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980A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 Google Patents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980A
KR20170140980A KR1020160073817A KR20160073817A KR20170140980A KR 20170140980 A KR20170140980 A KR 20170140980A KR 1020160073817 A KR1020160073817 A KR 1020160073817A KR 20160073817 A KR20160073817 A KR 20160073817A KR 20170140980 A KR20170140980 A KR 2017014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voltage
lamp
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700B1 (ko
Inventor
박상현
안태호
허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70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05B33/0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21S48/2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는 광출력부;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원 전원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상기 복수의 OLED의 구동을 위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부;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Driving cirtuit for rear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한편, 차량에는 복수의 램프가 포함된다. 이러한, 최근 램프의 광원으로는, LED(Lighting Emitting Diode), LD(Lase Diode)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LED, LD는, 출력되는 광량이 커, 운전자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헤드 램프의 광원으로는 적합하다. 그러나, 높은 광량은 타 차량 운전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어, 타 차량에 다양한 시그널을 전달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는 적합하지 않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광원에 대한 대안으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OLED 소자를 구동하는 회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포함되는 복수의 OLED 소자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또는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는, 복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는 광출력부;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원 전원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상기 복수의 OLED의 구동을 위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부;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OLED 소자를 활용하여, 타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도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복수의 OLED 소자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그널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주변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OLED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회로 소자를 간소화하고, 회로 보드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MCU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시그널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메뉴얼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조향 입력 장치를 통해 조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용 램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200)는, 헤드 램프(210), 브레이크 램프, 테일 렘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backup lamp), 포그 램프(fog lamp), 룸 램프(room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200)는, 헤드 램프(210)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복수의 O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차량(100)의 후미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MCU(Micro Controller Unit)(500)를 포함할 수 있다. MCU(50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개별 점등, 순차 점등, 점등 패턴, 점등 색상 또는 점등시 출력되는 광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복수의 OLED 소자를 제어하여,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차량용 램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광통신 모듈(115) 및 V2X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 회로 또는 RF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1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 모듈(114)은 통신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3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광통신 모듈(1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1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 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V2X 통신 모듈(116)은, 서버 또는 타 차량과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이다. V2X 모듈(116)은 차량간 통신(V2V)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2I)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V2X 통신 모듈(116)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타 차량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장치(121), 마이크로 폰(123) 및 사용자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121)는,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장치(121)는 조향 입력 장치, 쉬프트 입력 장치,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장치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장치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1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2) 또는 마이크로폰(123)는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25)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1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차량(100)의 상태 및 차량의 외부 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35)는, 내부 센싱부(125) 및 외부 센싱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상태를 센싱한다. 내부 센싱부(125)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센싱부(125)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센싱부(125)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의 외부 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 외부 센싱부(126)는,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차선, 타 차량, 보행자, 빛,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주행 차선의 옆 차선에서 주행 하는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교차로에서 차량(100)의 주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주행중인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 교통 표지판,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외부 센싱부(126)는, 카메라(200), 레이더(201), 라이더(202), 초음파 센서(20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모노 카메라(200a)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0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더(201)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201)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레이더(201)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201)는 송신된 전자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201)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라이더(202)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더 (20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OF 방식의 라이더(202)는, 레이저 펄스 신호를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는 반사 펄스 신호를 수신한다. 라이더(202)는, 레이저 펄스 신호가 방출되고 반사 펄스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페이즈쉬프트 방식의 라이더(202)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기초로 시간 및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라이더(202)는, 송신된 레이저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더(202)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03)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03)은, 송신된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03)은 획득된 오브젝트 정보를 제어부(170), 차량 운전 보조 장치(400) 또는 차량용 조명 장치(6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03)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41), 음향 출력부(142) 및 햅틱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다양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프런트 윈드 쉴드(10)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1)는 내비게이션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사용자 입력부(1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1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1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151),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공조 구동부(155), 윈도우 구동부(156), 에어백 구동부(157), 썬루프 구동부(158)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153)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155)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156)는, 차량(1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157)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158)는, 차량(1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159)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부(150)는 샤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시 구동부는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및 서스펜션 구동부(159)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8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200)는, 헤드 램프(210), 턴 시그널 램프(220), 룸 램프(230)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램프(210)는, 차량(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야간에 운전자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광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턴 시그널 램프(220)는, 차량(100)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방향 전환 또는 비상 상황 등의 시그널 표시를 위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룸 램프(230)는, 차량(100)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차량(10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복수의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복수의 OLED 각각을 개별 제어하여,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램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구동 회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400)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입력 전압 조정 장치로 명명될 수도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400)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이하, 구동 회로라 한다.)(400)는, DC-DC 컨버터부(420), 광출력부(430), 레귤레이터부(440), 전압 감지부(910), MCU(Micro Controller Unit)(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구동 회로(4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일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구동 회로(400)에는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인 전원(410)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벅앤부스터 컨버터(Buck-Boost Converter), 축 컨버터(Cuk Converter), 벅 컨버터(Buck Converter) 및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복수의 OLED의 구동에 적합한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MCU(500)는, 전압 감지부(910)로부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걸리는 전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전압 정보에 기초하여, DC-DC 컨버터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 온도에 따라 5V에서 20V 사이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OLED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저온에서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필요하고, 고온에서는 비교적 낮은 전압이 필요하다.
