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08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084A
KR20170141084A KR1020160074116A KR20160074116A KR20170141084A KR 20170141084 A KR20170141084 A KR 20170141084A KR 1020160074116 A KR1020160074116 A KR 1020160074116A KR 20160074116 A KR20160074116 A KR 20160074116A KR 20170141084 A KR20170141084 A KR 20170141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rod
hole
sub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최동준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1084A/ko
Priority to PCT/KR2017/006043 priority patent/WO2017217705A1/ko
Publication of KR2017014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고정되는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면과 서브 바디를 관통하는 홀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핀과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서브 바디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서브 바디와 상기 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바디와 홀 사이를 밀봉하는 이동 단말기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구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바디는 일 측면에 버튼이 결합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홀과 버튼 사이로 침투한 수분이 메인 바디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구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KR 10-2015-0065506 (2015년06월15일)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이 높은 방수구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고정되는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면과 서브 바디를 관통하는 홀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핀과,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서브 바디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서브 바디와 상기 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바디와 홀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핀과 일체를 이루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서브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는 피시비가 설치되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타측이 가압되면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피시비에 부착된 돔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로드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타측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핀이 상기 서브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일측과 둘레는 상기 탄성재질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로드의 타측을 덮는 탄성재질을 가압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는 내부에 설치되는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연결된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일측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제1 연결핀과, 상기 로드의 타측과 상기 금속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재는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측면 버튼으로 인한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측면 버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방수구조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핀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을 누르기 전의 핀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을 눌렀을 때의 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G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이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H-H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핀이 금속부재 및 피시비와 연결되는 것이 도시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핀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을 누르기 전의 핀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버튼을 눌렀을 때의 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른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일부가 후술하는 케이스(11)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케이스(11)의 외둘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유닛(114,115,116)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14,115,116)은 케이스(11)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작유닛(114,115,116)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케이스(11)의 외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작유닛(114,115,116)은 전원버튼과 복수개의 음량조절버튼을 포함할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복수개의 조작유닛(114,115,116) 중 어느 하나(114)가 전원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복수개의 조작유닛(114,115,116) 중 전원버튼 이외의 복수개(115,116)가 음량조절버튼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음량조절버튼은 어느 하나가 볼륨 업 버튼일 수 있고, 다른 하나가 볼륨 다운 버튼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6)와 윈도우(156)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5)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6)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5)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5)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5)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155)의 화면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55)을 보호하는 윈도우(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56)는 케이스(11)에 장착되어 케이스(1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15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인 윈도우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은 메인 바디(10)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이동 단말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전면(12)과 후면(14)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12)과 후면(14)을 연결하는 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전면(12)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바디(10)의 측면(13)과 후면(14)은 서로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측면(13)에는 제2 홀(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21)에는 버튼(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21)과 버튼(5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내부에는 서브 바디(11)가 포함될 수 있다. 서브 바디(11)는 메인 바디(10) 내부에 고정되는 강체일 수 있다. 서브 바디(11)는 이동 단말기 내부의 부품이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바디(11)는 메인 바디(10)의 측면(13)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서브 바디(11)는 메인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측면(1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홀(21)은 메인 바디(10)의 측면(13)이 가지는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11)를 관통하는 제1 홀(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20)과 제2 홀(21)은 하나의 홀로 이어질 수 있다. 