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312A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312A
KR20170143312A KR1020160077385A KR20160077385A KR20170143312A KR 20170143312 A KR20170143312 A KR 20170143312A KR 1020160077385 A KR1020160077385 A KR 1020160077385A KR 20160077385 A KR20160077385 A KR 20160077385A KR 20170143312 A KR20170143312 A KR 20170143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ceiling
mounte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5380B1 (en
Inventor
김연호
김병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80B1/en
Publication of KR2017014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24F2001/003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heat exchanger and a fan therein; and a hanger assem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n installation member installed on a ceiling. The hanger assembly may include: a support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a main body mounter fastened to the main body and slidably guided on the support such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main body mounter to the support such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ounter is slidably guided on the support such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nd the fastening member fixes the main body mounter to the support such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refore, a worker is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an indoor unit and a ceiling without holding the main body with a hand.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유입한 후 열교환된 공기가 천장에서 실내로 토출 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Generally,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ceiling of a room, and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and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eiling to the room.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 예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에 의해 공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된 공기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형성된 토출부를 통해 실내로 토출 되어 실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that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sucked air can be air-conditioned by a heat exchanger disposed insid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can be controlled.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면이 실내에 노출되게 천장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exposed to the room.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프런트패널과, 프런트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과,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front panel, a suction grill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to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 main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 ≪ / RTI >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설치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고, 설치 브라켓은 천장에 고정된 앵커 볼트 등의 설치부재에 체결될 수 있으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설치 브라켓과 앵커 볼트 등의 설치부재에 의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bracket may be fastened to an installation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fixed to the ceiling.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by an installation member such as an installation bracket and an anchor bolt It can be fixed to the ceiling.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일예는 공개특허공보 KR 10-2008-0052972 (2008년 6월 12일)에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점검구 내부로 손을 넣어 본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disclosed in JP 10-2008-0052972 (June 12, 2008), and such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terval between an indoor unit and a ceiling of a ceiling-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by using a tool such as a driver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main body by inserting the hand into the inspection hole, thus making the installation work inconvenient.

또한, 크기가 작은 실내기인 경우, 점검구의 크기가 작아 질 수 있어서, 작업자가 점검구 내부로 손을 넣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프런트패널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한 뒤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Also, 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having a small size, the size of the check port may be small, and it may be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insert his / her hand into the check port.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or has to perform the operation after detaching the front panel from the main body, the operation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akes a long time for the operation.

또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다리 등의 작업대를 통해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두 손 모두를 이용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 중 무게 중심을 잃어 낙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nd the ceiling, it is necessary to work up the ceiling through a work platform such as a ladder. In this case, the worker must perform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using both hands. The center of gravity is lost and a falling accident may occur.

KR 10-2008-0052972 (2008년 6월 12일)KR 10-2008-0052972 (June 12, 2008)

본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본체를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perato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without separately supporting the main body.

또한,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프런트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실내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perator can adjust an interval between an indoor unit and a ceiling without detaching the front panel.

또한, 작업자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improve the safety of a worker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nd the ceil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열교환기 및 팬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천장에 설치된 설치부재에 결합되는 헹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헹거 어셈블리는,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 하게 슬라이드 안내되는 본체 마운터와, 상기 본체 마운터를 상기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r and a fan are accommodated; And a hanger assembly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ed to a ceiling mounted member, the hanger assembly comprising: a support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slidably guided in a height-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body mounter to the support body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상기 본체 마운터는, 마운트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 1 마운트부; 및 상기 제 1 마운트부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마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ounter includes: a first mount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moun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mount portion which is bent at least once from the first mount portion and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체는, 상기 설치부재에 체결되는 제 1 지지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마운트부를 마주보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지지체와, 상기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이격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a first support which is fastened to the attachment member; A second support body hav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so as to face the second mount and which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body and the second support body apart from each other, The fasten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마운트부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guide rails for guiding the first mount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The pair of guide rails may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를 회피하기 위한 절곡부를 가질 수 잇다. The connecting portion may have a bent portion for avoiding the mount fastening member.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지지체 상측에 위치하는 너트와, 상기 제 1 삽입공 및 제 2 삽입공에 관통되고 상기 본체 마운터와 상기 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상기 너트와 풀리고, 상기 본체 마운터와 상기 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 지게 상기 너트와 조여지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nu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ody and a nut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mounter and the support body, The nut and the bolt may be bolted toge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is close to each other.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 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프런트 패널; 및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는 점검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 마운터는 상기 점검구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A front pan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spe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inspection port cover coupled to the front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pection port, and the main body mounter can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spection por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본체 마운터가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 하게 슬라이드 안내되고, 체결부재가 본체 마운터를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므로, 작업자가 본체를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ounter is slidably guided on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main body mounter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of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체가 지지체의 접촉부에 슬라이드 안내되므로,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본체를 보다 안정감 있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is slidably guid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pport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ecurely while minimizing the swinging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작업자가 본체를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고, 점검구의 크기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점검구의 크기를 손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operator to hold the main body by hand, and the size of the inspection port can be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insert a tool such as a driver, There is an advantage not to be required.

