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03U - Drain system - Google Patents

Drai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03U
KR20180000403U KR2020160004435U KR20160004435U KR20180000403U KR 20180000403 U KR20180000403 U KR 20180000403U KR 2020160004435 U KR2020160004435 U KR 2020160004435U KR 20160004435 U KR20160004435 U KR 20160004435U KR 20180000403 U KR20180000403 U KR 20180000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wall
water
drain
drain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896Y1 (en
Inventor
조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160004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96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0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9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8Floor drains for indoor use specially adapted for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 A47K3/286Emergency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6Articulated screens
    • A47K2003/367Hinges urging the articulated screen in one or more stable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벽체에서 돌출된 비상샤워기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스템은, 상기 비상샤워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비상샤워기에서 방출되는 물을 받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bottom drai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system is connected to the wall and is located below the emergency shower, and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shower, ; And a drain pa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base part, wherein the base part is rotatable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Description

배수 시스템{DRAIN SYSTEM}DRAIN SYSTEM

본 고안은 매립형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drainage system.

일반적으로, 각종 화학약품에 대한 실험과 실험장비를 취급하는 실험실에는 안전을 위한 여러 항목의 기본규칙이 정해져 있고, 그 기본규칙의 하나로 실험도중 화학물질이 인체의 주요부위인 얼굴과 눈에 튀거나 옷에 불이 붙었을 때, 즉시 온몸을 씻을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비상 샤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basic rules of various items for safety are set in laboratories dealing with various kinds of chemicals and experimental equipment. One of the basic rules is that chemicals are splashed on the face, eyes, When the clothes are on fire, the emergency shower unit is installed nearest to the worker so that they can wash their whole body immediately.

비상샤워기는 급수원(이하, '수도관'이라 함)에 연결된 스테인레스 스틸의 파이프로 된 몸체를 실험실의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한 벽면형과 실험실의 바닥에 세울 수 있게 한 자립형이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The emergency shower has been used and used as a wall type stainless steel pipe bod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ter pipe') exposed from the wall of the laboratory and a stand-alone type which can stand on the floor of the laboratory.

상기 비상샤워기는 그 몸체에 구비된 작동 레버 또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샤워노즐로부터 물이 쏟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emergency shower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poured from a shower nozzle by operating an operation lever or a handle provided on the body.

비상샤워기는 대부분이 실험실의 일부 공간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특성상 배수시설이 간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Emergency shower units are mostly exposed to some space in the laboratory.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the drainage facilities are either simple or do not have separate drainage facilities.

간이 배수시설의 경우에는 통행에 불편을 주고, 인원 또는 물자의 통행으로 인해 파손의 위험이 크며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비상샤워기에서 쏟아진 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물이 주변 및 아래층의 실험실에 유입되어 장비의 소손이나 정전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imple drainage fac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is not smooth due to inconvenience to the passage, the risk of breakage due to passage of personnel or materials, and the like. If the water spilled from the emergency shower is not properly treated, water may enter the surrounding and down-level laboratories, causing equipment to burn out or cause a power outage.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비상샤워기에서 방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고,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that can easily drain water discharged from an emergency shower and is not disturbed by traffic.

벽체에서 돌출된 비상샤워기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스템은, 상기 비상샤워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비상샤워기에서 방출되는 물을 받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bottom drai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system is connected to the wall and is located below the emergency shower, and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shower, ; And a drain part located at one side of the base part, wherein the base part is rotatable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상기 벽체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부 내측으로 끼워져 상기 삽입부 측면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l may hav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base portion can be inserted, and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side surface.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벽체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 폭 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을 받는 챔버를 가지는 트랜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aina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ench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a width of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t th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chamber receiving the water .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벽체를 향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을 받는 챔버를 가지는 트랜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aina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ench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from the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to the wall of the base portion and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the chamber receiving the water.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배수구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관과 연결된 홈통이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바닥에 놓여질 때 상기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The inserting portion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and has a gutter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when the base portion is placed on the floor.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guide plate protru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시스템은, 비상샤워기에서 방출되는 물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으며 인원 및 물자의 통행을 방해 하지 않을 수 있다.The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rain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shower and does not hinder the passage of personnel and materials.

도 1은 비상샤워기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샤워기와 배수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비상샤워기와 배수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수시스템이 벽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적용되는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배수시스템이 바닥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ergency shower and a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emergency shower and drain system shown in FIG. 1, viewed from abov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shower and drain system shown in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rainage system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a wall.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as applied to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age system shown in FIG. 6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비상샤워기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샤워기와 배수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ergency shower and a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hower and drainage system shown in FIG. 1, viewed from abov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배수시스템(100)은 비상샤워기(200)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drainage system 100 may be located below the emergency shower 200.

