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06A -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06A
KR20180000106A KR1020160077841A KR20160077841A KR20180000106A KR 20180000106 A KR20180000106 A KR 20180000106A KR 1020160077841 A KR1020160077841 A KR 1020160077841A KR 20160077841 A KR20160077841 A KR 20160077841A KR 20180000106 A KR20180000106 A KR 20180000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language setting
host
g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애드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애드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애드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6007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06A/ko
Publication of KR20180000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은,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게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고,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호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인 경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제2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versational real-time translation service for booking accommod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가, 지인 방문, 업무 등의 이유로 인해 타지로 출발하기 전에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숙소 등을 미리 예약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인 일이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7416호(발명의 명칭: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를 참조하면, 유선망 및 무선망을 통하여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는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방법은 숙소에 대한 예약을 요청 받아 예약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과금 처리와 함께 예약 허가를 통지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7869호(발명의 명치: 온라인 숙박 통합 실시간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를 참조하면, 하나의 웹사이트 내에서 다수의 이용자와 다수의 숙박업소 간에 다양한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온라인 상에서 원하는 숙박시설을 예약하거나 원하는 이용자를 찾기 쉽게 하고, 이용자와 숙박업소 간에 균형을 유지하여 편리성과 경제적인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숙소를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업체 측에서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편의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대화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상대방과도 편리하게 대화를 진행하여 숙소 예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다른 언어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서 사용자의 학습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전술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복수의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과 복수의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오직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이 아닌 다른 소정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소정의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소정의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참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번역문은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참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번역문은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되는 것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간에 대화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은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1:1 대화뿐만 아니라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다자 대화를 위해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번역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함으로써, 번역에 따른 부하, 속도 및 처리 용량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문이 실시간 번역되어 대화방에 표시됨으로써, 숙박 예약을 위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방에 원문과 그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다른 언어에 대한 관심 정도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은 숙박 예약을 위한 대화의 일반적인 난이도를 고려할 때 일정 수준 이상의 번역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설령 원문에 대한 번역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일부 번역 내용을 토대로 상대방의 대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방에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 및 해당 번역 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고,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을 처음 접해 본 사용자일지라도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통해서 원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을 통해, 대화방 내에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게스트 간에도 어려움 없이 대화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숙소 예약 이외에도 다양한 경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위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대화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숙소 예약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대화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대화방에서의 대화를 처리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및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숙소"는 거주지를 떠난 사람이 일정 기간 동안 임시로 머물거나 지내는 곳, 장소 및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대화방"은 주로 통신망에서 둘 이상의 주체가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누는 가상의 공간을 가리키며, 모니터 화면을 통해 "대화방"을 윈도우 창 형태로 구현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언어 셋팅 정보"는 임의의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는 제1 한국어(표준어), 제2 한국어(특정지역 방언), 제1 영어(미국식 영어), 제2 영어(영국식 영어), 제1 일본어(표준어), 제2 일본어(특정지역 방언), 제1 중국어(표준어), 제2 중국어(특정지역 방언)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위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방식에 대한 특별한 제약 없이 유무선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서버 및 단말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데이터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호스트가 사용하는 호스트 단말(100a)과 게스트가 사용하는 게스트 단말(100b)로 구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호스트는 호스트 단말(100a)을 사용하는 자, 숙소 예약 플랫폼에 숙소를 등록하는 자 및 숙소 예약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빌려주는 자를 포함하고, 게스트는 게스트 단말(100b)을 사용하는 자 및 숙소 예약 플랫폼을 통해 숙소를 빌리는 자를 포함한다. 대체로 호스트는 숙소의 소유자이고, 게스트는 여행객이나 숙소가 위치하는 지역을 방문하는 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a)이나 게스트 단말(100b)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별도로 도시된 세부 구성은 설계 또는 용도에 따라 변경, 대체 혹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일 구성의 특정 기능이 타 구성에 의해 동작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송수신부(130), 표시부(140), 화면(15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60) 및 위치측위부(170)를 포함하고, 각 구성은 서로 연결된다.