또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높이 조절 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사다리를 잡을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높이 조절 작업 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s adjusted, the operator can hold the ladder with one hand, so that safety is improved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door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프런트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의 상면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배치된 헹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헹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배치된 헹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커버가 상기 프런트패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 실내기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헹거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을 줄이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실내기의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줄이는 작업이 완료된 실내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panel is separated from an indoor unit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top plan view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5 illustrates a hanger assembly disposed in a bod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 RTI ID = 0.0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 RTI ID = 0.0 >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port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front panel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showing a clearanc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0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duc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by operating the hang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in which the work for reducing the clear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프런트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panel is separated from an indoor unit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미도시),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1) 및 상기 실외기(미도시)와 상기 실내기(1)를 연결하고,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not shown)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an indoor unit 1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And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to which the refrigerant is transferred.

상기 실내기(1)는, 설치부재(F)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설치부재(F)의 상단부는 천장에 결합됨으로써, 천장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and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may be coupled to the ceiling so that the indoor unit 1 may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상기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패널(2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차폐하는 베이스(도2의 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상기 본체(10)와, 프런트패널(20)과, 베이스(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a front panel 20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form a lower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0, Of 30).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 can be formed by the main body 10, the front panel 20, and the base 30. [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도2의 1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2)와 열 교환한 뒤,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다.A heat exchanger (12 of FIG. 2)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heat exchange with the heat exchanger (12).

상기 본체(10)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21)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본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사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b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2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front panel 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main body 10. For this, the front panel 20 may have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hap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front panel 20 may have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20)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 및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열 교환된 이후에, 실내로 토출 되도록 하는 토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1)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구(21)의 외측 사방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1)는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구(21) 및 상기 토출구(22)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ront panel 2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21 for sucking indoor air and a discharge port 22 for discharging indoor air after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is heat-exchanged . The suction port 21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 The discharge ports 22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suction port 21, respectively. The suction port 21 may be formed in a grill structure. The discharge port 22 may have a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However, the shapes of the suction port 21 and the discharge port 22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2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A filter (not show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panel 20.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다수 개의 판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실내기(1)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 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단부는 프런트패널(20)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단부는 베이스(3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상/하단부에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프런트패널(20)이 결합되면, 상기 실내기(1)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2) 및 팬(14)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 The main body 10 can shield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by form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indoor unit 1. [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20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can be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30. Therefore, when the base 30 and the front panel 2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 the heat exchanger 12 and the fan 14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door unit 1 A space can be formed.

상기 본체(10)는 열 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는 드레인 플레이트(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는 상기 열교환기(12)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 교환 시, 상기 열교환기(12) 외면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는 상면이 오목한 형태로 함몰되어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는 집수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late 11 capable of collect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The drain plate 11 may be disposed above the front panel 20. In detail, the drain plate 11 is capable of collect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2 when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2 and the room air exchange heat. For this purpose, the drain plate 11 may be formed with a water collecting space (not shown)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recess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또한, 상기 집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12)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 내부에 집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may be received and sea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Therefore,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flows downward and can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한편,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에는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A drain pipe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to the outside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late 11.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관통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A through hole 11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ain plate 11 to allow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let 21 to flow upward. Therefor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can flow upward through the drain plate 11. [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상기 열교환기(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열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2)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2)는 상기 본체(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10)의 측면 형상이 사각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12)는 이에 대응되도록 사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1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plate 11. In order to heat exchang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a refrigerant that exchanges heat with room air may flow into the heat exchanger (12). The heat exchanger 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side surface shape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heat exchanger 12 may have a square structure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공기와 냉매간의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2)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가늘고 긴 관을 다수 회 절곡한 형상을 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11)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2)와 열 교환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r 12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elongated tube is bent many times so as to enlarge the area. Therefore, indoor air that has flowed upward through the through-hole 111 can exchange heat with the heat exchanger 12.

