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07A -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07A
KR20180000407A KR1020160078317A KR20160078317A KR20180000407A KR 20180000407 A KR20180000407 A KR 20180000407A KR 1020160078317 A KR1020160078317 A KR 1020160078317A KR 20160078317 A KR20160078317 A KR 20160078317A KR 20180000407 A KR20180000407 A KR 2018000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power generation
spinning wheel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비
Priority to KR102016007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07A/ko
Publication of KR2018000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03B7/003Water wheels with buckets receiving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레를 이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일측의 저수실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타측의 발전실이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설치된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로서, 상기 발전실은,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반복 회전하는 물레가 상기 격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물레챔버와, 상기 물레챔버의 옆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설치된 발전챔버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챔버에서 배수된 물이 수용된 후 상기 저수실로 급수되어 순환되는 순환챔버;를 포함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이나 제방과 같은 대형 토목공사를 실시함 없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수력 발전을 할 수 있어, 설치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기간과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발전효율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Eco-friendly Power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물레를 이용한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이 작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적게 소모되며, 발전효율도 우수한 물레를 이용한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비산유국으로서 원유의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아 에너지의 절약을 국가적인 목표로 추구하고 있으나, 산업화의 다양화 및 고도 성장에 따른 에너지의 소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특히 수입되는 원유 중 다량의 원유가 전력을 생산하는 화력발전용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원유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생산한다면 국가 재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환경오염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반면에, 풍력, 조력 및 수력 등 자연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얻는 방법은 친환경적이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발전 효율이 떨어지며, 날씨나 지리적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력 발전은 물이 갖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수차를 돌리고 상기 수차와 연결된 발전기로 발전하여 전기를 얻는 발전 방식을 말하며, 이러한 발전을 위해서는 발전용수를 확보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천이나 골짜기를 가로막아 댐(1)을 건설하고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여 수위를 높인 다음, 댐(1)에 저장된 물을 취수구(2a)로 유입시킨 후 도수터널(2)을 통하여 하측으로 도수시키며, 이때 발생된 고낙차를 이용하여 수차(3)를 회전시키고 발전기(4)로 발전을 해 왔으며, 사용된 물은 방수구(5)를 통하여 하류 측으로 방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발전을 위해 사용하던 상기 댐의 경우, 방대한 저수유역과 저수량 및 낙차가 필요하여 설치지역이 매우 제한적이고, 대형 토목공사가 수반되므로 건설 비용 및 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생태계가 크게 훼손될 수 있으며, 유지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발전효율이 떨어지며, 저수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발전을 중단할 수밖에 없어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댐이나 제방과 같은 대형 토목공사를 실시함없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수력 발전을 할 수 있어, 설치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기간과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발전효율도 우수한 친환경 물레식 재생발전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전에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다시 순환 공급하여 발전에 재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반복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유수를 이용하여 물레의 회전력을 얻는 구조로서 유수의 낙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양호한 발전이 가능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자연조건이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장소 및 낙차 조건 등에 맞게 장치 구성의 수량, 크기 및 용량 등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역 개발의 촉진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일측의 저수실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타측의 발전실이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설치된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로서, 상기 발전실은,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반복 회전하는 물레가 상기 격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물레챔버와, 상기 물레챔버의 옆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설치된 발전챔버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챔버에서 배수된 물이 수용된 후 상기 저수실로 급수되어 순환되는 순환챔버;를 포함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발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지상에 출입도어가 구비된 출입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실은 상기 물레챔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챔버는 일측면에 상기 저수실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물레쳄버와 연통되고 급수밸브가 구비된 급수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물레챔버는 복수 개의 물레가 1개의 중심축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전기는 지지테이블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발전기는 상기 물레의 중심축과의 사이에 증속기와 커플링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레챔버의 하측에 상기 순환챔버와 연통되고 배수밸브가 구비된 배수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순환챔버의 내부에 상기 저수실과 연통되고, 순환밸브가 구비된 순환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배관은 펌프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저수실로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저수실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입출배관이 상기 저수실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입출배관에는 입출밸브와 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발전챔버는 측면에 출입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추가로, 상기 발전챔버와 순환챔버는 벽면에 계단이나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구나, 상기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에 의하여 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실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이나 제방과 같은 대형 토목공사를 실시함 없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수력 발전을 할 수 있어, 설치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기간과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발전효율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전에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다시 순환 공급하여 발전에 재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반복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유수를 이용하여 물레의 회전력을 얻는 구조로서 유수의 낙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양호한 발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자연조건이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장소 및 낙차 조건 등에 맞게 장치 구성의 수량, 크기 및 용량 등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통하여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역 개발의 촉진과 경제적 파급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댐 발전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3은 지하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7은 지하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본 발명자는 종래에 발전을 위해 사용하던 댐의 경우, 방대한 저수유역과 저수량 및 낙차가 필요하여 설치지역이 매우 제한적이고, 대형 토목공사가 수반되므로 건설 비용 및 기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생태계가 크게 훼손될 수 있으며, 유지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발전효율이 떨어지며, 저수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발전을 중단할 수밖에 없어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곤란한 문제들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댐이나 제방과 같은 대형 토목공사를 실시함 없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수력 발전을 할 수 있어, 설치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기간과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발전효율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전에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다시 순환 공급하여 발전에 재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반복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유수를 이용하여 물레의 회전력을 얻는 구조로서 유수의 낙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양호한 발전이 가능하며, 더불어 자연조건이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장소 및 낙차 조건 등에 맞게 장치 구성의 수량, 크기 및 용량 등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통하여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역 개발의 촉진과 경제적 파급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일측의 저수실(100)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타측의 발전실(200)이 격벽(W)에 의해 구분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발전실(200)에 물레(211)와 발전기(221) 등을 설치하여 자연법칙을 활용하여 발전기(221)를 돌려 전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발전 장치이다.
