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456A -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 Google Patents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456A
KR20170141456A KR1020160074510A KR20160074510A KR20170141456A KR 20170141456 A KR20170141456 A KR 20170141456A KR 1020160074510 A KR1020160074510 A KR 1020160074510A KR 20160074510 A KR20160074510 A KR 20160074510A KR 20170141456 A KR20170141456 A KR 2017014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fixed
sink
pl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우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우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우안
Priority to KR102016007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456A/en
Publication of KR201701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a suspension-type sink. The storage device is suspended and installed to be slid left and right to efficiently use a space of a kitchen wall and to improve utilization of a space when there is no lower portion of a sink or to improve utilization of the space betwee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sink. The storage device for a suspension-type sink comprises: a first sliding member (110) which is fixed and installed to the lower surface of an upper portion of a sink by a bolt (99), and has a shape in which side cross sections continue to be symmetric in a [ shape; a first left and right movement member (120) which is insert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and move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upper portion through a roller (121); a vertical rod (130) which is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downsid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movement member (120); a plate (140) which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rod (130) to rotate, the rear side of which is positioned to com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vertical rod (130) in a length direction; and a lower fixed member (150) which is fix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rod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Description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for a sink type sink,

본 발명은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장치를 현수함과 동시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주방 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suspended-type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suspended-type sink capable of efficiently using a space of a kitchen wall,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ink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88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sink accommodating apparatus, and FIGS. 10A and 10B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sink accommodating apparatus shown in FIG.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sink receiving apparatus.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1)는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고정되는 수직봉(10)과, 상기 수직봉(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20)와, 상기 수직봉 상에 설치된 플레이트(20)의 배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수납공간(32)이 형성되는 수납수단(30)을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sink receiving apparatus 1 includes a vertical rod 10 fixed between a top and a bottom of a sink, and a rotary shaft 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rod 10, And a receiving means 30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20 provided on the vertical ba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32 formed therein.

여기서 수직봉(10)은 싱크대의 상부장 및 하부장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직봉(10)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바, 수직봉(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회전형 길이조절부재(11)가 구비되며, 또한 양단에는 상부장 및 하부장 측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패킹(12)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봉의 상, 하부 측에는 추후에 설명될 플레이트(20)가 안착 회전될 수 있도록 돌기부재(1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Here, the vertical bar 10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a top and a bottom of a sink and serves to mount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vertical rod 10 as described above must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mov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hafts. The vertical rod 10 has a rotating type length adjusting member 11 whos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rod 10 And a rubber packing 12 is provided at both ends so as to be tightly fixed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vertical bar, projection members 13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so that the plate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and rotated.

수직봉(10)이 전술한 회전형 길이조절부재(11)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되더라도 이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길이조절 방법은 회전형 길이조절부재(11) 외에도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10 can be adjusted by the rotary type length adjusting member 11,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10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ts. Needless to say, in addition to the rotatable length adjusting member 11,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selectively used as the length adjusting method.

전술한 수직봉(10) 상에는 플레이트(20)가 화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플레이트(2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수직봉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수직봉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된다.On the above-mentioned vertical bar 10, a plate 20 is provided to be flockable, and the plate 20 serves to be mounted so that the constituent membe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receive the article, And the rear side thereof is positioned so as to be inter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이와 같은 플레이트(20)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20)로 형성되되 그 배면측에는 전술한 수직봉(10)의 돌기부재(13) 상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한 쌍의 고정편(22)이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20)는 이 한 쌍의 고정편(22)에 의해 수직봉(10) 상에 고정됨과 동시에 돌기부재(13) 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는 그 위치가 고정되지만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해진다.Such a plate 2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20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s a pair of fixing members 20 for receiving and rotating on the projection member 13 of the above- (22). That is, the plate 20 is fixed on the vertical bar 10 by the pair of fixing pieces 22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projection member 1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late 20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또한 전술한 플레이트(20) 상에는 다수의 타공(21)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타공(21)은 걸고리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타공(21)에 체결된 걸고리 상에 국자나 머그컵 등 다양한 물품을 걸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perforations 21 are formed on the plate 20 so that the perforations 21 can be engaged with the perforations so that the perforations can be detachably attached. Mugs, and so on.