일 예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열교환기(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하강하고,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열교환기(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열 교환 과정 중에 상기 열교환기(12)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에 집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s in the cooling operation mode,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2 is lowered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2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ceiling- Can be increased.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2) during the heat exchange can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에어가이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열교환기(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13)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열교환기(12)보다는 크고 상기 프런트패널(20)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2)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n air guide 13 for preventing internal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air guide 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heat exchanger 12.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air guide 13 may be larger than the heat exchanger 12 and smaller than the front panel 20. Therefore, the heat-exchanged air with the refrigerant may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while flowing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r 12.

상기 본체(10) 내부 중앙에는 상기 팬(1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14)은 전원 인가 시에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41)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141)가 동작하면, 중앙부로는 상 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고,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14)이 상기 팬모터(141)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관통구(111) 및 상기 흡입구(21)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팬(14)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 되어 상기 열교환기(12)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n 14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The fan (14) can cooperate with the fan motor (141) generating the rotational power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can force the air flow. Accordingly, when the fan motor 141 operates, an upward suction force can be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wind force can be generated inward from the inside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fan 14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fan motor 141 and rotates at a high spee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t the lower side is transmitted to the through-hole 111 and the suction port 21, Can be inhaled.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n (14) is blown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2), so that heat exchange by the refrigerant can be performed.

상기 본체(10)는 상기 관통구(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오리피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15)는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팬(14)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오리피스(15)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15)의 하단부는 드레인 플레이트(11)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n orifice 15 provided in the through-hole 111. The orifice 15 may guide the ai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ain plate 11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n 14. For this purpose, the orifice 1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orifice 15 may be coupled so as to lie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late 11.

상기 오리피스(15)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는 오리피스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 홀(151)의 내부에는 상기 팬(14)이 배치될 수 있다.An orifice hole 151 may be formed in the orifice 15 so as to be vertically perforated. The fan 14 may be disposed inside the orifice hole 151.

따라서, 상기 팬(14)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드레인 플레이트(11)를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 홀(151)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팬(14)의 중앙부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an 14 rotates to generate a suction force downward, the air below the drain plate 11 flows upward along the orifice hole 151,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al portion.

상기 본체(10)는 상기 오리피스(15)의 하면 좌측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필터(16)와, 상기 플라즈마 필터(16)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플라즈마 필터(16)를 구속하는 필터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필터(16)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브라켓은 상기 오리피스(15)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plasma filter 16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5 and a filter bracket (not shown) provided on the plasma filter 16 to restrain the plasma filter 16. As shown in FIG. The plasma filter 16 generates plasma to attract and adsorb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 addition, the filter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5.

상기 본체(10)는 상기 필터브라켓과 상기 플라즈마 필터(16) 사이에 구비되는 집진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필터는 상기 에어필터와 상기 플라즈마 필터(16)의 2차적인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이물을 한번 더 걸래 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ust filter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filter bracket and the plasma filter 16. The dust filter may be removably mounted on the filter bracket for filtering the fine foreign matter that has not been removed despite the secondary filtering of the air filter and the plasma filter 16.

본 실시예에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에어필터, 플라즈마 필터, 및 집진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들 외에도 별도의 필터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air filter, the plasma filter, and the dust collecting filter provided in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be omitted. In addition, a separate filter may be additionally mounted in addition to the filters.

상기 본체(10)는 상기 실내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7)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box 1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 the control box 17 to incorporate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상기 본체(10)는 상기 오리피스(15)의 하면에 구비되는 패널승강수단(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승강수단(18)은 상기 프런트패널(2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5)와 상기 프런트패널(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panel elevating means 18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5. [ The panel elevating means 18 is for selectively lifting and lowering the front panel 20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orifice 15 and the front panel 20.

상기 패널승강수단(18)은 크게 회전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상방 및 하방으로 유동 강제하는 다수 개의 승강키트(181)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구(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181)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상기 흡입구(21)로 전달하는 와이어(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lifting unit 18 includes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kits 181 that generate large rotational power to force the upper panel 20 upward and downward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lifting unit 21, And a wire 182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181 to the inlet 21.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181)가 상기 와이어(182)의 길이를 늘어뜨리게 되면 상기 흡입구(2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lifting and lowering kit 181 extends the length of the wire 182, the suction port 21 can be kept open.

