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93U -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 Google Patents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93U
KR20180000693U KR2020160005062U KR20160005062U KR20180000693U KR 20180000693 U KR20180000693 U KR 20180000693U KR 2020160005062 U KR2020160005062 U KR 2020160005062U KR 20160005062 U KR20160005062 U KR 20160005062U KR 20180000693 U KR20180000693 U KR 20180000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lamp
cover
shaft
frame
lam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훈석
Original Assignee
강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훈석 filed Critical 강훈석
Priority to KR2020160005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93U/ko
Publication of KR20180000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8Latch-type fastening, e.g. with rot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는, 조명등 커버에 이웃된 조명등 프레임의 프레임 홀로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지지벽체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후크부;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커버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Lamp cover connector and lamp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은 어두운 실내를 밝게 하는 등기구이다. 종전에는 긴 막대 형상의 형광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LED 조명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한편, 조명등은 설치벽면에 부착되는 조명등 프레임과,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를 포함한다. 이때의 조명등 커버는 반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유리나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구 형태의 조명등 커버는 주로 나사 방식으로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방식의 경우에는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원활한 나사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명등 프레임과 조명등 커버에 피치와 간격이 정확히 일치되는 나사산을 만들어야 하지만 이러한 작업이 그리 용이한 것은 아닌데, 만약 나사산들의 상대적인 피치와 간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가 임의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0255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조명등 커버에 이웃된 조명등 프레임의 프레임 홀로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지지벽체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후크부;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커버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부의 단부는 첨예한 첨예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설치벽면에 부착되는 조명등 프레임;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 및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상기 조명등 커버를 결합시키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는, 상기 조명등 커버에 이웃된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프레임 홀로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지지벽체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후크부;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커버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조명등 커버에는 상기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커버 지지부에 형성되는 첨예부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등 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서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조명등(100)은 조명등 프레임(110)과, 조명등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등 프레임(110)은 조명등(100)의 외관 케이스를 이루며, 설치벽면에 부착된다. 조명등 프레임(110)은 나사에 의해 설치벽면, 예컨대 천정에 부착될 수 있다. 조명등 프레임(110)은 얇은 금속판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조명등 프레임(110)의 중앙에는 안정기 등의 각종 부품이 탑재되는 부품 탑재부(111)가 마련된다.
조명등 커버(120)는 조명등 프레임(110) 측에 마련되는 조명, 예컨대 LED 조명을 보호하면서 LED 조명으로부터의 빛이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등 커버(120)는 반구 형상을 가지며, 유리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의 조명등(100)을 설치할 때는 우선 조명등 프레임(110)을 설치벽면에 부착시킨 후, 조명등 프레임(110) 상에 조명등 커버(120)를 결합시키면 되는데, 이때 아래와 같은 구조의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15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서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150)는 조명등 커버(120)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샤프트(151), 후크부(153), 그리고 커버 지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51), 후크부(153), 그리고 커버 지지부(155)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51), 후크부(153), 그리고 커버 지지부(155)를 구비하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150)가 본 실시예에서는 3개 적용되나 4개 이상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샤프트(151)는 조명등 커버(120)에 이웃된 조명등 프레임(110)의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일종의 긴 축이다. 샤프트(151)가 휘어지면 곤란하기 때문에 샤프트(151)는 어느 정도 강성을 보유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후크부(153)는 샤프트(15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조명등 프레임(110)의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부(153)는 양쪽 대칭형 화살표 형태로 제작되나 한쪽으로 튀어나온 형태의 화살표 구조로서 후크부(153)를 적용하더라도 관계는 없다.
커버 지지부(155)는 샤프트(15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조명등 커버(12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지지부(155)는 샤프트(151)의 일측에서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지지부(155)의 단부는 첨예한 첨예부(153)를 형성한다.
너무 과도한 면적으로 조명등 커버(120)를 가압하면 조명등 커버(120)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첨예부(153)를 적용해서 적은 면적으로 조명등 커버(120)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커버 지지부(155)가 조명등 커버(120)에 지지되고 후크부(153)가 조명등 프레임(110)의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면서 걸리기 때문에 조명등 커버(120)가 조명등 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등 커버(120)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2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251),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는 후크부(253), 그리고 첨예부(2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 지지부(255)의 단부 영역을 이루는 첨예부(256)는 조명등 커버(220)에 형성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221)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또한 조명등 커버(220)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첨예부(256)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미끄러짐 방지 패턴(25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끄러짐 방지 패턴(257)은 나사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미끄러짐 방지 패턴(257)으로 인해 첨예부(256)가 단턱식 자리배치부(22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잘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3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351),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는 후크부(353), 그리고 첨예부(3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355)의 첨예부(356)는 조명등 커버(220)에 형성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221)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또한 조명등 커버(220)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샤프트(351)와 후크부(353)는 비교적 연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데 반해 첨예부(3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355)는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350)는 서로 다른 재질의 사출에 의해 제작된다.
특히, 첨예부(3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355)가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조명등 커버(220)를 안정적으로 또한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4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451),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는 후크부(453), 그리고 첨예부(4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455)의 첨예부(456)는 조명등 커버(220)에 형성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221)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또한 조명등 커버(220)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샤프트(451)와 후크부(453)는 비교적 연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데 반해 첨예부(4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455)는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샤프트(451)와 커버 지지부(455) 사이에는 탄성 힌지(458)가 마련된다. 탄성 힌지(458)는 커버 지지부(455)의 첨예부(456)가 조명등 커버(220)에 형성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221)에 가압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처럼 샤프트(451)와 커버 지지부(455)를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탄성 힌지(458)를 적용할 경우, 조명등 커버(220)와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450)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5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551),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는 후크부(553), 그리고 첨예부(5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후크부(553)에 이웃된 샤프트(551)에는 프레임 홀(110a)의 벽면에 접촉되어 샤프트(551)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탄성날개(558)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와 같을 경우, 탄성날개(558)로 인해 샤프트(551)의 흔들림이 적어지기 때문에 안적적인 결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6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651), 지지벽체(110b)에 지지되는 후크부(653), 그리고 첨예부(6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6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650)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망실 방지끈(660)이 더 사용된다. 망실 방지끈(660)의 적용을 위해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650)와 조명등 프레임(110)에는 각각 망실 방지끈(660)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끈 결합구(661,66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750) 역시, 프레임 홀(110a)로 삽입되는 샤프트(751), 그리고 첨예부(756)를 구비하는 커버 지지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후크부(153, 도 4 참조) 대신에 분리형 너트(753)을 적용하고 있다. 분리형 너트(753)는 샤프트(751)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전술한 후크부(153, 도 4 참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조명등 커버(120, 도 1 참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기설치된 조명등 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조명등 110 : 조명등 프레임
110a : 프레임 홀 110b : 지지벽체
111 : 부품 탑재부 120 : 조명등 커버
150 :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151 : 샤프트
153 : 후크부 155 : 커버 지지부
156 : 첨예부

