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53U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기둥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753U KR20180000753U KR2020160005227U KR20160005227U KR20180000753U KR 20180000753 U KR20180000753 U KR 20180000753U KR 2020160005227 U KR2020160005227 U KR 2020160005227U KR 20160005227 U KR20160005227 U KR 20160005227U KR 20180000753 U KR20180000753 U KR 2018000075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ner
- piece
- plate
- prefabricated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감재를 기둥에 조립식으로 연결되게 하여 마감재가 부분적으로 오염되거나 파손되었을 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유지, 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조립식 설치가 가능하여 개별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면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하고,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외면 마감부재의 수축 변형이 발생할 때 모서리 마감부재의 텐션을 통하여 변형으로 인한 유격 발생에 따른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재를 기둥에 조립식으로 연결되게 하여 마감재가 부분적으로 오염되거나 파손되었을 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유지, 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정자(亭子), 파고라(pergola), 쉘터(shelter), 벤치(bench) 등의 조경시설물은 수개의 기둥에 지붕이나 상판을 결합 구성한 형태로서, 통상의 조경 시설물용 기둥은 사각이나 원형 등으로 형성된 목제, 철제 및 알루미늄제 기둥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철제 및 알루미늄제 기둥골조에 목제 마감재를 피스 내지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한 종래 기둥 중 나무, 철 내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단독 구성의 기둥은 일부가 녹이 슬거나 하는 따위의 오염이 되었거나 일부분만 파손되더라도 기둥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시 교체로 인한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기둥은 외관상으로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정형화된 외형에 단순히 도색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조경시설물용 기둥을 일정한 규격의 철 및 알루미늄 골조에 목제 마감재를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할 경우 마감재가 오염되거나 파손되었을 시 고정수단을 일일이 해체한 후 마감재를 교체하여 상기 단일 구성의 기둥에 비해 교체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비용도 절감할 수 있었으나, 골조의 오염이나 파손 시에는 기둥을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골조에 마감재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고정수단이 필요하므로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였으며, 골조가 규격화되어 있어서 마감재를 2개 이상 다양하게 결합 구성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골조와 마감재가 정해진 규격으로만 사용되므로 기둥이 굵어지게 되면 거기에 맞는 다른 규격의 골조와 마감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규격별로 수개의 골조와 마감재를 구비하여 제작이 번거롭고, 다양한 규격의 골조와 마감재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조경시설물에 기둥을 적용할 시 조립이 어려워지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조경시설물용 기둥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각 구성부재 별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제조 시간 및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 구성부재들이 부분적으로 오염되거나 파손되었을 시 해당 구성부재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식 구성부재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면 마감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지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고 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에 안착되는 제1 코너와 상기 제1 코너의 시계방향으로 제2 코너, 제3 코너, 및 제4 코너가 형성되는 십자가 형태의 고정부재; 상기 제2 코너와 상기 제4 코너 각각에 안착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각 면을 마감하기 위한 면 마감부재; 상기 제3 코너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둥부재의 각 모서리를 마감하기 위한 모서리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는 상기 제3 코너를 이루는 두 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판형편과, 상기 판형편을 상기 제3 코너의 양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판형편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편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편과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제3 코너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제3 코너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과 마주보는 일면에서 미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판형편의 각 양단부는 상기 제2 코너와 상기 제4 코너에 안착되는 상기 외면 마감부재의 각 양단부와 접하며, 상기 판형편의 표면은 상기 외면 마감부재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 또는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판형편의 표현 형상은 상기 제2 코너와 상기 제4 코너에 안착되는 상기 외면 마감부재의 각 양단부와 접하며, 각각의 외면 마감부재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 일부는 만곡되고, 일부는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조립식 설치가 가능하여 개별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외면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면 마감부재의 수축 변형이 발생할 때 모서리 마감부재의 텐션을 통하여 변형으로 인한 유격 발생에 따른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둥부재와 외면 마감부재 사이에 고정부재를 배치하여 서로 맞닿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둥부재와 외면 마감부재 사이에 원할한 통기가 이루어져 외면 마감재의 내측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가 외면 마감부재 및 모서리 마감부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비교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비교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100)은 크게 기둥부재(110), 기둥부재(110)를 감싸는 마감부재(130), 기둥부재(110)에 마감부재(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20)로 구성된다.
