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80U - 부분가발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부분가발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80U
KR20180000680U KR2020160005032U KR20160005032U KR20180000680U KR 20180000680 U KR20180000680 U KR 20180000680U KR 2020160005032 U KR2020160005032 U KR 2020160005032U KR 20160005032 U KR20160005032 U KR 20160005032U KR 20180000680 U KR20180000680 U KR 201800006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hole
elastic body
wig
sid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은
Original Assignee
김동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은 filed Critical 김동은
Priority to KR2020160005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80U/ko
Publication of KR20180000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된 부분가발 일명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원모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자 형상으로 양끝단에는 펀칭공(401)이 중앙에는 통공(403)이 천공된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고무패드(411)가 결합되어 있는 제1 탄력체(40)와, 하단에는 펀칭공(5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펀칭공(501)의 상측에는 결합공(503)가 천공되어 있는 좌우프레임(500)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우프레임(500)을 열결하는 가로프레임(510)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510) 하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핀(51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탄력체(50)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탄력체(40)의 펀칭공(401)과 상기 제2 탄력체(50)의 펀칭공(501)이 결합되어 상기 제1 탄력체(40)의 고무패드(411)에 원모를 안착한 후 제1 탄력체(4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력체(50)의 고정핀(512)이 원모를 그립 하여 고정토록 한 부분 가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프레임(500) 상측에서 연장되게 절곡 된 직각연장부(341)와 상기 직각연장부(341)에서 2차로 수직방향으로 절곡 되는 절곡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42) 하측으로는 수직탄성바(34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탄성바(345) 끝단은 양측으로 분기 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관통체결핀(346)이 구비되어 있는 체결브라켓(30)과;
상기 가로프레임(510)의 상단 양측으로 절개홈(513)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513) 안쪽 내측 방향으로 절곡체결핀(5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부분가발과 일체로 구비된 망에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한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분가발용 고정구{wig's fixing clip}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된 부분가발 일명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원모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모발이 많이 없거나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탈모에 의한 대머리를 가진 사람이 이를 감추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색다르고 독특한 자기만의 개성을 나타내기 위한 패션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가발은 캡에 가발원사를 수작업으로 식모하거나, 또는 재봉기계로 식모함에 따라 수제가발과 봉제가발로 대별되고, 그 용도에 따라 머리의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체가발과 모발이 부족한 부분만을 덮을 수 있도록 된 부분가발로 나눌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핵심이 부분가발 또는 패션가발에 주로 사용되는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 부분가발을 위주로 종래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짧은 머리카락의 원모(原毛)에 일정 길이의 붙임모(머리)를 붙여서 마치 원모가 긴 머리카락인 것처럼 하는 헤어 패션이 등장하였는데, 종래에는 접착제,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머리를 일일이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머리가 손상되고 열에 약하여 사우나 및 수영장 등의 이용이 곤란하며, 붙임모를 분리시에도 실리콘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등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술인력 및 기술도 많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른 종래 붙임모 사용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속링을 해당 원모와 붙임모의 이음 부분에 위치시킨 후에 기구(펜치 등)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링을 압착시켜 원모와 붙임모를 연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붙임모 사용방법의 경우, 원모와 붙임모를 금속링만으로 접합 고정하는 것이므로, 그 연결 구조가 견고하지 않아 붙임모의 이탈이 쉽게 발생하는 것이었다.