비상샤워기(200)는 매립식일 수 있다. 비상샤워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210)은 벽체(300)에 매립되고, 벽체(300)에서 돌출된 수도관(210)의 단부에는 샤워헤드(220)가 연결된다. The emergency shower 200 may be of a reclamation type. A water pipe 2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emergency shower 200 is embedded in the wall 300 and a shower head 220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water pipe 210 protruded from the wall 300.

손잡이(230)는 수도관(210)의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수도관(210)의 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230)를 아래로 당기면 수도관(210) 내부에 위치하고 손잡이(230)와 연결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공급되고, 손잡이(230)에 힘을 제거하면, 손잡이(230)는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밸브가 닫히면서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The handle 230 can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pipe 2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water pipe 210. For example, when the handle 230 is pulled downward, the valve is opened inside the water pipe 210 and connected to the handle 230 to supply water. When the handle 230 is removed from the handle 230, , And the supply of water may be interrupted while the valve is closed.

배수시스템(100)은 비상샤워기(200) 하부에 위치되며, 샤워 공간을 고려하여 샤워헤드(220)를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시스템(100)은 샤워헤드(220)에서 방출되는 물이 사방에 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워헤드(220)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샤워헤드(220) 주변으로 1m 정도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age system 100 is located below the emergency shower 200 and may be configured to position the showerhead 220 inward in view of the shower space. For example, the drainage system 100 may be siz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howerhead 220 does not bounce all the way, and the showerhead 220 may be positioned centrally and around the showerhead 220 1 m.

배수시스템(100)은 비상샤워기(200)의 물이 떨어지고 바닥(400)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 둘레를 따라서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20)은 베이스부(10)에 떨어지는 물이 가이드판(20) 내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게 된다. 물은 배수부(30)를 통해 배수관(2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drainage system 10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0 with the water of the emergency shower 200 draining and located at the bottom 400 and a guide plate 20 projecting upwardly along the base portion 10 . The guide plate 20 guides the water falling on the base portion 10 to flow inside the guide plate 20.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250) through the drainage part (30).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비상샤워기와 배수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수시스템이 벽체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shower and drain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rainage system shown in FIG. 3 is inserted into a wall.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배수시스템(100)은 벽체(300)와 바닥(40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3 and 4, the drainage system 100 can rotate between the wall 300 and the floor 400. As shown in FIG.

일례로, 배수시스템(100)은 비상샤워기(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벽체(300)에 밀착되어 있다가 비상샤워기(200)를 사용할 경우에 벽체(300)에서 회전하여 바닥(400)으로 밀착될 수 있다. 배수시스템(100)이 벽체(300)에 밀착되어 있을 경우에 배수시스템(100)은 벽체(300)에서 가이드판(20)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shower 200 is not used, the drainage system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300, and when the emergency shower 200 is used, the drainage system 100 is rotated by the wall 300 to the floor 4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rainage system 100 may protrude from the wall 300 by the height of the guide plate 20 when the drainage system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body 300.

다른 예로는, 배수시스템(100)이 벽체(300)에서 돌출될 경우 인원 및 물자의 이동에 장해물이 될 수 있으므로, 벽체(300)에 삽입부(310)를 형성하고, 삽입부(310)에 배수시스템(100)을 회전시켜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벽체(300)에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배수시스템(100)은 삽입부(310)에 삽입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drainage system 100 protrudes from the wall 300, it may become an obstacle to movement of personnel and materials. Therefore, the inserting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wall body 300, The drainage system 100 can be rotated and inserted. Hereinafter, an insertion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wall 300, and a drainage system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0.

삽입부(310)는 벽체(300)에 형성되며, 베이스부(10) 및 가이드판(2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10)에는 베이스부(10)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50)이 연결되어 있으며, The insertion portion 310 is formed on the wall 300 and can be formed to have a height and a depth to allow the base portion 10 and the guide plate 20 to be inserted. A drain pipe (250) for draining the water filled in the base (10)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inserting part (310)

배수관(250)은 배수시스템(100)의 배수부(30)와 연결관(50)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50)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관(50)은 주름관 일 수 있다. 따라서, 배수시스템(100)이 삽입부(310)에 삽입되어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더라도, 연결관(50)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어, 배수시스템(100)의 배수부(30)와 배수관(25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The drainage pip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unit 30 of the drainage system 100 via a connection pipe 50. The connector 50 can be formed flexibly. For example, the connector 50 may be a corrugated tube. Therefore, even if the drainage system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0 and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the connection pipe 50 can be bent flexibly, and the drainage portion 30 of the drainage system 100 The connection of the drain pipe 250 can be maintained.

