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298A - System for moving goods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ving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298A
KR20170142298A KR1020160075506A KR20160075506A KR20170142298A KR 20170142298 A KR20170142298 A KR 20170142298A KR 1020160075506 A KR1020160075506 A KR 1020160075506A KR 20160075506 A KR20160075506 A KR 20160075506A KR 20170142298 A KR20170142298 A KR 2017014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ogistics
tracking module
line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7870B1 (en
Inventor
정원기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한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한호기술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870B1/en
Publication of KR2017014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non-visible light signals, e.g. IR or UV signals
    • G05D2201/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logistics movement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ing logistics to a target point by using a logistics movement apparatus for tracking a line installed in a logistics space.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stics movement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lines installed on the bottom in a logistics workplace for generating a moving path of logistics; and a logistics m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line track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lines,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logistics, a movement means,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logistics to the target point along a path of the lines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logistics movement apparatus to the target poin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criterion when the line tracking module recognizes a region (overlapping region) where the lines overlap each other. Accordingly, the logistics movement apparatus moved in the logistics workplace accurately recognizes a predetermined line installed in the logistics workplace to effectively move the logistics to the target point.

Description

물류 이동 시스템{SYSTEM FOR MOVING GOODS}{SYSTEM FOR MOVING GOODS}

본 발명은 물류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공간에 설치되는 라인을 트래킹하는 물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물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확하게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물류 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mov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gistics mov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ing a logistics to a target point by using a logistics apparatus for tracking a line installed in the logistics space.

종래 무인대차(일명 AGV; Automatic Guided Vehicle)는 산업현장에서 부품 등을 특정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형태의 기기로서 일반화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AGV (Automatic Guided Vehicle) has been generalized as a device for transferring parts and the like to a specific position in an industrial field.

일반적으로 무인대차의 경우 구동 유닛과 운송을 적재함이 일체로 되어 있는 단일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unmanned bogie, it consists of a single type in which the driving unit and the transportation load are integrated.

또한, 종래 무인대차의 경우에는 공간 점유율이 크고 이동경로를 특정하기 위해 정형화된 레일이나 바닥면에 설치한 자기 테이프 또는 특정 랜드 마크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물류를 이동시킨다.Also,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unmanned bogie, the space occupancy is large and the fixed rail or the magnetic tap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pecific landmark is installed to move the logistics through the fixed rail or the specific landmark in order to specify the movement route.

즉, 종래의 무인대차 장치인 물류 이동 장치는, 주로 적외선 센서와 엔코더를 통해 제어하는 광학 유도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광학 유도 방식은 작업장 바닥에 라인(line)만 표시해두면 물류 이동 장치가 자동으로 라인을 인식한 후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학 유도 방식은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logistics moving apparatus as the unmanned lane changing apparatus, an optical induction system is generally used which is controlled mainly through an infrared sensor and an encoder. In this optical induction method, if only the line is displayed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the logistics device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line and then move the logistics. Such an optical induction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has a low cost.

그러나, 상기 광학 유도 방식은 정형화된 작업장에서 효과가 뛰어나나 작업장 내에서 변화되는 빛의 양이나 라인의 색상의 변화에 적응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optical guid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ffective in a regular workplace, and is not adaptabl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color of a line that changes in the workplace.

또한, 라인을 전선이나 마그네틱으로 형성하는 유도선 유도 방식은 상기의 광학 유도 방식의 단점은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나, 설치가 쉽지 않고 유지 보수 상에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line induction method in which lines are formed by electric wires or magnetic is a techniqu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optical ind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광학 유도 방식 또는 유도선 유도 방식에 대한 대안 기술 또는 개량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technique or an improvement technique for an optical induction method or an induction line induction method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43892호의 '자율주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자율주행 장치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 자기 자세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 과정에서 이동 수단이 되는 바퀴의 회전수와 각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바퀴 회전수와 각속도에 기초하여 자율주행 장치의 정확한 자세값을 산출한 후 이를 기초로, 종래 기술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적외선 센서와 반응속도가 느리고 정밀도가 낮은 카메라를 융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자세 검출 및 주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situation, Korean Patent No. 10-1143892 discloses a self-propelled travel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which performs self-orientation control for accurate movement of the autonomous traveling device. In this control process, Measure the number and angular velocity.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correct posture value of the autonomous navigation apparatus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angular velocity of the wheel, the prior ar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fra-red sensor, which is highly influenc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enabling quick attitude detection and running control to be performed.