메모리(110)는 데이터(111)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112)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10)에는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앱)일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10)를 통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되거나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메모리(1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2)는 콤팩트 플래시 카드, SD 카드, 메모리 스틱,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및 마이크로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이루는 각 구성에 신호나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각 구성으로부터 신호나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혹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은 유선, 무선 혹은 유무선 통합 연결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화면(150)에 정보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150)을 통해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60)는 하나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 장치들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캐너,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들 장치들과의 접속(connectivity)을 이룰 수 있다. 화면(150)이 터치 기반의 입력을 수신 가능한 모델인 경우, 화면(150)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60) 혹은 프로세서(120)로 전달될 수 있다.
위치측위부(17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측정 방식은 사용자 단말(100)의 GPS 수신기 또는 별도의 고성능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언어 셋팅 정보를 송수신부(130)로 전달하고,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0)로 언어 셋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참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150)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고,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F 대화방 표시를 위한 신호를 표시부(140)로 전달하고, 표시부(140)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150)을 통해 F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번역문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통신모듈(210), 제어모듈(220), 번역 엔진모듈(230) 및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고, 각 구성들은 서로 연결된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서버,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번역 데이터베이스(240)를 일 구성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모듈(21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혹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모듈(210)은 다수의 호스트 단말(100a) 및 게스트 단말(100b)과 통신하여 원문과 번역문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2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데이터와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모듈(220)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220)은 편의상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다수의 호스트 단말(100a) 및 게스트 단말(100b)과의 관계에서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모듈(220)은 정보 처리 장치(200)를 이루는 각 구성에 신호나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각 구성으로부터 신호나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모듈(220)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의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220)의 판단 결과 및 식별 결과에 따라 통신모듈(210)은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해당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통신모듈(210)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게스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해당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통신모듈(210)은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호스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될 수 있다.
번역 엔진모듈(230)은 번역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생성할 수 있다. 번역 엔진모듈(230)의 번역 과정 및 번역 알고리즘은 종래에 공개된 것일 수 있고,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제1 케이스인 경우 번역 엔진모듈(230)은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하여 번역문을 생성할 수 있고, 상술한 제2 케이스인 경우 번역 엔진모듈(230)은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하여 번역문을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장치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를 번역하는 서비스를 처리 및 제공함으로써, 숙박 예약을 보다 편리하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숙소 예약 플랫폼에 접속하거나 정보 처리 장치(200)와 연결되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310). 회원 가입 절차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숙소 예약이라는 분야적 특성을 고려할 때 권장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320). 호스트 및 게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는 보유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대화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하고, 각 사용자 단말은 각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각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저장하고,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으로의 참여를 선택함에 따라 생성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한다(S330). 예를 들어, A 사용자는 G 대화방으로의 참여를 선택하고, A 사용자 단말은 A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A 사용자 단말은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A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G 대화방을 표시하고, A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G 대화방을 확인한다.