한편, 복수의 OLED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필요 전압값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을 기준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야, 복수의 OLED 소자 전체가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40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필요 전압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을 기준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차량(100)은, 사계절 모두, 실외에서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 차량(100)은 혹한지 혹서지에서 이용된다. OLED 소자를 이용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현하는 경우, 주변 온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OLED 소자를 이용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현하면서도, 각 OLED 소자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광출력부(430)는, 복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복수의 OLED를 이용해,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는 복수의 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군은, 적어도 하나의 O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테일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백업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포그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램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 전압은, OLED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요 전압은, OLED 소자에서 광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OLED 소자에 각각에 매칭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귤레이터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 감지부(91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전압 감지부(910)는, OLED 소자 및 레귤레이터의 연결 노드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노드의 전압은,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에서 OLED 소자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뺀 전압이다.
복수의 OLED 소자와 복수의 레귤레이터가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 노드가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 노드 중 가장 낮은 전압이, 복수의 OLED 소자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일 수 있다.
전압 감지부(910)는, 감지된 전압 정보를 MCU(500)에 제공할 수 있다.
MCU(50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PWM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개별 점등, 순차 점등, 점등 색상 및 점등시 출력되는 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PWM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PWM 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 제어에 따른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은,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MCU(5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페일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는,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발생되는 페일을 감지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는, 도 7b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감지부는, 메인 전원 공급 라인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연결부는,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을 DC-DC 컨버터부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는, 도 7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C-DC 컨버터부(420)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인 전원(410)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에 기초하여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광출력부(43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 상에 어느 지점에 배치되는지 여부, 차량의 외부에 더 근접한지 여부, 발열 소자가 근처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제1 OLED 소자(431a) 및 제2 OLED 소자(431b)의 필요 전압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OLED 소자(431a)의 필요 전압값이 제2 OLED 소자(431b)의 필요 전압값보다 높은 경우, DC-DC 컨버터부(420)는, 제1 OLED 소자(431a) 기준으로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해야 제1 OLED 소자(431a) 및 제2 OLED 소자(431b) 모두 동작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의 개수만큼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는 각각,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연결되어,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한다. 이경우,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한다.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와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가 연결되어 복수의 연결 노드(A,B,..., N)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OLED 소자(431a)와 제1 레귤레이터(441a)가 연결되어 제1 연결 노드(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OLED 소자(431b)와 제2 레귤레이터(441b)가 연결되어 제2 연결 노드(B)를 형성할 수 있다. 제n OLED 소자(431n)와 제n 레귤레이터(441n)가 연결되에 제n 연결 노드(N)를 형성할 수 있다.
MCU(50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는, 메인 전원(410) 또는 제어 신호 제공부(4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MCU(500)는, 제어 신호 제공부(411)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제어 신호(SG)를 MCU(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SG)는, PWM 신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이하, 구동 회로라 한다.)(400)는, DC-DC 컨버터부(420), 광출력부(430), 레귤레이터부(440),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 피드백부(460), 컨버터 보호부(470) 및 MCU(Micro Controller Unit)(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구동 회로(4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일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구동 회로(400)에는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도 6의 구동 회로(400)는, 도 4의 구동 회로(400)에 비해, 전압 감지부(910)가 생략되고,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 피드백부(460), 컨버터 보호부(47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DC-DC 컨버터부(420)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인 전원(410)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복수의 OLED의 구동에 적합한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피드백부(46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을 기초로,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부(420)는, 피드백부(46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이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컨버터 보호부(47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을 기초로,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 온도에 따라 5V에서 20V 사이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OLED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저온에서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필요하고, 고온에서는 비교적 낮은 전압이 필요하다.
