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469A -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469A
KR20170141469A KR1020160074563A KR20160074563A KR20170141469A KR 20170141469 A KR20170141469 A KR 20170141469A KR 1020160074563 A KR1020160074563 A KR 1020160074563A KR 20160074563 A KR20160074563 A KR 20160074563A KR 20170141469 A KR20170141469 A KR 2017014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content
displa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797B1 (ko
Inventor
김영훈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97B1/ko
Priority to US15/392,631 priority patent/US10283087B2/en
Priority to CN201710067700.6A priority patent/CN107526558B/zh
Publication of KR2017014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하며,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하여 갱신된 태깅정보를 단말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GITAL SIGNAGE APPARATUS F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하며,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하여 갱신된 태깅정보를 단말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신문, 텔레비전 매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 예컨대,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장치와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는 예컨대,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백화점, 지하철, 공항, 호텔, 병원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대형 건물 및 업소, 엘리베이터, 영화관, 식당, 쇼핑몰, 상점 등 사람들이 일정 시간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초기 형태는 간판이나 빌보드를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컨텐츠 표시하는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최근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 기반의 태깅(Tagging) 기술을 활용하여 단말을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 근접시켜 표시된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헌데,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서 활용되는 태깅 기술의 경우,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의 별도의 공간에 태그를 두어, 단말이 이를 태깅함으로써,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의 별도의 공간에 마련된 태그를 통해서 컨텐츠 내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단말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 또한 태그에 저장된 정보의 범위로 한정될 수 밖에 없어 컨텐츠와 관련된 신규 또는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기존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서의 컨텐츠 표시하는 방식은, 동일한 컨텐츠를 반복하여 표시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동일한 컨텐츠가 반복 표시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관심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 또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패널 내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깅정보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단말이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갱신된 태깅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는, 태그정보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타게팅컨텐츠가 선별되도록 하는 획득명령; 상기 타게팅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활성화명령;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에 대해 상기 타게팅컨텐츠와 관련된 태그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의 태그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 갱신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갱신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는,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이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설정정보, 및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게팅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서로 다른 표시위치에서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 중 상기 다수의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를 활성화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 태그블록 중 상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실장된 위치 간의 거리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이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일부 태그블록이 상기 컨텐츠 내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중복되어 관련되는 경우, 상기 일부 태그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이 실장된 태그레이어가 오버랩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 상에 상기 태그레이어가 삽입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타게팅컨텐츠가 선별되도록 하는 획득단계; 상기 타게팅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에 대해 상기 타게팅컨텐츠와 관련된 태그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의 태그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는,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이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설정정보, 및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게팅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서로 다른 표시위치에서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 중 상기 다수의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를 활성화하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 태그블록 중 상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실장된 위치 간의 거리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서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단말이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갱신된 태깅정보를 직관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태깅정보를 통해서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신규 또는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블록의 활성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 대해 갱신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 및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로부터 태깅정보를 획득하는 단말(3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컨대,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데이터 등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를 일컫는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의 초기 형태는 간판이나 빌보드를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컨텐츠 표시하는 단순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 기반의 태깅(Tagging) 기술을 활용하여 근접한 단말(30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태깅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다수의 표시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객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정방형 격자 무늬로 분할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서 서로 다른 주제 또는 공통된 주제 형식으로 독립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별도의 분할 영역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임의의 표시위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는, 예컨대,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200) 혹은 별도의 컨텐츠서버(도시안됨)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참고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가 채택하고 있는 NFC 기술의 경우,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련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로서, 예컨대, 10cm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과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NFC는 13.56MHz의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며, 106, 212, 424k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 수 있다. NFC는 다양한 비 접촉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는 ISO 14443 type A, B, F, ISO 18092에서 정의하는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NFC 기술을 채택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리더(reader)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card emulation mode),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NFC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갱신되어야 하는 태깅정보를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로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내 각 표시객체에 대한 정보(예: 상세정보, 구매정보, 접속 URL)를 가지고 있으며,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정보를 태깅정보로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말(300)은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내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단말(300)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NFC 