상기 저수실(100)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00)에 연결 형성된 입출배관(110)을 통하여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저수되거나, 상기 저수실(10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출배관(110)에는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입출밸브(115)와 펌프(P)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순환챔버(230)의 내부에 상기 저수실(10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순환배관(231)을 통하여 발전에 사용된 물이 다시 상기 저수실(100)의 내부로 순환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수실(1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충분히 채운 다음, 상기 격벽(W)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어있는 유입구(120)에 설치되고 유입밸브(140)를 구비한 유입배관(130)을 통하여 물이 유출되어 낙하되는 수력으로 물레(211)를 구동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실(200)은 크게 물레챔버(210), 발전챔버(220) 및 순환챔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레챔버(210)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반복 회전 구동하는 물레(211)가 상기 격벽(W)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예컨대 상기 물레(211)는 물을 받는 다수의 날개(211a)가 설치되고, 양측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중심축(212)을 중심으로 반복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레(211)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것들이 제작되어 설치 장소 및 낙차 조건 등에 맞게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레챔버(210)는 복수 개의 물레(211)가 1개의 중심축(212)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저수실(100)로부터 상기 발전실(200)로 유입된 물이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면서 복수 개의 물레(211)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은 상기 중심축(212)을 통하여 발전기(221)에 전달됨으로써, 높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물레챔버(210)의 하측에는 상기 순환챔버(230)와 연통된 배수배관(213)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배관(213) 상에는 배수밸브(214)가 구비되어, 상기 물레쳄버(210)에서 발전에 사용된 물이 상기 배수배관(213)을 통하여 상기 순환챔버(230)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밸브(214)는 상기 발전챔버(2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전챔버(220)에서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전챔버(220)는 상기 물레챔버(210)의 옆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211)의 중심축(212)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221)가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발전챔버(220)는 유지 및 보수의 편의를 위하여 측면에 적절한 크기를 갖는 출입도어(22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221)는 상기 물레(211)의 중심축(212)과의 사이에 증속기(222)와 커플링(223)이 연결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발전기(221)의 발전축이 커플링(223)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증속기(222)가 상기 물레(211)의 중심축(212)에 직접 연결되거나 벨트 등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물레(211)의 회전력을 가속시켜 상기 발전기(221)에 전달함으로써 기전력을 크게 하여 발전효율을 높이고 발전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221)는 지지테이블(225)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 물레(211)의 중심축(212) 높이와 맞추고, 누수된 유수가 상기 발전챔버(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발전기(221)가 유수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증속기(222)와 커플링(223)도 상기 발전기(221)와 함께 상기 지지테이블(225)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테이블(225)은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갖는 것들이 제작되어 설치 장소 및 지지받는 장치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순환챔버(230)는 상기 발전실(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챔버(210)에서 발전에 사용된 후 배수된 물이 수용되며, 수용된 물은 재사용을 위해 상기 저수실(100)로 급수되어 순환되어 반복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순환챔버(230)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실(100)과 연통되는 순환배관(231)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231) 상에는 순환밸브(23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순환챔버(23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순환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저수실(100)로 순환되어 재사용되므로 외부로부터 물의 보충이 없어도 반복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밸브(232)는 상기 발전챔버(2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전챔버(220)에서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231)은 펌프(P)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펌프(P)의 모터가 작동함에 의하여 상기 순환챔버(230)에 담긴 물이 양수되어 상기 순환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저수실(100)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발전챔버(220)는 벽면에 계단이나 사다리(S)가 설치되고, 상기 순환챔버(230)에도 벽면에 계단이나 사다리(S)가 설치되며, 상기 순환챔버(230)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한 출입구(X)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편리한 시설의 유지 및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실(200)은 상기 물레챔버(210)의 상측에 상부챔버(24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챔버(240)는 상기 저수실(100)로부터 저수된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한다.