다만, 상기 기술은 단순히 종래 기술인 적외선 기술과 촬영 기술을 결합한 것이고, 특히 물류 작업장 내에서 일어나는 물류 이동 과정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측정 과정 및 판단 과정이 요구되므로 물류 작업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 이동 과정에 최적으로 적용할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것이다.However, since the above technology simply combines the infrared technology and the photographic technology of the prior art and requires a lot of measurement and judgment processes to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moving the goods in the logistics workshop, it is most suitable for the mov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o 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류 공간에 설치되는 라인을 트래킹하는 물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물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확하게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물류 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ov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ing a logistics to a target point by using a logistics device for tracking lines installed in the logistics space It has its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은, 물류의 이동 경로 생성을 위한 물류 작업장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라인(Line); 상기 라인을 인식하는 라인 트래킹 모듈, 물류가 적재되는 적재부, 이동 수단, 구동부 및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인식한 라인의 경로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이 서로 중복되는 구역(중복 구역)을 인식하는 경우에, 소정의 판단 기준에 따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gistics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lines installed on a floor in a logistics workshop for generating a movement path of a logistic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o a target point along a path of a line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and a line track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line,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goods, a mo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ne tracking module so that the line tracking module recognizes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lines overlap each other (overlapping area)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상기 중복 구역을 인식하기 이전의 라인 방향을 상기 목표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의 경로를 따라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line before the line tracking module recognizes the overlapping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target point and move the drive unit along the path of the line formed in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을 비교한 후 라인 폭이 일치하는 라인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lines have different widths, an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ine widths before the overlapping area with the following line widths, and then controls the drive unit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은 각각, 하나 이상의 라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라인 각각이 포함하는 라인 유닛의 개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이 가지는 라인 유닛의 개수와 이후의 라인이 가지는 라인 유닛의 개수를 비교한 후 그 개수가 일치하는 라인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lines includes at least one line unit, and the line tracking module detects a number of the line unit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s,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of the previous line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of the subsequent lines, and then the drive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goods movement apparatus moves to a line whose number matches.

또한, 상기 물류 이동 장치는, 상기 물류가 적재되는 적재부, 본체 및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은 적외선 트래킹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gistics mo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ading section on which the logistics is loaded, a main body, and a boarding section on which the user is boarded, wherein the line tracking module is an infrared ray tracking module.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인식한 복수 개의 라인을 표시하는 라인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n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lines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물류 이동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스틱,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조절부 및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를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방향 스틱 및 속도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direction stick for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goods moving device, a speed adjusting portion for determining a moving speed, and an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are further formed, And controls the movement device to move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ted through the direction stick and the speed control part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에 따르면, 물류 작업장 내에서 이동하는 물류 이동 장치가 물류 작업장 내에 설치된 소정의 라인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물류를 목표 지점까지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gistics moving apparatus moving in a logistics workshop accurately recognizes a predetermined line installed in a logistics workplace, and can effectively move the logistics to a target poi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장치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body structure of the material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zone recognition of the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overlapping zone recognition in the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purposes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mode of disclosure,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construction of a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장치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of a logistics 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은 크게 물류 이동 장치(1)와 라인(10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logistics moving device 1 and a line 100.

여기서 물류 이동 장치(1)는 물류 작업장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라인(100)을 트래킹하여 라인(100)의 경로를 따라 물류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Here,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is a device that moves the logistics along the path of the line 100 by tracking the line 100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logistics workshop.

또한, 라인(100)은 물류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물류 작업장 내의 바닥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ine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logistics workshop to generate a movement path of the logistics.

또한, 라인(100)은 복수 개가 물류 작업장 내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데, 물류 이동 경로에 따라 라인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1개의 라인(10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물류 이동 장치(1)가 1개의 라인(100)을 트래킹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Also, a plurality of lines 100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in the logistics workshop, and the number of lin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gistics movement path. FIG. 1 shows that one line 100 is formed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moves and tracks one line 100. FIG.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장치(1)는, 적재부(10), 라인 트래킹 모듈(20), 본체(30), 탑승부(50), 제1 바퀴부(60) 및 제2 바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section 10, a line tracking module 20, a main body 30, a boarding section 50, One wheel portion 60 and a second wheel portion 70, as shown in FIG.