기반 태깅 기술을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는 NFC 기반 태깅(Tagging) 기술을 활용하여 근접한 단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활용되는 태깅 기술의 경우, 디지털사이니지장치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의 별도의 공간에 태그를 두어, 단말(300)이 이를 태깅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이처럼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의 별도의 공간에 태그를 두어, 단말(300)이 이를 태깅하는 경우, 컨텐츠 내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태그의 저장된 정보 또한 실시간 갱신이 불가능한 것이 일반적인 관계로,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 또한 태그에 저장된 정보의 범위로 한정될 수 밖에 없어 컨텐츠와 관련된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식은, 동일한 컨텐츠를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동일한 컨텐츠가 반복 표시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 또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한계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하며,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하여 갱신된 태깅정보를 단말(300)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110),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는 선별부(120), 타게팅컨텐츠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0) 내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부(130), 및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획득부(110), 선별부(120), 활성화부(130), 갱신부(140),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포함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고 있는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단말(300)에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태그블록이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직접 실장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컨대, 강화유리, PCAP 터치필름, 액정, 각종 필름(편광), 도광판, BLU, Metal Back Plate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경우, 도 3을 통해 살펴본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기존의 다수의 레이어 상에 다수의 태그블록을 실장한 태그레이어가 추가로 삽입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강화유리, PCAP 터치필름, 액정, 각종 필름(편광), 도광판, BLU, Metal Back Plate 등과 같은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 이외에, 다수의 태그블록이 실장된 태그레이어(NFC tag layer)가 추가로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그레이어의 경우,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접근한 단말(300)이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거리인 태깅가능거리가 멀게 요구될수록 다수의 레이어 중 실질적으로 타게팅컨텐츠가 표시되는 레이어인 액정 레이어와 인접한 상위 레이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만약 태깅가능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저면에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태그레이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에 삽입됨에 따라 기존의 다수의 레이어와 오버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태그레이어에 실장되는 태그블록의 개수는, 예컨대, 타게팅컨텐츠 내 포함될 수 있는 표시객체의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데, 만약 표시객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정방형 격자 무늬로 분할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서 표시되는 경우라면, 분할 영역과 동일한 개수로 결정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서의 정방형 격자 무늬보다 작은 크기의 정방향 격자 무늬를 단위로 분할 영역보다 많은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페라이트 시트는, 일종의 반사판의 역할로서 태그레이어의 저면으로 발생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반사하여, 반사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가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방향인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경우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와, 다수의 태그블록이 실장된 태그레이어가 오버랩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됨에 따라,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 타게팅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50) 이외에 태그를 삽입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타게팅컨텐츠와, 저면의 태그블록이 오버랩되어 단말(300)이 타게팅컨텐츠를 직접 태깅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컨텐츠와 관련된 직관적인 정보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하여 갱신된 태깅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단말(300)이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디지털사이니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획득부(110)는 타게팅컨텐츠 선별을 위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컨텐츠선별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인접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근접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설정정보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인접한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설정정보는, 단말(3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 성별, 관심상품 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설정정보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가 송신하는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통신장치를 통해서 무선신호(예: BLE)를 지속적 또는 주기마다 송신하게 되며, 해당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이 단말(300)에서 인지되는 경우,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인식정보는,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성별, 나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별도의 센싱장치(도시안됨)를 통해 사용자가 근접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인식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별부(120)는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120)는 컨텐츠선별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타게팅컨텐츠로 직접 선별하거나, 또는 컨텐츠선별정보를 서버(300) 또는 별도의 컨텐츠서버(도시안됨)로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추천컨텐츠로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활성화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활성화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성화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 내부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표시객체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를 확인하고, 다수의 태그블록 중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어 실장된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나머지 태그블록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기존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게 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활성화부(130)는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컨텐츠 내에서의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활성화부(130)는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평균이거나, 낮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유지시키거나,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는, 다양한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서 판별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제한이 따르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활성화부(130)는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에,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화하는 것은, 경계지역의 태깅동작으로 인해 잘못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갱신부(140)는 활성화된 태그블록의 태깅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140)는 타게팅컨텐츠 내 각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에 오버랩되어 실장된 태그블록에 대한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며,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활성화된 태그블록의 태깅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300)이 활성화된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활성화된 태그블록에 대한 갱신된 태깅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갱신부(140)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이처럼 서버(200)로부터 갱신된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를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내 각 구성인 획득부(110), 활성화부(130), 및 갱신부(1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1310), 입출력장치(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장치(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321), 카메라(1322) 등의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PCAP 터치필름, 액정, 각종 필름(편광), 도광판, BLU, Metal Back Plate 등과 같은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 이외에, 다수의 태그블록이 실장된 태그레이어(NFC tag layer)가 추가로 삽입된다.