또는 제2 홀(21)의 중심축과 제1 홀(2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홀(20)의 반경과 제2 홀(21)의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홀(21)에는 버튼(50)이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50)을 가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내부로 사용자 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홀(21)과 버튼(50) 사이는 밀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21)로 인해 이동 단말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또는 제1 홀(20)로 인해 이동 단말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내부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분이 유입되면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방수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 홀(20)은 X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21)은 X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1)에는 버튼(50)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홀(20)에는 핀(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20)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으면, 메인 바디(10) 내부의 전자 부품에 수분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21)과 버튼(5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서브 바디(11)와 핀(3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으면 이동 단말기를 방수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홀(2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핀(30)은 일부가 제1 홀(20)에 삽입될 수 있다. 핀(30)은 로드(31), 플랜지(32), 가이드부(33) 및 실링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31)는 길이 방향이 X 방향일 수 있다. 로드(31)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홀(20)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3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로드(31)의 직경은 제1 홀(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로드(31)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로드(31)와 본딩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재(40)는 로드(31)와 마찰로 인해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재(40)와 로드(31)는 일체를 이루며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로드(31)의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링 형상일 수 있고, 로드(31)의 둘레면과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재(40)의 외주면은 제1 홀(20)과 접촉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로드(31)와 제1 홀(2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로 인해 제1 홀(20)을 통해 수분이 서브 바디(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40)는 압력을 받으면 압축되거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40)는 압축되거나 형태가 변형된 경우,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4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재(40)의 직경은 제1 홀(2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로드(31)와 결합되고 제1 홀(20)로 삽입된 실링부재(40)는 압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E 영역은 실링부재(40)가 제1 홀(20)에 삽입되어 압축 또는 변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실링부재(40)는 제1 홀(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핀(30)은 실링부재(40)가 E 영역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 또는 변형된 상태로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30)이 X 방향을 따라 움직이더라도, 실링부재(40)가 압축 또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홀(20)과 핀(3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20)과 핀(3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핀(30)과 제1 홀(2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40c)와 로드(31)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로드(31)의 둘레면을 감싸며 로드(31)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제1 결합부(40a)와 제2 결합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0a)는 X 방향을 따라 실링부(40c)의 앞과 뒤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a)는 X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환형의 고리일 수 있다.
로드(31)는 제1 결합부(40a)가 결합되기 위한 제1 단차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부(31a)는 로드(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a)는 제1 단차부(31a)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0a)는 실링부재(40)와 로드(31)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접착력 또는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0b)는 실링부(40c) 하부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40c) 하부에서 로드(31)의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 로드(31)는 제2 결합부(40b)가 결합되기 위한 제2 단차부(3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부(31b)는 로드(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부(31b)는 제1 단차부(31a)가 형성된 부분에 추가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X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아 로드(31)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0b)는 실링부(40c)를 로드(31)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실링부재(40)가 로드(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30)의 일측에는 플랜지(32)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32)는 핀(30)의 일측 중 서브 바디(11) 내부를 향하는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랜지(32)는 서브 바디(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32)의 직경은 제1 홀(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30)이 X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더라도 서브 바디(11) 외부로 빠져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바디(11) 내부에는 피시비(70)가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70)는 서브 바디(11)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피시비(70)에는 내부 회로의 작동을 위한 돔 스위치(71)가 마련될 수 있다. 돔 스위치(71)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돔 스위치(71)에 외력이 가해지면 돔 스위치(71)는 압축되거나 형태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진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플랜지(32)는 핀(30)이 X 방향을 따라 서브 바디(11)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 돔 스위치(71)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피시비(70)의 돔 스위치(71)는 플랜지(3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피시비(70)의 돔 스위치(71)는 플랜지(32)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32)가 돔 스위치(71)를 가압하면 피시비(70)가 작동할 수 있다.
핀(30)의 일측에는 플랜지(32)가 마련될 수 있고, 핀(30)의 타측에는 가이드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33)는 핀(30)이 제1 홀(20)을 따라 X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부(33)의 직경은 제1 홀(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3)의 직경은 제1 홀(20)의 직경보다 작지만 제1 홀(20)의 직경과 매우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20), 로드(31), 플랜지(32) 및 가이드부(33)의 직경의 크기를 비교하면, 직경은 플랜지(32), 제1 홀(20), 가이드부(33) 및 로드(31)의 순서대로 클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측면(13)에는 제2 홀(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21)에는 버튼(50)이 결합될 수 있다. 버튼(50)은 핀(30)의 일측을 X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는, 버튼(50)은 핀(30)의 가이드부(33)를 X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버튼(50)은 버튼 플랜지(51), 핀(30) 가압부(52) 및 사용자 입력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50) 일측에는 버튼 플랜지(51)가 마련될 수 있다. 버튼 플랜지(51)는 버튼(50)의 일측 중 메인 바디(10) 내부를 향하는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버튼 플랜지(51)는 메인 바디(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플랜지(51)의 직경은 제2 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50)이 X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하더라도 메인 바디(10) 외부로 빠져나지 않을 수 있다.
