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93A -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93A
KR20170143293A KR1020160077348A KR20160077348A KR20170143293A KR 20170143293 A KR20170143293 A KR 20170143293A KR 1020160077348 A KR1020160077348 A KR 1020160077348A KR 20160077348 A KR20160077348 A KR 20160077348A KR 20170143293 A KR20170143293 A KR 20170143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gmentation information
user
segmentation
medic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496B1 (ko
Inventor
이재연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7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96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영상의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 (segmentation 정보에 의한 3D volume)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EDICAL IMAGES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LUNG LOBE SEGMENTATION}
본 발명은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차원 의료 영상 및 3차원 의료 영상에 기반하여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의 재원으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S2259881, 연구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흉부 CT 영상의 정량적 분석 및 가시화 기술개발을 통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진단 솔루션 개발]
다양한 모달리티(modality)에 의하여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은, 인체(human body)의 장기(organ)를 구성하는 물질의 반응성에 따라 영상 내의 위치에 따른 밝기값이 변화하고, 이러한 영상 정보의 집합을 재구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또는 폐암(lung cancer)과 같은 폐의 질병을 조기에 검출하는 것은 환자에게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최근 발전한 의료 영상은 이러한 폐의 질병을 진단하고 조기에 검출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폐의 질병을 조기에 검출하기 위해서는 폐의 영역을 정확히 분할(segmentation)하는 것이 중요하다. 폐는 5개의 lobe로 나누어진다. 각 lobe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단위이다(separate functional unit). 폐 로브(lung lobe)는 피셔(fissure)라 불리는 얇은 벽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폐의 질병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로브 내에서 국한되는(confined)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질병이 있는 로브를 식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로브를 정확히 분할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또는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e)과 같은 의료 영상의 획득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폐 영상에서 로브를 검출하는(lobe detection) 것은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이다. 로브 검출이 어려운 것은 로브 간의 경계인 피셔(fissure)가 너무 얇기 때문이며, 피셔가 노이즈, 아티팩트(artifact), 부분적 볼륨 효과(partial volume effect) 등으로 인하여 방해받기 때문이다. 또한 폐의 질병이 폐의 로브에 영향을 미친 탓에 정확한 경계를 검출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도 한 이유이다.
의료 영상으로부터 피셔를 검출하고 폐 로브를 분할하는 선행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US 7,711,167호 "Fissure Detection Methods for Lung Lobe Segmentation" 및 미국등록특허 US 7,809,174호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ation of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의료 영상에서 기관(trachea)를 추출하여 기관으로부터 폐 영역을 분할하거나('174 특허), 평면 구조 상에서 혈관의 눌림(vessel suppression), 곡률(curvature), 로컬 그래디언트(local gradient) 등을 계산하여 3차원 영상을 필터링한 후 피셔를 검출하는 구성을 소개한다('167 특허).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나 폐암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폐의 손상으로 인하여 의료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되는 피셔 검출 및 로브 분할 결과가 임상적인 판단과 상이한 경우가 있다. 임상적인 판단과 상이한 분할 결과는 곧 부정확한 분할을 의미하므로 여전히 상기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미국등록특허 US 7,711,167호 "Fissure Detection Methods for Lung Lobe Segmentation" (등록일 2010년 5월 4일) 미국등록특허 US 7,809,174호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ation of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등록일 2010년 10월 5일)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2차원 및 3차원 의료 영상에서 일차로 검출된 피셔(fissure) 및 분할된 로브(lobe)를 사용자 수정에 의하여 편집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계산되는 피셔 검출 및 로브 분할 결과에 임상적인 판단에 의한 사용자의 가이드(user's guide)를 입력받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된 피셔 검출 및 로브 분할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폐 로브 분할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차로 검출된 피셔(fissure) 및 분할된 로브(lobe)에 대한 임상의(clinician)의 직관적 판단이 시드(seed)로서 반영되어 로브 분할의 최적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수의 슬라이스 또는 다수의 뷰포인트 영상에서 입력한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가이드(user's guide)를 도출하고, 사용자의 가이드를 이용하여 로브 분할을 최적화하는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관심 영역(편집 대상 장기, 예를 들어 