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474A - Printer and Printing Method - Google Patents

Printer and Prin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474A
KR20170141474A KR1020160074580A KR20160074580A KR20170141474A KR 20170141474 A KR20170141474 A KR 20170141474A KR 1020160074580 A KR1020160074580 A KR 1020160074580A KR 20160074580 A KR20160074580 A KR 20160074580A KR 20170141474 A KR20170141474 A KR 20170141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ing
hole
printing objec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231B1 (en
Inventor
김용현
정무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Priority to KR102016007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231B1/en
Publication of KR2017014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2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53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by thick-film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41F15/20Supports for workpieces with suction-operated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85Apparatus for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s with liqui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conveyors and 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ing device comprises: a fixed plate configured to provide a fixed surface to which a printing target having a penetration hole formed therein is fixed wherein a concave portion depress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surface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and a printing stage configured to support the fixed plate. Ink can be applied onto the printing target while the penetration hole formed in the printing target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are align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Printer and Printing Method}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pri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ing apparatus and a printing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printing defects.

일반적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에 잉크를 도포하여 인쇄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에 잉크를 도포하게 되면 관통홀로 잉크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홀의 반대 표면으로 잉크가 흘러나오면서 잉크의 번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when ink is applied to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when ink is applied to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k flows into the through ho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k is blurred as it flows out.

즉,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서 인쇄된 제품이 제거되고 이동하게 될 때 쓸리는 현상으로 인한 잉크의 번짐 현상이 발생하고,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 다음 인쇄 공정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제품에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printed product is removed and moved, the ink is blurred due to the sweeping phenomenon, and the ink may cause contamination of the product to be printed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특히, 인쇄 대상물이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기판 상에 노출된 전자파를 차폐하는 금속층을 보호하고자 기판의 최외층에 절연성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절연성 잉크를 도포할 때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서 인쇄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금속 차폐막이 노출되어 금속 차폐막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이 금속 차폐막을 보호하지 못할 수 있고, 절연층의 표면 거칠기가 안좋아지게 되며, 두께가 불균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object to be printed i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as a method of applying an insulating ink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substrate in order to protect the metal layer that shields the electromagnetic wave exposed on the substrate. If a problem occurs in the printing process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etal shielding film is exposed and the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metal shielding film may not protect the metal shielding film,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insulating layer becomes b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may be uneven.

인쇄 대상물을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는 인쇄 대상물이 고정되는 고정면에 고정용 접착제를 통한 접착부를 형성하여 인쇄 대상물과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방법 또는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장치를 작동시켜 진공 압력을 인가하고 진공 압력이 고정 플레이트에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이 고정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방법 등 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rinting object to the fixing plate, there is a method of fixing the printing object and the fixing plate by forming a bonding portion through the fixing adhesive on the fixing surface on which the printing object is fixed, or by operating a vacuum device such as a vacuum pump, Various fixing means may be used, such as a method in which a pressure is applied and a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fixing plate to fix the printing object to the fixing pl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진공장치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진공압력에 영향을 받아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로 흘러들어온 잉크가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및 진공장치까지 흘러들어가 진공장치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잉크 잔사에 의하여 다음 인쇄 공정에서 원하는 진공 압력이 형성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f a fixing means such as a vacuum device is used, the ink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printing object due to the vacuum pressure flows into the holes and the vacuum devic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nd contamination may occur in the vacuum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vacuum pressure is not formed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466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84665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에 인쇄를 하는 경우에 인쇄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and a printing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printing defects when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s pri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는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잉크를 상기 인쇄 대상물에 도포할 수 있다.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fixing surface on which a printing object with a through hole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ward of the fixing surface; And a printing stage for supporting the fixing plate. The ink can be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in a state where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the concave portions of the fixing plat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스테이지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흡입홀과 연통하여 상기 흡입홀로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물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extending from the fixing surface, the printing st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 sucking air, the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holes, The printing object can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상기 복수의 연통홀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호 이격되고, 상기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portion and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fixing plat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ing object.

상기 복수의 연통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오목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까지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to the communication hole closest to the recess.

상기 오목부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상기 인쇄 대상물은 제1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2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부 및 상기 제2 정렬부를 통해 상기 관통홀과 상기 오목부가 서로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ing object includes a first aligning portion, a second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ig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and the through-hole and the concave portion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aligning portion and the second aligning portion Can be aligned and arranged.

상기 인쇄 대상물은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과 상기 인쇄 대상물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3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3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4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정렬부 및 상기 제4 정렬부를 통해 상기 인쇄 대상물과 상기 스크린이 서로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printing object includes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a third aligning portion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the screen has a fourth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aligning portion, The print object and the screen may be arrang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lignment unit and the fourth alignment unit.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인쇄 스테이지 사이를 실링하고, 탈착 가능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printing sta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방법은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인쇄 스테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in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fixing surface on which a printing object having a through hole is fixed, and providing a fixing plate on the printing stage, the fixing plate having an indented recess formed therein; Aligni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concave portions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ing the printing object on the fixing plate;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on the fixed plate; And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 object.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과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oviding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prior to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And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print object and the screen.

상기 인쇄 대상물을 뒤집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versing the print object; Aligni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concave portions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ing the printing object on the fixing plate;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on the fixed plate; And applying ink to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 object.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홀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In the step of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ink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but also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상기 잉크는 절연성 잉크이고, 상기 잉크는 점도를 조절하는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절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k is an insulating ink, and the ink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diluent, a viscosity modifier, a solvent and an additive for controlling viscosity, and an insulating polymer.

상기 잉크는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The ink may have a viscosity of from 230 to 300 dPas.

상기 인쇄 대상물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관통홀은 비아홀일 수 있다.The printing object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hrough hole may be a via hole.

상기 인쇄 대상물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금속 차폐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은 절연층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inted, and the material coated by the ink may be an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과 대응되어 하부면에 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잉크가 인쇄 대상물 상에 도포될 때 인쇄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연통홀에 발생되는 진공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관통홀로 잉크가 흘러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홀의 반대 표면으로 흘러나와 생기는 잉크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ing object so that no holes or openings are formed, so that when the ink is applied onto the object to be printed, the vacuum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hole for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The ink is not influenced by the pressure and the ink does not flow into the through hole, thereby preventing the ink from being blott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또한, 잉크가 연통홀 및 인쇄장치까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 잔사에 의한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연통홀 및 진공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k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print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vacuum apparatus formed on the fixed plate by the ink residue.

게다가, 고정 플레이트의 교체 및 잉크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공정 없이 반복적인 인쇄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repetitive printing processes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for replacing the fixing plate and removing the in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잉크를 인쇄 대상물에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의 내벽 표면과 제1 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금속 차페막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의 내벽 표면,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금속 차페막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applying ink to a printing object us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through hole of a printing object and an insulating layer and a metal thin film formed on a firs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through hole of a printing object,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a metal thi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는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21)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0);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30)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잉크를 상기 인쇄 대상물(10)에 도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surface to which a printing object 10 having a through hole 11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21 recessed inward of the fixing surface. A stationary plate 20 having a base plate 20 formed thereon; And a printing stage (30) for supporting the fixing plate (20), wherein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The ink can be applied to the printing medium 10.