기둥부재(110)는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부가 지면에 일부 매립된 상태에서 지붕까지 수직하게 설치된다. 기둥부재(110)는 각형 단면을 가지며, 이때, 기둥부재(110)의 재질은 금속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재(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각관 형태로 구성되어 제조단가를 낮춤은 물론 외면에 조립되는 고정부재(120)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40)로 결합됨에 있어서, 결합부재(140)가 삽입되는 구멍의 천공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120)는 기둥부재(11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다수개 구비되며, 기둥부재(110)의 외면에 후술할 마감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120)는 십자가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4개의 코너(제1 내지 제4 코너(121, 122, 123, 124))를 가진다(도 3 참조). 이때, 고정부재(120)의 코너 중 제1 코너(121)는 기둥부재(110)의 각 모서리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 코너(121)에서 시계방향으로 제2 코너(122), 제3 코너(123), 제4 코너(124)로 지칭하기로 한다. 즉, 제1 코너(121)와 제3 코너(123), 제2 코너(122)와 제4 코너(124)가 맞꼭지각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제1 코너(121)의 코너각 각도를 직각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제1 코너(121)는 기둥부재(110)의 모서리에 안착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110)의 모서리 외각과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코너(121)를 이루는 두 변의 양면은 각각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 돌기(125)와 외측 돌기(126)를 포함한다. 제1 코너(121)의 양면 중 기둥부재(110)와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는 내측 돌기(125)는 제1 코너(121)와 기둥부재(110)가 맞닿는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각 부재가 부딪힘에 따른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마감부재(130)와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는 외측 돌기(126)는 마감부재(130)와 고정부재(120) 사이 및 마감부재(130)와 기둥부재(110) 사이 공간에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하여 마감부재(130)가 습기에 위한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마감부재(130)는 기둥부재(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면 마감부재(131)와 기둥부재(11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 마감부재(132)를 포함한다.
외면 마감부재(131)는 기둥부재(110)의 외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둥부재(110)의 외면 형태를 특징짓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면 마감부재(131)는 고정부재(120)의 제2 및 제4 코너(122, 124)에 안착되며, 별도의 결합부재(140)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모서리 마감부재(132)는 상기 제3 코너(123)를 이루는 두 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판형편(132a);과 판형편(132a)을 제3 코너(123)의 양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판형편(132a)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편(132b)을 포함한다.
판형편(132a)의 각 양단부는 제2 코너(122)와 제4 코너(124)에 안착되는 외면 마감부재(131)의 각 양단부와 접하며, 판형편(132a)의 표면은 외면 마감부재(131)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 또는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120)는 고정편(132b)이 결합되도록 고정편(132b)과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편(120a)을 포함한다.
제3 코너(124)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판형편(132a); 판형편(132a)의 일면에서 제3 코너(123)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편(132b); 및 삽입편(132b)의 단부에 형성되어 걸림편(120a)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턱(132c)을 포함한다.
걸림편(120a)은 상기 제3 코너(123)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걸림턱(132c)은 걸림편(120a)과 마주보는 일면에서 미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마감부재(13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마감부재(130)는 규격화된 기둥부재(1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기둥부재(110)가 사각기둥 형태로 일괄적 생산이 이루어지더라도 마감부재(130)를 이용하여 외형상 원기둥을 포함하여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형상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서는 사각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a)와 원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b)를 비교하였다.
먼저, 사각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a)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기둥부재(110)(도 1 및 도 2 참조)의 모서리 및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외면 마감부재(13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고정부재(120)의 제2 및 제4 코너(122, 124)에 안착되고, 모서리 마감부재(132)는 고정부재(120)의 제3 코너(123)에 안착된다.
원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b)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기둥부재(110)(도 1 및 도 2 참조)의 모서리 및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기둥부재(110)와 맞닿는 외면 마감부재(131)의 내측표면과 양측면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제2 및 제4 코너(122, 124)에 안착된다.
