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90U - 발광형 방열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형 방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90U
KR20180000390U KR2020170005978U KR20170005978U KR20180000390U KR 20180000390 U KR20180000390 U KR 20180000390U KR 2020170005978 U KR2020170005978 U KR 2020170005978U KR 20170005978 U KR20170005978 U KR 20170005978U KR 20180000390 U KR20180000390 U KR 201800003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ring
fa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화
오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앱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앱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앱코
Priority to KR202017000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90U/ko
Publication of KR20180000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형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 공간을 일 단면에 구비하며, 구동 모터가 설치된 브라켓을 타 단면에 구비한 하우징;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팬; 내측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벽에 장착되는 링;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미가 연결되어 상기 링의 홈에 감입 장착되며, 상기 각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MCU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 상에서 투과 및 반사의 발광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팬에 대향하는 일면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 및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부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을 이용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형 방열 장치{Light emitting type heat radi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효과를 가지는 발광형 방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장치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장치를 구비한다. 즉, 방열 장치는 발열하는 전자 부품에 설치되거나, 발열하는 전자 부품을 내부에 포함한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방열 장치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팬을 각각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외관이 비교적 단조로운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방열 장치의 단조로운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팬의 블레이드에 발광 소자를 장착한 방열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블레이드에 발광 소자를 장착한 종래의 방열 장치는 전원선을 발광 소자에 연결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를 구현하기 위해 팬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열 장치는 발광 소자가 팬에 고정 부착되어 발광 소자를 교체할 수 없으므로, 발광 소자가 고장이 나거나 다른 색의 발광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5-0047741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간단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발광 소자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발광형 방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1) 수용 공간을 일 단면에 구비하며, 구동 모터가 설치된 브라켓을 타 단면에 구비한 하우징, (2)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팬, (3) 내측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벽에 장착되는 링, (4)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미가 연결되어 상기 링의 홈에 감입 장착되며, 상기 각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MCU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 상에서 투과 및 반사의 발광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팬에 대향하는 일면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 (5)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광 제어부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을 이용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다.
상기 각 발광 소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표면 실장형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에 연결되는 선을 가이드 하도록 측면에 천공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은, (1) 수미의 연결을 고정하는 고정 본딩 패드, (2)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선에 연결되는 연결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1) 상기 하우징, 팬, 링 및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방열 구조체, (2) 상기 방열 구조체의 각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의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상기 발광 제어부와 무선 통신 연결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가 링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써, 비교적 간단한 내부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의 교체만으로도 발광 소자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발광 소자의 장착 및 교체의 편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MCU와 대상물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광 효과를 제어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발광 효과를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전압에서도 동작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의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발광 제어부(8) 및 리모컨(9)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의료기기, 셋톱 박스(set-top box), 게임 콘솔(game consoles), 캠코더(camcorder),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계측기, 전기 계측기, 가스 계측기,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전자 부품에 설치되어 전자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 Processing Unit ; GPU)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가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팬(2), 링(3) 및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를 포함한다. 이하, 하우징(1), 팬(2), 링(3) 및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방열 구조체"라 지칭한다.