태그레이어의 경우,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접근한 단말(300)이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거리인 태깅가능거리가 멀게 요구될수록 다수의 레이어 중 실질적으로 컨텐츠가 표시되는 레이어인 액정 레이어와 인접한 상위 레이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만약 태깅가능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저면에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태그레이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에 삽입됨에 따라 기존의 다수의 레이어와 오버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태그레이어에 실장되는 태그블록의 개수는, 예컨대, 타게팅컨텐츠 내 포함될 수 있는 표시객체의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데, 만약 표시객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정방형 격자 무늬로 분할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서 표시되는 경우라면, 분할 영역과 동일한 개수로 결정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서의 정방형 격자 무늬보다 작은 크기의 정방향 격자 무늬를 단위로 분할 영역보다 많은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페라이트 시트는, 일종의 반사판의 역할로서 태그레이어의 저면으로 발생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반사하여, 반사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가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방향인 디스플레이 패널(1321)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태그레이어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에 대한 제어는, 12C/UART/SPI 등의 PORT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하여 갱신된 태깅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321)에 접근한 단말(300)이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내 각 구성인 획득부(110), 선별부(120), 활성화부(130), 및 갱신부(140)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획득부(110)는 타게팅컨텐츠 선별을 위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 결과를 선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컨텐츠선별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1321)과 인접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321)로 근접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설정정보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321)과 인접한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설정정보는, 단말(3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 성별, 관심상품 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설정정보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가 송신하는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통신장치(1310)를 통해서 무선신호(예: BLE)를 지속적 또는 주기마다 송신하게 되며, 해당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이 단말(300)에서 인지되는 경우,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인식정보는, 카메라(1322)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성별, 나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별도의 센싱장치(도시안됨)를 통해 사용자가 근접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카메라(1322)를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인식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별부(120)는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120)는 획득된 컨텐츠선별정보가 획득부(11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타게팅된 컨텐츠인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그 결과를 활성화부(1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선별부(120)는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타게팅컨텐츠로 직접 선별하거나, 또는 컨텐츠선별정보를 통신장치(1310)를 통해 서버(300) 또는 별도의 컨텐츠서버(도시안됨)로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추천컨텐츠로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활성화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활성화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성화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 내부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 결과를 갱신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표시객체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1321) 상의 표시위치를 확인하고, 다수의 태그블록 중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어 실장된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결과를 갱신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321)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나머지 태그블록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기존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게 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활성화부(130)는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컨텐츠 내에서의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321)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활성화부(130)는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321)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평균이거나, 낮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유지시키거나,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는, 다양한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서 판별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제한이 따르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활성화부(130)는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에,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화하는 것은, 경계지역의 태깅동작으로 인해 잘못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갱신부(140)는 활성화된 태그블록의 태깅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140)는 활성화부(130)로부터 태그블록에 대한 활성화 결과가 수신되며,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활성화된 태그블록의 태깅정보를 통신장치(131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321)로 접근한 단말(300)이 활성화된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활성화된 태그블록에 대한 갱신된 태깅정보는 통신장치(131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거나, 통신장치(1310)를 통한 갱신부(140)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50, 1321)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서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50, 1321) 내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단말(300)이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갱신된 태깅정보를 직관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태깅정보를 통해서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신규 또는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 및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획득부(110)는 단계 'S110' 및 'S120'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컨텐츠선별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인접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50)로 근접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설정정보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과 인접한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설정정보는, 단말(3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 성별, 관심상품 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설정정보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가 송신하는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통신장치를 통해서 무선신호(예: BLE)를 지속적 또는 주기마다 송신하게 되며, 해당 무선신호(예: BLE)의 세기(RSSI)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이 단말(300)에서 인지되는 경우,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인식정보는,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한 결과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성별, 나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획득부(110)에서는 별도의 센싱장치(도시안됨)를 통해 사용자가 근접한 것이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시그니지장치(100)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인식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선별부(120)는 컨텐츠선별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단계 'S130'에 따라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타게팅컨텐츠로 직접 선별하거나, 또는 컨텐츠선별정보를 서버(300) 또는 별도의 컨텐츠서버(도시안됨)로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 저장된 컨텐츠를 추천컨텐츠로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럼 다음, 활성화부(130)는 단계 'S140' 내지 'S20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표시되는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150) 내부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표시객체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를 확인하고, 다수의 태그블록 중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어 실장된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50) 상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나머지 태그블록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기존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게 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단계 'S130'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인 경우가 발생하면, 활성화부(130)는 단계 'S160'을 통해서 컨텐츠 내에서의 특정 표시객체의 중요도를 기초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때, 활성화부(130)는 컨텐츠 내에서의 특정 표시객체의 중요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a,b,c,d,e,f,g,h,i)를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활성화부(130)는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표시객체와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사용자의 특정 표시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평균이거나, 낮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e)만을 활성화함으로써, 특정 표시객체와 관련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될 확률을 유지시키거나,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계 'S160'및 'S170'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가 발생하면, 활성화부(130)는 단계 'S200'을 통해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적어도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하게 된다.
