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56A - 뷰 파인더 모듈 - Google Patents

뷰 파인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56A
KR20180000256A KR1020160078265A KR20160078265A KR20180000256A KR 20180000256 A KR20180000256 A KR 20180000256A KR 1020160078265 A KR1020160078265 A KR 1020160078265A KR 20160078265 A KR20160078265 A KR 20160078265A KR 20180000256 A KR20180000256 A KR 2018000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light
light source
optical axi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528B1 (ko
Inventor
김병수
이경태
이효준
최남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5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6Viewfinders with lenses with or without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4Focusing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뷰파인더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뷰 파인더 모듈{View finder module}
본 실시예는 뷰 파인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범용화로 인해, 라이프 로깅(Life logging), 순간 포착이 가능한 소형화(Minimalize)된 카메라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소형 카메라는, Action/Wearable Cam으로도 불리며, 휴대성과 간편한 촬상을 위해 작고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뷰 파인더(View finder) 또는 LCD 디스플레이부가 생략된다. 그 결과, 메모리 카드를 분리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하지 않으면, 촬상 영역 및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Action/Wearable Cam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로케이션이 야외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내로 복귀하여 촬상 영역 및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촬상과정에서 피드백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지 않고도, 촬상 영역 및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뷰 파인더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촬상 영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시할 수 있는 뷰 파인더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뷰 파인더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뷰 파인더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광축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고, 광을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반사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하고, 반사면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2이상의 반사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2 이상의 상기 반사편은, 상기 표시 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화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과 동일할 수 있다.
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회절광학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절광학소자에서 회절된 광의 화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뷰 파인더 모듈은, 카메라 모듈; 및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2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2이상의 상기 광원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한 상기 광원의 출사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의 1/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에 광 표시를 하여 촬상 영역을 지시하는 광원에 의해, 촬상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촬상시 피사체에 표시된 광을 사라지게 하여, 촬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절광학소자 및 반사편의 구동에 의해, 피사체에 표시된 광의 형태가 달라져, 다양한 방법으로 촬상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뷰 파인더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지시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지시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지시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지시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뷰 파인더 모듈로 촬상 영역을 지시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1,2,3,4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제1,2,3,4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뷰파인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뷰파인더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2,3,4실시예에 따른 뷰파인더 모듈(1)은, 하우징(2), 투과창(3), 조작부(4), 카메라 모듈(10,20,30,40), 지시모듈(100,200,300,400), 메모리 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뷰파인더 모듈(1)은, 하우징(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은, 외장재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2)은, 전면에는 투과창(3)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의 윗면에는 조작부(4)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에는, 카메라 모듈(10,20,30,40), 지시 모듈(100,200,300,400), 제어부(미도시), 메모리 카드(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2)은 마운트 플레이트(미도시)와 결합되어 헬멧, 아웃도어 의류 등과 일체화될 수 있다. 또, 하우징(2)은 방수재질로 만들어져, 수중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뷰파인더 모듈(1)은, 투과창(3)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3)은, 광학유리일 수 있다. 투과창(3)을 통하여, 피사체에 반사된 광이 카메라 모듈(10,20,30,40)로 조사될 수 있다. 투과창(2)을 통하여, 지시 모듈(100,200,300,400)에서 출사된 광이 피사체에 조사될 수 있다.
뷰파인더 모듈(1)은, 조작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4)는, 촬상버튼과 지시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의 촬상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 카메라 모듈(10,20,30,40)에 촬상명령을 내릴 수 있다. 나아가 촬상시, 제어부에서 지시 모듈(100,200,300,400)에 광원을 오프(off)하는 명령을 내려 피사체에 표시된 광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조작부(4)의 지시버튼부는, 여러 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시버튼부의 지시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 지시 모듈(100,200,300,400)에 출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출사된 상태에서 지시버튼부의 지시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 지시 모듈(100,200,300,400)에 광원을 오프(off)하는 명령을 내려 피사체에 표시된 광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지시버튼부의 복수 개의 표시영역조절 버튼을 클릭하면, 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아 지시 모듈(100,200,300,400)의 광원 또는 반사편에 구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사광의 표시 영역이 확대, 축소, 변경될 수 있다.