반대로, 상기 승강키트(181)가 상기 와이어(182)를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흡입구(21)는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구(21)를 차폐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lifting kit 181 pulls the wire 182, the suction port 21 flows upward to shield the suction port 21. [

이하에서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20 will be described.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실내로 토출 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베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23)은,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인(23)은,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모든 부분에 균일한 풍속을 가지는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인(23)의 회전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베인(23)의 배치, 구성 및 작동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the front panel 20 may include a vane 23 for controlling a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a room. The vane 23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vane 23 may be inclined out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 having a uniform wind velocity in all the rooms. However,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ane 23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arrangement,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vane 23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프런트패널(20)은 후술되는 베인모터(231)가 배치될 수 있는 모터수용공간(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공간(24)은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좌/우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수용공간(24)은 구획리브(232)에 의해 상기 프런트패널(20)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20 may include a motor accommodation space 24 in which a vane motor 231 described later can be disposed. The motor housing space 24 may b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front panel 20. The motor accommodating space 24 may be partitioned from the upper space of the front panel 20 by a partition rib 232.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베인(2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베인모터(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수용공간(2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231)는 상기 베인(23)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베인모터(231)는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 vane motor 231 for adjus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vane 23. The vane motor 231 may be disposed in the motor accommodation space 24 as described above. The vane motor 231 may be provided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vane 23.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ane motors 231 may be selectively operated.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프런트패널(20)을 분리할 때,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점검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5)는 상기 모터수용공간(24)의 어느 한 부분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5)는 일 예로, 삼각형 모양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port 25 through which a tool such as a driver can be inserted when the front panel 2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 The inspection hole 25 may be formed through any part of the motor accommodation space 24. The inspection hole 25 may be formed as a triangle, for example.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점검구(25)의 내부 벽면의 일 측에 구비되는 패널플랜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플랜지(251)는 상기 점검구(25)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 panel flange 2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pection hole 25. [ The panel flange 251 may protrude into the inspection hole 25.

상기 패널플랜지(251)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패널결합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결합홀(252)과 후술되는 체결홀(도 2의 191)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The panel flange 251 may include a panel coupling hole 252 for fixing the front panel 20 to the main body 10 to be fixed thereto. Accordingly, the front panel 20 may not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by fastening the panel coupling hole 252 and the later-described coupling hole (191 in FIG. 2) by the fastening member.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모터수용공간(24)을 차폐하기 위한 모터커버(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커버(241)는 상기 점검구(25)를 가리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커버(241)의 상면에는 모터도피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도피홈(242)은 상기 베인모터(231)와 상기 모터커버(241)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인모터(231)의 상부 외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도피홈(242)은 상기 모터커버(241)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cover 241 for shielding the motor accommodation space 24. At this time, the motor cover 24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cover the inspection hole 25. A motor escape groove 24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cover 241. Therefore, the motor escape groove 24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vane motor 231 to prevent the vane motor 231 from interfering with the motor cover 241. The motor escape groove 242 may be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tor cover 241.

상기 프런트패널(20)은 후술되는 점검구커버(254)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관통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 penetrations 253 for supporting a load of an inspection port cover 25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점검구(25)를 차폐하기 위한 점검구커버(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커버(254)는 상기 프런트패널(20)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기(1)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구커버(254)는 상기 모서리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프런트패널(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e front panel 20 may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port cover 254 for shielding the inspection port 25. The check port cover 254 may be coupled to an edge of the front panel 20 to form a part of an outer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 [ Also, the check cover 254 may be selectively detached from the front panel 20 by sliding at the corner.