버튼(50)의 일측에는 버튼 플랜지(51)가 마련될 수 있고, 버튼(50)의 타측에는 사용자 입력부(5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는 메인 바디(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사용자 입력부(53)를 가압할 수 있고, 버튼(50)은 X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버튼 플랜지(51)의 일측은 버튼(50)과 연결될 수 있고, 버튼 플랜지(51)의 타측은 핀(30) 가압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53)를 가압한 경우, 버튼(50)은 X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핀(30) 가압부(52)는 핀(30)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다. 또는, 핀(30) 가압부(52)는 핀(3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부(33)를 가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르기 전과 사용자가 버튼(50)을 눌렀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핀(30)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르기 전, 이동 단말기 외부의 수분은 제2 홀(21)을 통해 메인 바디(10)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은, 제1 홀(20)과 로드(31)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40)로 인해 실링부재(40)와 제1 홀(20)이 접하는 E 영역까지만 침투할 수 있다. 제1 홀(20)과 실링부재(40)가 접하는 E 영역을 기준으로, E 영역의 외부에 해당하는 C 영역은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침수 구역일 수 있다. 그리고 E 영역의 내부에 해당하는 D 영역은 수분이 침투할 수 없는 방수 구역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50)을 눌렀을 때, 버튼(50)은 X 방향으로 이동하고 핀(30)을 가압할 수 있다. 핀(30)의 일측에 마련된 플랜지(32)는 돔 스위치(71)를 가압할 수 있고, 서브 바디(11) 내부에 배치된 피시비(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핀(30)의 실링부재(40)는 핀(30)이 이동한 만큼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E 영역이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E 영역을 기준으로, E 영역의 외부에 해당하는 C 영역은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침수 구역일 수 있다. 그리고 E 영역의 내부에 해당하는 D 영역은 수분이 침투할 수 없는 방수 구역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름으로써, 방수 구역 C와 침수 구역 D가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1 실시 예와 상이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본 발명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G선 단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은 로드(31'), 실링부재(40') 및 플랜지(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40')는 핀(30')과 제1 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와 로드(31')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0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결합부(40a')는 로드(31')의 둘레면을 감싸며 로드(31')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을 따라 실링부의 앞과 뒤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환형의 고리일 수 있다.
로드(31')의 일측에는 플랜지(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40a')는 로드(31')의 타측을 감쌀 수 있다. 결합부(40a')는 로드(31')의 타측을 감싸며 로드(31')와 결합할 수 있다.
로드(31')는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32')를 제외하고, 결합부(40a')로 둘러싸일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재(40')와 로드(31')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접착력 또는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튼은 로드(31')의 타측을 덮는 탄성재질을 가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내부의 돔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이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H-H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핀이 금속부재 및 피시비와 연결되는 것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30'')은 로드(31''), 실링부재(40'') 및 플랜지(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40'')는 핀(30'')과 제1 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와 로드(31'')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0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결합부(40a'')는 로드(31'')의 둘레면을 감싸며 로드(31'')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을 따라 실링부의 앞과 뒤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환형의 고리일 수 있다.
로드(31'')의 일측에는 플랜지(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31'')는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32'')와 타측을 제외하고, 결합부(40a'')로 둘러싸일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재(40'')와 로드(31'')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접착력 또는 접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바디 내부에는 피시비(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서브 바디 내부에는 피시비(70)가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70)는 서브 바디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바디 내부에는 안테나 커넥터(7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서브 바디 내부에는 안테나 커넥터(7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커넥터(72)는 피시비(7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는 일 측면에 금속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재(60)는 제2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금속부재(60)는 일부가 제2 홀에 삽입될 수 있고, 일부가 메인 바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피시비(70)는 제1 연결핀(61)을 통해 핀(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핀(61)은 핀(30'')의 플랜지(32'')와 피시비(70)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핀(61)은 핀(30'')의 플랜지(32'')와 안테나 커넥터(72)를 연결할 수 있다.