더하여, 원모를 일일이 금속 고정링에 넣고 별도 기구를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도 불편하고 붙임모의 원모 부착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고정링 대신에 머리핀 형태로 붙임 머리 기구를 원모에 탈,부착 가능하게 한 형태의 붙임모 고정구가 알려져 있으나, 종래 붙임모 구정구는 원모 부착력(고정력)이 느슨하여, 사용중 원모에서 쉽게 탈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의 붙임모 사용(시술)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개선된 본 고안의 붙임 머리 기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실용공개번호 제2008-0003599호 한국 실용등록번호 제424659호 한국 실용등록번호 제352702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8974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된 부분가발 일명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원모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원모 부착력(고정력)이 느슨하여 사용중 원모에서 쉽게 탈리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부분가발과 원모의 차이점을 외관상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의 편리성등을 도모하고자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부분가발과 일체로 구비된 망에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일자 형상으로 양끝단에는 펀칭공(401)이 중앙에는 통공(403)이 천공된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고무패드(411)가 결합되어 있는 제1 탄력체(40)와, 하단에는 펀칭공(5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펀칭공(501)의 상측에는 결합공(503)가 천공되어 있는 좌우프레임(500)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우프레임(500)을 열결하는 가로프레임(510)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510) 하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핀(51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탄력체(50)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탄력체(40)의 펀칭공(401)과 상기 제2 탄력체(50)의 펀칭공(501)이 결합되어 상기 제1 탄력체(40)의 고무패드(411)에 원모를 안착한 후 제1 탄력체(4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력체(50)의 고정핀(512)이 원모를 그립 하여 고정토록 한 부분 가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프레임(500) 상측에서 연장되게 절곡 된 직각연장부(341)와 상기 직각연장부(341)에서 2차로 수직방향으로 절곡 되는 절곡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42) 하측으로는 수직탄성바(34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탄성바(345) 끝단은 양측으로 분기 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관통체결핀(346)이 구비되어 있는 체결브라켓(30)과;
상기 가로프레임(510)의 상단 양측으로 절개홈(513)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513) 안쪽 내측 방향으로 절곡체결핀(5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된 부분가발 일명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원모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원모 부착력(고정력)이 느슨하여 사용중 원모에서 쉽게 탈리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부분가발과 원모의 차이점을 외관상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의 편리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견고하게 부분가발과 일체로 구비된 망에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교체 및 수리 등이 필요할 때 편리하고 견고하게 망에 체결됨으로서 이탈의 염려가 전혀없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적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있어서 가발모가 망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망에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 상세도,
이하,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대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적용되는 체결브라켓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부분가발용 고정구에 있어서 가발모가 망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망에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실시 상세도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H)이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망(B)이 본 고안의 체결브라켓(30)에 의해 본 고안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탄력체(40)와 체2탄력체(50)를 가압하여 본 고안과 원모가 고정토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탄력체(@)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 형상으로 양끝단에는 펀칭공(401)이 중앙에는 통공(403)이 천공된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고무패드(411)가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탄력체(5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는 펀칭공(5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펀칭공(501)의 상측에는 결합공(503)가 천공되어 있는 좌우프레임(500)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우프레임(500)을 열결하는 가로프레임(510)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510) 하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핀(512)이 형성되어 있는으며, 상기 가로프레임(510)의 상단 양측으로 절개홈(513)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513) 안쪽 내측 방향으로 절곡체결핀(5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브라켓(30)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프레임(500) 상측에서 연장되게 절곡 된 직각연장부(341)와 상기 직각연장부(341)에서 2차로 수직방향으로 절곡 되는 절곡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42) 하측으로는 수직탄성바(34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탄성바(345) 끝단은 양측으로 분기 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관통체결핀(3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력체(40)와 제2 탄력체(50)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펀칭공(401,501)을 각각 일치토록 한 후 펀칭하여 결합하면 상기 제1 탄력체(40)와 제2 탄력체(50)가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즉, 망(B)의 일측 끝단 즉, 하단에 부분 가발용 머리카락(H)를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브라켓(30)과 일체로 구비되는 제1, 2 탄력체(40,50) 사이 간격으로 망(B)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체결할 때 상기 관통체결핀(346)이 망(B)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토록 망(B)을 삽입 후 하단으로 당겨서 상기 관통체결핀(346)이 견고하고 긴밀하게 관통 체결토록 하는 동시에, 가로프레임(510)에 구비되어 있는 절곡체결핀(514)이 망(B)의 상단부분에 삽이 체결되어 망(B)이 옆으로 쏠리거나 밀리는 현상을 한번 더 잡아주어 보다 견고하게 본 고안과 망(B)이 체결된다.