폐)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영상의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일차로 자동으로 생성된 segmentation 정보에 의한 3D volume)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분할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연산부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가능한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을 구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 연산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가이드를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상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의료 영상 내의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또는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정보 내의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수정된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의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및 3차원 의료 영상에서 일차로 검출된 피셔(fissure) 및 분할된 로브(lobe)를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수정에 의하여 편집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계산되는 피셔 검출 및 로브 분할 결과에 임상적인 판단에 의한 사용자의 가이드(user's guide)를 입력받고, 이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한 폐 로브 분할 워크플로우에 의하여 개선된 피셔 검출 및 로브 분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차로 검출된 피셔(fissure) 및 분할된 로브(lobe)에 대한 임상의(clinician)의 직관적 판단이 시드(seed)로서 반영되어 로브 분할의 최적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semi-automatic한 워크플로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수의 슬라이스 또는 다수의 뷰포인트 영상에서 입력한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가이드(user's guide)를 도출하고, 사용자의 가이드를 이용하여 로브 분할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는 부분적으로 이를 승인하거나 기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의 가이드에 기반하여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 일부는 승인되고 다른 일부는 기각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사용자의 가이드가 부가되어 시드 정보가 생성되고, 시드 정보에 의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관심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분할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생성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가이드를 조합하여 재계산 과정을 통해 세그멘테이션이 불충분한 영역을 채워 나갈 수 있다. 이때 피검자의 특성에 따라 폐의 분할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missing fissure, incomplete fissure, absent fissure)는 별도로 구분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피검자의 폐가 피검자의 특성에 따라 분할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폐의 분할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사용자의 가이드를 부가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예상 범위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단계인 S760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프로세서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의료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으며 검색된 결과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모리에 로드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오른쪽 폐(right lung)(100)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도시된다. 왼쪽 폐(left lung)이 상측 로브(superior lobe, upper lobe)와 하측 로브(inferior lobe, lower lobe)로 구분되는데 반해 오른쪽 폐(100)는 상측 로브(110)와 하측 로브(130) 사이에 가운데 로브(middle lobe)(120)로 구분된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기법이 적용된 오른쪽 폐(100)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도시한다. 도 1에서는 오른쪽 폐(100)의 3개 로브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결과가 각 로브에 주어진 고유의 시각적 속성과 함께 표시된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폐에 대한 의료 영상 중에서 폐 영역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이 실행된다. 폐 영역에 대한 세그멘테이션은 의료 영상에 나타나는 각 복셀의 밝기값에 기반하여 왼쪽 폐(도시되지 않음)와 오른쪽 폐(100)의 외곽 경계(contour)를 분할한다. 이때 혈관의 형상, 각 복셀의 밝기값의 그래디언트의 분포 등이 고려되어 분할 과정에 이용된다.
왼쪽 폐는 전형적으로 비스듬한 피셔(oblique fissure)에 의하여 상측 로브와 하측 로브로 구분된다. 오른쪽 폐(100)는 전형적으로 비스듬한 피셔와 수평 피셔(horizontal fissure)에 의하여 3개 로브로 구분된다.
도 1에서 하측 로브(130)를 다른 2개의 로브(110, 120)와 구분하는 경계가 비스듬한 피셔이고, 가운데 로브(120)를 상측 로브(110)와 구분하는 경계를 수평 피셔로 판정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의료 영상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3차원 볼륨 상에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가 표시된다. 도 1에서는 어떤 한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의 영상이 표시되었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의료 영상의 방향 전환, 의료 영상의 확대/축소, 의료 영상의 회전 등의 오퍼레이션을 통하여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되는 3차원 볼륨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고,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또한 변형된 3차원 볼륨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오버레이된다.
