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939A -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939A
KR20170140939A KR1020160073716A KR20160073716A KR20170140939A KR 20170140939 A KR20170140939 A KR 20170140939A KR 1020160073716 A KR1020160073716 A KR 1020160073716A KR 20160073716 A KR20160073716 A KR 20160073716A KR 20170140939 A KR20170140939 A KR 2017014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operation unit
sterilization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289B1 (ko
Inventor
박종오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6007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2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는 정수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정수를 출수하고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유로부; 상기 출수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살균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출수관의 하측 말단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조작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출수 가능 신호를,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경우 살균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수 가능 신호 및 살균신호를 전달 받아 출수 가능 모드 및 살균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정수기 코크를 포함하는 출수관 측을 자외선 발광장치에 의하여 살균함과 동시에 살균 시 출수관을 차단하여 출수관의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COCK STERILIZATION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 코크를 포함하는 출수관 측을 자외선 발광장치에 의하여 살균함과 동시에 살균 시 출수관의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기업, 관공서 등에는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정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 불순물을 여과시켜 정수하며, 여과된 정수는 정수기 내부 유로를 거쳐 코크로 최종 출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수기 내부의 정수는 정수 필터들에 의해 정화된 상태이지만,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균들의 증식에 의해 저수조, 유로 등이 오염될 수 있고, 때문에 정수기 업체는 일정 기간마다 자사 정수기가 설치된 곳을 방문하여 정수기를 살균 또는 세정 등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수기의 유로 중, 특히 정수가 출수되는 정수기 코크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정수기의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기름, 먼지, 각종 세균 등에 의한 오염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정수기 업체에서 제공하는 살균 또는 세정 서비스만으로는 오염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 코크를 포함하는 출수관 측을 자외선 발광장치에 의하여 살균함과 동시에 살균 시 출수관을 차단하여 출수관의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는 정수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정수를 출수하고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유로부; 상기 출수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살균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출수관의 하측 말단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조작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출수 가능 신호를,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경우 살균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수 가능 신호 및 살균신호를 전달 받아 출수 가능 모드 및 살균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 발광장치는 자외선 C를 발하는 엘이디 발광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출수관의 개구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 사이에 수직 배치되는 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관의 개구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 사이에 자외선 투과가 가능한 차단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조작부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출수관 말단을 차단하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출수관 말단에 밀리는 가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접촉면에 근접하게,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홀 센서 및 마그넷, 또는 마그넷 및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하 이동에 따른 상기 홀 센서와 상기 마그넷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슬라이딩 힌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에 의하면, 정수기 코크를 포함하는 출수관 측을 자외선 발광장치에 의하여 살균함과 동시에 살균 시 출수관을 차단하여 출수관의 외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가 적용된 정수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정수기 살균 시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의 외부 작동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 은 정수기 사용 시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의 외부 작동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살균 시의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은 도 3 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사용 시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7 은 도 2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살균 시 센싱부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도 3 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사용 시 센싱부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가 적용된 정수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정수기 살균 시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의 외부 작동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 은 정수기 사용 시 정수기 살균장치의 외부 작동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정수기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100)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00)에 설치되는 조작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정수기(1)의 코크 측 유로, 즉 정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하여 출수되는 측 유로를 살균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조작부(200)가 고정부(100)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향 또는 상향 작동되어 사용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조작부(200)가 하향 작동되는 경우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살균모드로 전환되게 되고, 정수기를 살균한다. 또한, 도 3 을 참조하면, 조작부(200)가 상향 작동되는 경우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살균을 중단하고 출수 가능 모드로 전환되게 되고, 사용자가 별도의 출수 버튼 등을 조작에 의하여 정수를 출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2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살균 시의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이며, 도 6 은 도 3 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사용 시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20)는 고정부(100) 및 조작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또는 조작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부(300), 살균부(400), 차단부(500), 센싱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센싱부(600)는 도 7 및 도 8 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유로부(300)는 출수관(320), 개구(3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0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출수관(320)은 조작부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출수관(320)은 고정부(100)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정수 공급관(3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 공급관(310)으로부터 정수가 공급되어 상기 출수관(320)으로 정수가 출수된다.
상기 개구(330)는 상기 출수관(3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로부(300)는 상기 출수관(320)의 하측 말단에 결합되는 코크(340) 및 데코 코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400)는 자외선 발광장치(420)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는 상기 출수관(3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300)를 살균한다.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는 자외선 C(UVC, ultraviolet C)를 발하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장치일 수 있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자외선 A, 자외선 B 및 자외선 C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 C는 가장 파장이 짧고 큰 에너지를 가지므로, 유로부(300)의 살균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400)는 상기 출수관(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330)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 사이에 수직 배치되는 관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부(460)를 통하여 자외선 발광장치(420)가 발하는 자외선이 상기 유로부(300)를 살균한다.
상기 관부(46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유로부(300)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부(300)에는 고온의 정수가 흐를 수 있는데, 상기 유로부(300)에 흐르는 고온의 정수가 가지는 열이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에 전달되는 것이 상기 관부(460)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400)는 차단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40)는 상기 출수관(320)에 형성되는 개구(330)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 사이에 배치되고 자외선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재(440)는 석영,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40)에 의하여 상기 유로부(300)를 흐르는 정수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에 튀거나 묻는 것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300)를 흐르는 정수가 고온의 정수인 경우, 상기 고온의 정수가 가지는 열이나, 고온의 정수에 의한 증기 등이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440)의 둘레면은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킹부재(430)에 둘러싸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와 상기 개구(330)가 보다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부(400)는,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의 상면을 덮는 자외선 발광장치 커버(410)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420)를 지지하며 상기 차단부재(440)가 설치되는 자외선 발광장치 홀더(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500)는 가림부재(510) 및 탄성부재(520)를 포함한다.
상기 가림부재(510)는, 상기 조작부(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조작부(2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520)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출수관(320) 하측 말단을 차단하며(도 5 참조), 상기 조작부(20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출수관(320) 말단에 밀리도록 설치된다(도 6 참조).
이하, 조작부(200)의 작동에 따른 살균 모드 및 출수 가능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조작부(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향 작동되는 경우, 이후 설명한 센싱부에 의하여 살균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자외선 발광장치(420)를 작동시키게 되고, 자외선 발광장치(420)가 발하는 자외선(422)은 유로부(300)를 살균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출수 버튼 등을 조작하여도 출수를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조작부(200)가 하향 작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500)의 가림부재(510)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출수관(320)의 하측 말단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자외선 발광장치(420)가 발하는 자외선(42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자외선(422)이 사용자의 시력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상기 출수관(320)을 오염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조작부(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향 작동되는 경우, 이후 설명한 센싱부에 의하여 출수 가능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는, 자외선 발광장치(4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출수 버튼 등을 조작하는 경우에 출수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조작부(200)가 상향 작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500)의 가림부재(510)는 상기 출수관(320)의 하측 말단에 밀려 나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출수관(320) 하측 말단이 외부에 노출되게 되고, 사용자가 출수 버튼 등을 별도 조작하는 경우 출수관(320)으로부터 정수가 정상적으로 출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조작부(200) 사이에는 슬라이딩 힌지(7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힌지(700)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반자동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7 은 도 2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살균 시 센싱부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은 도 3 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정수기 사용 시 센싱부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센싱부(600)는 상기 조작부(200)가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출수 가능신호를, 상기 조작부(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경우 제어부에 살균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600)는 마그넷(610) 및 홀센서(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620)는 상기 조작부(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넷(610) 및 상기 홀센서(620)는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조작부(200)의 접촉면에 근접하게,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조작부(200)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20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마그넷(610)와 상기 홀센서(620)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에, 상기 홀센서(620)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게 되고, 상기 홀센서(620)는 상기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살균 신호(도 7 참조) 또는 출수 가능 신호(도 8 참조)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홀센서(620)의 하측 센서(624)가 마그넷(610)과 근접됨으로써, 상기 홀센서(620)는 살균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 을 참조하면, 홀센서(620)의 상측 센서(622)가 마그넷(610)과 근접됨으로써, 상기 홀센서(620)는 출수 가능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 에서는 마그넷(610) 및 홀센서(620)가 각각 조작부(200) 및 고정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마그넷(610) 및 홀센서(620)가 각각 고정부(100) 및 조작부(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1 : 정수기 10 : 정수기 본체
20 :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100 : 고정부
200 : 조작부 300 : 유로부
400 : 살균부 500 : 차단부
600 : 센싱부 700 : 슬라이딩 힌지