상기 점검구커버(254)는 상기 프런트패널(20)에 하중이 지지되기 위한 다수의 걸림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55)는 상기 돌기관통부(253)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55)가 상기 돌기관통부(25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점검구커버(254)는 상기 프런트패널(2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heck port cover 254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55 for supporting a load on the front panel 20. The locking protrusion 25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enetration portion 253. The stopper protrusion 255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penetration portion 253 so that the inspection port cover 254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20.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패널브라켓(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브라켓(19)은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91)은 상기 패널플랜지(251)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브라켓(19)과 상기 패널플랜지(251)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프런트패널(20)은 상기 본체(1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panel bracket 19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panel bracket 19 may have a fastening hole 191 for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fastening hole 191 can be fastened by the panel flange 251 and the fasten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panel bracket 19 and the panel flange 251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the load of the front panel 20 can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상기 설치부재(F)의 하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헹거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헹거 어셈블리(40)는 천장(C)으로부터 상기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모서리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헹거 어셈블리(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천장(C)에는 설치부재(F)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본체(10)의 전/후 및 좌/우측 면에는 천장(C)에 설치된 다수의 설치부재(F)가 각각 위치할 수 있고, 다수의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본체(10)의 전/후 및 좌/우측 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설치부재(F)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hanger assemblies 40 for engag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 The plurality of hanger assemblies 40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corner surfaces to stably support the body 10 from the ceiling C, The ceiling C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member F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hanger assemblies 2. A plurality of mounting members F provided on the ceiling C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the hanger assemblies 4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10 An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F, respectively.

상기 설치부재(F)의 하단부가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에 결합되면, 상기 프런트패널(2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천장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F is coupled to the hanger assembly 40,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front panel 20 may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이하에서는,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hanger assembly 40 will be described.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배치된 헹거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헹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배치된 헹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view of a hanger assembly disposed in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nger assembly disposed in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점검구(25)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점검구(2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anger assembly 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Further, the hanger assembly 4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spection port 25 so as to be operable at the inspection port 25.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본체(10)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본체 마운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ger assembly 40 may include a main body mount 41 fastened to the main body 10 and adap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eiling.

상기 본체 마운터(41)는 마운트 체결부재(412)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제 1 마운트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운트부(411)의 어느 한 부분에는 마운트 볼트(412a)가 삽입될 수 있는 마운트 홀(4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볼트(412a)가 상기 마운트 홀(411a)에 삽입되면, 상기 본체(10) 후면의 상기 마운트 볼트(412a)는 마운트 너트(412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The main body mounter 4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unt portion 411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mount coupling member 412. A mount hole 411a into which the mount bolt 412a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any one portion of the first mount portion 411. [ When the mount bolt 412a is inserted into the mount hole 411a, the mount bolt 412a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an be fastened by the mount nut 412b.

따라서, 상기 본체 마운터(41)는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412)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body mounter 41 can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by the mount fastening member 412.

상기 본체 마운터(41)는 상기 제 1 마운트부(411)로부터 적어도 1 회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마운트부(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운트부(414)는 상기 체결부재(4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삽입공(414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ounter 4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unt portion 414 formed by bending the first mount portion 411 at least onc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414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414a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45 can be inserted.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설치부재(F)와 결합되는 지지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42)는 상기 본체 마운터(41)에 연결되어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The hanger assembly 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42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F. [ The support 4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mounter 41 and can slide upward and downward.

상기 지지체(42)는 상기 설치부재(F)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제 1 지지체(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체(421)에는 상기 설치부재(F)가 삽입될 수 있는 설치 홀(42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부재(F)가 상기 설치홀(421a)에 삽입되고, 설치 너트(421b)로 체결 될 수 있다. The support 42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421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 The first support body 421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421a into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F can be inserted. Therefore, the mounting member F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421a and fastened by the mounting nut 421b.

다른 예로, 상기 설치 홀(421a)에 삽입되는 설치부재(F)의 하단부는 상기 설치부재(F)의 상단부보다 넓게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부재(F)는 제 1 지지체(421)에 지지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421a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member F. [ Therefore, the mounting member F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body 421. [

상기 지지체(42)는 상기 제 1 지지체(421)와 후술되는 제 2 지지체(423)를 이격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2)에 의해서, 상기 제 1 지지체(421)에 설치되는 설치부재(F)는 상기 제 2 지지체(423)에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ing member 42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422 fo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member 421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423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member 422 has an effect that the attachment member F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42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423. [

한편, 상기 연결부(422)는 상기 제 1 지지체(42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412)를 회피하기 위한 절곡부(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22a)가 상기 제 1 지지체(421)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412)에 간섭되지 않기 위한 회피공간(422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체(42)는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상기 회피공간(422e)으로 인하여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412)가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422 may include a bent portion 422b for avoiding the mount fastening member 412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421. [ The bending portion 422a is formed at least once from the first support body 421 so that a clearance space 422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mount coupling member 412 can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42 slides downward, the mount coupling member 412 is not interfered with due to the avoidance space 422e.