계속해서,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40). S340 단계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것도 경우에 따라 가능하다. 예를 들어, H 대화방에 참여한 A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1 한국어(표준어)이고 H 대화방에 참여한 B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2 한국어(특정지역 방언)인 경우 다음 단계인 S350 단계가 수행되지만(Yes), H 대화방에 참여한 A 사용자 및 B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모두 제1 일본어(표준어)인 경우 번역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No). 물론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도 번역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부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번역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함으로써, 번역에 따른 부하, 속도 및 처리 용량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 및 식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350). S350 단계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것도 경우에 따라 가능하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A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I 대화방에서 B 사용자와 대화하는 상황에서 I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B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경우 다음 단계인 S360 단계가 수행되지만(Yes), 동일한 상황에서 I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A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경우 번역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No).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350 단계가 먼저 수행되고 S340 단계가 나중에 수행될 수 있다. 순서에 상관없이 S340 단계 및 S350 단계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적어도 만족하는 경우 원문에 대한 번역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S360). 상술한 바와 같이 번역 과정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동일한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그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한국어(표준어)를 설정한 A 사용자가 J 대화방에서 제2 일본어(특정지역 방언)를 설정한 B 사용자와 대화하는 상황에서 원문이 B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0)는 A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인 제1 한국어에 따라 제2 일본어 원문을 번역하고, A 사용자 단말은 제2 일본어 원문에 상응하는 제1 한국어 번역문을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한다(S370). 예를 들어, A 사용자는 A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K 대화방 내 표시된 번역문을 확인 가능하고, 번역문은 A 사용자가 임의의 대화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것이므로, A 사용자는 대화 상대방이 입력한 원문을 이해할 수 없더라도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방의 의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원문과 번역문을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대화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방(40)은 대화가 이루어지는 대화공간(41),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공간(42), 입력공간(42)에 기재된 대화를 전송하는 전송버튼(43)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화방(40)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게스트 C(44a)가 사용하는 게스트 단말의 화면이고, 게스트 C(44a)는 호스트(45a)와 대화방(40)에서 1:1 대화를 하고 있다. 게스트 C(44a)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1 중국어(표준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44b)는 게스트 C(44a)가 입력하는 대화 부근에 표시되고, 호스트(45a)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1 한국어(표준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45b)는 호스트(45a)가 입력하는 대화 부근에 표시된다.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제1 중국어 원문(44c)은 특별한 번역 과정을 거치지 않고 게스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고,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제1 한국어 원문(45c)은 번역 과정을 거쳐 제1 중국어 번역문(45d)과 함께 게스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다. 제1 한국어 원문(45c)과 그에 상응하는 제1 중국어 번역문(45d)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제1 중국어 번역문(45d)은 게스트 C(44a)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에서 번역되어 게스트 단말로 전달된 것이다. 대화방(40)의 상단에는 '게스트 C의 대화'라는 타이틀(46)이 표시된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게스트 단말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게스트 단말은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기 이전에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각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200) 간의 연결 상태 혹은 접속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에 앞서 설명한 것처럼 게스트 단말은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으로의 참여를 선택함에 따라 생성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선택 신호는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이 정보 처리 장치(200)와 연결 혹은 접속 중인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숙소 예약 웹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숙소 예약을 위한 웹 페이지는 정보 처리 장치(200) 또는 그와 연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숙소 예약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숙소 예약을 위해 위 웹 페이지에 접속한 게스트가 검색 조건(숙소 위치, 숙소 시설, 예약 인원, 기간, 가격, 평점 등)을 입력하면, 게스트 단말은 화면을 통해 검색 조건과 일치하거나 대부분의 조건에 부합하는 숙소 리스트를 표시한다. 위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각 숙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부분, 검색 조건 입력 창(53), 지도(54), 회원 가입 절차를 위한 버튼(55), 호스트를 위한 버튼(56)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숙소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측위부(170)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표시될 수 있다.
X 숙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 중 실내 사진(51a), 숙소 특징이나 이름을 나타내는 텍스트(51b), 가격(51c), 평점(51d) 등이 표시되며, 특히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X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200) 간의 연결 상태 혹은 접속 상태가 오프라인 상태(51e)라는 것도 표시된다. Y 숙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 중 실내 사진(52a), 숙소 특징이나 이름을 나타내는 텍스트(52b), 가격(52c), 평점(52d) 등이 표시되며, 특히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Y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200) 간의 연결 상태 혹은 접속 상태가 온라인 상태(52e)라는 것도 표시된다.
