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92U - 음극화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화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92U
KR20180000492U KR2020160004650U KR20160004650U KR20180000492U KR 20180000492 U KR20180000492 U KR 20180000492U KR 2020160004650 U KR2020160004650 U KR 2020160004650U KR 20160004650 U KR20160004650 U KR 20160004650U KR 20180000492 U KR20180000492 U KR 20180000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hull
sens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092Y1 (ko
Inventor
장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9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05Anodic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63B2701/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선박이 제공된다. 선박은, 선체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와,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선체 내부에서 상기 제3 개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선체 내부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및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Ship and method for connecting sensor of ship}
본 고안은 선박 및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류 특히 철강제품의 경우 그 특성상 부식이 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합금의 개발과 각종 부식 방지를 위한 도료의 발달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항상 젖은 상태의 환경, 즉 지중(地中)에 매설되는 파이프나 선박과 같은 경우에는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더욱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염분에 노출되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Floating Offshore Structure)은 단순 방청도료를 칠하는 것만으로는 그 수명이 길지 않으며, 선체 중에서 수면의 아래로 가라앉는 부분의 블록들은 도장을 실시하는 것만으로는 부식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그 대비책으로ICCP(IMPRESSIVE CURRENT CATHODIC PROTECTION)에 의한 방법을 겸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한 방법으로 희생양극법(음극화보호법)에 의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희생양극법은, 선체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즉 저전위 금속에서 먼저 부식이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83383 (공개일: 2015. 07. 17)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여 선체 외부에 배치된 센서와 선체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우징과 커버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하우징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키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하우징의 개방된 일 측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와,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선체 내부에서 상기 제3 개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선체 내부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인의 양 종단에, 각각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의 일측 종단에 제3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의 종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센서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센서를 절연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 개구부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선체 및 상기 하우징과 용접되어 상기 선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의 일 면(aspect)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된 센서와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하고, 선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선체 내부에 상기 제3 개구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3 개구부와 파이프를 용접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상기 파이프를 통해 풀링(pulling)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커버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은 선체(10) 및 모니터링 장치(10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하우징의 내부에 센서를 포함하고, 선체(10)의 외부에 배치되어 해수에 노출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모니터링 장치(100)가 선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해수와 접촉하는 선체(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극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수에 노출되는 모니터링 장치(100)와 선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장치들(예를 들어, 전압계, 정션 박스(junction box) 및 모니터링 패널(monitoring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압계를 이용하여 전극과 선체(10)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선체(10)의 부식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음극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극과 선체(10) 사이에 해수와 같은 전해질이 존재하는 경우, 전극과 선체(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분극(polarization) 현상으로 인한 전압 차이를 측정하여 선체(10)의 부식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선체(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모니터링 장치(100)의 내부를 해수로부터 밀폐시켜야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모니터링 장치(100)를 해수로부터 밀폐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하우징(110), 센서(120), 절연부(130), 차단부(140), 케이블(150), 볼트(151), 너트(152), 케이블 그랜드(153), 보강재(160), 파이프(170) 및 커버 플레이트(18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선체(10)의 외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를 해수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선체(10)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와, 선체(10) 내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라인과, 제1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제1 방향(DR1)과 다른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는 제2 라인의 양 종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구부는 제1 라인의 일측 종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구부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일측은 선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는 선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제3 개구부의 측면이 선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보강재(160)는 제3 개구부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일측의 일부를 둘러싸고, 선체(1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160)는 선체(10) 및 하우징(110)과 용접되어 하우징(110)과 선체(10)를 고정하고, 선체(10)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재(160)는 제1 용접부(W1)를 용접하여 제3 개구부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60)는 제2 용접부(W2)를 용접하여 선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재(160)는 용접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해 하우징(110) 및 선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170)는 선체(10)의 내부로 삽입된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170)는 제3 용접부(W3)를 용접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삽입된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파이프(170)는 용접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해 하우징(110)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80)는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80)는 제4 용접부(W4)를 용접하여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와 용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플레이트(180)는 하우징(110)을 해수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제2 개구부의 종단면(111)은 제1 및 제2 방향(DR1, DR2)과 다른 제3 방향(DR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150)을 설치할 때, 효과적으로 풀링(pul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150)의 풀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용접에 의해 하우징(110)과 커버 플레이트(180)를 연결하는 것은, 기존에 플랜지를 이용하는 것보다 하우징(110)을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해수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15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개방된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15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용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센서(120)는 일부가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 외부로 노출된다.