이때, 상기 상부챔버(240)는 일측면에 상기 저수실(100)과 연통되는 유입공(241)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으로 급수배관(242)이 상기 물레챔버(21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수배관(242) 상에는 급수밸브(24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밸브(243)는 상기 발전챔버(22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전챔버(220)에서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공(241)을 통하여 상기 저수실(100)로부터 유입된 물은 상기 상부챔버(240)에 채워져 소정의 수압을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부챔버(240)에 수용되어 소정의 수압을 유지한 상태의 물이 상기 급수밸브(243)를 통하여 하측의 상기 물레챔버(210)에 구비된 물레(211)로 낙하하면서 회전력을 얻기 때문에 유수의 낙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양호한 발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챔버(240)의 내부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소정의 수압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급수밸브(243)를 개방하여 상기 급수배관(242)을 통하여 물레챔버(210)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10)는 지상에 설치되거나, 장치의 일부가 지하에 매립 설치되거나, 장치의 전부가 지하에 매립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예컨대 장치 전부가 지면(G) 아래인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경우, 지상에 출입실(H)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실에는 출입도어(226)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실(220)과 출입실(H)의 사이에는 출입구(X)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하에 매립 설치함으로써, 설치 장소에 제약받음 없이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더불어 자연조건이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장치 가동에 의한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10)는 내부에 다수의 감시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정보에 의하여 각종 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실(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발전을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10)는 댐이나 제방과 같은 대형 토목공사를 실시함 없이 어디서든 간편하게 수력 발전을 할 수 있어, 설치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작은 설치공간과 점유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기간과 설치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발전효율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발전에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다시 순환 공급하여 발전에 재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반복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유수를 이용하여 물레의 회전력을 얻는 구조로서 유수의 낙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양호한 발전이 가능하며, 더불어 자연조건이나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 장소 및 낙차 조건 등에 맞게 장치 구성의 수량, 크기 및 용량 등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통하여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역개발의 촉진과 경제적 파급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댐 2. [0066] 도수터널
2a. 취수구 3. 수차
4. 발전기 5. 방수구
10.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100. 저수실 110. 입출배관 115. 입출밸브
120. 유입구 130. 유입배관
140. 유입밸브 200. 발전실
210. 물레챔버 211. 물레
211a. 날개 212. 중심축
213. 배수배관 214. 배수밸브
220. 발전챔버 221. 발전기
222. 증속기 223. 커플링
225. 지지테이블 226. 출입도어
230. 순환챔버 231. 순환배관
232. 순환밸브 240. 상부챔버
241. 유입공 242. 급수배관
243. 급수밸브 G. 지면 H. 출입실
P. 펌프 S. 계단이나 사다리 W. 격벽 X. 출입구

Claims (6)

  1.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일측의 저수실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타측의 발전실이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설치된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로서,
    상기 발전실은,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반복 회전하는 물레가 상기 격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물레챔버와,
    상기 물레챔버의 옆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가 설치된 발전챔버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레챔버에서 배수된 물이 수용된 후 상기 저수실로 급수되어 순환되는 순환챔버;를 포함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지상에 출입도어가 구비된 출입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실은 상기 물레챔버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하는 상부챔버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는 일측면에 상기 저수실과 연통되는 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물레쳄버와 연통되고 급수밸브가 구비된 급수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레챔버는 복수 개의 물레가 1개의 중심축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KR1020160078317A 2016-06-23 2016-06-23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KR20180000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17A KR20180000407A (ko) 2016-06-23 2016-06-23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17A KR20180000407A (ko) 2016-06-23 2016-06-23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07A true KR20180000407A (ko) 2018-01-03

Family

ID=6100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17A KR20180000407A (ko) 2016-06-23 2016-06-23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316A (ko) 2022-04-07 2023-10-16 차정운 순환되는 물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316A (ko) 2022-04-07 2023-10-16 차정운 순환되는 물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0651A (zh) 一种海上风力抽水储能的水力发电装置
CN108130886B (zh) 发电防波堤
CN201011333Y (zh) 平原地区重力能水力发电系统
KR101050234B1 (ko) 친환경적 소수력발전시스템 및 소수력발전방법
CN104746475A (zh) 一种利用风力潮汐发电蓄水引流处理河道污水装置及方法
KR20180000407A (ko) 친환경 재생 발전장치
CN111927692B (zh) 一种环保型波浪发电器
KR200349016Y1 (ko) 수리계통의 잉여낙차를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KR20120003791A (ko) 양수발전시스템
KR101460058B1 (ko) 댐에 설치된 친환경 다층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KR20130082186A (ko)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KR20140058068A (ko) 낙차 절감형 친환경 다층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JP2007024021A (ja) 循環式水力発電機並に本機の組合せ組立て方法
KR20200002084A (ko)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KR101663248B1 (ko) 수중 매입형 소수력 발전 장치
KR20140049644A (ko)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KR20140049648A (ko)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KR20140109216A (ko) 척력수차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20140049646A (ko) 친환경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CN104747357A (zh) 一种利用高层建筑排污水驱动发电机发电的发明
KR20140058065A (ko) 친환경 다층 물레식 재생 발전 장치
KR20150143290A (ko) 송수관 스크류 발전 장치
KR101278534B1 (ko) 소수력 발전시스템
JP2001172948A (ja) 揚水発電設備
CN104832358A (zh) 高效水流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