고정 플레이트(20)는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20 provides a fixing surface on which the printing object 10 having the through hole 11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21 depressed inward of the fixing surface.

고정 플레이트(20)는 에폭시 재질로 이루어져 후술될 절연층(50)을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대상물(10)이 안착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평탄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xing plate 20 is made of an epoxy material so that the insulating layer 50 to be described later can have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to be printed is seated and uniformly fixed as a whole.

인쇄 스테이지(30)는 고정 플레이트(20)의 하부에서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잉크를 인쇄 대상물(10)에 도포하여 인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e printing stage 30 can support the fixing plate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s 21 of the fixing plate 20 The ink can be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1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prin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종래의 기술에서 오목부(21)가 형성되지 않은 고정 플레이트(20)에 인쇄 대상물(10)이 안착되어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에 잉크를 도포하는 인쇄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관통홀(11)로 잉크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홀(11)의 반대 표면으로 잉크가 흘러나오면서 잉크의 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printing process for applying ink to the printing object 10 on which the printing object 10 is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on which the concave portion 21 is not formed is placed and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k may flow into the through-hole 11, so that the ink may flow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rough-hole 11, thereby causing ink blurring.

즉,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서 인쇄된 제품이 제거되고 이동하게 될 때 쓸리는 현상으로 인한 잉크의 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 다음 인쇄 공정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제품에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rinted product is removed and moved, the ink may be blurred due to the swelling phenomenon, and the ink may cause contamination to the product to be printed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have.

게다가, 잉크 잔사에 의하여 진공 장치(32) 및 인쇄장치가 오염될 수 있고, 연이은 인쇄공정 시 제품이 잉크로 오염됨에 따라 매 인쇄공정 시 잉크를 닦아주어야 하며, 잉크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제품 불량 및 작업 공수 증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인쇄장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device 32 and the printing apparatus may be contaminated by the ink residue, and the ink may be wiped off during each printing process as the product is contaminated with the ink during the subsequent printing process, and ink is wasted.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product defect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pieces, and the printing apparatus may fail.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대응되는 고정 플레이트(20)에 오목부(21)를 형성하고, 관통홀(11)과 오목부(21)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잉크를 인쇄 대상물(10)에 도포하게 되면 도포되는 잉크는 인쇄 대상물(10)과 고정 플레이트(20) 사이의 경계면에 흘러들어가지 않고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면서 관통홀(11)의 표면 내벽에 코팅될 수 있고, 흘러내린 잉크가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recess 2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rough hole 11 and the recess 21 may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ink to be applied does not flow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printing medium 10 and the fixed plate 20 but flows down by the gravity so that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The ink can be coated on the inner wall, and the flowing ink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21)가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의 반대 표면으로 나오면서 발생되는 잉크의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being blurred, which is generated as it comes out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

상기 인쇄 대상물(10)은 제1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0)는 상기 제1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2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부 및 상기 제2 정렬부를 통해 상기 관통홀(11)과 상기 오목부(21)가 서로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ing object (10) includes a first aligning portion (20), a second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ign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through- The hole 11 and the concave portion 21 may be arrang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인쇄 대상물(10)은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부(21)가 정렬할 수 있도록 제1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20)는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부(21)가 정렬할 수 있도록 제1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ing object 10 may include a first aligning portion for aligning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recess 21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May include a second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igning portion so that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fixed plate 20 can be aligned.

또한, 인쇄 대상물(10)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 정렬부와 고정 플레이트(20)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 정렬부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fixing plate 20 may be formed on the same axis.

이러한 제1 정렬부 및 제2 정렬부에는 고정 핀, 고정 볼트 또는 가이드 핀과 같은 결합체결 수단 또는 정확한 위치에 실장될 수 있도록 실장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 마크가 형성되어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aligning portion and the second align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such as a fixing pin, a fixing bolt, or a guide pin or an alignment mark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so as to be mounted at an accurate posi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cess 11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recess 21 of the fixing plate 20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정렬 마크는 일종의 더미 패턴으로서 정렬 마크를 통해서 정밀한 정렬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정렬 마크는 십자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인쇄장치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제1 정렬부 및 제2 정렬부는 인쇄 대상물(10)의 모서리 및 고정 플레이트(2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정렬에 사용될 수 있다.The alignment mark may be in the form of a cross so that a precise alignment must be made through the alignment mark as a kind of dummy pattern. Further, si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ligning portion and the second aligning portion are formed at a portion not contributing to the printing apparatus, they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edge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 and used for alignment.

따라서,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의 제1 정렬부와 고정 플레이트(20)의 제2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켜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first alignment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 coincide exactly with each other, The holes 11 and the recesses 21 of the fixing plate 20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인쇄 대상물(10)에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평판 인쇄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스크린 인쇄법인 경우 잉크를 인쇄 대상물(10)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 스크린(1)을 인쇄 대상물(10) 상에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creen printing method, in order to uniformly coat the ink on the printing object 10, a method of applying the ink to the printing object 10 may be various methods such as a screen printing method, an inkjet printing method, The screen 1 can b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bject 10 to be printed.

상기 인쇄 대상물(10)은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1)과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3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1)은 상기 제3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4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정렬부 및 상기 제4 정렬부를 통해 상기 인쇄 대상물(10)과 상기 스크린(1)이 서로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screen (1) includes a screen (1)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a third aligning portion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rinted (10), and the screen (1) A corresponding fourth align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can be alig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ird aligning portion and the fourth aligning portion.

스크린(1)은 잉크를 인쇄 대상물(10)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인쇄 스크린(1)으로서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되고, 이 개구부 패턴 내에는 잉크가 충진될 수 있다. 스크린(1)은 실크스크린으로 스퀴지(2) 등의 가압하에서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것이 좋다.The screen 1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s a printing screen 1 for uniformly applying ink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opening pattern can be filled with ink.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1 is not deformed in its shape under the pressure of the squeegee 2 or the like with a silk screen.

인쇄 대상물(10)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4 정렬부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fourth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screen 1 may be formed on the same axis.

이러한 제3 정렬부 및 제4 정렬부에는 고정 핀, 고정 볼트 또는 가이드 핀과 같은 결합체결 수단 또는 정확한 위치에 실장될 수 있도록 실장 위치를 안내하는 정렬 마크가 형성되어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 third aligning portion and the fourth align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n engaging means such as a fixing pin, a fixing bolt, or a guide pin or an alignment mark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so as to be mounted at a correct position,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cess 11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recess 21 of the fixing plate 20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정렬 마크는 일종의 더미 패턴으로서 정렬 마크를 통해서 정밀한 정렬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정렬 마크는 십자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인쇄장치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제3 정렬부 및 제4 정렬부는 인쇄 대상물(10)의 모서리 및 스크린(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정렬에 사용될 수 있다.The alignment mark may be in the form of a cross so that a precise alignment must be made through the alignment mark as a kind of dummy pattern. Further, si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aligning portion and the fourth aligning portion are formed at a portion not contributing to the printing apparatus, they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print object 10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creen 1 and used for alignment.