적재부(10)는 물류 대상이 되는 물품을 소정의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적재하는 부분이다.The loading section 10 is a section for loading the article to be the object of distribution to a predetermined target point.

또한, 라인 트래킹 모듈(20)은 라인(100)을 인식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적외선 라인 트래킹 모듈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적외선에 기반하여 라인(10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 tracking module 20 may be provided to recognize the line 100, and may be implemented by an infrared ray line tracking module. That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ne 100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infrared rays.

또한, 적재부(10) 위의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본체(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체(30)에는 다양한 사용자 조작부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는 제1 손잡이부(11), 제2 손잡이부(12), 비상 스위치(13), 방향 스틱(14),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15), 라인 표시부(16), 전원 스위치(17), 배터리 잔량 표시부(18) 및 속도 조절부(19)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in body 3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user operating units. 2, the main body 30 is provided with a first handle 11, a second handle 12, an emergency switch 13, a direction stick 14, an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15, A line display section 16, a power switch 17, a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section 18, and a speed adjusting section 19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사용자 조작부는 상기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15)의 작동에 의해 수동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본 물류 이동 장치(1)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Such a user operation unit is provided for manually operating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by the user when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15. [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부(11) 및 제2 손잡이부(12)는 사용자가 물류 이동 장치(1)의 탑승부(50)에 안정적으로 탑승하기 위해 사용자가 몸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first grip portion 1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 are provided for the user to support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stably ride on the boarding portion 50 of the goods movement device 1. [

또한, 비상 스위치(13)는 물류 이동 장치(1)의 이동 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본 물류 이동 장치(1)가 강제적으로 멈추도록 하는 스위치이다.The emergency switch 13 is a switch for forcibly stopping the present material transporting apparatus 1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ile the goods transporting apparatus 1 is moving.

또한, 방향 스틱(14)은 사용자가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부분이다.In addition, the direction stick 14 is a portion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viewed by the user.

또한,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15)는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이동 모드가 자동 또는 수동이 되도록 하는 스위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그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The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15 is a switch for making the movement mode of the present product moving device 1 automatic or manual, and its mode can be changed by the user's operation.

또한, 라인 표시부(16)는 라인 트래킹 모듈(20)이 인식한 복수 개의 라인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현재 물류 이동 장치(1)가 인식하고 있는 라인의 상태를 표시한다.The line display section 16 is a par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lines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20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line currently recognized by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by the user.

또한, 전원 스위치(17)는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전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The power switch 17 is a switch for determining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present matter moving device 1. [

또한, 배터리 잔량 표시부(18)는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18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provided for driving the present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

또한, 속도 조절부(19)는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부분으로, 자동 또는 수동 모드 모두에서 작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peed regulating portion 19 is a portion for regulating the moving speed of the present logistics moving device 1, and can operate in both automatic or manual modes.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이동 장치(1)의 하부, 특히 적재부(10)의 하부에는 이동 수단인 제1 바퀴부(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1 바퀴부(60)는 4개의 바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4개의 바퀴는 캐스터(caster) 바퀴로 실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스터 바퀴는 롤링 타워나 문짝의 다리 부분에 붙은 이동용 바퀴를 지칭한다.1, a first wheel portion 60, which is a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under the lower portion of the goods movement device 1, particularly, the loading portion 10. The first wheel portion 60 ) May be made up of four wheels. In particular, the four wheels may be implemented with caster wheels. Caster wheel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rolling wheels or rolling wheels attached to the legs of doors.