배수시스템(100)이 삽입부(310)에 삽입되면, 베이스부(10)의 하면은 벽체면과 나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관을 향상시키고, 벽체(300)에서 돌출된 부위가 없어 인원 및 물자의 이동시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drainage system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0,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may be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Thereby enhancing aesthetic appearance, and there is no protruding portion in the wall 300, so that it may not be disturbed at the time of movement of personnel and materials.

도 5는 도 1에 적용되는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as applied to Fig.

도 5를 참고하면, 배수시스템(100)은 베이스부(10) 및 가이드판(20)를 포함하고, 벽체(300)와 베이스부(10) 사이에는 배수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5, the drainage system 100 includes a base portion 10 and a guide plate 20, and a drainage portion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wall body 300 and the base portion 10.

예를 들면, 베이스부(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20)는 베이스부(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베이스부(10)를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지어 내측의 물이 외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se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guide plate 20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10 so as to divide the base portion 10 into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so that the inner side water does not flow outward.

베이스부(10)와 벽체(300) 사이에 위치하는 배수부(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부(30)는 배수구(31) 및 배수구(31)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3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수구(31)는 가이드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1a)는 가이드판(20)에 의해 베이스부 내측으로 채워진 물이, 배수구(31)로 유도될 수 있도록 배수구(31) 주변에서 베이스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age part 30 may be formed of the inclined part 31a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ainage hole 31 and the drainage hole 31. [ . For example, the drain hole 31 may be formed in the guide plate 20. [ The inclined portion 31a can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10 around the drain port 31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base portion by the guide plate 20 can be guided to the drain port 31. [

베이스부(10) 측면으로는 회전을 하기 위한 돌출부(11)가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11)는 삽입부(310)에 삽입되고 삽입부(310) 측면에서 삽입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0)는 돌출부(1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배수구(31)는 배수관(250)과 연결관(50)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 protrusion 11 for rotation is protruded. The protrusion 1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310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310 at the side of the insertion part 310. Accordingly, the base portion 10 can be rotated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11 as a center of rotation. The drain port 31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50 through a connection pipe 50.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배수시스템이 바닥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age system shown in FIG. 6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Fig.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배수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6 to 8,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rainage system 1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배수부(30)는 챔버(32a)를 가지는 트랜치(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32a)는 베이스부(1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비상샤워기(200)에서 방출되는 물을 받아 채울 수 있다. 챔버(32a)는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31)를 통해 물을 배수관(2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수구(31)와 배수관(250)은 홈통(51)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통(51)은 삽입부(310)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배수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홈통(51)은 배수구(31)와는 직접적인 연결은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홈통(51)은 배수구(31)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배수구(31)에서 방출되는 물은 홈통(51)에 잠시 담겨있다가 배수구(31)로 배출되게 된다.  The drainage section 30 may comprise a trench 32 having a chamber 32a. The chamber 32a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 and can receive and fill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shower 200. The chamber 32a can discharge water to the drain pipe 250 through the drain hole 31 formed at the lower part. At this time, the drain hole (31) and the drain pipe (250)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trough (51). For example, the gutter 51 may be form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310 and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50. However, the gutter 51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port 31. [ However, the trough 51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in hole 31.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ort (3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rough (51) and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31).

일례로, 챔버(32a)는 베이스부(10)의 벽체(300)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10) 폭 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32a)는 베이스부(10)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에 채워진 물은 베이스부(10) 단부에서 폭을 따라 형성된 챔버(32a)에 채워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amber 32a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base portion 10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 toward the wall 300, and may b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 have. That is, the chamber 32a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the base portion 10. Therefore, the water filled in the base portion 10 can be filled in the chamber 32a formed along the width at the end of the base portion 1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다른 예로, 챔버(32a)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부(10)의 벽체(300)를 향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32a)는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에 채워진 물은 베이스부(1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챔버(32a)에 채워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chamber 32a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e 10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ase 10 toward the wall 300 of the base 10. That is, the chamber 32a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0. Accordingly, the water filled in the base 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being filled in the chamber 32a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base 10.