하우징(1)은 대상물, 즉 전자 장치에서 방열이 필요한 부분(예를 들어, 케이스)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때, 하우징(1)은 팬(2)을 수용하도록 일 단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타 단면에 구동 모터가 설치된 브라켓(11)을 구비한다. 즉, 브라켓(11)은 하우징(1)에서 수용 공간의 타 단면을 형성하며, 팬(2)을 장착한다. 이때, 구동 모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신호에 따라 회전축을 회전시켜 회전축에 연결된 팬(2)을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는 하우징(1)의 브라켓(11)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는 브라켓(11)에 나사 결합 또는 브라켓(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돌기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1)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은 고정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대상물에 하우징(1)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부(11)는 나사 결합을 통해 하우징(1)을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1)는 나사못의 나사산 부분을 관통시키는 나사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1)는 대상물과 접촉하는 면에 구비된 충격 흡수 패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드(122)는 팬(2)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패드(122)는 고무, 스폰지, 골판지, 메쉬, 또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은 측면에 천공 형성된 가이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는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 및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각종 선(예를 들어, 전원선 및 제어선)이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가이드부(13)는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 및 구동 모터에 각종 신호(예를 들어,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각종 선을 가이드함으로써, 해당 선이 팬(2)의 블레이드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팬(2)은 하우징(1)의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1)의 브라켓(11)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와 연결된다. 즉, 팬(2)은 회전축에 연결 및 지지되어 회전한다. 이때, 팬(2)은 회전축에 연결되는 블레이드 몸체와, 블레이드 몸체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몸체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각 블레이드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회전 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특히, 팬(2)의 블레이드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발광 소자(41)에서 발생한 광이 회전하는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 상에 투과 및 반사함으로써 독특한 발광 효과가 발생하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폴리프로필렌(PP),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링(3)은 하우징(1)의 수용 공간의 내벽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과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연결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즉, 링(3)은 내측에 형성된 홈에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링(3)은 금속 재질, 고무 재질,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41)를 구비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보드(board)로서, 링(3)의 내측 홈에 장착된다. 즉,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는 수미가 연결된 고리 형상의 상태로 링(3)의 내측 홈에 감입 장착된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폴리프로필렌(PP),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를 링(3)의 내측 홈에 장착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내부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교체만으로 발광 소자(41)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발광 소자의 장착 및 교체의 편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41)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표면 실장형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광 소자(41)는 단색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색을 발광하는 LED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41)는 적색 LED, 녹색 LED, 청색 LED, 호박색 LED, 황색 LED 및 백색 LE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팬(2)의 표면에서 발광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41)는 팬(2)에 대향하는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일면에 구비된다.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Micro Control Unit, 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CU(42)는 복수개 발광 소자(41)와 각각 연결되어, 제어선을 통해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발광 소자(41)의 발광 효과를 제어한다. 즉, MCU(42)는 각 발광 소자(41)의 발광 순서, 발광 지연 시간 및 발광 색상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MCU(42)를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발광 소자의 발광 효과를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전압인 5V 내지 12V의 전압에서도 동작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장착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는 그 수미 연결 부분에 고정 본딩 패드(43)와 연결 본딩 패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본딩 패드(43)는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수미 양단에 부착되어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수미 양단을 연결시킨다. 이때, 고정 본딩 패드(43)는 링(3)의 내벽 홈에 장착하기 전이나, 장작한 후에 용접, 접착제, 또는 자석을 통해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의 수미 양단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고정 본딩 패드(43)를 구비함으로써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를 링(3)의 홈에 쉽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결 본딩 패드(44)는 전원선 및 제어선과 연결되어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어, 연결 본딩 패드(44)는 각 발광 소자(41)에 전원 신호를 전달하며, MCU(42)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연결 본딩 패드(44)를 구비함으로써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에 전원선 및 제어선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제어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8)는 발광 소자(41)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즉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제어 신호는 발광 소자(41)의 발광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발광 제어부(8)는 구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즉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발광 제어부(8)는 발광 소자(41)의 발광 효과 또는 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81)를 조작할 경우, 발광 제어부(8)는 해당 조작 신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MCU(42)나 구동 모터에 공급한다.