Claims (5)

  1. 조명등 커버에 이웃된 조명등 프레임의 프레임 홀로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지지벽체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후크부;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커버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부의 단부는 첨예한 첨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4. 설치벽면에 부착되는 조명등 프레임;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명등 커버; 및
    상기 조명등 프레임에 상기 조명등 커버를 결합시키는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는,
    상기 조명등 커버에 이웃된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프레임 홀로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프레임의 지지벽체에 지지되면서 걸리는 후크부;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 커버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커버에는 상기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의 커버 지지부에 형성되는 첨예부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단턱식 자리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KR2020160005062U 2016-08-31 2016-08-31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KR201800006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62U KR20180000693U (ko) 2016-08-31 2016-08-31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62U KR20180000693U (ko) 2016-08-31 2016-08-31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93U true KR20180000693U (ko) 2018-03-08

Family

ID=6164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062U KR20180000693U (ko) 2016-08-31 2016-08-31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9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558A (ko) 2008-06-30 2010-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을 이용한 이중 대역 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558A (ko) 2008-06-30 2010-01-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을 이용한 이중 대역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7492B2 (ja) 照明器具
KR101230594B1 (ko) 투광확산판 고정구가 구비된 조명등
JP6367612B2 (ja) 手摺笠木、および照明ユニット
KR20160077296A (ko)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KR200478591Y1 (ko) 엘이디 평판조명의 에지프레임 연결용 코너브래킷
JP2014082066A (ja) 照明器具
JP6252728B2 (ja) 照明器具
CA2612346C (en) Helicoidal system for recessed light fixture assembly
KR20150105702A (ko) Led 다운 라이트 구조
KR20180000693U (ko) 개별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KR101036400B1 (ko) Led 조명등 연결장치
KR101595934B1 (ko) 형광등 등기구 호환형 조명장치
CN205065375U (zh) 光源模块和灯具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KR20180000695U (ko) 일체식 조명등 커버 결합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조명등
JP5294412B2 (ja) 照明器具
JP2012064325A (ja) 集光形スポットライト用フード
CN203605111U (zh) 便于拆装型led平面灯
CN205807273U (zh) 一种闪频灯
KR20090084064A (ko) 엘이디 조명장치
CN205351053U (zh) 一种灯具
KR200467651Y1 (ko) 조명기구의 엘이디 고정홀더
CN211624976U (zh) 一种亚克力led洗墙灯
KR101303132B1 (ko) 커버와 본체간의 용이한 착탈구조를 구비한 led면조명
JP2012226942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