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96U -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96U
KR20180000096U KR2020160003785U KR20160003785U KR20180000096U KR 20180000096 U KR20180000096 U KR 20180000096U KR 2020160003785 U KR2020160003785 U KR 2020160003785U KR 20160003785 U KR20160003785 U KR 20160003785U KR 20180000096 U KR20180000096 U KR 20180000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guide
rail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최운정
Original Assignee
세창인터내쇼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창인터내쇼날(주) filed Critical 세창인터내쇼날(주)
Priority to KR2020160003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096U/ko
Publication of KR20180000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39Profiles or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관통되게 슬릿을 갖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귀통로를 갖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T형레일과 상기 T형레일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하부레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보강프레임을 갖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프레임틀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부레일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된 상기 상부레일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인입홈이 형성되어, 롤러체인이 이동되는 이동통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롤러체인이 지지하며 안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패널를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고, 상부지지패널을 단면이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켜, 마모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모양이 단순하여 성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 Frame for a conveyor frame }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체인이 이동되는 이동통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롤러체인이 지지하며 안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패널를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고, 상부지지패널을 단면이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켜, 마모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모양이 단순하여 성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지지력이 향상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고도가 되어감에 따라 물품의 제조공정이 자동화 설비에 의해 자동화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제조된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대하여도 자동화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에 대한 욕구로 인한 이송장치는 제조된 물품 즉, 전자제품, 음료, 식료품, 화학제품, 설탕 등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컨베이어중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4-0028680호에서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체결되어 이송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임틀은 체인을 지지하는 레일에 교체가능하게 체결되는 레일부재가 "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레일부재의 원료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체인이 레일부재에 이동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걸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레일이 T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레일의 하붕에 의해 레일이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최근의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롤러체인이 이동되는 이동통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롤러체인이 지지하며 안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패널를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고, 상부지지패널을 단면이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켜, 마모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모양이 단순하여 성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지지력이 향상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관통되게 슬릿을 갖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귀통로를 갖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T형레일과 상기 T형레일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하부레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보강프레임을 갖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프레임틀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부레일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된 상기 상부레일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부재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은 상기 상부레일부재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입홈의 안내면에는 롤러체인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면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는 회동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턱부에는 바이브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안내롤러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컨베이어부재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레일부재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는 턱부를 갖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턱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게 상기 설치홈에 끼움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내측 상면에 흡착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흡착부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마련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털로 이루어진 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면에는 마모감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마모감지수단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체인의 축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감지홈이 형성된 안내돌부와, 상기 감지홈의 저면에 마련되는 접촉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는 롤러체인이 이동되는 이동통로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롤러체인이 지지하며 안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패널를 가이드홈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고, 상부지지패널을 단면이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켜, 마모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모양이 단순하여 성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에 롤러체인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들에 컨베이어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에 롤러체인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들에 컨베이어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컨베이어용 프레임틀(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틀이라 명명함)은 롤러체인(100)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21)가 형성되며 상부에 관통되게 슬릿(22)을 갖는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체인(100)이 복귀되도록 복귀통로(31)를 갖는 하부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30)을 일체로 사출성형시키거나 주조를 통해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귀통로(31)의 저면에는 한쌍의 T형레일(32)과 상기 T형레일(32)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하부레일부재(33)가 마련되어, 복귀되는 상기 롤러체인(100)을 안내하게 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이동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롤러체인(100)에 의해 이송되는 컨베이어부재(200)가 상기 롤러체인(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프레임(41)이 끼움된 지지턱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41)은 상기 지지턱부(40)에 끼운 후 나사체결 또는 양단부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틀(10)은 도 3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한쌍이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재(200)는 상기 프레임틀(10)의 상부를 연결하며 배치되어, 상기 슬릿(22)에 돌출되는 상기 롤러체인(10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재(200)의 상부에는 이송물이 배치되어 이송된다.