뷰 파인더 모듈(1)은, 카메라 모듈(10,20,30,4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20,30,40)은, 렌즈 모듈(미도시), 이미지센서(미도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및 렌즈 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투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와 제어부가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와 이미지 센서와 지시 모듈(100,200,300,400)과 메모리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미지 센서에 촬상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상 후, 메모리카드에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지시 모듈(100,200,300,400)에 출사광을 on/off하거나 출사광의 표시 영역을 조절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뷰 파인더 모듈(1)은, 지시 모듈(100,200,300,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시 모듈(100,200,300,400)은,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뷰 파인더 모듈(1)의 촬상 영역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지시 모듈(100,200,300,400)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지시 모듈(100,200,300,400)은, 제어부로부터 출사광을 on/off하는 명령을 전달받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시 모듈(100,200,300,400)은, 제어부로부터 표시 영역을 확대, 축소, 변경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뷰 파인더 모듈(1)은, 메모리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제어부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촬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제어부로부터 촬상된 이미지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뷰 파인더 모듈(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뷰 파인더 모듈(1)로부터 탈착되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카드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화된 뷰 파인더 모듈(1)의 촬상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에서는 촬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제1,2,3,4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뷰 파인더 모듈(1)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본 제1,2,3,4,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20,30,40)과 지시 모듈(100,200,300,400)을 설명한다. 설명에 사용되는 방향은, 카메라 모듈(10,20,30,40)의 광축에서 피사체(50)측으로의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 방향을 정하였다. 또, 전후 방향의 수평면에서 전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하였다. 또, 전후 방향의 수직면에서 전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하였다.
이하,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과 지시 모듈(100)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과 지시 모듈(1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카메라 모듈(10)은, 지시 모듈(10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의 광축과 지시 모듈(100)의 광원(11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촬상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상술한 렌즈 모듈(미도시)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A1)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광축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화각(A1)은 이등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촬상 가능 영역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1)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촬상 영역(a1)은, 촬상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촬상 영역(a1)의 수직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피사체(50)는, 촬상의 대상이 되는 물체일 수 있다. 피사체(50)에서, 촬상 영역에 속하는 부분만이 촬상될 수 있다.
지시 모듈(100)은, 카메라 모듈(1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시 모듈(100)은, 광원(110)과 회절광학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미도시)는, 생략될 수 있다.
광원(110)은,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영역(b1)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영역(b1)은, 피사체에 표시되어 촬상 영역(a1)을 지시할 수 있다. 광원(110)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는, 순방향 전류가 흐르면, n-type의 electron과 p-type의 hole이 재결합하면서 band gap만큼의 에너지를 빔으로 발산하는 PN접합일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에서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발생되어 출사될 수 있다. 다만, 광원(110)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광발생 원이면 본 제1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광원(110)은, 광의 성질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B1)을 가지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110)의 광축에 의해서, 출사광의 화각(B1)은 이등분될 수 있다. 출사광의 화각(B1)에 의해 표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 영역(b1)은, 표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b1)은, 단면이 사각형인 면일 수 있다.(도 6c참조)
광원(110)은, 표시 영역(b1)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원(11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1)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광원(11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1)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광원(110)은,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1)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조건에 따라 표시 영역(b1)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화각(A1)과 출사광의 화각(B1)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영역(a1)과 표시 영역(b1)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1)으로부터 촬상 영역(a1)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의 광축은 광원(11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광축은 광원(110)의 광축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영역(a1)과 표시 영역(b1)은 닮음이지만 표시 영역(b1)은 촬상 영역(a1)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의 변형예(미도시)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굴절광학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굴절광학소자를 광원(110)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출사광은 굴절광학소자를 투과하며 굴절할 수 있다. 