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21U - 휴대용 목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21U
KR20180000421U KR2020160004473U KR20160004473U KR20180000421U KR 20180000421 U KR20180000421 U KR 20180000421U KR 2020160004473 U KR2020160004473 U KR 2020160004473U KR 20160004473 U KR20160004473 U KR 20160004473U KR 20180000421 U KR20180000421 U KR 20180000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frame
cushion
neck suppor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776Y1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2020160004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76Y1/ko
Priority to PCT/KR2017/008206 priority patent/WO2018026146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단부를 갖는 U자형의 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 구조를 갖는 휴대용 목 받침대로서 소성경화로 인한 파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목 받침대{PORTABLE NECK SUPPORTING FRAME}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앉거나 선 자세에서 목을 편안하게 받쳐줌으로써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유사한 용도의 종래의 휴대용 목 받침대, 예를 들어 소위 목쿠션은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나 사무실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한다. 이때, 목쿠션은 자체적으로 목을 받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목을 받친 상태에서는 의자의 등받이나 책상 위에 받쳐지는 방법에 의할 수밖에 없다는 제약이 존재한다. 나아가, 목받침의 용도에 한정되는 관계로 사용자의 팔이나 기타 상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수단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목을 받쳐줌은 물론 팔을 포함한 상체를 받치는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인 바, 이와 같은 용도로 제안된 종래의 고안으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754호(공개일자: 2016.05.24.) '신형 캐쥬얼 목 보호대'가 존재한다.
상기 실용신안에서는 외부 힘의 작용에 의해 형상이 변형 가능한 가변형 브래킷에 탈착 가능한 쿠션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쥬얼 목 보호대가 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캐쥬얼 목 보호대를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가변형 브래킷을 체형 및 팔걸이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목과 팔 기타 상체를 동시에 받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사용과정에서 그리고 보관과 사용 간의 전환 과정에서 상기 가변형 브래킷을 접거나 펴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소성경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소성경화 현상은 상기 가변형 브래킷의 특정부위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휴대용 목 받침대로서 특히 소성경화로 인한 파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휴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역(逆)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단부를 갖는 U자형의 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가요성 재질이거나,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은 모두 비가요성 재질이거나,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은 모두 가요성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목 받침대는 상기 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끼워져 반경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제1 쿠션봉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끼워져 반경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제2 쿠션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목 받침대는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 사이를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조작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쿠션은 일측 세로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로연결부로 끼워지거나 상기 가로연결부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삽입관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쿠션은 벨크로(velcro)를 통해 상기 가로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결합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벨트;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는 상기 목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각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양단부를 갖는 U자형의 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휴대용 목 받침대에서, 상기 목쿠션은 안마기구동부가 내장된 안마기쿠션, 스피커구동부가 내장된 스피커쿠션, 팬구동부가 내장된 선풍기쿠션, 히터가 내장된 히터쿠션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목쿠션은 안마기구동부, 스피커구동부, 팬구동부, 히터구동부 중 하나 이상이 내장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쿠션은 상기 가로연결부의 상부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목쿠션은 상기 가로연결부의 하부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에 의하면, 목 지지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통해 사용자의 목과 상체부위를 받쳐줌은 물론 팔 지지프레임을 통해 사용자의 팔을 받쳐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휴식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목 지지프레임이나 팔 지지프레임을 사용 후 보관할 때나 보관된 것을 펼쳐 사용할 때 이들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접힘과 펼침의 반복으로 소성경화 및 이로 인한 파단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과 팔 지지프레임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보관 시에는 서로 분리하여 겹쳐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시에 다시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위에서의 소성경화로 인한 파단을 예방할 수 있고 제품 전체적으로는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목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목 받침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휴대용 목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목 받침대의 일 구성요소인 목쿠션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해 설명되는 목쿠션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 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 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목쿠션(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목 지지프레임(110)은 비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여기서 비가요성이라 함은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릴 수 없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는 상대적인 강체(rigid body)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가요성의 팔 지지프레임(120)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목 지지프레임(110)이 어떠한 외력에 의해서도 절대로 변형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이와 같은 비가요성의 목 지지프레임(110)의 재질로는 통상적인 플라스틱, 강철(steel),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목 지지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역(逆)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세부적으로는 목쿠션(130)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연결부(111)와 그 양단으로부터 서로 대칭적으로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향으로 굴곡되는 아크(arc) 형상의 한 쌍의 세로연결부(112, 