또한, 상기 연결부(422)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4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42b)는 상기 제 1 지지체(421)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2)가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422b)가 상기 본체(10)에 접촉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422b)가 슬라이드 안내되면서,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본체를 보다 안정감 있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422b)는 절곡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의 하중 일부를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2)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422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422b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The contact portion 442b may contact a part of the main body 10 while being bent at least once from the first support body 421. [ Accordingly, when the support 42 slides upward and downward, the contact portion 422b can be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main body 10. Further, the sliding contact of the contact portion 422b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in body can be lifted and lowered more securely while minimizing the swinging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portion 422b is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load of the main body 10 can be dispersed.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support 42 is improved.

상기 연결부(422)는 상기 접촉부(442b)와 상기 절곡부(422a)를 연결하는 상측연결부(422c)와, 상기 절곡부(422a)와 후술되는 제 2 지지체(423)을 연결하는 하측연결부(42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422 includes an upper connection portion 422c for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442b and the bent portion 422a and a lower connection portion 422d for connecting the bending portion 422a and a second support member 423, ).

상기 지지체(42)는 상기 제 2 마운트부(414)와 마주보고, 후술되는 체결부재(4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지지체(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체(423)와 상기 제 2 마운트부(414) 사이에 상기 체결부재(45)가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장(C)과 본체(10)는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4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423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45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facing the second mount 414. The coupling member 45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423 and the second mount 414 so that the ceiling C and the main body 10 are fixed with a certain distance maintained .

한편, 상기 제 2 지지체(423)는 상기 연결부(422)로부터 적어도 1 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체(423)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체결부재(4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삽입공(42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지지체(423)와 상기 제 2 마운트부(41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상태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support body 423 may be bent at least onc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422. A second insertion hole 423a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45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ody 423.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423 and the second mount 414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member.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지지체(42)를 천장(C)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 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4)은 상기 연결부(422)의 좌/우측 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4)은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4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4)에 의해서, 천장(C)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The hanger assembly 4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guide rails 44 capable of guiding the support 42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iling C. The pair of guide rails 44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422, respectively. Further, the pair of guide rails 4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Therefore, the support 42 can be sli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C by the pair of guide rails 44. [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지지체(42)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5)는 상기 제 1, 2 삽입공(414a, 42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5)는 상기 볼트(45a)와 상기 볼트(45a)와 체결되는 너트(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45a)가 회전될 때, 상기 너트(45b)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너트(45b)는 상기 제 2 지지체(423)에 용접됨으로써,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45a)와 상기 너트(45b)가 조여지는 경우, 상기 지지체(42)는 상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 마운터(41)와 상기 지지체(42) 사이의 간격은 가까워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터(41)와 상기 지지체(42)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 지는 경우, 상기 본체(10)와 천장(C)사이의 간격은 가까워 질 수 있다.The hanger assembly 4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mber 45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42. The fastening member 45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414a and 423a. The fastening member 45 may include the bolts 45a and the nuts 45b fastened to the bolts 45a. When the bolt 45a is rotated, the nut 45b can be fixed without being rotated. For example, the nut 45b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body 423 without being rotated. Accordingly, when the bolt 45a and the nut 45b are tightened, the support 42 can be slid upward. That is,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mounter 41 and the support body 42 can be reduc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er 41 and the support 42 is shortene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eiling C can be reduced.