Claims (7)

  1. 정수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정수를 출수하고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 설치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유로부;
    상기 출수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살균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출수관의 하측 말단을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조작부가 상측으로 이동된 경우 출수 가능 신호를, 상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경우 살균 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수 가능 신호 및 살균신호를 전달 받아 출수 가능 모드 및 살균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발광장치는 자외선 C를 발하는 엘이디 발광장치인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출수관의 개구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 사이에 수직 배치되는 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의 개구와 상기 자외선 발광장치 사이에 자외선 투과가 가능한 차단부재가 배치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조작부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출수관 말단을 차단하며, 조작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출수관 말단에 밀리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접촉면에 근접하게,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홀 센서 및 마그넷, 또는 마그넷 및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하 이동에 따른 상기 홀 센서와 상기 마그넷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슬라이딩 힌지가 배치되는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KR1020160073716A 2016-06-14 2016-06-14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KR10181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16A KR101812289B1 (ko) 2016-06-14 2016-06-14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16A KR101812289B1 (ko) 2016-06-14 2016-06-14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39A true KR20170140939A (ko) 2017-12-22
KR101812289B1 KR101812289B1 (ko) 2017-12-26

Family

ID=6093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716A KR101812289B1 (ko) 2016-06-14 2016-06-14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06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66Y1 (ko) * 2005-05-24 2005-08-17 주식회사 맥코이 이온수기의 살균장치
KR101176512B1 (ko) * 2012-02-21 2012-08-24 (주)케이에스피 유속감지에 의한 직류 전원제어의 살균장치를 이용한 냉온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06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289B1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8292C (en) Treatment system for liquids and interior surfaces of a fixture
DK2571534T3 (en) ULTRAVIOLET BEVERAGE DISPENSER DISINFECTOR
US10137213B2 (en) UV disinfecting system for a dental operatory
JP4417374B2 (ja) 液体殺菌装置
WO2010104096A1 (ja) 浄水器
EP3387192A1 (en) An apparatus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KR20130008433A (ko)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101812289B1 (ko)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KR20100136797A (ko)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KR20170051859A (ko)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697046B1 (ko) 광촉매 살균정수기
KR20100131802A (ko) 코크
JP2010088826A (ja) 通水管路の紫外線殺菌装置
KR101906530B1 (ko) 정수기 코크 자동 살균장치
KR101031684B1 (ko)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KR102052576B1 (ko) 정수기 코크 살균장치
CN212127601U (zh) 净水器用取水水龙头单元及具备其的净水器
KR100694873B1 (ko) 정수기
JP2018033744A (ja) 殺菌装置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WO2011103269A1 (en) Radiation delivery systems for fluid and vessel decontamination
KR920005417Y1 (ko) 정수기의 작동제어장치
KR101684613B1 (ko) 씽크대의 자외선 살균을 위한 배수구 커버
CN211688376U (zh) 一种紫外杀菌装置
KR20200093287A (ko) 정수 스트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