이처럼 게스트는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X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은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관계에서 오프라인 상태(51e)에 있고, Y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은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태(52e)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스트가 온라인 상태인 Y 숙소의 호스트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방에 참여하면, 선택 신호가 생성된다. 반면에, 게스트가 오프라인 상태인 X 숙소의 호스트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방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선택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온라인 상태인 호스트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방에 게스트는 온라인 상태(52e)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버튼을 터치하는 방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다만, 대화방에 참여하는 수단이나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에 알려진 수단이나 방식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1:1 대화 및 번역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장치는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다자 대화 및 번역 서비스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드물긴 하지만, 복수의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다자 대화 및 번역 서비스를 위해 동작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대화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대화방을 도시한 것이다.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한국어(표준어)이고, 게스트 A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영어(미국식 영어)이고, 게스트 B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일본어(표준어)이며, 게스트 C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중국어(표준어)이다. 도 6a에 도시된 대화방에서는 게스트 A 내지 C가 각기 다른 언어로 된 원문을 입력하더라도 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1 한국어 번역문이 원문과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호스트는 각 게스트의 의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b는 게스트 A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대화방을 도시한 것이다. 게스트 A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영어(표준어)이고,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한국어(표준어)이고, 게스트 B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일본어(표준어)이며, 게스트 C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중국어(표준어)이다. 도 6b에 도시된 대화방에서는 각기 다른 언어로 된 원문이 입력되더라도 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1 영어 번역문이 원문과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게스트 A는 호스트의 답변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게스트와 경험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6c는 게스트 B 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대화방을 도시한 것이다. 게스트 B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일본어(표준어)이고,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한국어(표준어)이며, 게스트 C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중국어(표준어)이다. 도 6c에 도시된 대화방에서는 각기 다른 언어로 된 원문이 입력되더라도 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1 일본어 번역문이 원문과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게스트 B는 호스트의 답변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다른 게스트와 경험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200)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710). 회원 가입 절차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숙소 예약이라는 분야적 특성을 고려할 때 권장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다(S720). 호스트 및 게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는 보유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대화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하고, 정보 처리 장치(200)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한다(S730).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200)는 L 대화방에 참여한 A 사용자의 A 사용자 단말과 B 사용자의 B 사용자 단말을 식별한다. L 대화방에 참여한 사용자 중 한 명은 호스트이고, 나머지 한 명은 게스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예를 들어, M 대화방에 참여한 A 사용자(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1 영어(미국식 영어)이고 M 대화방에 참여한 B 사용자(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제2 영어(영국식 영어)인 경우 다음 단계인 S750 단계가 수행되지만(Yes), M 대화방에 참여한 A 사용자(호스트) 및 B 사용자(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모두 제2 중국어(표준어)인 경우 번역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No). 물론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도 번역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부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번역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함으로써, 번역에 따른 부하, 속도 및 처리 용량 문제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사용자 단말(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한다(S750). 예를 들어, 호스트와 게스트가 참여한 N 대화방에 원문이 입력되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입력된 원문이 A 사용자 단말(호스트 단말)과 B 사용자 단말(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S760 단계 또는 S770 단계가 수행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750 단계가 먼저 수행되고 S740 단계가 나중에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순서가 바뀐 상황에서는, S740 단계 및 S750 단계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760 단계가 수행되고, S740 단계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만족하나 S750 단계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S770 단계가 수행된다.
