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326A -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326A
KR20170143326A KR1020160077417A KR20160077417A KR20170143326A KR 20170143326 A KR20170143326 A KR 20170143326A KR 1020160077417 A KR1020160077417 A KR 1020160077417A KR 20160077417 A KR20160077417 A KR 20160077417A KR 20170143326 A KR20170143326 A KR 2017014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ower
solar cell
led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539B1 (ko
Inventor
강갑석
김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명장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신호 및 식별자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A LIGHTING APPARATUS, A LIGHT CONTROLLING APPARATUS}
본 실시 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발전식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명장치는 복수의 LED모듈을 유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유선으로 연결된 LED모듈들을 스위치 동작에 의해 온/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복수의 LED모듈로 구성되는 조명장치의 경우 독립적인 제어가 불가하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LED모듈이 일괄적인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조명장치의 경우 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LED모듈에 일괄적인 전원공급을 위하여 별도의 유선 전력 공급원을 가지고, 상기 전력공급원에 의한 전원 인가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 공급에 따른 비용 발생 및 유선 전원공급원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의 한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조명장치의 경우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의 독립적 제어가 불가함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제공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선으로 연결되는 전력 공급원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에 대한 공간 및 위치적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율적인 전력 운용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전력 사용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 장치의 배치의 자율성을 가짐으로써, LED조명 장치의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원격지에서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시스템은 태양광을 전력으로 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명장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신호 및 식별자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전력으로 충전되고, 상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력 인가 받는 LED모듈, 외부 광원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된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LED모듈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조명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태양광 발전식 전력 운용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전력사용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LED모듈을 독립적 또는 그룹화 하여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 구동의 제어를 용이하고,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등가 회로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110), 충전모듈(120), 배터리(130), LED모듈(140), 조도 센서(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110)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광기전력으로 변환하여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태양전지 모듈(110)은 LED모듈의 투광성 및 심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투명 필름 형태의 태양전지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일 예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박막형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태양전지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 적용되는 투명 태양전지 모듈(110)은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이면 전극층, 광 흡수층, 투명 전극층의 적층 구조를 투명 필름과 같이 투광성이 용이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110)은 플렉시블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조명장치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충전모듈(120)은 태양전지 모듈(110)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로 배터리(130)를 충전할 때 배터리(130)의 수용 전력 한계치의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충전모듈(120)은 태양전지 모듈(110)에 의한 배터리(130)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30)는 태양전지 모듈(110)에 의해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력을 LED모듈(140)로 방전하여 상기 LED모듈(140)의 전원 공급을 실행한다.
LED모듈(140)은 배터리(130)에서 인가되는 전력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된다. LED모듈(140)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배터리(130)의 전력이 인가되면, 점등되고, 상기 배터리(130)의 전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소등된다. 상기 LED모듈(140)의 점등 및 소등은 제어부(170)에서 감지되는 조도 센서(150)의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조도 센서(150)는 조명장치(100)외부의 광원을 감지함으로써, 주간 및 야간을 식별하거나, 밝기의 정도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 따른 조도 센서(150)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 센서로서, 입사한 빛을 측정하고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그에 따른 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도 센서(150)는 포토 다이오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조명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조명장치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150)를 통해 야간 식별 시 또는 기준 광량 이하의 광이 감지되는 경우 LED모듈(140)을 점등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70)는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LED모듈(140)로 방전하여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150)에 의하여 주간 식별 시 또는 기준 광량을 초과하는 광이 감지되는 경우 LED모듈(140)을 소등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70)는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의 방전을 중지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110)에 의한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조명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광학용 투명 접착부재(OCA: Optically Clear Adhesive)(181,182)를 배치한다. 상부 접착부재(181)와 하부 접착부재(182)는 각각 조명 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착부재(181)의 하부에는 LED모듈(140) 및 조도 센서(150)를 지지하는 실장 부재(141)가 배치된다.