의료 영상은 3차원 볼륨 외에도 관상면(coronal plane), 시상면(sagittal plane), 축상면(axial plane)에 투영된 2차원 영상으로도 표시될 수 있고, 다평면 재구성 영상(MPR, multi-planar reformation)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 피셔(horizontal fissure)에 해당하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피셔(111)를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수정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른쪽 폐(200)의 의료 영상에 오버레이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함께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도 2는 오른쪽 폐(200)에 대한 특정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를 도시한다. 뷰포인트가 달라지면 디스플레이되는 의료 영상 및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또한 변형될 것이다.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피셔(211a, 211b) 에 대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211c)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선(211c)은 새로운 피셔의 제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하나의 영상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영상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은 3차원 볼륨에서 뷰포인트를 달리 하여, 복수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에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3차원 볼륨 영상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관상면, 시상면, 축상면, MPR 영상과 같은 2차원 영상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원 영상인 경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상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가이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가이드 정보는 선(211c)과 같은 새로운 피셔의 제안들을 조합하여 도출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선(211c)은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seed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선(211c)과 기존의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피셔(211a, 211b) 간의 관계는 옵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211c)과 양립 불가능한 부분의 피셔(211b)를 새로운 피셔 제안인 선(211c)으로 대체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얻는 경우이다. 이때 사용자가 선(211c)을 그려 넣는 과정은 기존의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 일부인 피셔(211b)는 삭제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선(211c)과 양립 가능한 부분의 피셔(211a) 및 선(211c)에 기반하여 새로운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대체하거나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하되, 새롭게 제안된 피셔인 선(211c)을 시드 정보에 추가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이다.
세번째 실시예에서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 양립 불가능한 부분의 피셔(211b)와 사용자가 새롭게 입력한 선(211c) 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시드 정보를 생성하고, 시드 정보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이다.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 선(211c)과 양립 가능한 제1 부분의 피셔(211a), 및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의 피셔(211b)의 도출은 선(211c)과 기존의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각 부분이 논리적으로 배치되는 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논리적으로 배치되는 지가 명확히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하나의 영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만으로는 양립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복수 개의 영상들에 대하여 주어진 사용자 입력을 연관 분석하여 기존의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양립 가능한 부분과 양립 불가능한 부분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뷰포인트 또는 슬라이스 영상의 기준 좌표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한 선(211c)과 기존의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영상만으로는 논리적으로 배치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른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논리적인 배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에 의한 선(211c)이 그려진다고 하여 반드시 선(211c)의 모든 부분이 기존의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취소하는 것은 아니며, 선(211c)이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피셔와 일치하는 범위 내에서는 선(211c)과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공존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사용자가 새롭게 제안한 피셔인 선(211c)은 사용자에 의하여 취소되고 다시 새롭게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피셔를 제안하는 과정은 한번에 종료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도출된 새로운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 임상적 관점에서 부적합한 부분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새롭게 피셔의 일부를 제안할 수 있고 제3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서 상측 로브, 하측 로브, 가운데 로브가 모두 분할된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다른 뷰포인트에서는 로브 사이의 경계면이 모두 검출되지 못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컴퓨팅 시스템은 컴퓨팅에 의하여 얻어지는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사용자 입력을 부가하여 로브 사이의 경계면을 완성해 나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인터랙티브한 세그멘테이션 워크플로우, semi-automatic 세그멘테이션 워크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피검자의 특성에 따라서는 폐의 분할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missing fissure, incomplete fissure, absent fissure)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인터랙티브한 워크플로우라 하더라도 반드시 세그멘테이션 영역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때 피검자의 특성에 따라서 폐의 분할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semi-automatic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진행한 이후에도 적합한 결과를 얻지 못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피셔까지를 선택하고 임상적으로 무의미한(피검자의 특성에 따라서 불완전한) 피셔는 별도로 표시하는 형태로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종결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세그멘테이션 결과에 따른 피셔가 선으로 표시되었으나 3차원 볼륨 상에서는 피셔는 경계면이므로 뷰포인트에 따라서는 피셔가 선이 아닌 면의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산출된 피셔 및 사용자가 입력한 새롭게 제안된 피셔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각적 속성(예를 들면 색상, 채도, 명도, 무늬 등)를 가진 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새로운 피셔 제안을 기반으로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산출할 때에는 피셔가 가지는 기울기 등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활용하여 경계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뷰포인트 또는 좌표에 의한 복수 개의 영상에 대하여 수신된 경우 이들로부터 새롭게 도출될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피셔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가 산출될 수도 있다. 뷰포인트 기준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선 형태의 새로운 피셔 제안에서 파생될 수 있는 면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범위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렇게 산출된 피셔의 존재 가능 범위는 기존 의료 영상에 임시적으로 오버레이될 수 있다. 오차(가능성)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그린 선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가 산출될 수 있다. 