또한 전술한 플레이트(20)는 자성체(25)가 자력에 의해 탈부착 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따라서 각종 메모지, 영수증 등을 용이하게 고정해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2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magnetic body 25 by magnetic force, so that various memos, receipts, and the like can be easily fixed and stored.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납대(31)의 디귿자형 홈 내에는 도마가 거치되어 보관되고, 한 쌍의 수납공간(32) 내에는 주방세제 및 수세미가 수납된다.As shown in Fig. 11, the knife-like grooves of the storage box 31 are stowed and stored, and the kitchen detergent and the wringer are housed in the pair of storage spaces 32. As shown in Fig.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수직봉(10)이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플레이트(20)의 하부면과 하부장 사이 공간을 사용할 수 없어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vertical bar 1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ink, the space between the lower and lower floors of the plate 20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납장치를 현수함으로써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for a hanging type sink capable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a space between a top and a bottom of a sink when the bottom of the sink is absent, .

또한, 수납장치를 현수함과 동시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주방 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f the kitchen wall by installing the storage device so as to slide right and left at the same time as the suspension, and also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ink, And a sink for a sink.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볼트(99)로 고정 설치되고, 측단면이 디귿자 형상이 서로 대칭되게 연이어진 형상을 가진 제1슬라이딩부재(110)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에 삽입되어 롤러(121)를 매개로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1좌우이동부재(120)와;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1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device for a suspended type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liding member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sliding member 110 ")Wow; A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and moving to the right and left of the upper surface via a roller 121;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양측의 브라켓(212)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전후방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부재(21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슬라이딩홈(211)에 각각 삽입된 슬리브(221)에 결합되어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2좌우이동부재(220)와;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2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device for a suspend-type si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bracket 21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a sink and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211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sliding member 210; A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coupled to the sleeves 221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s 211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and moving left and right of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 상부장의 바닥판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for a hanging sink type sin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310 inserted into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top floor from the front;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1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본 발명의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에 의하면,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주방 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납장치를 현수함으로써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ccording to the hanging type sink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hanging type sink receptacle for assembling completed in this way while sliding i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pace of the kitchen wall can be efficiently used,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ink when there is no lower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9는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pta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pta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k receiving apparatus,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ventional sink receiving apparatus,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sink receiving apparatu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relative terms described on the basis of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such as 'front', 'rear', 'top', 'under', etc. may be replaced with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Th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arbitrarily set in the order mentioned, and the order may be arbitrarily changed as necessary.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sion device for a sink type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볼트(99)로 고정 설치되고, 측단면이 디귿자 형상이 서로 대칭되게 연이어진 형상을 가진 제1슬라이딩부재(110)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에 삽입되어 롤러(121)를 매개로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1좌우이동부재(120)와,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1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to 3, a storage device for a hanging type si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a sink by a bolt 99, and has a side cross- A first left and right moving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and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surface via a roller 121,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and a vertical bar 130 rotatably mount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는, 상부장의 하면에 고정되는 수평상면(111)과, 상기 수평상면(111)의 양측에서 하부로 대칭되게 형성된 양측수직면(112)과, 상기 양측수직면(112)의 하단에서 중앙측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롤러(121)가 좌우로 구르도록 하는 롤러지지면(113)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includes a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both side vertical surfaces 112 formed symmetr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And a roller supporting surface 113 which is formed by b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to the center of the roller 121 so that the roller 121 rolls right and left.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는 2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liding members 11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sliding members 110 so that two or more sliding members 110 can be connected.