113)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가로연결부(111) 및 한 쌍의 세로연결부(112, 113)의 외측으로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제1 쿠션봉(114)이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팔 지지프레임(120)은 U자형으로서 가요성 재질의 단일의 와이어(121)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제2 쿠션봉(122)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요성이라 함은 상기한 비가요성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일정한 수준의 힘으로 손쉽게 구부릴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다만, 이와 동시에 팔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와이어(121)는 사용자가 팔을 걸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으로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는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가요성 와이어(121)의 재질로는 탄소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연철(軟鐵), 저탄소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121)는 쿠션봉(122)의 양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를 가지며, 이를 통해 목 지지프레임(110)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쿠션봉(114)을 제외한 목 지지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연결부(112, 113)의 각 하단을 이루는 자유단부(112a, 113a)에 상기 와이어(121)측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가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세로연결부(112, 113)의 자유단부(112a, 113a)에 삽입된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를 삽입된 상태로 체결시키고 또한 체결된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의 체결상태를 분리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체결수단(도면 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수단으로는 핀(pin)과 홀(hole) 간의 결합, 상기 자유단부(112a, 113a)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bolt)에 의해 삽입된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를 조여 가압시키는 방식, 상기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에 구성되는 볼스프링을 통해 자유단부(112a, 113a)에 형성되는 홀(hole)에 삽입 결합시키는 방식, 상기 자유단부(112a, 113a)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회동 조작되는 레버스위치와 함께 상기 돌출와이어 단부(123, 124)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쐐기홈에의 걸림 방식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목쿠션(130)은 일측 세로연결부(112)의 하단을 이루는 자유단부(112a)를 통해 쿠션봉(114)의 외측으로 끼워져 이동하여 가로연결부(111) 측으로 끼워진다. 이를 위해 목쿠션(130)은 그 길이방향으로 삽입관통부(131)가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목쿠션(130)은 벨크로(velcro, 도면 미도시)를 통해 가로연결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목 받침대(100)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으로는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목쿠션(130)을 통해 사용자의 목을 받친 상태에서 아래의 팔 지지프레임(120)으로는 사용자의 팔의 위치에 맞추어 적절히 구부림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팔을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지지프레임(120)을 반대방향으로 완전히 구부려 목 지지프레임(110)을 받쳐줌으로써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도 받침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과 팔 지지프레임(120) 간의 탈착 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목 지지프레임(110)만을 사용하여 목 받침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의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부에 벨트(140)의 양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버클(141)을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목쿠션(130)을 통해 목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벨트(14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신축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벨트(140)는 단독으로 목 지지프레임(110)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목 지지프레임(110)에 팔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목 지지프레임(110)은 비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팔 지지프레임(120)은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실시예에 따라 목 지지프레임(110)과 팔 지지프레임(120)이 모두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개의 프레임 모두 비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프레임(110, 120) 간 서로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목 지지프레임(110)에 끼워질 수 있는 목쿠션의 다양한 변형례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안마기쿠션(230)은 안마기구동부(232)가 내장되어 자동차 시거잭과 같은 어댑터(23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을 안마해주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안마기쿠션(230)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관통부(231)를 통해 목 지지프레임(110)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스피커쿠션(330)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으로 작동하는 스피커구동부(332)가 내장되어 이를 통해 스마트폰 등과 연동함으로써 음악감상이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선풍기쿠션(430)은 내측에 통로(433)를 구비한 일측에 팬(432)을 회전구동시키고 쿠션 표면으로 형성되는 통풍구(434)를 통해 바람이 불어나오도록 하는 선풍기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히터쿠션(630)은 열선(632)이 내장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온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안마기쿠션(230), 스피커쿠션(330), 선풍기쿠션(430) 히터쿠션(630)은 각각 별도의 쿠션으로 마련되어 목 지지프레임(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쿠션에 이들 중 2 이상의 기능이 구현된 제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4가지 기능이 모두 구현된 제품의 제어블록도의 예시로서, 중앙의 제어부(531)는 무선통신부(532)를 통해 무선리모컨(54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안마구동부(533), 스피커구동부(534), 팬구동부(535) 및 히터구동부(538)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작동시키게 된다.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전원은 전원공급단자(536)를 통한 외부의 전원입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으며, 별도 충전 가능한 보조배터리(537)의 예비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과 팔 지지프레임(120) 사이에서 이들을 매개하는 한 쌍의 벨트(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벨트(150)는 상단부가 한 쌍의 세로연결부(112, 113)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결합하고, 팔 지지프레임(120)은 U자형의 각 상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벨트(150)의 각 하단부에 결합한다.
이러한 한 쌍의 벨트(150)의 추가구성을 통해서도 목 지지프레임(110)과 팔 지지프레임(120) 간 연결부위에서의 반복적인 굽힘 및 이로 인한 소성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목 받침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지지프레임(110) 측에 결합하는 목쿠션(160)을 포함한다.
목쿠션(160)은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는 기능에 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연결부(111)의 상부로 확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기능까지 겸비한다.
이러한 목쿠션(160)의 구성에 의하면 특히 머리를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할 경우에 유용하다.