한편, 복수의 OLED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필요 전압값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을 기준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야, 복수의 OLED 소자 전체가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400)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필요 전압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을 기준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차량(100)은, 사계절 모두, 실외에서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 차량(100)은 혹한지 혹서지에서 이용된다. OLED 소자를 이용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현하는 경우, 주변 온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는, OLED 소자를 이용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현하면서도, 각 OLED 소자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광출력부(430)는, 복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복수의 OLED를 이용해,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는 복수의 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군은, 적어도 하나의 O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테일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턴 시그널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백업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포그 램프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OLED는, MCU(50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램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 전압은, OLED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요 전압은, OLED 소자에서 광을 출력하게 하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OLED 소자에 각각에 매칭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귤레이터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는, OLED 소자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여, OLED 소자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한다.
만약, 레귤레이터에 한계치 이상의 고전압이 걸리는 경우, 레귤레이터는 파손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의 동작을 위한, 피드백의 기준값은, 레귤레이터 파손 방지를 위한 한계 전압값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광출력부(430)에 포함된 OLED 소자의 개수만큼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 포함된 다이오드는, OLED 소자 및 레귤레이터의 연결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광출력부(430)에 포함되는 OLED 소자, 레귤레이터부(440)에 포함되는 레귤레이터 및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 포함되는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노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이오드 각각은, 광출력부(430)에 포함되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 및 레귤레이터부(440)에 포함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 각각의 연결 노드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복수의 OLED 소자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선별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다이오드 특성에 기초하여, OLED 소자와 레귤레이터의 연결 노드의 최소 전압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노드의 전압은,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에서 OLED 소자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뺀 전압이다.
복수의 OLED 소자와 복수의 레귤레이터가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 노드가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 노드 중 가장 낮은 전압이, 복수의 OLED 소자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일 수 있다.
피드백부(460)는, 광출력부(430)에 포함되는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필요 전압값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부(460)는,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서 선별된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부(460)는, 분압 저항부 및 커패시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압 저항부는,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분압하여, 피드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분압 저항부는,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분압 저항부는, 상기 복수의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DC-DC 컨버터부(420)에서 수용가능한 전압으로 분압할 수 있다.
커패시터부는, 분압 저항부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부는, 리플 또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부는, 피드백의 리플 또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컨버터 보호부(470)는, 복수의 O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페일(fail)이 발생하는 경우, DC-DC 컨버터부(420)를 보호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중 제1 OLED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제1 OLED의 연결선은 개방(open)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경우, 제1 OLED 걸리는 전압(즉, 제1 OLED의 필요 전압)은 무한대가 된다. 또한, 이경우, 제1 OLED와 제1 레귤레이터가 연결되는 노드의 전압은 0V가 된다. 이경우, DC-DC 컨버터부(420)는, 고장난 제1 OLED를 구동하기 위해 출력 전압을 지속적으로 높이게 되어, DC-DC 컨버터부(420)에도 페일(fail)이 발생할 수 있다.
구동 회로(400)는, 컨버터 보호부(47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O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페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DC-DC 컨버터부(470)를 보호할 수 있다.
컨버터 보호부(470)는,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 및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는,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을 제한하는 한계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는, 회로 기판의 복수의 지점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한 제한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는, 복수의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및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NTC 서미스터는, 회로 기판의 복수의 지점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는, 복수의 NTC 서미스터 각각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선별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는,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 및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 중 더 큰 전압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는, 선택된 전압값을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페일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는,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발생되는 페일을 감지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는, 도 7b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MCU(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U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MCU(500) 제어에 따른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은,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감지부는, 메인 전원 공급 라인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연결부는,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을 DC-DC 컨버터부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는, 도 7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DC-DC 컨버터부(420)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인 전원(410)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피드백부(46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FB)을 기초로,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부(420)는, 피드백부(46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이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의 기준값은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 파손 방지를 위한 한계 전압값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420)는, 컨버터 보호부(470)에서 제공되는 피드백(FB)을 기초로, 출력 전압(Vout)을 조정할 수 있다.