즉,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3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상부장의 크기에 따라 3개의 조각, 좌측슬라이딩부재(110a), 중앙슬라이딩부재(110b) 및 우측슬라이딩부재(110c)을 모두 이어서 사용할 수 있고, 상부장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좌측슬라이딩부재(110a)와 우측슬라이딩부재(110c) 만을이어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if three piec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1, the three pieces, the left sliding member 110a, the center sliding member 110b, and the right sliding member 110c are successively used When the size of the top surface is small, only the left sliding member 110a and the right sliding member 110c can be used successively.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는 좌측 및 우측슬라이딩부재(110a, 110c)의 외측면은 상기 롤러(121)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차단막(114)이 절곡되어 있다.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is folded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liding members 110a and 110c are prevented from coming out of the roller 121.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120)는, 상기 롤러(121)가 서로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양측수직판 형상의 롤러지지대(122)와, 상기 롤러지지대(12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123)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includes roller supporting members 122 in the form of both vertical plates fixed to the rollers 121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123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봉 고정부(123)의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수직봉(130)을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함이다.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 bar 123.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to securely support the vertical bar 130 firmly.

상기 수직봉(130)을 용접에 의해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봉(130)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봉 고정부(123)의 상면에 웰드너트(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수직봉(130)을 결합할 수도 있다. When the vertical rod 130 is not fixed by welding,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rod 130 and a weld nut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rod fixing portion 123, (130).

상기 하부고정부재(150)는 상기 수직봉(130)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토퍼부재(151)와, 상기 스토퍼부재(151)에 수평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부재(151)가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152)로 이루어진다. The lower fixing member 150 includes a cylindrical stopper member 151 inserted into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stopper member 151 screwed horizontally to the stopper member 151, And a fixing bolt 152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40 to support the lower body.

즉 고정볼트(152)는 상기 수직봉(13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스토퍼부재(150)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That is, the fixing bolt 152 is a member that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to prevent the stopper member 150 from moving downwar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hanging type sink receptac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그 조립 및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상부장의 하면에 좌측슬라이딩부재(110a)나 우측슬라이딩부재(110c) 중 하나를 먼저 볼트(99)로 고정 설치한다. First,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One of the left sliding member 110a and the right sliding member 110c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with bolts 99 first.

그리고, 제1좌우이동부재(120)의 롤러지지대(122)의 외측에 다수의 롤러(121), 바람직하게는 2개씩 설치하고, 수직봉 고정부(123)에 수직봉(130)을 용접 고정한다. 수직봉(130)의 하단을 통해 플레이트(140)를 삽입하고, 하부고정부재(150)로 고정하여 조립을 완성한다(이하, "플레이트 조립체"라 함). A plurality of rollers 121, preferably two rollers 121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oller support 122 of the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and the vertical bar 130 is welded do. The plate 14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and fixed by the lower fixing member 150 to complete the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ate assembly").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플레이트 조립체를 좌측 또는 우측슬라이딩부재의 중앙을 통해 삽입하여 양측의 롤러(121)를 롤러지지면(113) 위에 얹어 놓아 슬라이딩부재의 내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중앙슬라이딩부재(110b)를 좌측 또는 우측슬라이딩부재의 절개선에 맞대어 볼트(99)로 고정하고, 중앙슬라이딩부재의 옆에 좌측 또는 우측슬라이딩부재를 고정하여 조립을 완성한다(도 3). The assembled plate assembly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left or right sliding member so that the rollers 121 on both sides are placed on the roller supporting surface 113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member. Is fixed by the bolts 99 against the folding of the left or right sliding member and the left or right sliding member is fixed to the side of the central sliding member (FIG. 3).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주방 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납장치를 현수함으로써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suspension unit for hanging sink type sink that has been assembled can be used while sliding i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pace of the kitchen wall can be efficiently used. In addition, there is no case where the bottom of the sink is absent,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can be increas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sion device for a suspension type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양측의 브라켓(212)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전후방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부재(21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슬라이딩홈(211)에 각각 삽입된 슬리브(221)에 결합되어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2좌우이동부재(220)와,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2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4 to 6, the storage device for the suspend-type si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brackets 212 on both si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sleeve 221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211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to mov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surface.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and a vertical bar 13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 .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상부장에 설치되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211)의 양측에 기역자형 브라켓(212)을 측방볼트(98)를 매개로 고정하여 상기 슬리브(221)가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fixed to both sides of a sliding groove 211 symmetrical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via a lateral bolt 98 so as to support the sleeve 221 are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released to the outside.

