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64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641A
KR20170138641A KR1020160070666A KR20160070666A KR20170138641A KR 20170138641 A KR20170138641 A KR 20170138641A KR 1020160070666 A KR1020160070666 A KR 1020160070666A KR 20160070666 A KR20160070666 A KR 20160070666A KR 20170138641 A KR20170138641 A KR 2017013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unit
selectively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513B1 (ko
Inventor
정문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513B1/ko
Priority to US15/488,036 priority patent/US10006691B2/en
Priority to EP17172225.9A priority patent/EP3255363B1/en
Priority to CN201710425323.9A priority patent/CN107477960B/zh
Publication of KR2017013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6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tilting of th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operate)시키는 제1 힌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도어를 가진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저장실에는 선반이 구비되어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다. 저장실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의 배면에는 저장실에 배치되는 선반과는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포켓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포켓은 제1 도어의 배면에 마련되므로 일반적으로 제1 도어를 개방하여야 접근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도어 포켓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1 도어에 별도의 제2 도어가 마련되는 냉장고가 있다. 이러한 제2 도어를 갖는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고 단지 제2 도어만을 개방하여 도어의 배면에 마련된 도어 포켓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식품 보관의 다양성이 향상되고 냉기 보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도어와 제2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분리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상호 고정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래치유닛을 힌지유닛과 인접한 사공간에 배치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래치유닛을 가리는 별도의 커버 없이도 높은 수준의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operate)시키는 푸시부를 갖는 제1 힌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상호 연결 및 고정하고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레버(latch lever); 및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 레버에 회전력을 가하는 토션부재(torsion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도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푸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power transmission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는 그 배면에 상기 제1 연결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래치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힌지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 힌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자동 닫힘 레버(auto close lever); 및 상기 자동 닫힘 레버의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롤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래치유닛을 밀어 회전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제1 푸시면 및 상기 래치유닛을 밀어 회전시키는 제2 푸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 힌지유닛; 및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소정 각도만큼 닫히면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자동 닫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레버; 및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 레버에 회전력을 가하는 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부재의 회전력은 상기 래치 레버와 상기 제1 힌지유닛이 접촉한 경우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1 힌지유닛으로부터 받는 힘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유닛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푸시면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 푸시면을 갖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닫힘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자동 닫힘 레버; 및 상기 자동 닫힘 레버의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힌지유닛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 힌지유닛; 및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푸시부재(push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래치유닛을 힌지유닛과 인접한 사공간에 배치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래치유닛을 가리는 별도의 커버 없이도 높은 수준의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함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2 도어 중 하나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과 래치유닛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과 자동 닫힘 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는 닫혀있고, 제2 도어만 열린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함께 열린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 및 래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 및 래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가 모두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1)의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20)가 함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1)의 제2 도어(120) 중 하나의 제2 도어(12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22, 23, 24)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파티션(15)은 저장실(20) 내부에 가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로 분할하는 제1 파티션(17)과, 하부 저장실(23, 24)에 세로로 결합되어 하부 저장실(23, 24)을 제1 저장실(23)과 제2 저장실(24)로 분할하는 제2 파티션(19)을 포함한다.
제1 파티션(17)과 제2 파티션(19)이 결합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파티션(15)은 저장실(20)을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 중 상부 저장실(22)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3, 24)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 24)은 전체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실(20)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실(22, 23, 24)은 상기의 구성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냉장실(22)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유닛(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유닛(100)은 제1 도어 손잡이(111) 또는 제2 도어 손잡이(121)를 포함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유닛 손잡이(101)를 통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유닛(100)의 회전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냉동실(24)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유닛(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유닛(30)은 한 쌍의 냉동실 도어유닛 손잡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24)을 개폐하는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도어유닛(100)과 한 쌍의 냉동실 도어(30)는 개방된 본체(10)의 본체개구부(10a)를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유닛(100)과 한 쌍의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102, 32)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선반(102, 32)은 각각의 도어선반(102, 32)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의 도어선반(102)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도어유닛(10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103, 33)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103, 33)는 별도의 구성으로 각각의 도어유닛(100, 3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도어유닛(100, 3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도어유닛(100, 30)의 배면 테두리에는 각각의 도어유닛(100, 100', 30)이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1 가스켓(104, 34)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스켓(104, 34)은 도어유닛(100, 30)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유닛(100)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도어유닛(100)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도어유닛(100)을 도어유닛(100)이라 칭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어유닛(100)은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도어유닛(10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의 우측에 배치된 도어유닛(1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냉동실 도어(3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어유닛(100)은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20)를 포함하는 이중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110)는 제1 힌지유닛(130)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10)의 본체개구부(10a)를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도어선반(102)과, 선반지지부(103)와, 제1 가스켓(104)은 제1 도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110)는 제1 도어(110)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도어 손잡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손잡이(111)는 제1 힌지유닛(130)과 연결된 제1 도어(110)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어 손잡이(111)는 후술할 제2 도어 손잡이(121)가 형성하는 제2 손잡이 공간(121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도어 손잡이(111)는 제1 손잡이 공간(111a)을 형성하며, 사용자는 제1 손잡이 공간(111a)을 통해 제1 도어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제1 도어(110)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 손잡이(111)를 통해 도어유닛(10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110)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2 도어(120)도 함께 개방된다.