상기 프레임틀(10)은 이송물의 이송길이만큼 길게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체인(100)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틀에서 궤도회전하며 상기 이동통로(21)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복귀통로(31)를 통해 복귀된다.
상기 롤러체인(100)은 상기 켄베이어부재(200)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20)과 상기 이송롤러(120)의 양측에 배치되어, 후술될 상기 이동통로(21)의 상부레일부재(24)와 상기 하부레일부재(33)에 안내되는 이동롤러(110)와, 상기 이송롤러(120) 및 상기 이동롤러(110)를 연결하는 축(130)과, 축(130)들을 연결하는 체인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통로(21)의 저면에는 한쌍의 가이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에는 상기 이동롤러(110)가 안내되도록 상부레일부재(24)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홈(23)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3)에 체결된 상기 상부레일부재(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25)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21)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3)들 사이에는 인입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레일부재(24)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의 내측벽(231)은 상기 상부레일부재(24)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체인(100)의 이동롤러(110)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내측벽(231)의 상면에는 접촉감지센서가 더 마련되어, 상기 상부레일부재(24)의 마모에 의해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접촉감지센서에 맞닿게 되며, 상기 접촉감지센서가 그 신호를 후술될 무선송출부에 전달하여 작업자가 상기 상부레일부재를(24) 교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레일부재(24)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부재(24)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긴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성형이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끼움식으로 체결하면되므로 체결이 간편하여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T형레일(32)에 비해 상기 레일부재가 돌출되는 형상이 아닌 패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벽(231)을 낮게 형성시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휘어져 이송물이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레일부재(33)는 상기 T형 레일에 끼운 후 나사체결 또는 양단부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레일부재(24)는 상기 가이드홈(23)에 끼운 후 나사체결 또는 양단부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롤러의 하부가 인입되도록 삽입안내홈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안내홈에는 앵글부재를 더 나사체결하여 마모에 의해 교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참조하면, 상기 인입홈(26)의 안내면(261)에는 이동되는 롤러체인(100)의 이송롤러(120) 측면과 상기 안내면(261)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수단(50)이 더 마련되며, 상기 안내수단(50)은 상기 안내면(261)에 형성되는 안착홈(51)과,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안착홈(51)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회동볼(52)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이송롤러(120)와 내측벽(231)이 마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51)에는 상기 이송롤러(12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볼(52)을 가압시 상기 안착홈(51)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이송롤러(120)를 안내하도록 가압수단(60)이 마련되며, 상기 가압수단(60)은 상기 안착홈(51)에 형성되는 갖는 탄성홈과 상기 탄성홈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에 지지되게 상기 탄성홈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63)과 상기 베이스패널(63)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홈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동볼(52)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롤러(120)의 가압에 의해 회동볼(52)의 일부가 상기 탄성홈으로 인입된 후 상기 가압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프레임(41)의 내측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롤러(42)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턱부(40)에는 바이브레이터(43)가 더 설치되어, 상기 안내롤러(42)와 상기 바이브레이터(43)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컨베이어부재(200)가 상기 보강프레임(41)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부(40)와 상기 보강프레임(41)에는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공간에는 다수의 완충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재(200)가 상기 보강프레임(41)에 충돌시 상기 완충스프링에 의해 완충되어, 상기 지지턱부(40)가 충돌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홈(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레일부재(24)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수단(60)이 더 마련되며, 상기 가압수단(60)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는 턱부를 갖는 설치홈(61)과, 상기 설치홈(61)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62)과, 상기 턱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62)에 지지되게 상기 설치홈(61)에 끼움되는 베이스패널(63)과, 상기 베이스패널(63)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61)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64)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롤러(1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레일부재(24)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턱부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완충시키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내측 상면에 흡착부(70)가 더 마련되며, 상기 흡착부(70)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내측상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패널(71)과, 상기 고정패널(71)의 일면에 