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25U -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 Google Patents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25U
KR20180000325U KR2020160004247U KR20160004247U KR20180000325U KR 20180000325 U KR20180000325 U KR 20180000325U KR 2020160004247 U KR2020160004247 U KR 2020160004247U KR 20160004247 U KR20160004247 U KR 20160004247U KR 20180000325 U KR20180000325 U KR 201800003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pe
curtain
lower memb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도
Original Assignee
방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수혁 filed Critical 방수혁
Priority to KR2020160004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32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관통공 주면에 수평 돌출부와 제 1 굴곡부, 제 2 굴곡부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보온 비닐지가 겹쳐도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필요 이상의 볼트 높이에 의하여 찢어질 염려가 없어 개폐기의 부하가 줄어져 개폐기의 수명을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Entered into District guide member of the curtain tow rope}
본 고안은 커튼지 견인 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횡으로 개폐되게 커튼지를 로프로 설치할 때 사용하는 커튼지 견인 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성장 속도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 중 현재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비닐 하우스 내의 열기를 유지하여 식물재배에 알맞는 온도로 유지시켜 재배식물의 성장속도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재배방법이 있다. 상기한 재배방법은 비닐 하우스 내의 천정에 보온 비닐지를 개폐되게 로프로 설치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보온비닐지 견인 로프용 체결구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상,하부 몸체를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손이 아닌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해야됨으로 작업인력과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등록된 20-034808 " 비닐하우스의 보온 비닐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에서는 상부몸체를 닫아 볼트의 끝 부분을 너트 위치 홈으로 노출시켜 전동 복스에 의하여 볼트에 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작업자의 숙련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불필요하게 볼트가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가 노출되게 되면 커튼지와 서로 겹치는 부분이 볼트에 의하여 커튼지가 찢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기에 과부하가 많이 걸려 개폐기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며, 관통공 주면에 너트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로프 고정부가 구비된 로프 내입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부재;
상기한 상부 부재의 타측에는 연결부에 의하여 하부 부재가 절첩이 가능하게 되며, 하부 부재는 상기한 관통공과 대향되게 제 2 관통공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제 2 로프 고정부가 구비된 제 2 로프 내입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 2 로프 내입부의 말단에 등 간격으로 보온 비닐 고정부가 형성된 보온 비닐 내입부가 구비된 보온 비닐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부재의 관통공의 상면에 수평 돌출부가 구비되며, 수평 돌출부의 전면부에 제 1 굴곡부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제 2 굴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하부 부재의 제 2 관통공의 상면에는 걸림 방지턱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관통공 주면에 수평 돌출부와 제 1 굴곡부, 제 2 굴곡부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커튼지가 겹쳐도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필요 이상의 볼트 높이에 의하여 찢어질 염려가 없어 개폐기의 부하가 줄어져 개폐기의 수명을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열었을 때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과 볼트를 연결시의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저면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중앙에 관통공(101)이 구비되며, 관통공(101) 주면에 너트(10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로프 고정부(103-1)가 구비된 로프 내입부(103)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부재(100);
상기한 상부 부재(100)의 타측에는 연결부(300)에 의하여 하부 부재(200)가 절첩이 가능하게 되며, 하부 부재(200)는 상기한 관통공(101)과 대향되게 제 2 관통공(20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제 2 로프 고정부(202-1)가 구비된 제 2 로프 내입부(202)가 형성되며,
제 2 로프 내입부(202)의 말단에 등 간격으로 보온 비닐 고정부(203-1)가 형성된 보온 비닐 내입부(203) 가 구비된 보온 비닐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부재(100)의 관통공의 상면에 수평 돌출부(11)가 구비되며, 수평 돌출부(11)의 전면부에 제 1 굴곡부(12)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제 2 굴곡부 (13)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10);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하부 부재(200)의 제 2 관통공(201)의 상면에는 걸림 방지턱(20)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1 커튼지
1' 제 2 커튼지
2 로프
3 볼트
4 와셔 너트
4-1 와셔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시에는,
연결부(300)을 이용하여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부재(100)와 하부 부재(200)가 열린 상태에서 로프(2)를 상부 부재(100)의 로프 내입부(103)와 하부 부재(200)의 제 2 로프 내입부(202)에 거치시킨 다음, 커튼지(1)를 하부 부재 (200)에 형성된 커튼지 내입부(203)에 내입한 다음 상부 부재(100)와 하부 부재 (200)를 닫은 후 굴곡부가 구비된 볼트(3)에다 와셔 너트(4)를 거치하며,
상기와 같이 와셔 너트(4)를 삽입한 볼트(3)를 상부 부재(10)에 구비된 너트(102)에 삽입하여 고정한 다음, 볼트(3)에 거치된 와셔 너트(4)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볼트(3)를 상부 부재(100)의 너트(102)에 삽입하여 고정할 시에 작업자의 숙련에 따라 불필요한 볼트(3)의 나사부가 노출되어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제 2 커튼지(1')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 부재(100)에 구비된 관통공(101)의 주면에 중앙에 수평 돌출부(11)가 구비되고,
수평 돌출부(11)의 전면에는 제 1 굴곡부(12), 배면에는 제 2 굴곡부(13)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10)가 형성되어 있어 불필요한 볼트(3)의 나사부가 노출되어 있어도 제 2 커튼지(1')가 찢어지는 불상사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 부재(200)에 구비된 제 2 관통공(201)에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걸림 방지턱(20)이 구비되어 와셔 너트(4)의 와셔부(4-1)에 의하여 제 2 커튼지(1')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걸림 방지턱(20)의 높이는 와셔부(4-1) 높이보다 높아야 올바른 일실시 예이다.
100 상부 부재. 3 볼트.
101 관통공. 4 와셔 너트.
102 너트. 4-1 와셔부.
103 로프 내입부.
103-1 로프 고정부.
200 하부 부재.
201 제 2 관통공.
202 제 2 로프 내입부.
202-1 제 2 로프 고정부.
203 커튼지 내입부.
203-1 커튼지 고정부.
10 가이드 부재.
11 수평 돌출부.
12 제 1 굴곡부.
13 제 2 굴곡부.
20 걸림 방지턱.