트랜치(32)는 챔버(32a) 상부에 홀(32c)이 뚫린 커버(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은 홀(32c)을 통해 용이하게 챔버(32a)로 유입될 수 있으나, 쓰레기 등은 홀(32c)을 통해 걸러질 수 있다. The trench 32 may further include a cover 32b having a hole 32c ope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32a. Water can easily flow into the chamber 32a through the hole 32c, but waste or the like can be filtered through the hole 32c.

이러한 챔버(32a)를 가지는 트랜치(32)의 구성을 통해 베이스부(10)로부터 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Water can be rapidly discharged from the base portion 1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trench 32 having such a chamber 32a.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technology field will understand easily.

400: 바닥 300: 벽체
310: 삽입부 200: 비상샤워기
210: 수도관 220: 샤워헤드
230: 손잡이 250: 배수관
100: 배수시스템 10: 베이스부
11: 돌출부 20: 가이드판
30: 배수부 31: 배수구
31a: 경사부 32: 트랜치
32a: 챔버
32b: 커버 32c: 홀
50: 연결관 51: 홈통
400: bottom 300: wall
310: insertion portion 200: emergency shower
210: Water pipe 220: Shower head
230: handle 250: drain pipe
100: drainage system 10: base part
11: protrusion 20: guide plate
30: drainage part 31: drainage hole
31a: an inclined portion 32: a trench
32a: chamber
32b: cover 32c: hole
50: Connector 51: Leader

Claims (6)

벽체에서 돌출된 비상샤워기의 바닥 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스템은,
상기 비상샤워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비상샤워기에서 방출되는 물을 받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A floor drain system for an emergency shower protruding from a wall,
The drainage system comprises:
A base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emergency shower and connected to the wall, for receiv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emergency shower; And
And a drain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base portion is rotatable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삽입부 내측으로 끼워져 상기 삽입부 측면과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base portion can be inserted, and the bas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벽체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 폭 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을 받는 챔버를 가지는 트랜치로 이루어지는 배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section
And a trench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a width of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chamber for receiving the water at the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벽체를 향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을 받는 챔버를 가지는 트랜치로 이루어지는 배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section
And a trench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base portion in a direction from the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toward the wall of the base portion and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chamber for receiving the wa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배수구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관과 연결된 홈통이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바닥에 놓여질 때 상기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는 배수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erting portion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so that the base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when the base portion is placed on the fl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plate projecting upwardly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se portion.
KR2020160004435U 2016-08-01 2016-08-01 Drain system KR2004908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35U KR200490896Y1 (en) 2016-08-01 2016-08-01 Drai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35U KR200490896Y1 (en) 2016-08-01 2016-08-01 Drai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03U true KR20180000403U (en) 2018-02-09
KR200490896Y1 KR200490896Y1 (en) 2020-01-20

Family

ID=6128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35U KR200490896Y1 (en) 2016-08-01 2016-08-01 Drai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96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021Y2 (en) * 1990-05-21 1995-08-09 リンナイ株式会社 shower room
KR20120084384A (en) * 2011-01-20 2012-07-30 삼인싸이언스(주) Emergency shower for a laborato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021Y2 (en) * 1990-05-21 1995-08-09 リンナイ株式会社 shower room
KR20120084384A (en) * 2011-01-20 2012-07-30 삼인싸이언스(주) Emergency shower for a labora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96Y1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4630C2 (en) Drainage device in assembly, drain device housing for use in such device in assembly and sewer siphon for use in such device in assembly
JP2015507113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pop-up device for basin
JP2008248614A (en) Drainage structure for bathroom
RU2410501C1 (en) Drain device
KR200491261Y1 (en) Assembling structure of drainage basin for sink
JP2016037743A (en) Trap piping structure for waterproof pan of washing machine
EP2402516A1 (en) A plumbing for discharging waste water
KR20180000403U (en) Drain system
JP2006328772A (en) Bathroom unit
KR101304302B1 (en) Sewer cover drain apparatus
ATE266132T1 (en) EMERGENCY DRAIN DEVICE
JP4512687B2 (en) Slime drain cover
KR101348450B1 (en) A drain trap with water supply and layered drainage system using thereof
JP3145276U (en)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JP3165904U (en) Water stop device for buried box
JP6768436B2 (en) Drainage chamber
JP2017043929A (en) Bathroom drainage structure
JP2005314997A (en) Drain trap
JP2010253064A (en) Hose storage part for washing machine
JP2019210642A (en) Waterproof pan for washing machine
JP6785400B2 (en) Drainer mounting structure
KR200280028Y1 (en) a Drain for Prevention Backward Flow of Smell
JPH0137008Y2 (en)
KR20010025458A (en) The lowest drain unit
TWM485266U (en) Improved external sewer device of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