또한 LED모듈(140) 및 조도 센서(150)를 지지하는 실장 부재(141)의 하부에는 태양전지 모듈(110)을 배치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110)의 일측면에는 충전 모듈(120) 및 배터리(130)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 모듈(110)로 입사는 태양광으로 배터리(130)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이 태양전지 모듈(1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110)의 하부에는 제어부(170)를 실장할 수 있는 실장 부재(17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 모듈(110) 및 하부 접착부재(182)의 사이에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정션박스 등을 실장할 수 있는 실장 부재(17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LED모듈(140) 및 조도 센서(150), 태양전지 모듈(110) 및 제어부(170)는 각각 접속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적층 구조 순서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형태 및 장치의 효율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적층체들은 상호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재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한 조명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조명장치(100) 외부의 밝기 정도를 확인한다. (S410) 구체적으로, 조도 센서(150)에 의해서 조명장치(100)의 외부 조도를 감지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된 조도에 따라 조명장치(1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20) 제어부(170)는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인 경우 조명장치(100)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태양전지 모듈(110)에 의해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력을 LED모듈(140)로 방전하여 상기 LED모듈(140)을 점등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가 아닌 경우 조명자치(100)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 의해 배터리(!30)에 충전된 전력을 LED모듈(140)로 방전하지 않으며, 상기 배터리(130)의 충전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즉,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가 아닌 것은 조명장치(100)의 외부 환경이 밝은 상태인 것으로 정의되며 그에 따른 LED모듈(140)을 소등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130)는 태양전지 모듈(110)에 의해 충전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5는 조명 장치(100) 각각이 사용자 임의에 의해 문자를 나타내도록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장치(100) 각각이 태양전지 모듈(110), 배터리(130) 및 LED모듈(140)을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다수 개를 도 5에서와 같이 배열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자, 이미지 등을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 다수개를 배열하여 “HI !?”의 문자 및 기호를 배열(500)하면 상기 각각의 조명자치(100)들은 내부의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LED모듈(130)을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는 조명장치(100)를 독립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조명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조명장치(100)들이 복수 개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로 연결된 조명장치들이 외부와의 통신을 통하여 제어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복수개의 조명장치들이 N개씩 그룹화되어 M개의 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 그룹(610_1)에 N개의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610_1)의 조명장치(611 내지 N)들은 제1 멀티플렉서(MUX1)(620_1)과 연결된다. 또한, 제2 그룹(610_2)에도 N개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610_2)의 조명장치들은 제2 멀티플렉서(MUX2)(620_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그룹화되어 상기 그룹화된 조명장치들은 하나의 멀티플렉서에 연결된다.
실시 예에서는 각 그룹들을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개수를 N개로 동일하게 포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조명장치의 개수는 구성 방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멀티플렉서가 하나의 조명장치 그룹을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의 멀티플렉서에서 복수의 조명장치 그룹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잇다.
또한 각 그룹을 구성하는 조명장치는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조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거나 일부 구성이 추가 또는 제외된 형태의 조명장치일 수 있다.
복수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그룹과 연결되는 멀티플렉서(620_1, 620_2, 620_M)은 각각 제어부(6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50)는 통신부(630)를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조명장치들의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통신부(630)는 외부 단말기인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3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조명장치, 조명장치 그룹 및 멀티플렉서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640)는 통신부(630)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640)는 통신부(630)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650)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와 저장부(640)에 저장된 조명장치들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고,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50)는 외부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조명장치의 온/오프 신호를 감지하고, 온 또는 오프 되는 조명장치들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650)는 확인된 조명장치들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기초하여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조명장치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650)는 통신부(63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조명장치 점등 신호를 감지한다.(S710)
제어부(650)는 통신부(63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조명장치를 확인한다.(S720) 구체적으로, 제어부(650)는 통신부(63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가 감지되면, 저장부(640)에 저장된 조명장치들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650)는 확인된 제어 신호 및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하고자 하는 조명장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각 멀티플렉서(620_1, 620_2, 620_M)로 출력한다. (S730)
도 8은 복수의 조명장치(610)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배열된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숫자 "38"이 나타나도록 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장치들(610)은 N개씩 그룹화되고, 각 그룹은 하나의 멀티플렉서(620)에 연결된다. 통신부(630)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38"을 나타내기 위한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잇다.
