) 一种改进的sd卡转换器
US8127996B1 (en) Customizable portable identification and memory device
CA2992461C (en) Digital wallet
KR20180046637A (ko) 카드 리더기
KR200487752Y1 (ko)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Mahajan et al. Smart card: Turning point of technology
US20030168511A1 (en) Card reader system for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JP7482468B1 (ja) 携帯型決済端末
US20060017673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030191882A1 (en) Integrated multi-function storing means
CN208077118U (zh) 一种安全键盘
KR20100054432A (ko) 슬라이드 방식의 usb 메모리 장치
TWM486816U (zh) 可裝卸與收納之卡片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