선박(1)이 진수하여 모니터링 장치(100)가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보호캡(미도시)이 제거되고, 센서(120)의 일부가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 외부로 노출된다.
반면에, 선박(10)이 진수하기 전 즉, 모니터링 장치(100)가 해수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센서(120)의 노출된 일부를 보호하기 위해 노출된 센서(120)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캡(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캡(미도시)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캡(미도시)은 센서(1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절연시킬 수 있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는 선체(10)를 이루는 철(Fe)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아연(Z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120)는 선체(10)를 이루는 철(Fe)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다른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또는 마그네슘(Mg)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130)는 하우징(110)과 센서(12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10)과 센서(120)를 절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부(130)는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부(130)는 센서(120)가 배치된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130)는 센서(120)와 케이블(150)을 고정하여 케이블(150)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차단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절연부(13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140)는 센서(120)가 배치된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부(140)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150)은 개구를 통해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50)은 제1 단이 센서(120)와 연결되고, 제1 단과 반대되는 케이블(150)의 제2 단이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 및 파이프(170)를 통해 선체(10) 내부에 배치된 전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50)의 제1 단은 볼트(151) 및 너트(152)에 의해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볼트(151), 너트(152) 및 절연부(130)는 케이블(150)과 센서(120)의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블(150)은 차단부(140)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140)의 개구에 형성된 케이블 그랜드(153)를 이용하여 해수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볼트(151), 너트(152) 및 케이블 그랜드(153)를 이용하여 케이블(150)의 제1 단을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에 배치된 센서(120)와 연결한다(S110).
이어서, 센서(120), 하우징(110) 및 차단막(140) 사이에 절연부(130)를 형성한다.
보호캡(19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센서(120)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 외부로 노출된 센서(1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용접부(W1)를 용접하여 제3 개구부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제1 측과 보강재(16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부(W2)를 용접하여 선체(10)와 보강재(160)를 연결할 수 있다(S120). 이로 인해, 제3 개구부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제1 측과 선체(10)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선체(1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의 외부에 케이블(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150)은 제1 용접부(W1)에 대한 용접이 진행될 때, 제1 용접부(W1)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제1 측 내부에 미배치되어 제1 용접부(W1)의 용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용접부(W3)를 용접하여 선체(10) 내부로 삽입된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와 파이프(170)를 연결할 수 있다(S130).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의 외부에 케이블(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150)은 제3 용접부(W3)에 대한 용접이 진행될 때, 제3 용접부(W3)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제1 측 내부 및 파이프(170)의 내부에 미배치되어 제3 용접부(W3)의 용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파이프(170)와 하우징(110)의 제3 개구부를 통해 케이블(150)의 제2 단을 선체(10)가 배치된 방향(D1)으로 풀링함으로써, 케이블(150)을 하우징(110)의 제1 측 내부와 파이프(170)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S140).
이로 인해, 용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150)의 풀링이 완료된 후, 제4 용접부(W4)를 용접하여 하우징(110)의 개방되어 있는 제2 개구부를 커버 플레이트(180)와 연결할 수 있다(S150). 이로 인해, 하우징(110)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용접에 의해 하우징(110)의 제2 개구부와 커버 플레이트(180)를 연결하는 것은, 기존에 플랜지를 이용하는 것보다 하우징(110)을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해수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선체(10)의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100)와 선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90)은 하우징(110)의 제1 개구부 외부로 노출된 센서(1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선박(1)이 진수되어 모니터링 장치(100)가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 보호캡(190)은 제거될 수 있다. 보호캡(190)이 제거된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선박(1)은 상술한 케이블의 연결 방법을 통해 용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과 커버 플레이트(180)를 용접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하우징(110)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선체(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해수로부터 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극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체 100: 음극 보호 장치
110: 하우징 120: 센서
130: 절연부 140: 차단부
150: 케이블 160: 보강재
170: 파이프 180: 커버 플레이트
190: 보호캡

Claims (8)

  1. 선체 외부에 배치되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와, 상기 선체 내부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선체 내부에서 상기 제3 개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선체 내부로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라인과, 상기 제1 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인의 양 종단에, 각각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의 일측 종단에 제3 개구부가 형성되는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의 종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형성되는 선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센서의 일부를 둘러싸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선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센서를 절연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 개구부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선체 및 상기 하우징과 용접되어 상기 선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 정도를 측정하는 선박.