도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이동 장치(1)의 하부, 특히 사용자 탑승부(50)의 하부에는 이동 수단인 제2 바퀴부(7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물류 이동 장치(1)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제2 바퀴부(70)는 옴니휠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econd wheel portion 70, which is a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particularly at a lower portion of the user's boarding portion 50, 1, the second wheel portion 70 may be provided as an omni-wheel ty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장치(1)는 상기 제1 바퀴부(60) 및 제2 바퀴부(7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In addition,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wheel unit 60 and the second wheel unit 70. Whether the driving unit is driven or not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는 라인 트래킹 모듈(20)이 인식한 라인(100)의 경로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 수단을 통해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o the target point along the path of the line 100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20, so that the goods moving device 1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특히, 제어부는, 라인 트래킹 모듈(20)이 복수 개의 라인(100)이 서로 중복되는 구역(중복 구역)을 인식하는 경우에, 소정의 판단 기준에 따라 목표 지점으로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line tracking module 20 recognizes an area (overlapping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100 overlap each other, the control unit moves the logistics device 1 to a target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judgment criterion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 control operation of this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시스템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zone recognition of the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zone recognition of the logistics mov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ognizing overlapping zones in the logistics moving syste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트래킹 모듈(20)이 복수 개의 라인(100)이 중복되는 구역을 인식하는 경우(S31), 제어부는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방향을 목표 지점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S33). 즉, 중복 구역 인식 이전에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한 경로를 나타내는 라인(100)의 진행 방향을 목표 지점이 있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결정된 방향과 같은 방향에 있는 라인(100)의 경로를 물류 이동 장치(1)의 경로로 결정하게 되는데, 중복 구역으로 인해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할 경로가 혼동되는 경우에 이전의 경로를 기초로 목표 경로를 추정하는 과정이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line tracking module 20 recognizes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lines 100 overlap (S31),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line direction before the overlapping region to be the target point direction S33).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ne 100 indicating the path along which the goods movement device 1 travels before the recognition of the overlapping area is determ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point exists. The path of the line 1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termined direction is determined to be the path of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When the path to which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moves due to the overlapping area is determined, This is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target path as a basis.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물류 이동 장치(1)는 중복 구역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물류를 목표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목표 지점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 경로를 따라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35).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logistics moving device 1 can accurately move the logistics to the target point in spite of the existence of the overlapping area. 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goods movement device 1 along a line path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target point (S35).

다음으로 라인(100)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lin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복수 개의 라인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S41). 이렇게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 개의 라인들이 중복되는 중복 구간이 인식되는 경우(S43), 제어부는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이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5).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lines have different widths (S41). If an overlapped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recognized is recognized (S43),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whether the line width before the overlapping section is equal to the line width after the overlapping section (S45).

만약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이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가 폭이 일치하는 라인 경로를 따라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47). If the line width before the overlapping area is the same as the line width after the overlapping area,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goods transporting device 1 along the line path having the same width (S47).

만약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이 같지 않은 경우에는, 목표로 정한 방향을 안내하는 경로가 아닌 것이므로 다시 중복 구역을 인식하고(S43으로 복귀),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이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If the line width before the overlapping area is not the same as the line width after the overlapping area, the overlapping area is recognized again (return to S4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line widths are the same.

마지막으로, 라인(100)의 중복 구역 인식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Finally,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the overlapping area of the lin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작업장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라인은 각각 하나 이상의 라인 유닛을 포함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S51).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line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logistics workplace may include one or more line units (S51).

이렇게 하나 이상의 라인 유닛을 포함하며 이루어진 복수 개의 라인은 서로 구분이 되며, 복수 개의 라인이 중복되는 구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중복 구역을 물류 이동 장치(1)가 인식하게 되는 경우(S51), 제어부는 중복 구역 이전 라인의 라인 유닛의 개수와 중복 구역 이후의 라인 유닛의 개수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55).In this way, a plurality of lines including one or more line unit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ines overlap each other. When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recognizes the overlapping area (S5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in the previous line of the overlapping area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in the overlapping area (S55).

만약 중복 구역 이전 라인의 라인 유닛 개수가 중복 구역 이후 라인 유닛 개수가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가 개수가 일치하는 라인 경로를 따라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57). 즉, 하나의 라인(100)에 포함되는 라인 유닛의 개수가 일치하는 방향을 목표 지점의 방향으로 판단하여 물류 이동 장치(1)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If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in the previous line of the overlapping area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after the overlapping area,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goods transport device 1 along the line path having the same number (S57).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mber of line units included in one line 100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target point,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product 1.

만약 중복 구역 이전 라인의 라인 유닛 개수가 중복 구역 이후 라인 유닛 개수가 다른 경우에는, 제어부가 다시 중복 구역을 인식하도록 물류 이동 장치(1)를 이동시킨다(S53으로 복귀).If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in the previous line of the overlapping area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the line units after the overlapping area, the control unit moves the production moving device 1 again to recognize the overlapping area (return to S53).