범위가 설정되면 그 범위 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사용자들의 입력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수 있는 범위는 도 3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예상 범위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른쪽 폐(300)의 의료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들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존재 가능 범위(311)가 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존재 가능 범위(311)가 의료 영상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양상을 검토하여 현재 제안된 새로운 피셔 정보들, 사용자 가이드가 합리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존재 가능 범위(311) 내에서 다시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산출하는 과정은 변경된 경계 조건을 가지고 계산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범위 설정 없이 계산된 세그멘테이션 결과와는 경계 조건의 변경, 사용자 가이드에 의한 피셔의 시드 정보의 유무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컴퓨팅 시스템(400)은 프로세서(410), 디스플레이(4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13a)를 포함한다. 이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13a)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스크린, 마이크, 등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가리킨다.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420)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420)에 표시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속성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4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13a)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42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메뉴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메뉴는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41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정보의 일 부분으로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413)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메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13a)의 연동에 의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10)는 수신부(411),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4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413)를 포함한다. 수신부(411)는 외부의 의료 영상 진단 장비(모달리티, modality)로부터 의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411)는 세그멘테이션 결과를 편집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의료 영상의 관심 영역에 대한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된 의료 영상에 대한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은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외부의 다른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412)는 의료 영상에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413)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412)는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들 또는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를 사용자의 오퍼레이션 요청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영상에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 또한 뷰포인트 또는 슬라이스 영상의 기준 좌표에 따라서 변형되어 오버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413)는 복수 개의 영상들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각 사용자 입력은 복수 개의 영상들에 대하여 함께 디스플레이된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영상들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결과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가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정보에 부가되어 오버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디스플레이(520),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51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513), 수신부(511), 사용자 인터페이스(513a)의 기본적인 동작은 도 4에서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프로세서(510)가 분할 연산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500)에 데이터베이스(514a)가 포함될 수 있다.
분할 연산부(5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513)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산출하고,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 및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분할 연산부(514)의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가능한 제1 부분 및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을 구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기를 원하는 제2 부분에 대해서는 사용자는 새로운 사용자 입력을 부가하고, 사용자가 승인하는 제1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부가하지 않는 것으로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선택적 승인이 가능하다.
분할 연산부(514)의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선택적으로 승인하기보다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부가하여 시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할 연산부(514)는 시드 정보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할 연산부(514)의 세번째 실시예에서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와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 및 사용자 가이드 간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시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피검자의 특성 상 불완전한 피셔(incomplete fissure, missing fissure, absent fissure)를 가지는 경우가 아닌데도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관심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분할 연산부(514)는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사용자 입력을 부가하여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상할 수 있다. 즉,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와 사용자 입력의 협력에 의하여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완성해 나가는 semi-automation 세그멘테이션 워크플로우가 제공될 수 있다.
수 차례의 반복적인 인터랙티브/semi-automation 세그멘테이션 워크플로우가 실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완성인 채로 남는 부분은 피검자의 특성 상 불완전한 피셔로 간주하고, 기 산출된 세그멘테이션 정보와는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시각적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14a)는 분할 연산부(514)의 연산 도중의 중간 결과 및/또는 최종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수신부(511)에서 외부의 진단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의료 영상 및 preliminary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4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400)은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한다(S610).
컴퓨팅 시스템(400)은 관심 영역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를 획득한다(S620).
컴퓨팅 시스템(400)은 의료 영상에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S630).
컴퓨팅 시스템(400)은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5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710 내지 S740은 도 6의 단계 S610 내지 S6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산출할 수 있다(S750). 컴퓨팅 시스템(500)은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및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60).