  8. 제1 내지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설치된 센서와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하고,
    선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선체 내부에 상기 제3 개구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3 개구부와 파이프를 용접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을 상기 파이프를 통해 풀링(pulling)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개구부와 커버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박의 센서 연결 방법.
KR2020160004650U 2016-08-11 2016-08-11 음극화 보호 장치 KR200486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50U KR200486092Y1 (ko) 2016-08-11 2016-08-11 음극화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50U KR200486092Y1 (ko) 2016-08-11 2016-08-11 음극화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92U true KR20180000492U (ko) 2018-02-21
KR200486092Y1 KR200486092Y1 (ko) 2018-04-03

Family

ID=613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50U KR200486092Y1 (ko) 2016-08-11 2016-08-11 음극화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2111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腐食電位センサ
JP2010120611A (ja) * 2008-11-21 2010-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水コネクタの取付構造および船外機器の取付構造
KR20130005137U (ko) * 2012-02-21 2013-08-29 주식회사 대양계기 케이블 보호 패킹이 구비된 온도센서용 단자함
US20150083383A1 (en) 2012-04-26 2015-03-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2111A (ja) * 2007-08-09 2009-02-26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腐食電位センサ
JP2010120611A (ja) * 2008-11-21 2010-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水コネクタの取付構造および船外機器の取付構造
KR20130005137U (ko) * 2012-02-21 2013-08-29 주식회사 대양계기 케이블 보호 패킹이 구비된 온도센서용 단자함
US20150083383A1 (en) 2012-04-26 2015-03-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92Y1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292B1 (ko) 자력 고정식 희생양극 조립체
US3133873A (en) Electrolytic anode and connection
JP2007132010A (ja) 被覆防食体内部の腐食検知方法。
EP1974074A2 (en) Immersed electrode assembly
CN104178769B (zh) 一种船用外加电流阴极保护立体阳极装置
KR200486933Y1 (ko) 방식전위 측정함용 용기 구조체
EP3507511B1 (en) Protection system for a threaded fastener a method for installat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such protection system
KR100888392B1 (ko) 매설 가스배관 케이싱의 가스누설 검지용 파이프 설치구조
KR200486092Y1 (ko) 음극화 보호 장치
KR200494211Y1 (ko) 방식전위 측정용 테스트 박스
KR101529114B1 (ko) 전위측정 스마트 단자함
US3239443A (en) Anode for cathodic protection system
CN109457256B (zh) 海底管线阴极保护修复用地毯式牺牲阳极装置
TWI544709B (zh) 適用於高腐蝕環境之電源線防鏽蝕方法
KR200449827Y1 (ko) 도시가스 배관의 산화방지설비의 전위측정용 전선 커넥터
KR101005479B1 (ko) 전기방식용 디스크형 방식전극 구조
JP2000266027A (ja) 基礎ボルト
CN204138769U (zh) 船用外加电流阴极保护立体阳极装置
RU2768061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одводных анодов для катодной защиты подводных объектов
CN208857368U (zh) 一种埋地燃气管道的阴极接线装置
JP2531744B2 (ja) 海洋鋼構造物防食保護カバ―
JP2607478Y2 (ja) 埋設配管の電気防食電極構造
KR101692457B1 (ko) 전극 하우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어셈블리 및 구조물
KR20140048549A (ko) 선체부식방지 에노드 전극 설치 구조 및 방법
RU31879U1 (ru) Кабельная му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