본 실시예에 따라 라인을 감지하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라인 트래킹 모듈(2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라인 중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라인 유닛은 소정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라인 유닛 간의 일정한 간격을 인식함으로써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라인 유닛을 개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라인 트래킹 모듈(20)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sensing and determining l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or more line tracking modules 2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line units constituting one line of the plurality of lin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one line. By recognizing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line units, the number of line units constituting one line is recognized A plurality of line tracking modules 20 may be provided.

일 예로,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라인 유닛이 2개인 경우(초기 라인 설치시에 각 라인이 이루는 라인 유닛이 몇 개까지 있는지를 파악한 후 라인 트래킹 모듈의 개수를 선정함)에는 각 라인 유닛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있게 되고, 이러한 빈 공간의 존재를 두 개의 라인 트래킹 모듈이 인식함으로써, 제어부는 하나의 라인이 2개의 라인 유닛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line units constituting one line (the number of line units formed by each line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initial line installation, and then the number of line tracking modules is selected) And the presence of such empty space is recognized by the two line tracking modules so that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at one line is composed of two line units.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되,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라인 유닛의 개수에 비례하여 라인 트래킹 모듈의 개수를 증가시키지는 않고, 하나의 라인이 가지는 최대 라인 유닛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하나의 라인 트래킹 모듈을 이동시켜 몇 개의 라인 유닛이 있는지를 파악한다.If the number of line-tracking modules is no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ine units constituting one line and the number of the maximum line units of one line is od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everal line units.

그리고, 하나의 라인이 가지는 최대 라인 유닛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두 개의 라인 트래킹 모듈을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나의 라인이 몇 개의 라인 유닛을 가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If the number of the maximum line units of one line is an even number, the two line tracking modules may be shifted in the center direction to determine how many line units a line has.

즉, 하나의 라인이 가지는 라인 유닛의 개수의 특성을 파악하여(홀수 개인지, 짝수 개인지), 그 특성에 맞게 라인 트래킹 모듈을 배치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라인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erform line tracking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mber of line units of one line (odd-numbered or even-numbered) and disposing the line tracking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이상에서 설명한 3가지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물류 이동 장치(1)에는 라인 표시부(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라인 표시부(16)는 현재 물류 이동 장치(1)가 인식하고 있는 라인(100)의 개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above-described three embodiments,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line display section 16, And displays the number of lines 100.

이러한 라인 표시부(16)의 존재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동 장치(1)가 정확하게 라인(100)을 인식하여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다.Through the presence of the line display unit 16, the user can know whether or not the logistics mov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ly recognizes the line 100 and moves.

도 2에서는 라인 표시부(16)가 4개의 라인(100)을 표시할 수 있도록 나타내었으나, 더 많은 수의 라인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line display section 16 is shown in FIG. 2 as being capable of displaying four lines 100,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larger number of lines. That is,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 물류 이동 장치 10 : 적재부
11 : 제1 손잡이부 12 : 제2 손잡이부
13 : 비상 스위치 14 : 방향 스틱
15 :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 16 : 라인 표시부
17 : 전원 스위치 18 : 배터리 잔량 표시부
19 : 속도 조절부 20 : 라인 트래킹 모듈
30 : 본체 50 : 탑승부
60 : 제1 바퀴부 70 : 제2 바퀴부
100 : 라인
1: Logistics moving device 10: Loading part
11: first handle portion 12: second handle portion
13: Emergency switch 14: Directional stick
15: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16: Line display
17: Power switch 18: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or
19: speed control unit 20: line tracking module
30: main body 50:
60: first wheel portion 70: second wheel portion
100: line

Claims (7)