광출력부(43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는, 주변 온도에 따라, 필요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 상에 어느 지점에 배치되는지 여부, 차량의 외부에 더 근접한지 여부, 발열 소자가 근처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제1 OLED 소자(431a) 및 제2 OLED 소자(431b)의 필요 전압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OLED 소자(431a)의 필요 전압값이 제2 OLED 소자(431b)의 필요 전압값보다 높은 경우, DC-DC 컨버터부(420)는, 제1 OLED 소자(431a) 기준으로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해야 제1 OLED 소자(431a) 및 제2 OLED 소자(431b) 모두 동작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44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의 개수만큼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는 각각,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연결되어,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한다. 이경우,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한다.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와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가 연결되어 복수의 연결 노드(A,B,..., N)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OLED 소자(431a)와 제1 레귤레이터(441a)가 연결되어 제1 연결 노드(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OLED 소자(431b)와 제2 레귤레이터(441b)가 연결되어 제2 연결 노드(B)를 형성할 수 있다. 제n OLED 소자(431n)와 제n 레귤레이터(441n)가 연결되에 제n 연결 노드(N)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복수의 다이오드(451a, 451b,..., 451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또는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의 개수만큼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451a, 451b,..., 451n)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및 복수의 레귤레이터(441a, 441b,..., 441n)의 연결 노드(A,B,...,N)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다이오드(451a)는, 제1 연결 노드(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451b)는, 제2 연결 노드(B)에 연결될 수 있다. 제n 다이오드(451c)는, 제3 연결 노드(N)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451a, 451b,..., 451n) 각각의 캐소드는 복수의 연결 노드(A,B,...,N) 방향으로 배치되고, 애노드는 피드백부(460)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다이오드 소자의 특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선별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는 복수의 연결 노드(A,B,...,N)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작은 전압을 선별하여, 피드백부(460)에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노드(A,B,...,N)에 각각 걸리는 전압은,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Vout)에서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뺀 전압이다.
복수의 연결 노드 중 가장 낮은 전압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OLED 소자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에 대응된다.
피드백부(460)는,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 431n) 각각의 필요 전압 중, 가장 높은 필요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부(460)는,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서 선별된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 분압 저항부(461), 커패시터부(462) 및 저항 소자(463)가 연결되어 피드백 노드(a)를 형성할 수 있다.
피드백 노드(a)에는,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50)에서 선별된 전압이 걸릴 수 있다.
분압 저항부(461)는 피드백 노드(a)에 걸린 전압을 분압하여, DC-DC 컨버터부(420)에 출력할 수 있다.
커패시터부(462)는, 분압 저항부(461)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부(462)는, 리플 또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부(462는, 피드백 노드(a)에 걸리는 전압의 리플 또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컨버터 보호부(470)는, 복수의 O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페일(fail)이 발생하는 경우, DC-DC 컨버터부(420)를 보호할 수 있다.
컨버터 보호부(470)는,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 및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는,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을 제한하는 한계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는, DC-DC 컨버터부(420)의 출력 전압이 한계 전압값을 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는, 분압 저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압 저항부의 제1 저항(481)과 제2 저항(482)은 연결되어 한계 전압 노드(b)를 형성한다. 한계 전압 노드(b)에는 출력 전압(Vout)이 분압된 전압이 걸린다.
제1 출력 전안 제한부(480)에 포함된 분압 저항부는, 한계 전압값을 DC-DC 컨버터부(420)에서 수용 가능한 전압으로 분압할 수 있다.
분압된 한계 전압값은,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는, 회로 기판의 복수의 지점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한 제한 전압값의 정보를 DC-DC 컨버터부(420)에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는, 복수의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491) 및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9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는, 회로 기판의 복수의 지점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는, 회로 기판 중 저온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상에서 주변에 발열 소자가 없는 지점이나 차량의 외부에 근접한 지점 등에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92)는,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 각각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선별할 수 있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92)는, 회로 기판상에서,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가 배치된 지점 중 가장 저온인 지점을 선별할 수 있다.
NTC 서미스터(491)는, 온도상승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는 성질을 갖는다. NTC 서미스터(491)가 설치된 복수의 지점 중에서 가장 저온인 지점에 NTC 서미스터(491)의 저항값이 최대가 된다.