따라서, 스크린(1)을 인쇄 대상물(10) 상에 올려놓고, 제3 정렬부 밑 제4 정렬부를 이용하여 스크린(1)의 위치를 바로 잡아 인쇄 대상물(10)의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의 제4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position of the screen 1 is corrected by using the fourth aligning portion under the third aligning portion so that the third aligning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can be brought into precise alignment with each other.

인쇄 대상물(10) 상에 스크린(1)을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을 서로 정렬하여 인쇄 대상물(10)의 위치가 바로 잡힌 다음에는 스크린(1)을 통해 인쇄 대상물(10)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is corrected and then the printing object 10 ). ≪ / RTI >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는 인쇄 대상물(10)이 고정되는 고정면에 고정용 접착제를 통한 접착부를 형성하여 인쇄 대상물(10)과 고정 플레이트(20)를 고정하는 방법 또는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장치(32)를 작동시켜 진공 압력을 인가하고 진공 압력이 고정 플레이트(20)에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방법 등 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rinting object 10 to the fixing plate 20, a bonding portion through a fixing adhesive is formed on a fixing surface on which the printing object 10 is fixed, A method in which a vacuum device such as a vacuum pump is operated to apply a vacuum pressure and a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fixed plate 20 to fix the printing medium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20 May be used.

하지만, 고정용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하게 되면 인쇄 대상물(10)이 연성을 가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연성을 가지기에 그 자체로는 인쇄 공정 중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진공장치(32)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However, if the object to be printed 10 is fixed to the fixed plate 20 by using a fixing adhesive or the like, if the object 10 to be printed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ductility,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rinting object 10 to the fixed plate 20 by using the fixing means such as the vacuum device 32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x the printing object 10 in a fixed sha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 플레이트(20)는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통홀(22)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스테이지(30)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31)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22)은 상기 흡입홀(31)과 연통하여 상기 흡입홀(31)로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물(10)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extending from the fixing surface and the printing stage 30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for sucking air,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hole 31 and is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31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되어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통홀(22)은 인쇄 스테이지(30)에 형성된 흡착홀과 연결된 진공장치로부터 진공압을 공급받아 인쇄 대상물(10)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통홀(22)은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인쇄 대상물(10) 고정수단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and extending from the fixing surface are supplied with vacuum pressure from a vacuum device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stage 30 to adsorb and fix the printing object 10 . That is,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may be means for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10 formed on the fixed plate 20 for fixing the object 10 to be printed on the fixed plate 20.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30)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31)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스테이지(30)의 내부에는 외부의 진공 펌프 등의 진공 장치(32)를 통해 진공을 형성할 흡입력을 구현하기 위한 흡입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흡입홀(31)은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연통홀(22)과 연통될 수 있다.The printing stage 30 supporting the stationary plat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for sucking in air. A suction hole 31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printing stage 30 to realize a suction force for forming a vacuum through a vacuum device 32 such as an external vacuum pump. 20 of the first embodiment.

인쇄 스테이지(30)에는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과 연통된 흡입홀(31)뿐만 아니라 복수의 흡입홀(31)이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부(21)에 홀 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 경우 진공압이 형성된 복수의 흡입홀(31)에 의해서 관통홀(11) 및 오목부(21)로 잉크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해 오목부(21)로 흘러들어온 잉크는 오목부(21)의 하부면에 관통된 홀 또는 개구부를 통해 인쇄 스테이지(30)의 흡입홀(31)로 잉크가 흘러들어갈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are formed in the printing stage 30 as well as the suction holes 31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22 of the fixing plate 20. The recesses 21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The ink flows into the through hole 11 and the concave portion 21 by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formed with the vacuum pressure so that the concave portion 21 The ink flowing into the suction holes 31 of the printing stage 30 can flow through the holes or openings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오목부(21)는 오목부(21)의 하부면에 관통된 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21)일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concave portion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cave portion 21 having no holes or openings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흡입홀(31)과 연결된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장치(32)를 작동시켜 흡입홀(31)로 진공 압력을 인가하면, 진공 장치(32)에 의해 진공압을 공급받아 흡입홀(31)에 진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 압력이 흡입홀(31)과 연통된 연통홀(22)로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When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by operating a vacuum device 32 such as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31, vacuum pressure is supplied by the vacuum device 32 and vacuum is su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And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

즉, 인쇄 스테이지(30)는 인쇄 대상물(10)을 대상으로 인쇄하는 공정을 수행할 때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로 진공압을 공급하여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printing stage 30 supplies the vacuum pressure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stationary plate 20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print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As shown in Fig.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장치(32)는 진공의 제공과 차단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와 구성의 진공 펌프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acuum device 32 for generating a vacuum suction for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f various types and configurations of vacuum pumps capable of providing and blocking a vacuum.

진공 장치(32)를 통해 인쇄 대상물(10)을 흡착할 흡입력을 구현하고,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흡착되어 안정화되는 시점에 외부에 형성된 진공 장치(32)의 진공조절밸브(미도시)를 닫아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과 인쇄 스테이지(30)의 흡입홀(31) 내부가 완전한 진공상태를 이루어 인쇄 대상물(10)을 흡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진공조절밸브를 열면 자연스럽게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printing medium 10 through the vacuum device 32 is realized and at the time when the printing medium 10 is adsorbed and stabilized by the fixing plate 20,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suction hole 31 of the printing stage 30 are completely vacuumed to close the printing object 10 And when the vacuum control valve is opened,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plate 20 naturally.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이 안착되고,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되면 잉크를 인쇄 대상물(10)에 도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stationary plate 20 are fix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The ink can be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10.

상기 복수의 연통홀(22)은 상기 오목부(21)로부터 상호 이격되고,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portion 21 and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fixing plate 20 correspond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11 of the printing medium 10 have.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이 안착되고,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흡입홀(31)과 연결된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장치(32)를 작동시켜 흡입홀(31)로 진공 압력을 인가하면, 진공 장치(32)에 의해 진공압을 공급받아 흡입홀(31)에 진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 압력이 흡입홀(31)과 연통된 연통홀(22)로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rinting object 10 is placed on the fixed plate 20 and the through holes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s 21 of the fixed plate 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by operating a vacuum device such as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31, a vacuum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31 by receiving vacuum pressure by the vacuum device 32,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되면 잉크를 인쇄 대상물(10)에 도포하여 인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복수의 연통홀(22)이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에 대응되어 고정 플레이트(20)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0)에 인쇄 대상물(10)과 대응되는 오목부(21)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에 잉크를 도포하여 인쇄 공정을 진행할 때 흡입홀(31)과 연통되어 진공압을 공급받는 연통홀(22)에 의해서 관통홀(11)로 잉크가 흘러들어가게 되고 관통홀(11)의 반대 표면으로 잉크가 흘러나오면서 잉크의 번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fixed to the fixed plate 20, the prin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ink to the printing object 10.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 11 of the printing object 10, When the recesses 21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object 10 are not formed on the fixing plate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xing plate 20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object 10 The ink flows into the through hole 11 by the communication hole 22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and supplied with the vacuum pressure when the ink is applied to the through hole 11 to apply the ink to the through hole 11, The ink may flow to the surface and the ink may be blurred.