출사광은, 마치 카메라 모듈(10)의 광축과 광원(110)의 광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처럼 굴절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b1)의 무게중심점이 카메라 모듈(10)의 광축선상에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1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굴절광학소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 회절광은, 특정한 화각(B1)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광축에 의해서, 회절광의 화각(B1)은 이등분될 수 있다. 회절광의 화각(B1)에 의해 지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지시 영역은, 지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즉, 회절광학소자는, 출사광이 광 자체의 성질에 의해, 특정한 화각(B1)(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10)의 화각과 동일한 화각)을 가질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보조구성요소일 수 있다. 나아가 회절광학소자의 슬릿(미도시)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b1)은 면뿐만아니라 점 또는 폐선일 수 있다.(도 6a,b,c 참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촬상 영역을 지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형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화각(A1)과 회절광의 화각(B1)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영역(a1)과 지시 영역(b1)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시 영역으로부터 촬상 영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과 지시 모듈(200)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과 지시 모듈(2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카메라 모듈(20)은, 지시 모듈(2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의 전방에 지시 모듈(200)이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20)의 광경로를 지시 모듈(200)이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지시 모듈(200)의 광원(21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은, 촬상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은, 상술한 렌즈 모듈(미도시)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A2)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화각(A2)은 이등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의 촬상 가능 영역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2)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의 촬상 영역(a2)은, 촬상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촬상 영역(a2)의 수직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피사체(50)는, 촬상의 대상이 되는 물체일 수 있다. 피사체(50)에서, 촬상 영역(a2)에 속하는 부분만이 촬상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은, 전방의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고, 후술하는 광원(210)은, 후방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20)의 촬상방향과 광원(210)의 출사방향은 다를 수 있다.
지시 모듈(200)은, 카메라 모듈(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시 모듈(200)은, 광원(210)과 제1반사부재(220)와 회절광학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생략될 수 있다.
광원(210)은,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50)에 표시 영역(b2)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b2)은, 피사체에 표시되어 촬상 영역(a2)을 지시할 수 있다. 광원(210)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광원(210)은, 카메라 모듈(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10)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210)은, 후방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반사부재(220)에 의해, 출사된 광은 전방으로 경로를 바꿀 수 있다. 광원(210)은, 광의 성질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을 가지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210)의 광축에 의해서, 출사광의 화각은 이등분될 수 있다. 출사광의 수직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광원(210)은, 후술하는 표시 영역(b2)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원(21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2)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광원(21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2)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광원(210)은,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2)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조건에 따라 표시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반사부재(220)는, 광원(210)과 이격되어 광원(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반사부재(220)는,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은 제1반사부재(22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1반사부재(220)는,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이웃하게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은,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후술하는 표시 영역(b2)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2)을 변경시킬 수 있다.
반사광의 화각(B2)에 의해 표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 영역(b2)은, 표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출사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2)과 동일할 수 있다. 또, 광원(210)과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또, 제1반사부재(220)의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의 반사면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반사광의 화각(B2)과 카메라 모듈의 화각(A2)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 영역(a2)과 표시 영역(b2)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b2)의 무게중심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2)으로부터 촬상 영역(a2)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210)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 회절광은, 특정한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광원(210)의 광축에 의해서, 회절광의 화각은 이등분될 수 있다. 즉, 회절광학소자는, 출사광이 광자체의 성질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20)의 화각과 동일한 화각)을 가질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보조구성요소일 수 있다. 나아가 회절광학소자의 슬릿(미도시)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b2)은 면뿐만아니라 점 또는 폐선일 수 있다.(도 6a,b,c 참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촬상 영역(a2)을 지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형성할 수 있다.