계속해서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Yes), S760단계가 수행된다. 즉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한다. 예를 들어, 제1 중국어(표준어)를 설정한 A 사용자와 제1 영어(미국식 영어)를 설정한 B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에서 A 사용자 단말에 의해 원문이 입력된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0)는 B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인 제1 영어에 따라 제1 중국어 원문을 번역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게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 후(S780), 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제1 케이스인 경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중국어 원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1 영어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가 참여한 대화방에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1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국어 원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1 영어 번역문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가 참여한 대화방에 제1 중국어 원문과 함께 표시된다. 즉, 제1 중국어 원문 아래에 제1 영어 번역문이 대응되게 나란히 표시될 수 있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대화를 할 때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사용자의 다른 언어에 대한 관심 정도 및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2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 및 해당 번역 서비스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고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을 처음 접해 본 사용자일지라도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통해서 원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S75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를 때 앞서 설명한 것과 달리,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No), S770단계가 수행된다. 즉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한다. 예를 들어, 제2 중국어(특정지역 방언)를 설정한 A 사용자와 제2 영어(영국식 영어)를 설정한 B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에서 B 사용자 단말에 의해 원문이 입력된 경우, 정보 처리 장치(200)는 A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인 제2 중국어에 따라 제2 영어 원문을 번역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호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 후(S780), 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제2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2 영어 원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2 중국어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가 참여한 대화방에 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2 케이스인 경우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어 원문에 상응하여 번역된 제2 중국어 번역문은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가 참여한 대화방에 제2 영어 원문과 함께 표시된다. 즉, 제2 영어 원문 아래에 제2 중국어 번역문이 대응되게 나란히 표시될 수 있어,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대화를 할 때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사용자의 다른 언어에 대한 관심 정도 및 학습 효과가 높아질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2 케이스인 경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 및 해당 번역 서비스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고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을 처음 접해 본 사용자일지라도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통해서 원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1:1 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위해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다자 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에 이루어지는 다자 대화의 경우, 언어 셋팅 정보, 호스트의 원문 입력, 특정 게스트의 원문 입력 등의 조합으로 인해 다양한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 및 예시를 기본으로 하여 나머지 케이스에 대해서도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200)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회원 가입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복수의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임의의 대화방에 세 사람 이상이 참여 중일 때 세 사람의 언어 셋팅 정보가 이룰 수 있는 조합은 다양한데, 세 사람의 언어 셋팅 정보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번역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세 사람의 언어 셋팅 정보가 모두 동일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 과정이 계속 진행된다.
다음으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과 복수의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한다.
이후의 과정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대화방에서의 대화를 처리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네 사람의 사용자가 대화방에 참여 중인 상황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제1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만 제1 한국어(표준어)이고, 제2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는 제1 영어(미국식 영어)로 동일하다. 도 8은 두 가지 케이스에 대하여 도시한다.
우선, 제1 케이스는 이전 과정을 통해, 오직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원문을 입력한 것으로 식별된 단말로부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오직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는 것은 오직 한 사람(제1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제1 한국어)만 상이하고 나머지 사람(제2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제1 영어)는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제1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다. 이때,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도 8에서 식별된 단말은 '두 명입니다.'라는 원문을 입력한 제1 사용자 단말이고,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 내지 제4 사용자 단말이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제1 영어(미국식 영어)에 따라 '두 명입니다.'라는 원문을 'two people.'이라는 번역문으로 번역하여 제2 사용자 단말 내지 제4 사용자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다. 이때, 'two people.'이라는 번역문은 제2 사용자 단말 내지 제4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대화방에 표시된다.
또한, 제1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두 명입니다.'라는 원문과 'two people.'이라는 번역문은 제2 사용자 단말 내지 제4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대화방에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스는 이전 과정을 통해,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원문을 입력한 것으로 식별된 단말이 아닌 다른 소정의 단말로부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오직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는 것은 오직 한 사람(제1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제1 한국어)만 상이하고 나머지 사람(제2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제1 영어)는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제2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소정의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소정의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다. 이때, 소정의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소정의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다.
도 8에서 식별된 단말은 'Hello!'라는 원문을 입력한 제2 사용자 단말이고,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 제3 사용자 단말 및 제4 사용자 단말이며, 소정의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이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제1 한국어(표준어)에 따라 'Hello!'라는 원문을 '안녕하세요!' 라는 번역문으로 번역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한다. 이때, '안녕하세요!'라는 번역문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대화방에 표시된다.
또한, 제2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소정의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소정의 단말의 화면을 통해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Hello!'라는 원문과 '안녕하세요!'라는 번역문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대화방에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인 경우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될 수 있다.