그리고,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서 인쇄된 제품이 제거되고 이동하게 될 때 쓸리는 현상으로 인한 잉크의 번짐 현상은 흘러나온 잉크에 의해 다음 인쇄 공정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제품에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And, when the printed product is removed by the flowing ink, the bleeding phenomenon of the ink due to the sweeping phenomenon may cause contamination to the product to be printed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by the flowing ink.

또한, 인쇄 대상물(10)에 잉크가 도포될 때 관통홀(11) 뿐만 아니라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 인쇄 스테이지(30)의 흡입홀(31) 및 진공 장치(32)까지 잉크가 흘러들어가게 되어 연통홀(22), 흡입홀(31) 및 진공장치(32)에 오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잉크 잔사에 의하여 다음 인쇄 공정에서 원하는 진공 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ink is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10, not only the through hole 11 but also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ed plate 20, the suction hole 31 of the printing stage 30 and the vacuum device 32 The ink may flow into the communication hole 22, the suction hole 31 and the vacuum device 32, and the ink residue may not form a desired vacuum pressure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뿐만 아니라, 오목부(21)의 하부면에 관통된 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관통홀(11)로 흘러들어온 잉크가 오목부(21)에 형성된 홀 또는 개구부를 통해 흡입홀(31)로 잉크가 흘러들어갈 수 있다. Even if a hole or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the ink flowing into the through hole 11 is guided to the suction hole 31 through the hole or opening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21, Can flow.

따라서, 관통홀(11)과 대응되어 하부면에 홀 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오목부(21)를 형성하고, 복수의 연통홀(22)은 오목부(21)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대응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복수의 연통홀(22)이 형성됨으로써 잉크가 도포될 때 인쇄 대상물(10)을 고정하기 위한 연통홀(22)의 진공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관통홀(11)로 잉크가 흘러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홀(11)의 반대 표면으로 흘러나와 생기는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 and having no hole or openin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oncave portion 21,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are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s 11 of the printing object 10 so that the ink is not affected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22 for fixing the printing objec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flowing into the through-hole 11 and thus to prevent the bleeding phenomenon which flows out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rough-hole 11.

게다가, 인쇄 대상물(10)에 잉크가 도포될 때 관통홀(11)뿐만 아니라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 인쇄 스테이지(30)의 흡입홀(31) 및 진공 장치(32)까지 잉크가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연통홀(22), 흡입홀(31) 및 진공장치(32)에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관통홀(11)을 통해 흘러내린 잉크는 오목부(21)에 잉크가 수용되어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에 수용된 잉크만 따로 제거해줄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 처리가 용이할 수 있다. When the ink is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10, not only the through hole 11 but also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ed plate 20, the suction hole 31 of the printing stage 30 and the vacuum device 32 The ink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22, the suction hole 31 and the vacuum device 32 can be prevented and the ink flow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recess 21 Only the ink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20 can be removed separately. Therefore, the cleaning treatment can be facilitated.

상기 복수의 연통홀(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오목부(21)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오목부(21)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22)까지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1)의 폭은 상기 관통홀(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losest to the recess 21.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2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1.

연통홀(22)의 폭은 고정 플레이트(20)가 안정되게 고정되기 위해서 2Ø(2mm)일 수 있으며, 복수의 연통홀(22) 사이의 간격은 0.3 내지 0.7cm일 수 있고, 오목부(21)의 내벽으로부터 오목부(21)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22)까지의 간격은 2 내지 4cm로 복수의 연통홀(22) 사이의 간격은 오목부(21)의 내벽으로부터 오목부(21)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22)까지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관통홀(11)의 폭은 50 내지 200㎛이고, 오목부(21)의 높이는 관통홀(11)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일 수 있다.The width of the communication hole 22 may be 2 Ø (2 mm) in order for the fixing plate 20 to be stably fixed,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s 22 may be 0.3 to 0.7 cm,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 closest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is 2 to 4 c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s 22 is the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to the recess 2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to the closest communication hole (22).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1 may be 50 to 200 占 퐉 and the height of the recess 21 may be at least twice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1. [

오목부(21)의 내벽으로부터 오목부(21)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22)까지의 거리가 연통홀(22)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연통홀(22)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경우 또는 오목부(21)의 폭이 관통홀(11)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에 도포되는 잉크가 인쇄 대상물(10)을 고정하기 위한 연통홀(22)의 진공 압력에 영향을 받아 관통홀(11)로 잉크가 흘러들어오게 되고, 흘러들어온 잉크가 고정 플레이트(20)와 인쇄 대상물(10)의 경계부위인 고정면을 따라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홀(31)까지 잉크가 주입되어 연통홀(22) 및 흡입홀(31)의 표면에 오염이 발생하여 다음 인쇄 공정에서 원하는 진공 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잉크 잔사에 의하여 진공 장치(32) 및 인쇄장치가 오염될 수 있고, 연이은 인쇄공정 시 제품이 잉크로 오염됨에 따라 매 인쇄공정 시 잉크를 닦아주어야 하며, 잉크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제품 불량 및 작업 공수 증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인쇄장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to the recess 21 and the closest communication hole 22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holes 22, When the width of the portion 2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11, the ink applied to the printed object 10 having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22 for fixing the printed object 10 The ink flows into the through hole 11 under the influence of the vacuum pressure and the ink flows into the through hole 11 of the fixing plate 20 along the fixing surface, which is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xing plate 20 and the printing object 10, (22). ≪ / RTI > As a result, ink is injected into the suction holes 31 and contamination occurs on the surfaces of the communication holes 22 and the suction holes 31, so that a desired vacuum pressure may not be formed in the next printing process. In addition, the vacuum device 32 and the printing apparatus may be contaminated by such ink residue, and the ink may be wiped off during each printing process as the product is contaminated with the ink in the subsequent printing process, and ink is wasted.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product defect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pieces, and the printing apparatus may fail.

하지만, 복수의 연통홀(22) 사이의 간격은 오목부(21)의 내벽으로부터 오목부(21)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22)까지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고, 오목부(21)의 폭을 관통홀(1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잉크가 인쇄 스테이지(30)의 흡입홀(31)까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잉크 잔사에 의한 진공 장치(32) 및 인쇄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오염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공정없이 반복적인 인쇄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21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losest to the recess 21, and the width of the recess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ink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hole 31 of the printing stage 30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vacuum device 32 and the printing apparatus by the ink residue . In addition, repetitive printing processes can be performed without further processing for decontamin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와 상기 인쇄 스테이지(30) 사이를 실링하고, 탈착 가능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printing stage 30, and a releasable sealing member.

외부의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장치(32)를 통해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외부에서 진공조절밸브를 닫아 연통홀(22) 및 흡입홀(31)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면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완전 밀착될 수 있다. A strong suction force is generated through a vacuum device 32 that generates an external vacuum suction force so that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22 and the suction hole 31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closing the vacuum control valve from the outside, Can be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ationary plate (20).