도 8은 도 7의 일 단계인 S760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컴퓨팅 시스템(500)은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가능한 제1 부분과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S810).
컴퓨팅 시스템(500)은 제2 부분을 사용자 가이드로 대체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의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400, 5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단계 S910 내지 S930은 도 6의 단계 S610 내지 S6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시스템(400, 500)은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940). 이때 컴퓨팅 시스템(400, 500)은 복수의 슬라이스 영상 또는 복수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을 제공하고, 복수의 슬라이스 영상 또는 복수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영상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400, 500)은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50). 새로운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정보에 포함되어 다른 요소들과 구별되는 시각적 속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400, 500)은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범위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범위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입력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중간 점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00, 500 : 컴퓨팅 시스템
410, 510 : 프로세서
420, 520 : 디스플레이
413a, 513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14 : 분할 연산부
514a :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 영상의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분할 연산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연산부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가능한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을 구분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연산부는
    상기 사용자 가이드를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상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의료 영상 내의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또는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정보 내의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수정된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추가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시스템.
  8.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심 영역에 대한 의료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의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볼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가이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가능한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와 양립 불가능한 제2 부분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사용자 가이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가이드를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부가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상기 관심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상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영상 내의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또는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에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오버레이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정보 내의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스 영상 각각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뷰포인트에서 바라본 3차원 볼륨 정보 각각에 대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수정된 제2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77348A 2016-06-21 2016-06-21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4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48A KR101841496B1 (ko) 2016-06-21 2016-06-21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48A KR101841496B1 (ko) 2016-06-21 2016-06-21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93A true KR20170143293A (ko) 2017-12-29
KR101841496B1 KR101841496B1 (ko) 2018-03-28

Family

ID=6093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348A KR101841496B1 (ko) 2016-06-21 2016-06-21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2629B1 (en) 2019-11-14 2020-09-01 SegAI LLC Segmenting medical images
KR102280902B1 (ko) * 2020-07-16 2021-07-26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흉부 의료 영상 판독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20089849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다수 관심 영역의 레이블링 및 컨투어링의 검증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423544B1 (en) 2019-11-14 2022-08-23 Seg AI LLC Segmenting medical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4445B2 (en) * 2012-10-11 2015-04-21 Vida Diagnostics, Inc. Visua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lmonary lobar fissur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2629B1 (en) 2019-11-14 2020-09-01 SegAI LLC Segmenting medical images
US11423544B1 (en) 2019-11-14 2022-08-23 Seg AI LLC Segmenting medical images
KR102280902B1 (ko) * 2020-07-16 2021-07-26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흉부 의료 영상 판독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20089849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다수 관심 영역의 레이블링 및 컨투어링의 검증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837355B2 (en) 2020-12-22 2023-12-05 Infinitt Healthcare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verification of labeling and contouring of multiple regions of inte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96B1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8048B2 (en) Advanced medical image processing wizard
JP6530371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経過観察の可視化
EP34513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and correcting automated medical image annotations
US8019142B2 (en) Superimposing brain atlas images and brain images with delineation of infarct and penumbra for stroke diagnosis
JP6080249B2 (ja) 3次元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9911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841496B1 (ko) 인터랙티브하게 폐 로브를 분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132801B2 (en) Seg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containing anatomic structures
US9466117B2 (en) Segmentation highlighter
KR101829334B1 (ko) 3차원 볼륨 상에서 3차원 메쉬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588490B2 (en) Image-based diagnosis assistance apparatus, its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0528750A (ja) 管状構造の検査
US10796481B2 (en) Visualization of lung fissures in medical imaging
CN107004305A (zh) 医学图像编辑
JP2022526418A (ja) 解剖学的構造の着目領域をモデリングすること
JP5105997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7028516A1 (zh) 一种三维图像的校准方法、装置和系统
JP690018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EP2750102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liver analysis
JP2009541777A (ja) 関心のある心筋部位の自動定義
KR102229367B1 (ko) 뇌혈관 비교 판독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GB2611602A (en) A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assurance of medical image seg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