그리고, 기둥부재(110)와 맞닿지 않는 외측표면은 기둥부재(110)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원기둥의 둘레에 해당되는 곡선(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모서리 마감부재(130)는 외측 표면이 일정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의 외면 마감부재(131)의 사이 간격을 메우기 위하여 외면 마감부재(131)의 곡선에 대응하는 판형편(132a)를 가지며, 고정부재(120)의 제3 코너(123)에 안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사각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a)와 원기둥의 외형을 가질 경우(b)에 따라서 판형편(132a)의 만곡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선뿐만 아니라 각 단부에 접하는 외면 마감부재(131)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 일부는 만곡되고, 일부는 절곡되는 등 하나의 판형편(132a)의 표면 굴곡정도를 변형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경시설물용 기둥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각 구성부재 별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제조 시간 및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고, 개별 부품의 교체 용이 및 외면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립식 기둥 구조물
110: 기둥부재
120: 고정부재
121: 제1 코너
122: 제2 코너
123: 제3 코너
124: 제4 코너
125: 내측 돌기
126: 외측 돌기
130: 마감부재
131: 외면 마감부재
132: 모서리 마감부재
140: 결합부재
110: 기둥부재
120: 고정부재
121: 제1 코너
122: 제2 코너
123: 제3 코너
124: 제4 코너
125: 내측 돌기
126: 외측 돌기
130: 마감부재
131: 외면 마감부재
132: 모서리 마감부재
140: 결합부재
Claims (5)
- 지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고 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에 안착되는 제1 코너와 상기 제1 코너의 시계방향으로 제2 코너, 제3 코너, 및 제4 코너가 형성되는 십자가 형태의 고정부재;
상기 제2 코너와 상기 제4 코너 각각에 안착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각 면을 마감하기 위한 면 마감부재;
상기 제3 코너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둥부재의 각 모서리를 마감하기 위한 모서리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부재는 상기 제3 코너를 이루는 두 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판형편과, 상기 판형편을 상기 제3 코너의 양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판형편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편이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편과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제3 코너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제3 코너의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과 마주보는 일면에서 미늘 형태로 형성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편의 각 양단부는 상기 제2 코너와 상기 제4 코너에 안착되는 상기 외면 마감부재의 각 양단부와 접하며, 상기 판형편의 표면은 상기 외면 마감부재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 또는 절곡 형성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227U KR20180000753U (ko) | 2016-09-05 | 2016-09-05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227U KR20180000753U (ko) | 2016-09-05 | 2016-09-05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753U true KR20180000753U (ko) | 2018-03-14 |
Family
ID=6164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227U KR20180000753U (ko) | 2016-09-05 | 2016-09-05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753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4511A (ko) | 2014-11-28 | 2016-06-08 |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 파고라 구조물 |
-
2016
- 2016-09-05 KR KR2020160005227U patent/KR2018000075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4511A (ko) | 2014-11-28 | 2016-06-08 |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 파고라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48919A1 (en) | Anchoring and attachment assembly for modular constructions | |
KR101194682B1 (ko) | 간격조절이 용이한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모듈 | |
JP2007239388A (ja) | ドーム構築用金具とドーム構築方法 | |
KR20110001689U (ko) |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 |
JP6951192B2 (ja) | 支柱の支持構造 | |
KR20180000753U (ko)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
JP6155363B2 (ja) | 組立式パレット | |
KR101742299B1 (ko) |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 |
JP5686722B2 (ja) | 枠材の連結構造 | |
KR100812621B1 (ko) |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 |
KR200449646Y1 (ko) |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 |
KR100976934B1 (ko) | 조립식 건물 구조체 | |
JP6307342B2 (ja) | フェンス又は手摺り構造 | |
KR101898522B1 (ko) |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 |
KR20040071930A (ko) | 방음판 고정장치 | |
KR101975087B1 (ko) |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 |
US20050144859A1 (en) | Construction kit | |
KR101049291B1 (ko) |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 |
KR200377459Y1 (ko) |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 |
KR20160003777U (ko) |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 |
JP2007154480A (ja) | 柱・梁構造 | |
KR200304627Y1 (ko) |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부재 | |
KR20130036487A (ko) | 모듈러 건축물의 코너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3728724B2 (ja) | 建築用シャツターケースの組み付け構造 | |
JP3174807U (ja) | 木造建築の筋交いの補強構造及び筋交い交差部の固定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