이때,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와 인쇄 스테이지(30) 사이를 실링하고,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한 실링 부재 예를 들어, 할 테이프, 그린 테이프를 부착하여 에어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eal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printing stage 30 and attaching a detachable sealing member such as a tape or a green tape to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have.

실링부재는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흡착 및 고정되어 밀착력을 유지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에어 방출을 방지하고 더욱 완벽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실링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는 에어방출을 방지하여 인쇄 스테이지(30)에 형성된 흡입홀(31)과 연통된 고정 플레이트(20)의 연통홀(22)이 인쇄 대상물(10)을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may be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air discharge and forming a more complete seal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adsorbed and fixed on the fixing plate 20 to maintain the adhesion force. Accordingly, the sealing member prevents the air from being released, and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ing plate 20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formed in the printing stage 30 can stably attract and fix the printing object 1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잉크를 인쇄 대상물에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applying ink to a printing object us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방법은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21)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0)를 인쇄 스테이지(30)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10)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1)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10)과 상기 스크린(1)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surface on which a printing object 10 having a through hole 11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21) is formed on a printing stage (30); Aligning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20 so as to place the printing object 10 on the fixing plate 20 ; Fixing the printing object (10) to the fixed plate (20); And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 object 10. [ In addition, prior to applying the ink to the first surface, providing a screen (1)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print object 10 and the screen 1 with each other.

고정 플레이트(20)는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0)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키고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30) 및 진공 장치(32)로부터 진공압을 공급받아 인쇄 대상물(10)을 흡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쇄 스테이지(30) 상에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20 provides a fixing surface on which the printing object 10 having the through hole 11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21 depressed inward of the fixing surface. The stationary plate 20 includes a printing stage 30 for holding the printing object 10 to be printed and a vacuum device 32 for supporting the stationary plate 20, And may be provided on the printing stage 30 for fixation.

그 다음,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부(21)가 정렬할 수 있도록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의 제1 정렬부와 고정 플레이트(20)의 제2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켜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킬 수 있다.The printing object 10 is placed on the fixed plate 20 so that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fixed plate 20 can be aligned, The through hole 11 of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20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lignment portion of the object 10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 are exactly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오목부(21)와 관통홀(11)이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킨 다음,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30)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3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흡입홀(31)은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연통홀(22)과 연통될 수 있다. The printing stage 30 that supports the stationary plate 20 after the recesses 21 and the through holes 11 ar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es the printing object 10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suction holes 31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22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The suction holes 31 are formed in the suction holes 31,

흡입홀(31)과 연결된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장치(32)를 작동시켜 흡입홀(31)로 진공 압력을 인가하면, 진공 장치(32)에 의해 진공압을 공급받아 흡입홀(31)에 진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 압력이 흡입홀(31)과 연통된 연통홀(22)로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When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by operating a vacuum device 32 such as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31, vacuum pressure is supplied by the vacuum device 32 and vacuum is su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And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

관통홀(11)과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키고, 인쇄 스테이지(30)에 형성된 흡입홀(31) 및 진공 장치(32)를 통해 진공 압력을 전달받은 고정플레이트의 연통홀(22)을 통해 인쇄 대상물(10)은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 and the concave portion 21 are alig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inting plate 10 is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suction hole 31 and the vacuum device 32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ing plate.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되면,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이 정렬할 수 있도록 스크린(1)을 인쇄 대상물(10) 상에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의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의 제4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켜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을 정렬시킬 수 있다.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fixed to the fixed plate 20, 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can be aligned, The third alignment portion of the screen 1 and the fourth alignment portion of the screen 1 can be aligned exactly with each other to alig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

인쇄 대상물(10)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4 정렬부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1)은 잉크를 인쇄 대상물(10)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인쇄 스크린(1)으로서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되고, 이 개구부 패턴 내에는 잉크가 충진될 수 있다.A third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a fourth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screen 1 may be formed on the same axis, 10,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is provided as the printing screen 1, and the opening pattern can be filled with ink.

인쇄 대상물(10) 상에 스크린(1)을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을 서로 정렬하여 인쇄 대상물(10)의 위치가 바로 잡힌 다음에는 인쇄 대상물(10) 상에 스크린(1)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스크린(1) 위로 공급되는 잉크를 스크린(1)에 밀어넣기 위한 스퀴지(2)를 통해 개구부 패턴 안으로 잉크를 충진시킬 수 있다.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is corrected. The ink can be filled into the opening pattern through the squeegee 2 for pushing the ink supplied onto the screen 1 onto the screen 1. [

즉, 스퀴지(2)는 스크린(1)의 상면에 잉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린(1)의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잉크가 스크린(1)의 개구부 패턴에 도포된다. 스크린(1)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스퀴지(2)를 이용하여 잉크를 압착 이동시킴으로써 스퀴지(2)의 하단 면에 의해 잉크가 평탄화 되면서 스크린(1) 상면의 도포된 잉크가 제거되고 잉크는 스크린(1)에 구비된 개구부 패턴 내에 충진될 수 있다.That is, the squeegee 2 is mov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in a state in which the in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whereby the ink is applied to the opening pattern of the screen 1. The ink is flattened by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queegee 2 by squirting the ink using the squeegee 2 from one side of the screen 1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applied in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is removed, Can be filled in the opening pattern provided on the screen (1).

이어서,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으로부터 스크린(1)을 분리하면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에는 개구부 패턴에 대응되는 잉크층이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screen 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10, an ink layer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10. [

또한,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와 상기 인쇄 스테이지(30) 사이를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와 인쇄 스테이지(30) 사이를 실링하고, 고정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한 실링 부재 예를 들어, 할 테이프, 그린 테이프를 부착하여 에어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al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printing stage 30. Thus, sealing between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printing stage 30 is possible, and a sealing member such as a tape or a green tape,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dge of the fixing plate 20, ha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의 내벽 표면과 제1 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금속 차페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through hole of a printing object and an insulating layer and a metal thin film formed on a firs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절연성 잉크이고, 상기 잉크는 점도를 조절하는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절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는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step of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not only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but als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may be coated with ink. The ink is an insulating ink, and the ink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diluent, a viscosity modifier, a solvent and an additive for controlling viscosity, and an insulating polymer. In addition, the ink may have a viscosity of 230 to 300 dPas.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 뿐만 아니라 잉크를 도포할 때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The ink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but also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when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

이러한 잉크는 절연성 잉크이고, 점도를 조절하는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절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잉크가 도포될 때 흘러내려 제1 면뿐만 아니라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도록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The ink is an insulating ink and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diluent for controlling viscosity, a viscosity adjusting agent, a solvent and an additive, and an insulating polymer, and may flow down when the ink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And may have a viscosity of 230 to 300 dPas so that the surface can be coated with ink.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페이스트가 아닌 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잉크는 액상 타입으로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액상 충전제를 사용한 것이고, 페이스트는 메탈분말, 세라믹분말, 실리카분말 등과 같은 충전제 분말을 사용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잉크에 비해서 점도가 높기 때문에 잉크가 도포될 때 페이스트에 비해 유동성을 가지고 흘러내려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ink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k other than a paste. The ink may be a liquid type ink, which does not use a powder but a liquid filler. The paste may be formed by using a filler powder such as a metal powder, a ceramic powder, Since the viscosity of the ink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ink, the ink flows with the fluidity compared to the paste when the ink is applied, and the ink can also be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ccordingly, inks having relatively low viscosity can be used.