제어부(650)는 통신부(63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확인하고, 저장부(640)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50)는 "38"에 해당하는 위치의 조명장치를 점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제어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0 0 0 0 0 0 0 0 0 0
0 1 1 1 0 0 1 1 1 0
0 0 0 1 0 0 0 0 1 0
0 0 0 1 0 0 1 0 1 0
0 1 1 1 0 0 1 1 1 0
0 0 0 1 0 0 1 0 1 0
0 0 0 1 0 0 1 0 1 0
0 0 0 1 0 0 1 0 1 0
0 1 1 1 0 0 1 1 1 0
0 0 0 0 0 0 0 0 0 0
이때, "1"은 조명 장치의 점등 "0"은 조명장치의 소등을 나타내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제어부(650)는 상기와 같이 조명장치(610) 각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확인하고, 각 멀티플렉서(620)를 통하여 각각의 조명장치들에 점등 또는 소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650)는 각각의 조명 장치들에 독립적인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도,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 장치가 연결된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그룹 내 조명장치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동작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조명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어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태양광 발전식 전력 운용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전력사용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LED모듈을 독립적 또는 그룹화 하여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 구동의 제어를 용이하고,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장치
110: 태양전지 모듈 120: 충전모듈
130: 배터리 140: LED모듈
150: 조도 센서 160: 저장부
170: 제어부
620: 멀티플렉서 630: 통신부
640: 저장부 650: 제어부

Claims (10)

  1. 태양광을 전력으로 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상기 조명장치의 제어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통신부;
    상기 조명장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신호 및 식별자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전력으로 충전되고, 상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력 인가 받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태양전지모듈, 배터리 및 LED모듈을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조명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에 의해 접착되는 조명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외부면에는 접차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조명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조명장치를 연결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조명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외부 광원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9.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의해 변환된 전력으로 충전되고, 상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전력 인가 받는 LED모듈;
    외부 광원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된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LED모듈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LED모듈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20160077417A 2016-06-21 2016-06-21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KR10259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17A KR102599539B1 (ko) 2016-06-21 2016-06-21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17A KR102599539B1 (ko) 2016-06-21 2016-06-21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26A true KR20170143326A (ko) 2017-12-29
KR102599539B1 KR102599539B1 (ko) 2023-11-07

Family

ID=6093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17A KR102599539B1 (ko) 2016-06-21 2016-06-21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84Y1 (ko) * 2005-11-04 2006-01-31 월드탑텍(주)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유도 표시 시스템
KR20130090716A (ko) * 2012-02-06 2013-08-14 조정숙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주소 표시 패널
KR20150053510A (ko) * 2013-11-08 2015-05-18 임구 교실 조명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384Y1 (ko) * 2005-11-04 2006-01-31 월드탑텍(주) 솔라셀을 이용한 무선 유도 표시 시스템
KR20130090716A (ko) * 2012-02-06 2013-08-14 조정숙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주소 표시 패널
KR20150053510A (ko) * 2013-11-08 2015-05-18 임구 교실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39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3846B2 (ja) 光通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機器
US20140247584A1 (en) Light-emitting device
US7997752B2 (en) Lighting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the lighting device
US8089218B2 (en) Lighting devices
JP5792806B2 (ja) 発光装置用ブロック
CN101770151A (zh) 微型投影仪亮度调节系统
US20130162692A1 (en) Luminance test system and method for light emitting diodes
US8884777B2 (en) Mobile device including a solar battery
KR101038391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입간판 및 그 유무선 제어방법
KR20170143326A (ko) 조명장치, 조명제어장치
CN201373320Y (zh) 太阳能照明装置
JP5629179B2 (ja) 自立型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関連機器
CN201164017Y (zh) 警示衣
EP2450623A2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080185988A1 (en) Solar garden light device
KR20120114828A (ko)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
US8567985B2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display module and a detecting module associated therein
KR102383309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CN211087787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0965934B1 (ko) 수납공간을 갖는 옥외용 간판
KR20140106348A (ko) 박막 태양전지를 이용한 스마트폰 케이스
CN217562577U (zh) 显示屏及移动终端
KR20100022847A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충전 장치
CN113326491B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EP314528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umina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