발광 제어부(8)는 대상물(예를 들어,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케이스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발광 제어부(8)의 장착부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광 제어부(8)는 자석의 자기력을 통해 케이스의 표면에 장착되므로 케이스의 표면에 보다 쉽게 탈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원선 및 제어선(6)은 발광 제어부(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선으로서,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나 구동 모터에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전원선 및 제어선(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암이나 수 형상의 제1커넥터(7)에 연결되며, 그 타단이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 및 구동 모터에 연결된다. 이때, 발광 제어부(8)는 제1커넥터(7)의 암 또는 수 형상과 반대 형상을 가지는 제1커넥터 수용부(83)를 포함한다. 즉, 어느 한 발광 구조체의 제1커넥터(7)가 발광 제어부(8)의 제1커넥터 수용부(83)에 결합되는 경우, 해당 발광 구조체의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나 구동 모터는 발광 제어부(8)로부터 전원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발광 제어부(8)는 외부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2커넥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커넥터(82)가 전원공급부에 결합되는 경우, 발광 제어부(8)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귿받은 전원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해당 발광 구조체의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나 구동 모터에 공급한다. 특히, 발광 제어부(8)는 커넥터 수용부(83)를 복수개 포함하며, 이에 따라 2개 이상의 발광 구조체에 각종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제어부(8)와 무선 통신 연결되는 리모컨(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제어부(8)는 무선 신호 센서(84)를 구비하여 리모컨(9)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9)으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한 발광 제어부(8)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른 각종 신호를 생성하여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4)나 구동 모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9)은 적외선 대역을 이용하는 리모컨이거나, 적외선 대역 이외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리모컨일 수 있으며, 발광 소자(41)의 발광 효과나 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복수개의 방열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제어부(8)가 복수개의 제1커넥터 수용부(83)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방열 장치는 하나의 발광 제어부(8)만으로도 복수개의 방열 구조체, 즉 각 방열 구조체의 발광 소자(41)의 발광 효과 또는 팬(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하우징 2 : 팬
3 : 링 4 :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
6 : 전원선 및 제어선 7 : 제1커넥터
8 : 발광 제어부 9 : 리모컨
11 : 브라켓 12 : 고정부
13 : 가이드부 41 : 발광 소자
42 : MCU 43 : 고정 본딩 패드
44 : 연결 본딩 패드 81 : 조작부
82 : 제2커넥터 83 : 제1커넥터 수용부
84 : 무선 신호 센서 121 : 나사홈
122 : 충격 흡수 패드

Claims (6)

  1. 수용 공간을 일 단면에 구비하며, 구동 모터가 설치된 브라켓을 타 단면에 구비한 하우징;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팬;
    내측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내벽에 장착되는 링;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미가 연결되어 상기 링의 홈에 감입 장착되며, 상기 각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MCU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재질의 블레이드 상에서 투과 및 반사의 발광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팬에 대향하는 일면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 및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부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을 이용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광 소자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표면 실장형 LE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에 연결되는 선을 가이드 하도록 측면에 천공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은,
    수미의 연결을 고정하는 고정 본딩 패드; 및
    상기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선에 연결되는 연결 본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팬, 링 및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방열 구조체; 및
    상기 방열 구조체의 각 플렉시블 발광 스트립 보드의 MCU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며,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발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와 무선 통신 연결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방열 장치.
KR2020170005978U 2017-11-23 2017-11-23 발광형 방열 장치 KR201800003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78U KR20180000390U (ko) 2017-11-23 2017-11-23 발광형 방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78U KR20180000390U (ko) 2017-11-23 2017-11-23 발광형 방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86 Division 2016-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0U true KR20180000390U (ko) 2018-02-07

Family

ID=6128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978U KR20180000390U (ko) 2017-11-23 2017-11-23 발광형 방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5192B (zh) * 2019-06-25 2020-09-21 大陸商佛山市建準電子有限公司 風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741A (ko) 2013-10-25 2015-05-06 자화전자(주) 방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741A (ko) 2013-10-25 2015-05-06 자화전자(주) 방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5192B (zh) * 2019-06-25 2020-09-21 大陸商佛山市建準電子有限公司 風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462B2 (en) Thin cooling fan
US9395482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llumination system
US8083383B2 (en) Illumination device
US9609184B2 (en) Depth camera
US10859248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US10401002B2 (en) LED lamp and LED light source module thereof
US9096163B2 (en) Light source unit having a metallic substrate with a heat dissipation part, and vehicular lamp having the light source unit
US11255489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836161B1 (ko) 발광형 방열 장치
KR20180000390U (ko) 발광형 방열 장치
US20090237891A1 (en) Heat sink equipped driving circuit module assembly for led lamp
TWM557492U (zh) 燈具組件及使用此燈具組件之燈具
CN107013814B (zh) 发光二极管信号模块
JP2018067451A (ja) 車両用灯具用光源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灯具
US9103531B2 (en) Lighting device with bowl-like casing
CA2886730A1 (en) Slim recessed light fixture
JP6735616B2 (ja) 表示標識灯
US10191207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TW202206707A (zh) 發光風扇
US20200116348A1 (en) Cooling fan
TWI696065B (zh) 散熱風扇
WO2019080084A1 (zh) 一种智能天花灯及其控制方法
JP2017026868A (ja) 表示装置
JP2022144141A (ja) 航空機用灯具
JP201702769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