회절광이 제1반사부재(220)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화각(B1)에 의해 지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지시 영역(b2)은, 지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회절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에 의해 이등분될 수 있다. 또, 회절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2)과 동일할 수 있다. 또, 광원(210)과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또, 제1반사부재(220)의 제1반사편(221)과 제2반사편(222)의 반사면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광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반사광의 화각(B2)과 카메라 모듈의 화각(A2)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 영역과 지시 영역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b2)의 무게중심은, 카메라 모듈(20)의 광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2)으로부터 촬상 영역(a2)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제3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과 지시 모듈(300)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과 지시 모듈(3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카메라 모듈(30)은, 지시 모듈(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의 전방에 지시 모듈(300)이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30)의 광경로를 지시 모듈(300)이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지시 모듈(300)의 광원(31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은, 촬상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은, 상술한 렌즈 모듈(미도시)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A3)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화각(A3)은 이등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의 촬상 가능 영역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3)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30)의 촬상 영역(a3)은, 촬상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촬상 영역(a3)의 수직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피사체(50)는, 촬상의 대상이 되는 물체일 수 있다. 피사체(50)에서, 촬상 영역에 속하는 부분만이 촬상될 수 있다.
지시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시 모듈(300)은, 광원(310)과 제1반사부재(320)와 제2반사부재(330)와 회절광학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생략될 수 있다.
광원(310)은,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 영역(b3)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b3)은, 피사체(50)에 표시되어 촬상 영역(a3)을 지시할 수 있다. 광원(310)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광원(310)은, 카메라 모듈(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310)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310)은, 전방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1반사부재(320)에 의해, 출사된 광은 반사되어 후방으로 경로가 바뀔 수 있다. 그 후, 제2반사부재(3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다시 반사되어 전방으로 경로가 바뀔 수 있다. 광원(310)은, 광의 성질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을 가지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310)의 광축에 의해서, 출사광의 화각은 이등분될 수 있다. 출사광의 수직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광원(310)은, 후술하는 표시 영역(b3)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원(31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광원(31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광원(310)은,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3)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조건에 따라 표시 영역(b3)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반사부재(320)는, 광원(310)과 이격되어 광원(3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반사부재(320)는,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310)에서 출사된 광은 제1반사부재(32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1반사부재(320)는,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이웃하게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310)에서 출사된 광은,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후술하는 표시 영역(b3)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제1반사편(321)과 제2반사편(32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3)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제2반사부재(330)는, 제1반사부재(320)와 이격되어 제1반사부재(32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반사부재(330)는,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반사부재(320)에서 반사된 광은 제2반사부재(33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2반사부재(330)는,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이웃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반사면이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310)에서 출사된 광은,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제3반사편(331)과 제2반사편(332)은, 후술하는 표시 영역(b3)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3)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제3반사편(331)과 제4반사편(33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제2반사부재(330)의 반사광의 화각(B3)에 의해 표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 영역(b3)은, 표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출사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3)과 동일할 수 있다. 또, 광원(310)과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또, 제1,2반사부재(320,330)의 제1,2,3,4반사편(321,322,331,332)의 반사면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2반사편(321,322)과 제3,4반사편(331,33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반사부재(330)의 반사광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2반사부재(330)의 반사광의 화각(B3)과 카메라 모듈의 화각(A3)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 영역(a3)과 표시 영역(b3)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b3)의 무게 중심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3)으로부터 촬상 영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3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절광학소자는, 광원(310)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 회절광은, 특정한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광원(310)의 광축에 의해서, 회절광의 화각은 이등분될 수 있다. 즉, 회절광학소자는, 출사광이 광자체의 성질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20)의 화각과 동일한 화각)을 가질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보조구성요소일 수 있다. 나아가 회절광학소자의 슬릿(미도시)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b3)은 면뿐만아니라 점 또는 폐선일 수 있다.(도 6a,b,c 참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촬상 영역(a3)을 지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형성할 수 있다.