잉크의 점도가 230 dPas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 이후 잉크가 번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낮은 점성으로 인해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 도포되지 않고 바로 오목부(21)로 잉크가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잉크의 점도가 300 dPas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강해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 잉크가 흘러내리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는데 있어서 인쇄 공정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When the viscosity of the ink is less than 230 dPa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k spreads after printing, and due to the low viscosity, the ink can flow immediately into the concave portion 21 without being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 When the viscosity of the ink exceeds 300 dPas, the viscosity is so high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ink to flow down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Therefore, in the application of the ink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proceed.

따라서, 잉크가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지게 되면 잉크가 도포될 때 관통홀(11)의 내벽을 따라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효과적으로 잉크가 흘러내려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잉크와 스크린(1) 사이의 접착력에 의하여 잉크가 들리는 현상 및 퍼지는 현상이 감소되어 균일한 두께층을 가지는 잉크층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k has a viscosity of 230 to 300 dPas, ink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lo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1 when the ink is applied. In additio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ink is heard b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ink and the screen 1 and the spreading phenomenon are reduced, and an ink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layer can be obtained.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될 수 있도록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지기 위하여 점도를 조절하는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절연성 폴리머를 교반하고 혼합하여 절연성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A viscosity adjusting agent, a solvent, and an additive and an insulating polymer which adjust viscosity are mixed with the insulating polymer so as to have a viscosity of 230 to 300 dPas so that ink can be appli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Can be produced.

절연성 고분자 물질인 절연성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린, 폴리프로필린, 플루오로카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절연성 폴리머에 대한 용해력은 없으며 점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는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 톨루엔, 키실렌과 같은 희석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매,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글리세롤, 폴리에테르,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점도 조절제 및 첨가제 중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절연성 잉크가 제조될 수 있으며, 희석제, 용매, 점도 조절제 및 첨가제의 첨가량에 따라 절연성 잉크 전체의 점성이 변화하여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있다.Any insulating polymer such as polyethylenes, polypropylenes, and fluorocarbons may be used as the insulating polymer. Methyl ethyl ketone (MEK, methyl ethyl ketone), which has no dissolving power for the insulating polymer and lowers viscosity, ketone, a diluent such as toluene, xylene, a solvent for adjusting viscosity, a viscosity regulator such as glycerol, polyether, hydroxyethyl cellulose,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viscosity and an additive may be mixed to prepare an insulating ink And the viscosity of the entire insulating ink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diluent, the solvent, the viscosity adjusting agent and the additive, so that a desired viscosity can be obtained.

따라서,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절연성 폴리머를 혼합함으로써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진 절연성 잉크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n insulating ink having a viscosity of 230 to 300 dPas can be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a diluent, a viscosity modifier, a solvent, and an additive with an insulating polymer.

또한,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과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 도포된 절연성 잉크는 인쇄 대상물(10) 상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경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절연성 잉크에 포함된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를 제거하고 절연성 폴리머만 남는 절연층(50)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풍 또는 적외선을 제공하여 절연성 잉크에 포함된 첨가제들을 건조시켜 제거하고 건조를 통해 절연성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ink appli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needs to be cured in order to be used on the printing object 10. Therefore, the additive included in the insulating ink is dried by providing hot air or infrared rays to form the insulating layer 50 which removes the diluent, the viscosity adjusting agent, the solvent and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insulating ink, And the insulating ink can be cured by drying.

상기 인쇄 대상물(10)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관통홀(11)은 비아홀일 수 있다.The printing object 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hrough hole 11 may be a via hole.

인쇄 대상물(10)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상면과 하면에 소정의 금속 회로패턴(미도시)이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고, 금속 회로패턴이 일면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형성된 가요성을 가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The printed object 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a predetermined metal circuit pattern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nd the metal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And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flexibility formed therein.

인쇄 대상물(10)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뿐만 아니라 관통홀(11)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홀(11)은 비아홀일 수 있다. 이러한 비아홀은 원하는 위치에 기계적 드릴링 또는 레이저 드릴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ing object 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 well as a printing object 10 having a through hole 11 formed thereon.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 via hole. Such a via hole can be formed by mechanical drilling or laser drilling at a desired position.

비아홀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에서 층과 층사이의 전기적인 통전 즉,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패턴화된 배선층과 하부에 형성된 패턴화된 배선층을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해 가공한 구멍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양면이 뚫려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via hole means an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a layer and a layer in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a hole form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atterned wiring lay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substrate and a patterned wiring layer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 Usually means that both sides are perforated.

층간 접속을 위하여 층간 전기 접속을 위한 비아홀을 형성한 뒤, 비아홀의 내벽 표면에 도금공정(무전해 도금 공정 및 전해 도금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 도금막(12)을 형성할 수 있다. A via hole for interlaye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formed for interlayer connection, and a plating process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a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ia hole to form the metal plating film 12.

비아홀의 내벽 표면에 금속 도금막(12)이 형성됨으로써 비아홀에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고, 다른 층간의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By forming the metal plating film 12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ia hole, conductivity can be given to the via hole, and the wiring between the other layer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또한, 기판의 각 층들간의 회로를 연결하는 비아홀은 접지용 비아홀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이 접지용 비아홀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기판의 회로패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어 인접하는 전자부품에 영향을 주거나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기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via hole connecting the circuit between the layers of the substrate may be a via hole for groun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a hole for grounding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in the circuit pattern of the board is radiated to the outside to affect the adjacent electronic components or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boar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금속 차폐막(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은 절연층(50)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tal shielding layer 40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and the ink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50.

인쇄회로기판은 전자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자파 방해를 차폐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Since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adversely affected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it must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can shield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차폐막(40)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제1 니켈 막, 은, 은과 구리의 혼합물, 또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금속 막, 제2 니켈 막이 스퍼터링 공정으로 적층되어 금속 차폐막(40)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metal shielding film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first nickel film, a mixture of silver and copper, or a metal film made of copper and a second nickel film on th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sputtering process, The shielding film 40 can be formed.

금속 차폐막(40)은 인쇄회로기판에 접지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도체막으로 감싸서 금속 차폐막(40)을 형성시켜 인쇄회로기판에 뛰어난 도전성을 부여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 및 정전기를 차폐하여 방사 및 노이즈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The metal shielding film 40 is groun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enclose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conductive film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o form a metal shielding film 40 to provide excellent conductivity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that radiation and noise generation can be solved.