금속부재(60)는 제2 연결핀(62)을 통해 핀(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핀(62)은 핀(30'')의 타측과 금속부재(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핀(62)은 제2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핀(6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핀(62)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30'')의 로드(3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30'')의 플랜지(3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31''), 플랜지(32''), 제1 연결핀(61), 제2 연결핀(62) 및 금속부재(60)는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부재(60)는, 제2 연결핀(62)과 로드(31'')와 제1 연결핀(61)을 통해 안테나 커넥터(7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부재(60)는 안테나로 기능할 수 있다.
금속부재(60)는, 제2 연결핀(62)과 로드(31'')와 제1 연결핀(61)을 통해 피시비(7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는 핀(30''')은 로드, 이동가이드 및 플랜지(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서브 바디와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재(40''')는 서브 바디에 형성된 제1 홀(2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는 핀(30''')과 제1 홀(2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부와 제1 홀(20)과 실링부재(40''')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0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40a''')는 실링부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결합부(40a''')는 제1 홀(20)의 둘레면을 감싸며 서브 바디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을 따라 실링부의 앞과 뒤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a''')는 X 방향으로 두께를 갖는 환형의 고리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름으로써 핀(30''')이 X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서브 바디에 결합된 실링부재(40''')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므로, 방수 구역 C와 침수 구역 D가 X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인바디 11: 서브바디
12: 전면 13: 측면
14: 후면 20: 제1 홀
21: 제2 홀 30: 핀
31: 로드 31a: 제1 단차부
31b: 제2 단차부 32: 플랜지
33: 가이드부 40: 실링부재
40a: 제1 결합부 40b: 제2 결합부
40c: 실링부 50: 버튼
51: 버튼 플랜지 52: 핀 가압부
53: 사용자 입력부 60: 금속부재
61: 제1 연결핀 62: 제2 연결핀
70: 피시비 71: 돔 스위치

Claims (10)

  1.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고정되는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면과 서브 바디를 관통하는 홀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에 삽입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핀과;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서브 바디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서브 바디와 상기 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바디와 홀 사이를 밀봉하는 이동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핀과 일체를 이루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서브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는 피시비가 설치되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타측이 가압되면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피시비에 부착된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이동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직경은 상기 홀의 직경보다 큰 이동 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타측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핀이 상기 서브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단말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과 둘레는 상기 탄성재질로 덮인 이동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측을 덮는 탄성재질을 가압할 수 있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내부에 설치되는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에 연결된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메인 바디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금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로드의 일측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제1 연결핀과;
    상기 로드의 타측과 상기 금속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재는 안테나로 기능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74116A 2016-06-14 2016-06-14 이동 단말기 KR20170141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116A KR20170141084A (ko) 2016-06-14 2016-06-14 이동 단말기
PCT/KR2017/006043 WO2017217705A1 (ko) 2016-06-14 2017-06-0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116A KR20170141084A (ko) 2016-06-14 2016-06-1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084A true KR20170141084A (ko) 2017-12-22

Family

ID=6066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116A KR20170141084A (ko) 2016-06-14 2016-06-1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41084A (ko)
WO (1) WO2017217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3905B (zh) * 2018-09-28 2020-12-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防水模組及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93U (ko) * 1998-11-28 2000-06-26 윤종용 방수수단을 갖는 키 입력장치
KR101659020B1 (ko) * 2010-02-18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3258088A (ja) * 2012-06-13 2013-12-26 Sharp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KR102058220B1 (ko) * 2013-09-03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086456A1 (en) * 2014-09-24 2016-03-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Button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05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583B2 (en) Mobile terminal
US9622391B2 (en) Mobile terminal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US20180314091A1 (en) Mobile terminal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10183096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41084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37967A (ko) 이동 단말기
US11856120B2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78371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2020001941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718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9280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09336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