반대로, 상기 볼트(45a)와 상기 너트(45b)가 풀리는 경우, 상기 본체 마운터(41)와 상기 지지체(42) 사이의 간격은 멀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와 천장(C)사이의 간격은 멀어 질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bolt 45a and the nut 45b are loosened, the interval between the body mounter 41 and the support body 42 may be distant.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eiling C may be distant.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지지체(423)의 제 2 체결홀(423a)에는 상기 볼트(45a)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45a)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42)는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bolt 45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hole 423a of the second support body 423. Accordingly, as the bolt 45a is rotated, the support 42 can be slid upward and downward.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커버가 상기 프런트패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pection port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front panel.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구커버(254)가 상기 프런트패널(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25)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와 실내 공간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헹거 어셈블리(40)는 상기 점검구(25)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프런트패널(20)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설치부재(F)와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의 체결부재 (45)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와 천장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heck cover 254 can be detached from the front panel 20.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can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check port (25). At this time, the hanger assembly 4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nspection port 25. [ Therefore, the operator can check the fastening state of the mounting member (F) and the hanger assembly (40) without removing the entire front panel (20). The operator can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indoor unit 1 and the ceiling by operating the fastening member 45 of the hanger assembly 40 us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이하에서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설치 과정에서,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 경우, 헹거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유격을 줄이는 작업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ducing the clearance by operating the hanger assembly when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i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 실내기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헹거 어셈블리를 조작하여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을 줄이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실내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줄이는 작업이 완료된 실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in which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an indoor unit and a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in which the operation of reducing the clear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mpleted.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설치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상기 실내기(1)와 천장(C) 사이에 유격(D2)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격(D2)으로 인하여, 상기 실내기(1)와 상기 천장(C)은 수평이 맞춰 지지 않은 상태, 즉, 상기 실내기(1)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9, a clearance D2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indoor unit 1 and the ceiling C during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indoor unit 1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of the operator. Due to the clearance D2, the indoor unit 1 and the ceiling C may not be horizontal, that is, the indoor unit 1 may be inclined toward either side.

이때, 작업자는 상기 유격(D2)이 발생한 지점의 점검구커버(254)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의 본체 마운터(41)와 지지체(42) 사이 간격은 제 1 높이(H)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open the inspection port cover 254 at the point where the clearance D2 has occurr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mount 41 of the hanger assembly 40 and the support 42 may be the first height H.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드라이버 등의 공구(T)를 이용하여 상기 헹거 어셈블리(40)의 체결부재(45)를 조작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45)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체(42)와 본체 마운터(41) 사이는 가까워 질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지지체(42)와 상기 본체 마운터(41) 사이를 상기 제 1 높이(H)보다 작은 제 2 높이(L)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헹거 어셈블리(40) 측의 본체(10)와 천장(C) 사이에 발생한 유격(D2)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유격(D2)을 줄임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천장(C)의 수평이 맞춰 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n operator can operate the fastening member 45 of the hanger assembly 40 using a tool T such as a screwdriver. By rotating the fastening member 45 counterclockwise, the operator can get close to the support 42 and the body mounter 41. The operator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y 42 and the body mounter 41 to a second height L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H so that the body 10 on the side of the hanger assembly 40 and the ceiling C)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learance D2, the main body 10 and the ceiling C can be leveled.

도 11을 참조하면, 실내기(1)와 천장(C) 사이에 발생한 유격(D2)을 줄이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점검구커버(254)를 닫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operation of reducing the clearance D2 between the indoor unit 1 and the ceiling C is completed, the operator can close the inspection cover 254.

본 명세서에서, 유격이 발생한 지점의 헹거 어셈블리(40) 높이를 조절하여, 실내기(1)와 천장의 수평을 맞추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유격이 발생한 지점의 반대측 헹거 어셈블리(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실내기(1)와 천장의 수평을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ight of the hanger assembly 40 at the point where the clearance has occurred has been described so as to align the ceiling with the indoor unit 1. However, the height of the opposite side of the hanger assembly 40 , It is also possible to align the ceiling with the indoor unit 1.

종래에는,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천장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점검구 내부로 손을 넣어 실내기의 본체를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본체 마운터가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 하게 슬라이드 안내되고, 체결부재가 본체 마운터를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므로, 작업자는 본체를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기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when there is a clearance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ceiling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he operator has to hold his / her body in the inspection hole and work with the other han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dy mounter is slidably guided to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fastening member fixes the body mounter to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체가 지지체의 접촉부에 슬라이드 안내되므로,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본체를 보다 안정감 있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is slidably guid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pport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ecurely while minimizing the swinging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작업자가 본체를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고, 점검구의 크기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점검구의 크기를 손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operator to hold the main body by hand, and the size of the inspection port can be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insert a tool such as a driver, There is an advantage not to be required.

또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높이 조절 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사다리를 잡을 수 있으므로, 실내기 높이 조절 작업 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can hold the ladder with one hand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safety is improved when the height of the indoor unit is adjusted.