차폐의 원리는 전자파가 전도성 물질에 유입된 후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표면 전류로 변환되어 흐르다가 열로 발산되거나 접지로 바이패스되는 것이다. The principle of shielding is that after the electromagnetic wave enters the conductive material, some of it is reflected and some of it is converted into the surface current, and then it is diverted into heat or bypassed to ground.

또한, 잉크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은 절연층(50)일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금속 차폐막(40)을 형성한 후, 금속 차폐막(40)의 표면뿐만 아니라 관통홀(11)의 내벽 표면에 금속 차폐막(40)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층(50)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50)은 전자파 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금속 차폐막(40)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metal shielding film 40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n the surface of the metal shielding film 40 as well as the through holes 11 An insulating layer 50 for protecting the metal shielding film 40 may be printed and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50. [ The insulating layer 50 may function to protect the metal shielding film 40, which performs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s.

이러한 절연층(50)은 절연성 잉크를 인쇄 대상물(10) 상에 도포하고, 열풍 또는 적외선을 절연성 잉크에 조사하고 절연성 잉크를 경화시켜 절연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50 can form the insulating layer 50 by applying an insulating ink onto the printing object 10, applying hot air or infrared rays to the insulating ink, and curing the insulating ink.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의 내벽 표면,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된 절연층 및 금속 차페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through hole of a printing object,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a metal thi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인쇄방법은 상기 인쇄 대상물(10)을 뒤집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10)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versing the printing object 10; Aligning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of the fixing plate 20 so as to place the printing object 10 on the fixing plate 20 ; Fixing the printing object (10) to the fixed plate (20); And applying ink to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 object 10. [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에 절연층(50)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10)을 인쇄 대상물(10)의 하부면인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인쇄 대상물(10)을 뒤집은 다음, 인쇄 대상물(10)에 형성된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오목부(21)가 정렬할 수 있도록 인쇄 대상물(10)을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의 제1 정렬부와 고정 플레이트(20)의 제2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켜 인쇄 대상물(10)의 관통홀(11)과 고정 플레이트(20)의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킬 수 있다.The printed object 10 having the insulating layer 50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ed object 10 fixed to the fixed plate 20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surfa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object 10, The printing object 10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is fixed so that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concave portion 21 formed in the fixed plate 20 can be aligned The through hole 11 and the fixing plate 20 of the printing object 10 are placed on the plate 20 so that the first alignment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of the fixing plate 20 are exactly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recesses 21 of the fixing plate 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printing object 10 on the fixing plate 20.

오목부(21)와 관통홀(11)이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킨 다음, 고정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30)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3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흡입홀(31)은 고정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연통홀(22)과 연통될 수 있다. The printing stage 30 that supports the stationary plate 20 after the recesses 21 and the through holes 11 are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es the printing object 10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suction holes 31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22 formed in the fixing plate 20. The suction holes 31 are formed in the suction holes 31,

흡입홀(31)과 연결된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장치(32)를 작동시켜 흡입홀(31)로 진공 압력을 인가하면, 진공 장치(32)에 의해 진공압을 공급받아 흡입홀(31)에 진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 압력이 흡입홀(31)과 연통된 연통홀(22)로 전달되면서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When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by operating a vacuum device 32 such as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31, vacuum pressure is supplied by the vacuum device 32 and vacuum is supplied to the suction hole 31 And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2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31. [

관통홀(11)과 오목부(21)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고정 플레이트(20) 상에 인쇄 대상물(10)을 안착시키고, 인쇄 스테이지(30)에 형성된 흡입홀(31) 및 진공 장치(32)를 통해 진공 압력을 전달받은 고정플레이트의 연통홀(22)을 통해 인쇄 대상물(10)은 고정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 and the concave portion 21 are alig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inting plate 10 is placed on the stationary plate 20 and the suction hole 31 and the vacuum device 32 The printing object 1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 of the fixing plate.

인쇄 대상물(10)이 고정 플레이트(20)에 고정되면,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이 정렬할 수 있도록 스크린(1)을 인쇄 대상물(10) 상에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의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의 제4 정렬부를 상호 정확히 일치시켜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을 정렬시킬 수 있다. When the printing object 10 is fixed to the fixed plate 20, 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so that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can be aligned, The third alignment portion of the screen 1 and the fourth alignment portion of the screen 1 can be aligned exactly with each other to alig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

인쇄 대상물(10)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3 정렬부와 스크린(1)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4 정렬부는 서로 동일 축 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1)은 잉크를 인쇄 대상물(10)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인쇄 스크린(1)으로서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되고, 이 개구부 패턴 내에는 잉크가 충진될 수 있다.A third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a fourth alignment unit formed on the screen 1 may be formed on the same axis, 10,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is provided as the printing screen 1, and the opening pattern can be filled with ink.

인쇄 대상물(10) 상에 스크린(1)을 올려놓고 인쇄 대상물(10)과 스크린(1)을 서로 정렬하여 인쇄 대상물(10)의 위치가 바로 잡힌 다음에는 인쇄 대상물(10) 상에 스크린(1)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스크린(1) 위로 공급되는 잉크를 스크린(1)에 밀어넣기 위한 스퀴지(2)를 통해 개구부 패턴 안으로 잉크를 충진시킬 수 있다.The screen 1 is placed on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printing object 10 and the screen 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10 is corrected. The ink can be filled into the opening pattern through the squeegee 2 for pushing the ink supplied onto the screen 1 onto the screen 1. [

즉, 스퀴지(2)는 스크린(1)의 상면에 잉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린(1)의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잉크가 스크린(1)의 개구부 패턴에 도포된다. 스크린(1)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스퀴지(2)를 이용하여 잉크를 압착 이동시킴으로써 스퀴지(2)의 하단 면에 의해 잉크가 평탄화 되면서 스크린(1) 상면의 도포된 잉크가 제거되고 잉크는 스크린(1)에 구비된 개구부 패턴 내에 충진될 수 있다.That is, the squeegee 2 is mov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in a state in which the in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whereby the ink is applied to the opening pattern of the screen 1. The ink is flattened by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queegee 2 by squirting the ink using the squeegee 2 from one side of the screen 1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applied in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1 is removed, Can be filled in the opening pattern provided on the screen (1).

이어서, 인쇄 대상물(10)의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으로부터 스크린(1)을 분리하면 인쇄 대상물(10)의 제2 면에는 개구부 패턴에 대응되는 잉크층이 형성될 수 있고, 건조를 통하여 절연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screen 1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an ink layer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10, The insulating layer 50 can be formed.