다이오드 앤드 게이트(492)는, 출력 전압(Vout)에서 복수의 NTC 서미스터(491) 각각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뺀 전압 중 가장 낮은 전압을 선별하여,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는,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 및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 중 더 큰 전압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는, 선택된 전압값을 DC-DC 컨버터부(4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오어 게이트(497)는,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와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 중 제2 출력 전압 제한부(49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우선하여 DC-DC 컨버터부(420)에 출력하되, 출력 전압(Vout)이 제1 출력 전압 제한부(480)의 한계 전압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 7b에 예시된 구동 회로는, 도 5 또는 도 7a에 예시된 구동 회로에 비해, 페일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도 7b에 예시된 구동 회로는, 도 5 또는 도 7a에 예시된 구동 회로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b을 참조하여, 페일 감지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페일 감지부(600)는,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발생되는 페일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리니어 레귤레이터(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레귤레이터(640)는, 페일 감지부(600)에 정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600)는, 오픈 감지부(610), 래치(Latch) 회로부(620), 정전류 회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 감지부(610)는, 제1 트랜지스터(Q1),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1 트랜지스터(Q1) 및 제2 트랜지스터(Q2) 사이에 배치되는 딜레이 회로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회로부(620)는,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4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류 회로부(630)는, 정전류원(631) 및 제5 트랜지스터(Q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가 모두 정상으로 동작되는 경우, 피드백으로 제공되는 전압값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Q2)가 온(on)되고, 제1 트랜지스터(Q1)가 오프(off)되고, 제4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고, 제3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제5 트랜지스터(Q5)가 온되어 정전류원(631)에 의해 전류가 흐른다.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정전류원(631)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가 모두 정상으로 동작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페일(fail)이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으로 출력되는 전압이 0V 또는 0V에 가까운 값이 된다. 이경우, 연속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 제4 트랜지스터(Q4)가 온, 제3 트랜지스터(Q3)가 온, 제5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어, 정전류원(631)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정전류원(631)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지 못하여,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페일(fail)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차량(100)의 제어부(170)에 페일 발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의 제어부(170)는, 출력부(140)를 통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의 페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딜레이 회로부(611)는, 피드백부(46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아닌, 리니어 레귤레이터(640)에서 제공되는 전압값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Q1)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래치 회로부(620)는, 제1 트랜지스터(Q1)에 의해 한번 동작되면, 리셋되기 전까지 제5 트랜지스터(Q5)를 오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c에 예시된 구동 회로는, 도 5, 도 7a 또는 도 7b에 예시된 구동 회로에 비해,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도 7c에 예시된 구동 회로는, 도 5, 도 7a 또는 도 7b에 예시된 구동 회로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c를 참조하여, MCU, 메인 전원 감지부 및 비상 전원 연결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MCU(50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 MCU(500)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표현되나, 이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MCU(500)는, 다른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MCU(500)는, 리니어 레귤레이터(64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광출력부(430) 및 레귤레이터부(440)와 연결되어, 복수의 OLED 소자(431a, 431b,...,431n)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400)는, 메인 전원 감지부(710) 및 비상 전원 연결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감지부(710)는, 메인 전원 공급 라인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메인 감지부(710)는,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제3 저항(R3), 제1 다이오드(D1),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연결부(720)는,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을 DC-DC 컨버터부에 제공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연결부(720)는,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제1 커패시터(C1)와 직렬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D1)는, 메인 전원(410)에 연결된다.
메인 전원(410) 라인이 정상적인 경우, 제1 다이오드(D1)에 의해 전류가 흐르고, 제1 커패시터(C1)에 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메인 전원(410) 라인이 정상적인 경우, 제1 트랜지스터(Q1)은 턴 온(Turn on)되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Turn off)가 되고, 제3 트랜지스터(Q3)는 턴 오프된다.
한편, 제2 저항(R2)는, 제1 다이오드(D1)와 병렬 연결된다. 제2 저항(R2)은 방전 저항으로, 외부 고압 서지성 입력이 긴 시간 입력될 때, 제1 커패시터(C1)의 내압 초과를 방지한다.
메인 전원(410) 라인이 비정상적인 경우, 제1 트랜지스터(Q1)이 턴 오프된다. 이경우, 제1 커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이 제2 트랜지스터(Q2)에 인가되어, 제2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고, 제3 트랜지스터가 턴 온된다. 이경우,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을 DC-DC 컨버터부(420)에 제공한다.