회절광이 제1,2반사부재(320,330)에 차례로 반사된 반사광의 화각(B3)에 의해 표시 가능 영역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 영역(b3)은, 표시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회절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에 의해 이등분될 수 있다. 또, 회절광의 화각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3)과 동일할 수 있다. 또, 광원(310)과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또, 제1,2반사부재(320,330)의 제1,2,3,4반사편(321,322,331,332)의 반사면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2반사편(321,322)과 제3,4,반사편(331,332)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반사부재(330)의 반사광의 광축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제2반사부재(330)의 반사광의 화각(B3)과 카메라 모듈의 화각(A3)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 영역(a3)과 표시 영역(b3)은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b3)의 무게 중심은, 카메라 모듈(30)의 광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3)으로부터 촬상 영역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제4실시예의 카메라 모듈(40)과 지시 모듈(400)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과 지시 모듈(4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카메라 모듈(40)은, 지시 모듈(400)의 4개의 광원(410)(도 5의 구성도에서는, 작도 조건상 2개의 광원만 도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촬상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상술한 렌즈 모듈(미도시)에 의해서 특정한 화각(A4)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의 광축에 의해서, 카메라 모듈의 화각(A4)은 이등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의 촬상 가능 영역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A4)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의 촬상 영역(a4)은, 촬상 가능 영역이 피사체(50)에 사영(射影)된 영역일 수 있다. 촬상 영역(a4)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피사체(50)는, 촬상의 대상이 되는 물체일 수 있다. 피사체(50)에서, 촬상 영역(a4)에 속하는 부분만이 촬상될 수 있다.
지시 모듈(400)은, 4개의 광원(410)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광원(410) 사이에 카메라 모듈(40)이 위치할 수 있다. 4개의 광원(410)은 카메라 모듈(40)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410)은,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영역은, 피사체에 표시되어 촬상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광원(410)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는, 순방향 전류가 흐르면, n-type의 electron과 p-type의 hole이 재결합하면서 band gap만큼의 에너지를 빔으로 발산하는 PN접합일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에서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발생되어 출사될 수 있다. 다만, 광원(410)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광발생원이면 본 제2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광원(410)은, 광원의 성질에 의해서 좁은 화각을 가지도록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즉, 출사광은, 파장이 짧아 직진성이 좋고, 사방으로 에너지(파장)가 퍼지거나 흐트러지지 않아 좁은 화각을 가지는 레이져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b4)은, 4개의 점일 수 있다.(도 6a참조) 사용자는, 피사체에 표시된 4개의 점을 이어 가상의 영역을 추론하여 촬상 영역(a4)을 인지할 수 있다.
광원(410)은, 표시 영역(b4)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원(21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4)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 광원(21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 영역(b4)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 광원(210)은, 자전하는 회동을 하여, 표시 영역(b4)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조건에 따라 표시 영역(b4)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화각(A4)의 1/2과 카메라 모듈(40)의 광축을 기준으로한 광원(410)의 출사각(B4)은, 동일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광원(410)이 카메라 모듈(40)의 광축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촬상 영역(a4)을 카메라 모듈(40)의 광축을 기준으로 확대한 가상 영역의 4개의 꼭지점에 표시 영역(b4)의 4개의 점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영역(b4)으로부터 촬상 영역(a4)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제1,2,3,4실시예에 따른 뷰파인더 모듈(1)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부(4)의 지시버튼부에서 지시버튼을 클릭하여, 지시 모듈(100,200,300,400)이 출사하게 할 수 있다. 출사된 광은, 피사체(50)에 표시 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표시 영역(b)은, 촬상 영역과 닮음(상사(相似),similarity)일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b)과 촬상 영역(a)은, 모두 카메라 모듈(10,20,30,40)의 광축을 중심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표시 영역(b)으로부터 촬상 영역(a)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상 영역(a)을 인지한 후, 조작부(4)의 촬상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20,30,40)은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상시, 지시 모듈(100,200,300,400)에서 출사된 광은 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촬상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지시 모듈(100,200,300,400)에서 출사된 광에 의해, 광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촬상이 끝나면,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보관되거나 외부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뷰 파인더 모듈 2: 하우징
3: 투과창 4: 조작부
10,20,30,40: 카메라 모듈
100,200,300,400: 지시 모듈
110,210,310,410: 광원
320,420: 제1반사부재
430: 제2반사부재
A1,A2,A3,A4: 카메라 모듈의 화각
B1: 출사광의 화각
B2: 제1반사부재의 반사광의 화각
B3: 제2반사부재의 산사광의 화각
B4: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한 출사광의 화각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뷰파인더 모듈.