그리고, 또한 상기 브라켓(212)은 상부장의 하면에 볼트(99)로 고정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상부장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Further, the bracket 21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with bolts 99,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220)는, 상기 슬리브(221)의 사각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걸이부(222)와, 상기 수평걸이부(22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223)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includes a horizontal hook portion 222 formed symmetr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quare groove of the sleeve 221,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223 formed in a box shape and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봉 고정부(223)의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수직봉(130)을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함이다.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 bar 223.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to securely support the vertical bar 130 firmly.

상기 수직봉(130)을 용접에 의해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봉(130)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봉 고정부(223)의 상면에 웰드너트(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수직봉(130)을 결합할 수도 있다. When the vertical bar 130 is not fixed by welding,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weld nut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223, (130).

상기 하부고정부재(150)는 상기 수직봉(130)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토퍼부재(151)와, 상기 스토퍼부재(151)에 수평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부재(151)가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152)로 이루어진다. The lower fixing member 150 includes a cylindrical stopper member 151 inserted into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stopper member 151 screwed horizontally to the stopper member 151, And a fixing bolt 152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40 to support the lower body.

즉 고정볼트(152)는 상기 수직봉(13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스토퍼부재(150)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That is, the fixing bolt 152 is a member that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to prevent the stopper member 150 from moving downwar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그 조립 및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부장의 하면에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설치할 위치를 정하여 브라켓(212) 중 하나를 볼트(99)로 체결하여 설치한다. First,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First, a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is determined, and one of the brackets 212 is fixed by bolts 99.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좌우이동부재(220)의 수평걸이부(222)에 각각 슬리브(221)를 삽입하고, 수직봉 고정부(223)에 수직봉(130)을 용접 고정한다. 수직봉(130)의 하단을 통해 플레이트(140)를 삽입하고, 하부고정부재(150)로 고정하여 조립을 완성한다(이하, "플레이트 조립체"라 함).In this state, the sleeves 221 ar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anging portions 222 of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s 220, and the vertical rods 130 are welded to the vertical rod fixing portions 223. The plate 14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and fixed by the lower fixing member 150 to complete the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ate assembly").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전후방 슬라이딩홈(211)에 상기 플레이트 조립체의 슬리브(221)를 각각 삽입하고,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일측을 상부장의 하면에 설치된 일측의 브라켓(212)에 측방볼트(98)로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결합하여 조립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타측은 타측의 브라켓(212)에 측방볼트(98)로 결합하여 조립을 완성한다(도 6). The sleeve 221 of the plat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sliding grooves 211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a bracket 21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bracket 212 of the other side with the side bolts 98 to complete the assembly 6).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주방 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납장치를 현수함으로써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suspension unit for hanging sink type sink that has been assembled can be used while sliding i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pace of the kitchen wall can be efficiently used. In addition, there is no case where the bottom of the sink is absent,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can be increas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Hereinaft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는, 싱크대 상부장의 바닥판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torage device for a hanging sink type sin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310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into a bottom plate of a sink top elevation,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상기 고정부재(310)는, 싱크대 상부장 바닥판 상부면에 위치하여 볼트(99)로 고정되는 수평고정부(311)와, 상기 수평고정부(311)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전면수직부(312)와, 상기 전면수직부(31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313)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member 310 includes a horizontal fixing part 311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deck of the sink and fixed to the bolt 99 and a front vertical part 312 vertic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fixing part 311,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313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below the front vertical part 312 to connect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봉 고정부(313)의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은, 수직봉(130)을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함이다.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130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ertical rod fixing part 313.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to securely support the vertical bar 130 firmly.

상기 수직봉(130)을 용접에 의해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봉(130)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봉 고정부(313)의 상면에 웰드너트(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수직봉(130)을 결합할 수도 있다. When the vertical bar 130 is not fixed by welding,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weld nut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fixing portion 313, (130).

상기 하부고정부재(150)는 상기 수직봉(130)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토퍼부재(151)와, 상기 스토퍼부재(151)에 수평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부재(151)가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152)로 이루어진다. The lower fixing member 150 includes a cylindrical stopper member 151 inserted into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stopper member 151 screwed horizontally to the stopper member 151, And a fixing bolt 152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40 to support the lower body.