이렇게 망(B)과 본 고안이 고정 결합 됨으로써 기존의 실로 꿰매어서 형성하는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체결 후, 상기 고무패드(411)에 착용자의 머리카락을 안착시킨 후 고정핀(512)이 상기 머리카락을 그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탄력체(40)와 제2 탄력체(50)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핀(512)이 머리카락을 사이에 두고 고무패드(411)에 긴밀하게 결합 함으로써 착용자가 원하는 머리부위에 부분가발을 결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에 시술된 부분가발 일명 붙임머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원모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원모 부착력(고정력)이 느슨하여 사용중 원모에서 쉽게 탈리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부분가발과 원모의 차이점을 외관상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탈의 편리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견고하게 부분가발과 일체로 구비된 망에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교체 및 수리 등이 필요할 때 편리하고 견고하게 망에 체결됨으로써 이탈의 염려가 전혀 없어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30: 체결브라켓 341: 직각연장부
342: 절곡부 345: 수직탄성바
346: 관통체결핀 40: 제1탄력체
401: 펀칭공 403: 통공
411: 고무패드 50: 제2탄력체
500: 좌추프레임 501: 펀칭공
503: 결합공 510: 가로프레임
512: 고정핀 513: 절개홈
514: 절곡체결핀 B: 망
H: 머리카락

Claims (1)

  1. 일자 형상으로 양끝단에는 펀칭공(401)이 중앙에는 통공(403)이 천공된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고무패드(411)가 결합되어 있는 제1 탄력체(40)와, 하단에는 펀칭공(5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펀칭공(501)의 상측에는 결합공(503)가 천공되어 있는 좌우프레임(500)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우프레임(500)을 열결하는 가로프레임(510)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510) 하측으로 다수개의 고정핀(51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탄력체(50)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탄력체(40)의 펀칭공(401)과 상기 제2 탄력체(50)의 펀칭공(501)이 결합되어 상기 제1 탄력체(40)의 고무패드(411)에 원모를 안착한 후 제1 탄력체(4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탄력체(50)의 고정핀(512)이 원모를 그립 하여 고정토록 한 부분 가발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좌우프레임(500) 상측에서 연장되게 절곡 된 직각연장부(341)와 상기 직각연장부(341)에서 2차로 수직방향으로 절곡 되는 절곡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342) 하측으로는 수직탄성바(34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탄성바(345) 끝단은 양측으로 분기 되어 상단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는 관통체결핀(346)이 구비되어 있는 체결브라켓(30)과;
    상기 가로프레임(510)의 상단 양측으로 절개홈(513)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513) 안쪽 내측 방향으로 절곡체결핀(5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가발용 고정구.
KR2020160005032U 2016-08-30 2016-08-30 부분가발용 고정구 KR201800006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32U KR20180000680U (ko) 2016-08-30 2016-08-30 부분가발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032U KR20180000680U (ko) 2016-08-30 2016-08-30 부분가발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80U true KR20180000680U (ko) 2018-03-08

Family

ID=616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032U KR20180000680U (ko) 2016-08-30 2016-08-30 부분가발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80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702B1 (ko) 2000-09-04 2002-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항해 기록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00424659B1 (ko) 2001-05-21 2004-03-24 프로코바이오텍 주식회사 알콜에 내성있는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생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y4
KR20080003599A (ko) 2006-07-03 2008-01-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피롤로피리미디논 유도체의 겐티세이트 염 및 이의제조방법
KR20080098974A (ko) 2007-05-08 2008-11-12 (주)코리아위그 장식용 헤어피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702B1 (ko) 2000-09-04 2002-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항해 기록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00424659B1 (ko) 2001-05-21 2004-03-24 프로코바이오텍 주식회사 알콜에 내성있는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생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y4
KR20080003599A (ko) 2006-07-03 2008-01-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피롤로피리미디논 유도체의 겐티세이트 염 및 이의제조방법
KR20080098974A (ko) 2007-05-08 2008-11-12 (주)코리아위그 장식용 헤어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107B1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US20090126748A1 (en) Ring for extension hair
JP3962419B2 (ja) 人工爪の取付器具
EP3075278A1 (en) Lacing system for shoe
US20110289743A1 (en) Fastening article
KR20180000680U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KR20140060815A (ko) 붙임머리 고정용 클립
KR101545847B1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KR200451344Y1 (ko) 고글
KR20170003490U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KR200322694Y1 (ko) 가발 착용용 클립
KR20110093256A (ko) 붙임머리 헤어피스
KR20060097541A (ko) 붙임머리
KR200485655Y1 (ko) 가발용 헤어 클립
KR20110000597U (ko) 헤어 클립
KR101862837B1 (ko) 붙임머리
KR20150004511U (ko) 고글
KR101306209B1 (ko) 가발용 헤어클립
KR101206510B1 (ko) 가발용 클립
JP3187826U (ja) 装飾具付きの靴及び靴用装飾具
KR20120005476U (ko) 머리 핀
KR200471550Y1 (ko) 고글
KR101681300B1 (ko) 부분 착탈 가발
KR100770595B1 (ko) 가발
KR101347456B1 (ko) 탄성 헤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