  2.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광축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있고, 광을 출사하는 광원;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상기 광원과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제1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에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뷰파인더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뷰파인더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하고, 반사면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2이상의 반사편을 포함하는 뷰파인더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2이상의 상기 반사편은, 상기 표시 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변경되도록 구동하는 뷰파인더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화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과 동일한 뷰파인더 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회절광학소자를 더 포함하는 뷰파인더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광학소자에서 회절된 광의 화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과 동일한 뷰파인더 모듈.
  9. 카메라 모듈;및
    광을 출사하여 피사체에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2이상의 광원을 포함하고,
    2이상의 상기 광원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뷰파인더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기준으로한 상기 광원의 출사각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화각의 1/2인 뷰파인더 모듈.



KR1020160078265A 2016-06-22 2016-06-22 뷰 파인더 모듈 KR10258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65A KR102581528B1 (ko) 2016-06-22 2016-06-22 뷰 파인더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65A KR102581528B1 (ko) 2016-06-22 2016-06-22 뷰 파인더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56A true KR20180000256A (ko) 2018-01-02
KR102581528B1 KR102581528B1 (ko) 2023-09-22

Family

ID=6100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265A KR102581528B1 (ko) 2016-06-22 2016-06-22 뷰 파인더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5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674A (ja) * 1994-08-09 1996-02-27 Shibayama Seisakusho:Kk 被写体の撮影範囲を表示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106388A (ja) * 2004-10-06 2006-04-20 Olympus Corp 撮影範囲投影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98862A (ja) * 2008-02-22 2009-09-03 Nikon Corp 電子機器
KR20160025425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패키지 모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4674A (ja) * 1994-08-09 1996-02-27 Shibayama Seisakusho:Kk 被写体の撮影範囲を表示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106388A (ja) * 2004-10-06 2006-04-20 Olympus Corp 撮影範囲投影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98862A (ja) * 2008-02-22 2009-09-03 Nikon Corp 電子機器
KR20160025425A (ko) * 2014-08-27 2016-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패키지 모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528B1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88711B (zh) 屏下光学系统、衍射光学元件的设计方法及电子设备
CN109379454B (zh) 电子设备
CN109143607B (zh) 补偿显示屏、屏下光学系统及电子设备
TWI668997B (zh) 產生全景深度影像的影像裝置及相關影像裝置
CN109274789B (zh) 电子设备
JP2001290198A (ja) カメラの投射型ファインダ
US10679370B2 (en) Energy optimized imaging system with 360 degree field-of-view
CN109240021B (zh) 屏下光学系统及电子设备
US10962764B2 (en) Laser projector and camera
CN104125379A (zh) 摄像装置
US20140353501A1 (en) Night vision attachment for smart camera
CN111602084B (zh) 空间复用方案
TWM523106U (zh) 光學裝置
CN114073065A (zh) 利用小型反射部的摄像头模块及利用其的增强现实用光学装置
JP2010085472A (ja) 画像投影・撮像装置
KR20180000256A (ko) 뷰 파인더 모듈
TW201709717A (zh) 攝像與照明裝置
CN212034191U (zh) 夜视装置
JP4020882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フォーカス調整装置
KR20000077394A (ko) 광학 뷰파인더를 통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JP2010193287A (ja) カメラ
CN113647088A (zh) 用于光学设备的内部显示器
WO2016188109A1 (zh) 一种光学处理装置及终端
CN103512666B (zh) 一种红外立体成像探测芯片
TWI531211B (zh) 立體成像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