즉 고정볼트(152)는 상기 수직봉(130)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스토퍼부재(150)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That is, the fixing bolt 152 is a member that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to prevent the stopper member 150 from moving downwar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suspending type sink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그 조립 및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고정부재(310)의 수직봉 고정부(313)에 수직봉(130)을 용접 고정한다. 수직봉(130)의 하단을 통해 플레이트(140)를 삽입하고, 하부고정부재(150)로 고정하여 조립을 완성한다(이하, "플레이트 조립체"라 함).First, the assembling and install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vertical bar 130 is welded to the vertical bar fixing portion 313 of the fixing member 310. The plate 14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and fixed by the lower fixing member 150 to complete the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ate assembly").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 조립체를 상부장의 도어를 열고 상부장의 바닥판에 고정부재(310)의 수평고정부(311)를 바닥판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위에서 볼트(99)로 체결하여 조립 설치를 완성한다(도 8). The door of the upper part of the plate assembly is opened and the horizontal fixing part 311 of the fixing member 3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n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part, (Fig. 8).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를 현수함으로써 싱크대의 하부장이 없는 경우나,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볼트의 간단한 체결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 및 설치효율이 향상된다. Since the assembled suspension type suspension device for hanging suspension type suspension is suspende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ink can be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can be made by simple fastening of the bolts. Therefore, The efficiency is improv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be included in the described technical idea.

110 : 제1슬라이딩부재 111 : 수평상면
112 : 양측수직면 113 : 롤러지지면
114 : 차단막 120 : 제1좌우이동부재
121 : 롤러 122 : 롤러지지대
123, 223, 313 : 수직봉 고정부 130 : 수직봉
140 : 플레이트 150 : 하부고정부재
151 : 스토퍼부재 152 : 고정볼트
210 : 제2슬라이딩부재 211 : 슬라이딩홈
212 : 기역자형 브라켓 220 : 제2좌우이동부재
221 : 슬리브 222 : 수평 걸이부
310 : 고정부재 311 : 수평고정부
312 : 전면수직부
110: first sliding member 111: horizontal upper surface
112: Both side vertical surfaces 113: Roller supporting surface
114: a shielding film 120: a first left-right moving member
121: roller 122: roller support
123, 223, 313: vertical bar lifting unit 130: vertical bar
140: plate 150: lower fixing member
151: Stopper member 152: Fixing bolt
210: second sliding member 211: sliding groove
212: operator-type bracket 220: second left-right moving member
221: Sleeve 222: Horizontal hook part
310: fixing member 311: horizontal fixing unit
312: front vertical section