1: 실내기 10: 본체
20: 프런트패널 25: 점검구
254: 점검구커버 40: 헹거 어셈블리
41: 본체 마운터 411: 제 1 마운트부
414: 제 2 마운트부 42: 지지체
421: 제 1 지지체 422: 연결부
422a: 절곡부 422b: 접촉부
422e: 회피공간 423: 제 2 지지체
44: 가이드 레일 45: 체결부재
45a: 볼트 45b: 너트
C: 천장 F: 설치부재
1: indoor unit 10: main body
20: front panel 25: check port
254: Check Cover 40: Hanger Assembly
41: main body mounter 411: first mount portion
414: second mount portion 42: support
421: first support body 422:
422a: bent portion 422b:
422e: avoiding space 423: second support
44: guide rail 45: fastening member
45a: bolt 45b: nut
C: Ceiling F: Installation member

Claims (9)

내부에 열교환기 및 팬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천장에 설치된 설치부재에 결합되는 헹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헹거 어셈블리는,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 하게 슬라이드 안내되는 본체 마운터와,
상기 본체 마운터를 상기 지지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r and a fan are accommodated; And
And a hanger assembly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ed to a ceiling mounted member,
The hanger assembly comprises:
A supporting member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 main body mounter fastened to the main body and slidably gu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main body mounter to the support body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마운터는, 마운트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제 1 마운트부; 및
상기 제 1 마운트부로부터 적어도 1회 절곡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mounter includes: a first mount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mount fastening member; And
And a second mount portion bent at least once from the first mount por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설치부재에 체결되는 제 1 지지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마운트부를 마주보고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지지체와,
상기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를 이격 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에 삽입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A first support which is fasten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A second support body, at least a part of which faces the second mount, and in which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n spaced rela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마운트부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rails for slidingly guid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ir of guide rails protrude toward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마운트 체결부재를 회피하기 위한 절곡부를 갖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bent portion for avoiding the mount fastening member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지지체 상측에 위치하는 너트와,
상기 제 1 삽입공 및 제 2 삽입공에 관통되고 상기 본체 마운터와 상기 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상기 너트와 풀리고, 상기 본체 마운터와 상기 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 지게 상기 너트와 조여지는 볼트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member
A nut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upport,
A bolt thread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loosened by the nut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mounter and the support is distanced away from the nut and tightened so that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mounter and the support is clos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 측에 점검구가 형성된 프런트 패널; 및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는 점검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운터는 상기 점검구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pan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spe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Further comprising an inspection port cover coupled to the front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pection port,
And the main body mounter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spection port.
KR1020160077385A 2016-06-21 2016-06-21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815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85A KR101815380B1 (en) 2016-06-21 2016-06-21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85A KR101815380B1 (en) 2016-06-21 2016-06-21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12A true KR20170143312A (en) 2017-12-29
KR101815380B1 KR101815380B1 (en) 2018-01-08

Family

ID=6093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385A KR101815380B1 (en) 2016-06-21 2016-06-21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8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164A1 (en) * 2019-11-21 2021-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for indoor machine unit of air-conditioner,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installing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KR102659345B1 (en) * 2023-07-06 2024-04-22 서진공조(주)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termina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2659344B1 (en) * 2023-07-06 2024-04-22 서진공조(주)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termina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99B1 (en) 2018-07-05 2019-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419A (en) * 2005-03-10 2006-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101005099B1 (en) * 2007-03-26 2010-12-30 (주)예네 Fixing apparatus fo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h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164A1 (en) * 2019-11-21 2021-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for indoor machine unit of air-conditioner,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installing indoor machine of air-conditioner
KR102659345B1 (en) * 2023-07-06 2024-04-22 서진공조(주)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termina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2659344B1 (en) * 2023-07-06 2024-04-22 서진공조(주)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termina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380B1 (en)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38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11131479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indoor unit
JP6099925B2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5986869B2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06194532A (en) Out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WO2019030796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4173760A (en)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JP201705355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7122525A (en) Ceiling embedded type indoor unit
JP2001227771A (en) Air conditioner
JP4417101B2 (en)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JP2007017037A (en) Air conditioner
JP4616607B2 (en) Air conditioner
JP2011112341A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7203340B2 (en) indoor unit
JPH0410500Y2 (en)
JP2000249362A (en)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WO2020157959A1 (en) Bottom surface panel an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JP5786748B2 (en) Ventilation equipment
KR20080044051A (en) Indoor unit for duct-type air conditioner
CN116499030A (en) Indoor machine
JPWO2016132536A1 (en) In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JP2002349907A (en) Air-conditioning device
JP5959298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30000418A (en) A filter's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