비슷한 개념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쿠션(17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바, 목쿠션(170)은 가로연결부(111)의 하부로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허리까지 받쳐주는 기능을 겸비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휴대용 목 받침대(100) 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휴대용 목 받침대 110: 목 지지프레임
111: 가로연결부 112, 113: 세로연결부
114: 제1 쿠션봉 120: 팔 지지프레임
121: 와이어 122: 제2 쿠션봉
123, 124: 돌출와이어 단부 130: 목쿠션
131: 삽입관통부 140: 벨트
150: 벨트 160, 170: 목쿠션
230: 안마기쿠션 330: 스피커쿠션
430: 선풍기쿠션 531: 제어부
532: 무선통신부 538: 히터구동부
540: 무선리모컨 630: 히터쿠션
632: 열선

Claims (15)

  1.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역(逆)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단부를 갖는 U자형의 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가요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은 모두 비가요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은 모두 가요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끼워져 반경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제1 쿠션봉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끼워져 반경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제2 쿠션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팔 지지프레임 사이를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조작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일측 세로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로연결부로 끼워지거나 상기 가로연결부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삽입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벨크로(velcro)를 통해 상기 가로연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9.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결합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벨트;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목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1. 휴대용 목 받침대에 있어서,
    가로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세로연결부를 가지는 U자형의 목 지지프레임과;
    각기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세로연결부의 각 하단의 자유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벨트와;
    상기 한 쌍의 벨트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양단부를 갖는 U자형의 팔 지지프레임; 및
    상기 목 지지프레임 측에 결합되는 목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2. 제1항, 제9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안마기구동부가 내장된 안마기쿠션, 스피커구동부가 내장된 스피커쿠션, 팬구동부가 내장된 선풍기쿠션, 히터가 내장된 히터쿠션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3. 제1항, 제9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안마기구동부, 스피커구동부, 팬구동부, 히터구동부 중 하나 이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4. 제1항, 제9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상기 가로연결부의 상부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기능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15. 제1항, 제9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쿠션은 상기 가로연결부의 하부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기능을 겸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목 받침대.
KR2020160004473U 2016-08-03 2016-08-03 휴대용 목 받침대 KR200486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73U KR200486776Y1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목 받침대
PCT/KR2017/008206 WO2018026146A1 (ko) 2016-08-03 2017-07-31 휴대용 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73U KR200486776Y1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21U true KR20180000421U (ko) 2018-02-13
KR200486776Y1 KR200486776Y1 (ko) 2018-06-28

Family

ID=6107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73U KR200486776Y1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목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6776Y1 (ko)
WO (1) WO2018026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8190A (zh) * 2018-05-03 2018-09-28 永康市奥创工贸有限公司 一种颈部按摩器
CN113316044B (zh) * 2021-05-21 2022-04-22 温州理工学院 一种便于随身佩戴的英语绘本剧表演用扬声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0468U1 (de) * 2005-07-07 2006-09-07 Schwarz, Heike Still- und Lagerungskissen
CN201189051Y (zh) * 2008-05-20 2009-02-04 高振华 一种创新的方便枕
KR101085245B1 (ko)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경혈 지압용 베개
US20150274044A1 (en) * 2014-03-31 2015-10-01 TripGear LLC Integral head support apparatus and system
KR20160001754U (ko) * 2014-11-14 2016-05-24 룽화 러우 신형 캐쥬얼 목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4990B2 (en) * 2006-05-02 2010-01-12 Pearson Jon D Body support device for sleeping in a seated 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0468U1 (de) * 2005-07-07 2006-09-07 Schwarz, Heike Still- und Lagerungskissen
CN201189051Y (zh) * 2008-05-20 2009-02-04 高振华 一种创新的方便枕
KR101085245B1 (ko) * 2011-03-21 2011-11-22 강성원 경혈 지압용 베개
US20150274044A1 (en) * 2014-03-31 2015-10-01 TripGear LLC Integral head support apparatus and system
KR20160001754U (ko) * 2014-11-14 2016-05-24 룽화 러우 신형 캐쥬얼 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146A1 (ko) 2018-02-08
KR200486776Y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943B2 (en) Headrest assembly for a massage device
US7213277B1 (en) Rocking bed
JP2017508547A (ja) 硬さが調節可能なベッド等のマットレス構造
KR200486776Y1 (ko) 휴대용 목 받침대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JP3165297U (ja) 調整可能な背中クッション構造
CN210158749U (zh) 姿势矫正装置
CN102551975A (zh) 一种床靠架
KR20110129253A (ko) 자세 교정용 시트 패드
CN202095854U (zh) 带振动弹性背靠垫的按摩椅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JP2008259791A (ja) 座椅子
CN209332526U (zh) 一种轮椅坐垫以及轮椅
KR200487566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CN215133049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下肢按摩装置
KR101161288B1 (ko) 의자용 등받이
CN202478039U (zh) 一种床靠架
CN214548392U (zh) 护颈座椅枕
KR200473715Y1 (ko) 등받이 방석
CN202618992U (zh) 带气囊的椅子
CN216776537U (zh) 一种用于辅助午睡的支撑机构
JP3176695U (ja) クッション
CN212787863U (zh) 可调式折叠坐卧书架
CN209916302U (zh) 颈椎康复器械
CN205267547U (zh) 一种椅座支撑架及与其连接的椅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