Claims (1)

  1.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며, 관통공 주면에 너트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로프 고정부가 구비된 로프 내입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부 부재;상부 부재의 타측에는 연결부에 의하여 하부 부재가 절첩이 가능하게 되며, 하부 부재는 상기한 관통공과 대향되게 제 2 관통공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등 간격으로 제 2 로프 고정부가 구비된 제 2 로프 내입부가 형성되며, 제 2 로프 내입부의 말단에 등 간격으로 커튼지 고정부가 형성된 커튼지 내입부가 구비된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 부재의 관통공의 상면에 수평 돌출부가 구비되며, 수평 돌출부의 전면부에 제 1 굴곡부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제 2 굴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하부 부재의 제 2 관통공의 상면에는 걸림 방지턱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지 견인 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KR2020160004247U 2016-07-22 2016-07-22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KR201800003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7U KR20180000325U (ko) 2016-07-22 2016-07-22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7U KR20180000325U (ko) 2016-07-22 2016-07-22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5U true KR20180000325U (ko) 2018-01-31

Family

ID=6127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47U KR20180000325U (ko) 2016-07-22 2016-07-22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32B1 (ko) * 2019-12-04 2020-04-28 (주)창신아그멕 비닐하우스용 커튼 예인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632B1 (ko) * 2019-12-04 2020-04-28 (주)창신아그멕 비닐하우스용 커튼 예인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9689B1 (en) Fastening means
US7513080B1 (en) Anchor attachment for a roof panel rib
US6053456A (en) Cable anchor assembly
US5692272A (en) Clip for gripping sheet material
US20070252041A1 (en) Interior panel attachment system
US10300833B2 (en) Resilient cover clip
EP2370647A1 (en) An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solar panels to structural surfaces
US9803797B2 (en) Hurricane resistant fabric clamps
JP2009156019A (ja) 屋根板取り付け金具
US11674637B2 (en) Anchor assembly
US9943167B2 (en) Trim profile covering fixture
EP1019640B1 (en) Cantilever fastener assembly
CA2290080A1 (en) Fastener clip for security wall system
KR20180000325U (ko) 커튼지 견인로프용 체결구 가이드 부재.
US11692581B2 (en) Box nut retainer
US20210062855A1 (en) Ergonomic Box Nut Retainer
US11732464B2 (en) Securing assembly
US10411399B2 (en) Electrical cable retention
US11882906B2 (en) Dual engagement fastener
KR200348098Y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비닐지견인로프용 체결구
KR200462767Y1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클러용 고정구
US20170321449A1 (en) An improved fencing element
KR100725047B1 (ko) 조립식 구조물용 미끄럼방지 프레임 고정너트
KR200480038Y1 (ko) 터미널 박스
US20230238789A1 (en) Single person wedg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