따라서, 인쇄 대상물(10)의 양면에는 제1 면의 절연층(50) 및 제2 면의 절연층(50)이 형성되어 양면 인쇄 공정이 가능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sulating layer 50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insulating layer 50 of the second surfac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object 10, so that the double-sided prin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스크린 2 : 스퀴지
10 : 인쇄 대상물 11 : 관통홀
12 : 금속 도금막 20 : 고정 플레이트
21 : 오목부 22 : 연통홀
30 : 인쇄 스테이지 31 : 흡입홀
32 : 진공 장치 40 : 금속 차폐막
50 : 절연층
1: Screen 2: Squeegee
10: printing object 11: through hole
12: metal plating film 20: fixing plate
21: concave portion 22: communication hole
30: Printing stage 31: Suction hole
32: vacuum device 40: metal shielding film
50: insulating layer

Claims (16)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인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잉크를 상기 인쇄 대상물에 도포하는 인쇄장치.
A fixing plate provided with a fixing surface on which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s fixed,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ward of the fixing surface; And
And a printing stage for supporting the stationary plate,
And the ink is applied to the printing object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스테이지는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흡입홀과 연통하여 상기 흡입홀로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인쇄 대상물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인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extending from the fixing surface,
Wherein the printing stage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 sucking air,
Wherein th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hole, and the printing object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as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홀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호 이격되고,
상기 인쇄 대상물의 관통홀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mutually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portion,
And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fixing plat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printing objec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통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오목부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와 가장 근접한 연통홀까지의 간격보다 작은 인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to the communication hole closest to the rec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큰 인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제1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2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부 및 상기 제2 정렬부를 통해 상기 관통홀과 상기 오목부가 서로 정렬하여 배치되는 인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 object includes a first alignment portion,
Wherein the fixing plate has a second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igning portion,
Wherein the through hole and the concave portion are dispos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ligning portion and the second align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과 상기 인쇄 대상물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3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3 정렬부와 대응되는 제4 정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정렬부 및 상기 제4 정렬부를 통해 상기 인쇄 대상물과 상기 스크린이 서로 정렬하여 배치되는 인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ing object includes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a third aligning portion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Wherein the screen has a fourth alig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aligning portion,
And the screen is arranged in alignmen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ird alignment unit and the fourth alignmen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인쇄 스테이지 사이를 실링하고, 탈착 가능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an edg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printing stage, and a releasable sealing member.
관통홀이 형성된 인쇄 대상물이 고정되는 고정면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면의 내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인쇄 스테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방법.
Providing a fixing surface on which a printing object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s fixed and a fixing plate on which an indented recessed portion of the fixing surface is formed, on a printing stage;
Aligni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concave portions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ing the printing object on the fixing plate;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on the fixed plate; And
And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의 개구부 패턴이 구비된 스크린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과 상기 스크린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Prior to the step of applying ink to the first side,
Providing a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pattern; And
And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print object and the scree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을 뒤집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렬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 대상물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versing the print object;
Aligning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inting object and concave portions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placing the printing object on the fixing plate;
Fixing the object to be printed on the fixed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ink to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int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제1 면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홀의 내벽 표면에도 잉크가 도포되는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k is applied not only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but also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t the step of applying ink to the first surfa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절연성 잉크이고,
상기 잉크는 점도를 조절하는 희석제, 점도 조절제, 용매 및 첨가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절연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ink is an insulating ink,
Wherein the ink comprises at least one of a diluent, a viscosity modifier, a solvent, and an additive for adjusting viscosity and an insulating polym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230 내지 300 dPas의 점도를 가지는 인쇄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nk has a viscosity of from 230 to 300 dPa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관통홀은 비아홀인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inting object i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hrough hole is a via hol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의 표면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금속 차폐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은 절연층인 인쇄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metal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n a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Wherein the ink applied by the ink is an insulating layer.
KR1020160074580A 2016-06-15 2016-06-15 Printer and Printing Method KR101858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80A KR101858231B1 (en) 2016-06-15 2016-06-15 Printer and Pri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80A KR101858231B1 (en) 2016-06-15 2016-06-15 Printer and Prin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74A true KR20170141474A (en) 2017-12-26
KR101858231B1 KR101858231B1 (en) 2018-06-28

Family

ID=6093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580A KR101858231B1 (en) 2016-06-15 2016-06-15 Printer and Prin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2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45B1 (en) * 2021-02-16 2022-03-28 (주) 대명테크놀러지 Method for printing conducting ink at through hole of stacked ceramic housing for semi-conductor packaging
KR102430230B1 (en) * 2021-02-16 2022-08-09 (주) 대명테크놀러지 Apparatus for printing conducting ink at through hole of stacked ceramic housing for semi-conductor packag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750A (en) * 1997-10-23 1999-05-25 요시아끼 다가미 Work piece loading jig, manufacturing method and screen printing machine
JP3413874B2 (en) * 1993-05-21 2003-06-09 ソニー株式会社 Printed wiring board
JP2005236153A (en) * 2004-02-23 2005-09-02 Sumitomo Bakelite Co Ltd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124859A (en) * 2005-05-26 2006-12-06 주식회사 코오롱 Solder resist composition
KR100684665B1 (en) 2006-01-24 2007-02-22 김태영 Structure of jig for vacuum coating
JP2009206297A (en) * 2008-02-28 2009-09-10 Panasonic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wiring boar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874B2 (en) * 1993-05-21 2003-06-09 ソニー株式会社 Printed wiring board
KR19990035750A (en) * 1997-10-23 1999-05-25 요시아끼 다가미 Work piece loading jig, manufacturing method and screen printing machine
JP2005236153A (en) * 2004-02-23 2005-09-02 Sumitomo Bakelite Co Ltd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124859A (en) * 2005-05-26 2006-12-06 주식회사 코오롱 Solder resist composition
KR100684665B1 (en) 2006-01-24 2007-02-22 김태영 Structure of jig for vacuum coating
JP2009206297A (en) * 2008-02-28 2009-09-10 Panasonic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wiring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45B1 (en) * 2021-02-16 2022-03-28 (주) 대명테크놀러지 Method for printing conducting ink at through hole of stacked ceramic housing for semi-conductor packaging
KR102430230B1 (en) * 2021-02-16 2022-08-09 (주) 대명테크놀러지 Apparatus for printing conducting ink at through hole of stacked ceramic housing for semi-conductor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231B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691A (en) Apparatus for packing filler into through-holes or the like in a printed circuit board
KR101858231B1 (en)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8327534B2 (en) Method of fabricating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20030007755A (en) Filling device
JP2000200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plug and paste mixing device
US6303881B1 (en) Via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22275B2 (en) Reservoir stencil with relief areas and method of using
EP1692927A4 (en) Replacement cover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system
EP078491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JP3203345B2 (en) Vacuum printing apparatus and vacuum printing method
KR20030007753A (en) Filling method
KR102198712B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improving PIMD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57891A (en) Method for filling microhole with conductive paste, substrate with through electrode and substrate with non-through electrode
CN114126222B (en)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cessing method of PCB solder resist plug hole
US20170265311A1 (en) Method of filling vias with ink
JP2009239215A (en) Copper-clad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using the same, end face processing method of copper-clad laminate, and end face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TW201806785A (en) Intaglio,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pattern carrier
CN109392254B (en) Solder ball or solder paste mounting device
US917330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JP3616657B2 (en)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KR101415613B1 (en) Improved Dry Device and Method of Ink On Blanket, and Printing Roll System and Pattern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WI712350B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method of clamping electronics boards for processing and carrier
KR2020013351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solder resist film an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KR100734051B1 (en) Via-hole choke preventing method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1055547B1 (en) Squeegee Device with Shielding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