Claims (10)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볼트(99)로 고정 설치되고, 측단면이 디귿자 형상이 서로 대칭되게 연이어진 형상을 가진 제1슬라이딩부재(110)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에 삽입되어 롤러(121)를 매개로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1좌우이동부재(120)와;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1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A first sliding member 11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by a bolt 99 an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and moving to the right and left of the upper surface via a roller 121;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12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는,
상부장의 하면에 고정되는 수평상면(111)과;
상기 수평상면(111)의 양측에서 하부로 대칭되게 형성된 양측수직면(112)과;
상기 양측수직면(112)의 하단에서 중앙측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롤러(121)가 좌우로 구르도록 하는 롤러지지면(113)과;
양측면에 상기 롤러(121)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절곡된 차단막(1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A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ide vertical surfaces 112 formed symmetr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111;
A roller supporting surface 113 which is formed by b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both side vertical surfaces 112 to the center side so that the roller 121 rolls right and left;
And a barrier (114) fold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121) to prevent the roller (121) from escaping out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10)는 2개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liding member (110)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sliding members (110) so that two or more first sliding members (110) can be connected and us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우이동부재(120)는,
상기 롤러(121)가 서로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양측수직판 형상의 롤러지지대(122)와;
상기 롤러지지대(12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left-right moving member (120)
A roller support 122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on both sides where the rollers 121 are fix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123)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below the roller support part (122) to connect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싱크대의 상부장 하면에 양측의 브라켓(212)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전후방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1)이 대칭되게 형성된 제2슬라이딩부재(21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슬라이딩홈(211)에 각각 삽입된 슬리브(221)에 결합되어 상부장의 좌우로 이동하는 제2좌우이동부재(220)와;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22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A second sliding member 210 which is supported by brackets 212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has sliding grooves 211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coupled to the sleeves 221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s 211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and moving left and right of the left and right upper surfaces;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상부장에 설치되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211)의 양측에 기역자형 브라켓(212)을 측방볼트(98)를 매개로 고정하여 상기 슬리브(221)가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212)은 상부장의 하면에 볼트(99)로 고정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상부장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is fixed to both sides of a sliding groove 211 symmetrical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0 through a lateral bolt 98 to fix the operator- 221) is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relea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brackets (212) are fixed by bolts (99)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to fix the second sliding members (210) on the upper surfac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좌우이동부재(220)는,
상기 슬리브(221)의 사각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걸이부(222)와;
상기 수평걸이부(22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2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able member 220 includes:
A horizontal hanger 222 formed symmetr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2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quare grooves of the sleeve 221;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223)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below the horizontal hanger part (222) to connect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싱크대 상부장의 바닥판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결 고정된 수직봉(130)과;
상기 수직봉(13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배면측이 상기 수직봉(130)의 길이방향에 면접되게 위치되는 플레이트(140)와;
상기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직봉(13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재(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A fixing member 310 inserted into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base from the front;
A vertical bar 130 vertical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310;
A plate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130 and positioned rearwardly of the vertical bar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lower fixing member (150) fix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0)는,
싱크대 상부장 바닥판 상부면에 위치하여 볼트(99)로 고정되는 수평고정부(311)와;
상기 수평고정부(311)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전면수직부(312)와;
상기 전면수직부(312)의 하부에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130)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봉 고정부(3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member (310)
A horizontal fixing part 311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bottom floor and is fixed to the bolt 99;
A front vertical portion 312 vertically formed in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11;
And a vertical bar fixing part (313)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below the front vertical part (312) to connect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130).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8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재(150)는,
상기 수직봉(130)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스토퍼부재(151)와;
상기 스토퍼부재(151)에 수평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부재(151)가 플레이트(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8,
The lower fixing member (150)
A cylindrical stopper member 151 inserted into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bar 130;
And a fixing bolt (152) screwed horizontally to the stopper member (151) to fix the stopper member (151)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140).













KR1020160074510A 2016-06-15 2016-06-15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KR201701414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10A KR20170141456A (en) 2016-06-15 2016-06-15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10A KR20170141456A (en) 2016-06-15 2016-06-15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56A true KR20170141456A (en) 2017-12-26

Family

ID=6093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510A KR20170141456A (en) 2016-06-15 2016-06-15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145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382A (en) * 2019-02-25 2020-09-02 곽승구 Suspending Cabi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382A (en) * 2019-02-25 2020-09-02 곽승구 Suspending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8268A (en) Improvements to a table
KR20170141456A (en) Receiving device of suspension type for sink table
JP6182860B2 (en) Table with wiring function
TWM451892U (en) Assembly-type display racks
CN110002002B (en) Folding bracket for helicopter
AU2018100472A4 (en) Barbeque oven
CN215908780U (en) Display base supporting leg pressing folding structure
JP6138456B2 (en) furniture
CN110419907B (en) Portable display stand
JP5295842B2 (en) desk
KR20090075387A (en) Fastening device, stand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CN209149718U (en) A kind of screen frame component and display assembly
JP6680557B2 (en) Furniture system
JP6666204B2 (en) Wiring housing fixtures
CN211388657U (en) Production workbench
JP3131420U (en) Desk structure of double-layer top board
JP6678559B2 (en) Table equipment
JPH07307587A (en) Multistage rack device for computer system
CN218999924U (en) Furniture capable of being folded rapidly
CN208575459U (en) A kind of positioning fixture for workpiece welding
JP7471050B2 (en) Lift table
CN211786576U (en) Projection curtain convenient to adjust
JP6809716B2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KR101986365B1 (en) Drying racks for laundry mounted on window frame
JP2018068958A (en) Cable storage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