물류의 이동 경로 생성을 위한 물류 작업장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라인(Line);
상기 라인을 인식하는 라인 트래킹 모듈, 물류가 적재되는 적재부, 이동 수단, 구동부 및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인식한 라인의 경로를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이 서로 중복되는 구역(중복 구역)을 인식하는 경우에, 소정의 판단 기준에 따라 상기 목표 지점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A plurality of lines installed on a floor in a logistics workshop for generating a movement path of the logistic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o a target point along a path of a line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and a line track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line,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goods, a moving unit, Lt;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distribution moving apparatus to the target poin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criterion when the line tracking module recognizes a zone where the plurality of lines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상기 중복 구역을 인식하기 이전의 라인 방향을 상기 목표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의 경로를 따라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line before the line tracking module recognizes the overlapping area to be the direction of the target poin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goods moving device along the path of the line formed in the determined direction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 폭과 이후의 라인 폭을 비교한 후 라인 폭이 일치하는 라인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lines having different widths,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ine width before the overlapping area with a line width after the overlapping area and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production moving apparatus to a line having a line width coinciding with the line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라인은 각각, 하나 이상의 라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라인 각각이 포함하는 라인 유닛의 개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 구역 이전의 라인이 가지는 라인 유닛의 개수와 이후의 라인이 가지는 라인 유닛의 개수를 비교한 후 그 개수가 일치하는 라인으로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s including one or more line units,
The line tracking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line tracking modules for sensing the number of line unit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nes,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number of line units included in the line preceding the overlapping area with the number of line units included in the subsequent line and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line moving device to a line having the same numbe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이동 장치는, 상기 물류가 적재되는 적재부, 본체 및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은 적외선 트래킹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described logistics mov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oading section on which the above-mentioned logistics is loaded, a main body, and a boarding section on which the user is boarding,
Wherein the line tracking module is an infrared tracking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라인 트래킹 모듈이 인식한 복수 개의 라인을 표시하는 라인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lin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lines recognized by the line tracking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물류 이동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스틱,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조절부 및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수동 전환 스위치를 통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방향 스틱 및 속도 조절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물류 이동 장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동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direction stick for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roduct moving device, a speed adjusting unit for determining a moving speed, and an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Wherein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automatic manual changeover swit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vement device to move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ted through the direction stick and the speed adjuster.

KR1020160075506A 2016-06-17 2016-06-17 System for moving goods KR101887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06A KR101887870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for moving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06A KR101887870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for moving go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298A true KR20170142298A (en) 2017-12-28
KR101887870B1 KR101887870B1 (en) 2018-08-13

Family

ID=6093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06A KR101887870B1 (en) 2016-06-17 2016-06-17 System for moving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8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614A (en) * 1983-11-07 1985-06-05 Hitachi Kiden Kogyo Ltd Unmanned carrying device
KR20110118427A (en)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아이씨디엘씨엔에스 Traveling device and swarm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JP2015141673A (en) * 2014-01-30 2015-08-03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Automatic travel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614A (en) * 1983-11-07 1985-06-05 Hitachi Kiden Kogyo Ltd Unmanned carrying device
KR20110118427A (en) * 2010-04-23 2011-10-31 주식회사 아이씨디엘씨엔에스 Traveling device and swarm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JP2015141673A (en) * 2014-01-30 2015-08-03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Automatic trave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870B1 (en)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9537A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US9014902B1 (en) Method of material handling with automatic guided vehicles
JP4920645B2 (en) Autonomous mobile robot system
CN103823468B (en) Submersible AGV navigation and positioning system and localization method
US10261511B2 (en) Mobile body and position detection device
KR20170024003A (en) Driverless transport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less transport vehicle
US20230266762A1 (en) Autonomous Movement Device, Autonomous Movement Method, And Program
KR20150069207A (en) Multi-sensor based navigation controller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KR101968217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capable of sequential obstacle avoidance
CN205880661U (en) Automatic navigation and have this automation navigation's navigation car
JP2007213356A (en) Automated guided facility
Wu et al. Precise transhippment control of an automated magnetic-guided vehicle using optics positioning
KR101887870B1 (en) System for moving goods
JP7112803B1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control method
JPH10105234A (en) Unmanned carriage
JP2009223632A (en) Autonomous mobile device and autonomous mobile device system
JP7045829B2 (en) Mobile robot control system, mobile robot control method
JP5170190B2 (en) Transport vehicle system
JPH11134028A (en) Travel system for self-traveling dolly
JP2010140246A (en) Moving object
JP2021107994A (en) Autonomously traveling device and autonomous-travel managing system
KR0169647B1 (en)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WO2022149285A1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control method
JP2017152051A (en) Traveling object attached with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outputting control command to travel control means of traveling object, and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same
JP2022042165A (en) Unmanned running cart and carrying system using unmanned running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