접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시트부재(72)와 상기 시트부재(72)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털(731)로 이루어진 털부(73)로 구성되어, 상기 털(731)에 의해 이동롤러(110)와 이송롤러(120)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털(731)이 이송롤러(120)와 상기 슬릿(22) 사이에도 배치되어 롤러체인(100)이 이동통로(21)에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분진을 일부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털(731)은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는 마모감지수단(80)이 더 마련되며, 상기 마모감지수단(80)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체인(100)의 축(130)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감지홈(811)이 형성된 안내돌부(81)와, 상기 감지홈(811)의 저면에 마련되는 접촉센서(82)와, 상기 접촉센서(82)의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무선송출부(83)로 이루어져, 반복적인 이동롤러(110)의 이동에 의해 상부레일부재(24)가 마모되어 일부분이 파이게 될 경우 상기 롤러체인(100)이 파인구간을 이동시 축(130)이 낮아져 상기 접촉센서(82)와 맞닿게 되면, 그 신호를 무선송출부(83)에 전달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작업자가 상부레일부재(24)를 교체함으로서, 컨베이어부재(2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이송물이 이송과정에서 기울어져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틀 20 : 상부프레임
30 : 하부프레임 40 : 지지턱부
50 : 안내수단 60 : 가압수단
70 : 흡착부 80 : 마모감지수단
21 : 이동통로 22 : 슬릿
23 : 가이드홈 231 : 내측벽
24 : 상부레일부재 25 : 걸림턱
26 : 인입홈 261 : 안내면
31 : 복귀통로 32 : T형레일
33 : 하부레일부재
41 : 보강프레임 42 : 안내롤러
43 : 바이브레이터
51 : 안착홈 52 : 회동볼
61 : 설치홈 62 : 탄성스프링
63 : 베이스패널 64 : 가압돌기
71 : 고정패널 72 : 시트부재
73 : 털부 731 : 털
81 : 안내돌부 811 : 감지홈
82 : 접촉센서 83 : 무선송출부
100 : 롤러체인 110 : 이동롤러
120 : 이송롤러 130 : 축
200 : 컨베이어부재

Claims (7)

  1. 롤러체인이 이동되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관통되게 슬릿을 갖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귀통로를 갖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T형레일과 상기 T형레일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하부레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보강프레임을 갖는 지지턱부가 형성된 프레임틀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부레일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된 상기 상부레일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부재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은 상기 상부레일부재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의 안내면에는 롤러체인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안내면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는 회동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턱부에는 바이브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안내롤러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컨베이어부재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레일부재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는 턱부를 갖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턱부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게 상기 설치홈에 끼움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내측 상면에 흡착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흡착부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마련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털로 이루어진 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면에는 마모감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마모감지수단은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체인의 축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감지홈이 형성된 안내돌부와,
    상기 감지홈의 저면에 마련되는 접촉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2020160003785U 2016-06-29 2016-06-29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201800000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85U KR20180000096U (ko) 2016-06-29 2016-06-29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85U KR20180000096U (ko) 2016-06-29 2016-06-29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96U true KR20180000096U (ko) 2018-01-08

Family

ID=6127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85U KR20180000096U (ko) 2016-06-29 2016-06-29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0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67U (ko) * 2020-04-29 2021-11-08 이태훈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467U (ko) * 2020-04-29 2021-11-08 이태훈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3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KR101424426B1 (ko) 벨트컨베이어용 완충장치
KR200485037Y1 (ko)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142445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1772597B1 (ko) 우레탄 사이드 스커트를 가지는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방지장치
KR20180000096U (ko)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20210002467U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CN208120172U (zh) 传送带导向装置
KR101291535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985958B1 (ko)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102021195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JPS62180882A (ja) 管糸ボビンの搬送装置
KR101720247B1 (ko) 벨트 컨베이어 파손방지장치
KR101424471B1 (ko) 트리퍼카용 주행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1424482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