이처럼,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a,b,c,d,e,f,g,h,i)이며, 2 이상의 태그블록(a,b,c,d,e,f,g,h,i) 중 일부 태그블록(f,i)은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오버랩된 위치에 실장된 경우에, 일부 태그블록(f,i)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a,b,c,d,e,g,h) 만을 활성화하는 것은, 경계지역의 태깅동작으로 인해 잘못된 태깅정보가 단말(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갱신부(140)는 단계 'S130' 내지 'S200'을 통해 타게팅컨텐츠 내 각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에 오버랩되어 실장된 태그블록에 대한 활성화가 완료되었으며, 단계 'S210'을 통해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220'에 따라 활성화된 태그블록의 태깅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300)이 활성화된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활성화된 태그블록에 대한 갱신된 태깅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갱신부(140)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이처럼 서버(200)로부터 갱신된 태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를 각 표시객체와 관련된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서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50) 내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태깅정보로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접근한 단말(300)이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갱신된 태깅정보를 직관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태깅정보를 통해서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신규 또는 다채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사이니지장치(1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수신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해 타게팅컨텐츠를 선별하여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패널 내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태그블록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태그블록 내 태깅정보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깅정보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근한 단말이 타게팅컨텐츠 내 표시객체 각각과 관련된 갱신된 태깅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디지털사이니지장치.
110: 획득부 120: 선별부
130: 활성화부 140: 갱신부
15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서버
300: 단말

Claims (12)

  1. 태그정보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타게팅컨텐츠가 선별되도록 하는 획득명령;
    상기 타게팅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활성화명령;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에 대해 상기 타게팅컨텐츠와 관련된 태그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의 태그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 갱신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갱신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는,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이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설정정보, 및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서로 다른 표시위치에서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 중 상기 다수의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를 활성화하도록 하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 태그블록 중 상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실장된 위치 간의 거리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명령은,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이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일부 태그블록이 상기 컨텐츠 내 타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중복되어 관련되는 경우, 상기 일부 태그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레이어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이 실장된 태그레이어가 오버랩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 상에 상기 태그레이어가 삽입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
  8.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컨텐츠선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타게팅컨텐츠가 선별되도록 하는 획득단계;
    상기 타게팅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다수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에 대해 상기 타게팅컨텐츠와 관련된 태그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의 태그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로 갱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접근한 단말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 각각으로부터 갱신된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선별정보는,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거리가 임계치 이내인 것을 인지한 단말이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설정정보, 및 상기 디지털사이니지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한 사용자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게팅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서로 다른 표시위치에서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은,
    상기 다수의 태그블록 중 상기 다수의 표시객체 각각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컨텐츠 내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위치에 실장된 태그블록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중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태그블록 모두를 활성화하며, 상기 특정 표시객체와 상기 컨텐츠선별정보와의 관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 태그블록 중 상기 특정 표시객체의 표시위치와 실장된 위치 간의 거리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적어도 일부의 태그블록만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사이니지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074563A 2016-06-15 2016-06-15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8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63A KR102580797B1 (ko) 2016-06-15 2016-06-15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5/392,631 US10283087B2 (en) 2016-06-15 2016-12-28 Digital signa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710067700.6A CN107526558B (zh) 2016-06-15 2017-02-07 数字标牌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63A KR102580797B1 (ko) 2016-06-15 2016-06-15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69A true KR20170141469A (ko) 2017-12-26
KR102580797B1 KR102580797B1 (ko) 2023-09-19

Family

ID=6093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563A KR102580797B1 (ko) 2016-06-15 2016-06-15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255B2 (en) * 2009-04-24 2013-11-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via transponders
US20150134375A1 (en) * 2013-11-08 2015-05-14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255B2 (en) * 2009-04-24 2013-11-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via transponders
US20150134375A1 (en) * 2013-11-08 2015-05-14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797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07379B2 (en)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10282776B2 (en) User equipment for recognizing object and displaying database matching result,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RU26485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средством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устройстве отображения
US20170004485A1 (en) Method for payment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160364719A1 (en) User equipment for reverse nfc payment, nfc payment terminal, reverse nfc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5737804B (zh) 识别电子装置位置的方法、电子装置、和服务器操作方法
US10474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more items
US994645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488977B2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CN108811516A (zh) 扫描目标和扫描响应的信标激活的自动生成
KR102648142B1 (ko)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526558B (zh) 数字标牌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90012695A (ko) 태그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41467A (ko)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2674B1 (ko) 콘텐츠 변경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70141469A (ko) 디지털사이니지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801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69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ing electronic money at electronic device
KR102366746B1 (ko)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7205078B (zh) 一种管理穿戴式智能设备的方法和装置
US201902740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418054B1 (ko)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US20170251043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web acces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055351B1 (ko) 전자 주문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자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2053B1 (ko) 목적별 관심 영상으로 반복 전환하는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