제어 신호 제공부(411)는, 제어 신호(SG)를 MCU(5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SG)는, PWM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전원(410) 라인이 비정상적인 경우, 제어 신호 제공부(411)와 DC-DC 컨버터부(420)가 연결되어,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이 DC-DC 컨버터부(42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시그널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MCU(500)는, 제어 신호 제공부(411)로부터 PWM 신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MCU(500)는 제공받은 PWM 신호에 따라 복수의 OLED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PWM 신호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CU(500)는 미리 약속된 PWM 신호에 매칭되는 복수의 OLED 소자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좌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L) 및 우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3에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는, 6개의 OLED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OLED 개수에는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3에서는, 좌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L)만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우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R)도 좌측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300L)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CU(500)는 복수의 OLED 소자(SL1 내지 SL6) 전부를 (Turn on) 시킨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MCU(500)는 복수의 OLED 소자(SL1 내지 SL6) 전부를 (Turn off) 시킨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a% 듀티비(duty rate)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CU(500)는, 제5 내지 제6 OLED 소자(SL5, SL6)를 턴 온 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제3 내지 제4 OLED 소자(SL3, SL4)를 턴 온 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기 설정 시간 경과후, 제1 내지 제2 OLED 소자(SL1, SL2)를 턴 온 시킨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b% 듀티비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CU(500)는, 제5 내지 제6 OLED 소자(SL5, SL6)를 턴 오프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제3 내지 제4 OLED 소자(SL3, SL4)를 턴 오프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제1 내지 제2 OLED 소자(SL1, SL2)를 턴 오프 시킨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c% 듀티비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CU(500)는, 제6 OLED 소자(SL6)를 턴 온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제4 OLED 소자(SL4)를 턴 온 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제2 OLED 소자(SL2)를 턴 온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의 OLED 소자를 순차적으로 턴온 시켜, 턴 시그널 램프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d% 듀티비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MCU(500)는, 제1, 제3 및 제5 OLED 소자(SL1, SL3, SL5)를 턴 온 시킨 상태에서, 제6 OLED 소자(SL6)를 턴 온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제4 OLED 소자(SL4)를 턴 온 시킨다. 이후에, MCU(500)는 제2 OLED 소자(SL2)를 턴 온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의 OLED 소자를 순차적으로 턴온 시켜, 테일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턴 시그널 램프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200 : 차량용 램프
300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400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Claims (10)

  1. 복수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는 광출력부;
    차량용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메원 전원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상기 복수의 OLED의 구동을 위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부;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레귤레이터가 포함되는 레귤레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개별 점등, 순차 점등, 점등 색상, 점등시 출력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포그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동작되게 제어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의 광출력 패턴을 제어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발생되는 페일을 감지하는 페일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 공급 라인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전원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 제공을 위한 전압을 상기 DC-DC 컨버터부에 제공하는 비상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OLED 소자 각각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부는,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감지된 복수의 OLED 소자에 걸리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1020160073817A 2016-06-14 2016-06-14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KR10185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17A KR101858700B1 (ko) 2016-06-14 2016-06-14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17A KR101858700B1 (ko) 2016-06-14 2016-06-14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80A true KR20170140980A (ko) 2017-12-22
KR101858700B1 KR101858700B1 (ko) 2018-06-28

Family

ID=6093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17A KR101858700B1 (ko) 2016-06-14 2016-06-14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4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90A (ko) * 2008-07-08 2010-01-18 영화테크(주) 고장진단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의 정션 박스
JP2014511665A (ja) * 2011-02-18 2014-05-15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過電流保護装置および電源スイッチを操作する方法
KR20150014591A (ko) * 2013-07-30 2015-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cu를 이용한 발광소자 구동 장치
KR20150120229A (ko) * 2014-04-17 2015-10-27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KR20150129194A (ko) * 2014-05-09 2015-11-19 전자부품연구원 능동형 역률 보정 회로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90A (ko) * 2008-07-08 2010-01-18 영화테크(주) 고장진단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의 정션 박스
JP2014511665A (ja) * 2011-02-18 2014-05-15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過電流保護装置および電源スイッチを操作する方法
KR20150014591A (ko) * 2013-07-30 2015-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cu를 이용한 발광소자 구동 장치
KR20150120229A (ko) * 2014-04-17 2015-10-27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KR20150129194A (ko) * 2014-05-09 2015-11-19 전자부품연구원 능동형 역률 보정 회로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4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70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889B1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입력 전압 안정화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US9969320B2 (en) Lamp and autonomous vehicle
EP3190005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047925B2 (en) Headlamp for vehicle
KR10201359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9507994B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以及控制该车辆的方法
US1069113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745016B2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US1130565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and method thereof
US1042139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125941B2 (e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18230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185869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20170004144A (ko) 차량 주행 보조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377022B2 (en) Adaptive headlights
KR101858700B1 (ko)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동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KR101768501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2018002075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7038B1 (ko) 에너지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303822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backup lighting vis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