호스트와 복수의 게스트 간의 다자 대화에서는 상술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이외에도 다양한 케이스가 존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케이스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존 숙소 예약 플랫폼과 같이 호스트와 게스트에게서 수수료를 받는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숙소를 다수 확보할 수 있도록 호스트와 게스트에게서 수수료를 받지 않으면서 숙소 예약 플랫폼 내에서 원스톱 여행 예약이 가능하도록 렌터카 업체, 여행사, 패키지 상품 기획 업체 등으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정책을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네트워크 100: 사용자 단말
100a: 호스트 단말 100b: 게스트 단말
200: 정보 처리 장치 210: 통신 모듈
220: 제어 모듈 230: 번역 엔진모듈
240: 번역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4. 정보 처리 장치가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정보 처리 장치가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복수의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과 복수의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오직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 셋팅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이 아닌 다른 소정의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의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한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의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번역하여 상기 소정의 단말로 번역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소정의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소정의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식별된 단말을 제외한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식별된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과 상기 소정의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소정의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 및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처리방법.
  8.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이 호스트 단말 또는 게스트 단말 중 어느 단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식별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된 번역문을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케이스인 경우 상기 게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인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로 전송된 번역문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상기 게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하여 번역문을 생성하거나
    상기 게스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원문을 상기 호스트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하여 번역문을 생성하는 번역 엔진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이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참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문은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되는 것인,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된 원문과 번역문 부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게스트 단말인 경우,
    상기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게스트 단말의 화면을 통해 각 숙소에 대응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참여 신호는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하는 호스트의 호스트 단말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연결 중인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인,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제공방법.
  14.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설정한 언어 셋팅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참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소정의 대화방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입력된 원문에 상응하는 번역문을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표시하며,
    상기 번역문은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와 상기 소정의 대화방에 참여한 타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원문이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사용자의 언어 셋팅 정보에 따라 번역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60077841A 2016-06-22 2016-06-22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0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41A KR20180000106A (ko) 2016-06-22 2016-06-22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41A KR20180000106A (ko) 2016-06-22 2016-06-22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06A true KR20180000106A (ko) 2018-01-02

Family

ID=6100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841A KR20180000106A (ko) 2016-06-22 2016-06-22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1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7487A (zh) * 2018-10-23 2018-12-25 安徽工程大学 一种支持多级延时的报警消息推送方法
CN111914053A (zh) * 2020-08-04 2020-11-10 携程旅游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交通出行智能引导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7487A (zh) * 2018-10-23 2018-12-25 安徽工程大学 一种支持多级延时的报警消息推送方法
CN111914053A (zh) * 2020-08-04 2020-11-10 携程旅游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交通出行智能引导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028B2 (en) Bot interaction
Neuhofer et al. Technology as a catalyst of change: Enablers and barriers of the tourist experience and their consequences
US10643134B2 (en) Schedule management method, schedule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EP3516537A1 (en) Automatic suggested responses to images received in messages using language model
KR20190047867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숙소추천장치 및 방법
US20160202851A1 (en) Dynamic interface to present customized information contextually in relation to access to a property
KR20140019807A (ko) 공간 및 시간의 근접도에 기반한 얼굴 인식
US20160364815A1 (en) Multi-Passenger Travel Booking Platform
KR20190105479A (ko) 렌터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서비스 방법
CN105229638A (zh) 作为对内容的收集的贡献者的自动化的库管理员
Garcia-Lopez et al. An experiment to discover usability guidelines for designing mobile tourist apps
KR20180000106A (ko) 숙소 예약을 위한 대화형 실시간 번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U2770184C2 (ru) Обработка и анализ на естественном языке в диалоговой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помощника по планированию
CN106062793A (zh) 已被呈现的企业内容的检索
JP7322326B2 (ja) ウェブプラットフォームベースの宿泊施設共有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ウェブサーバー
US10917762B2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mmon electronic interface
CN105359513B (zh) 用于视频会议中的房间系统配对的系统和方法
CN110462660A (zh) 控制计算系统以生成用于日历共享的预先接受的缓存
US20150358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est- and location-based conversation matching
US202301862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KR102200230B1 (ko) 문장과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58531A (ko) 여행자 스마트 가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0832B1 (ko) 위치기반 정보 공유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20160072857A1 (en) Accessibility features in content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