제1 도어(110)는 제1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선반(102)에 접근하여 식품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도어개구(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도어개구(112)는 제1 도어(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후술할 제2 도어(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110)는 본체(10)에 설치되며, 제1 도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1 도어(11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 힌지유닛(130)과, 제2 도어(1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래치유닛(140)과, 제2 도어(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2 도어(1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 힌지유닛(150)과, 제1 도어(110)가 소정 각도만큼 닫히면 제1 도어(110)를 본체(10)를 향해 가압하여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자동 닫힘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유닛(130)과, 래치유닛(140)과, 힌지유닛(150)과, 자동 닫힘 장치(160)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서술한다.
제2 도어(120)는 제1 도어(110)의 제1 도어개구(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110)의 전방에 마련되며, 제1 도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도어(120)는 제1 도어(110)에 설치된 제2 힌지유닛(1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도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도어(120)는 제2 힌지유닛(150)이 본체(10)에 설치되어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도어(120)는 제2 도어(120)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도어 손잡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 손잡이(121)는 제2 힌지유닛(150)과 연결된 제2 도어(120)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어 손잡이(121)는 제1 도어 손잡이(111)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도어 손잡이(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어 손잡이(121)는 제2 손잡이 공간(121a)을 형성하며, 사용자는 제2 손잡이 공간(121a)을 통해 제2 도어 손잡이(121)를 파지하여 제2 도어(120)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도어 손잡이(121)를 통해 도어유닛(10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1 도어(110)는 개방되지 않고, 제2 도어(120)만 개방될 수 있다.
제2 도어(120)는 제1 도어(110)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가스켓(122,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켓(122)은 제2 도어(120)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도어(120)는 후술할 래치유닛(140)의 제1 연결부(143)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고정되는 제2 연결부(123,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제2 도어(120)는 제2 힌지유닛(15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공(124,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힌지유닛(150)의 제2 회전샤프트(151)는 제2 힌지공(1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도어(120)는 제2 회전샤프트(15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도어(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도어(120)는 제2 도어(120)의 회전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2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힌지유닛(15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힌지공(124)은 삽입공간(12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닫힌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과 래치유닛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과 자동 닫힘 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는 닫혀있고, 제2 도어만 열린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함께 열린 경우, 래치유닛과 힌지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힌지유닛(130)은 그 일부가 본체(10)에 고정되어 제1 도어(1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힌지유닛(130)은 제1 도어(110)의 제1 힌지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회전샤프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도어(110)는 제1 회전샤프트(131)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힌지유닛(130)은 제1 도어(11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래치유닛(1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래치유닛(140)을 가압하여 래치유닛(140)을 작동시키는 푸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132)는 제1 회전샤프트(13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래치유닛(1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치유닛(140)을 가압하는 제1 푸시면(133)과, 자동 닫힘 장치(16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자동 닫힘 장치(160)를 가압하는 제2 푸시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푸시부(132)는 그 단면이 대략 버섯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132)는 도 4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힌지유닛(13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푸시부(132)는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래치유닛(140) 및 자동 닫힘 장치(160)와 이격되고,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래치유닛(140) 및 자동 닫힘 장치(160)와 접촉하여 래치유닛(140) 및 자동 닫힘 장치(160)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푸시면(133)은 제2 도어(12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푸시면(134)은 본체(1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힌지유닛(130)은 단면이 대략 삼각형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푸시면(133)은 래치유닛(140)을 제2 도어(120)가 마련된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2 푸시면(134)은 자동 닫힘 장치(160)를 본체(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래치유닛(140)은 제1 도어(110)에 마련되며, 래치 레버(141)와 토션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유닛(140)은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상호 연결 및 고정하고,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폐쇄하는 경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 레버(141)는 제1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다. 래치 레버(141)는 제1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42)와, 제2 도어(1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143)와, 푸시부(1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42)는 일단부가 제1 도어(110)의 래치 고정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후술할 래치 브라켓(1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부(142)는 회전 동작은 가능하나, 그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3)는 제2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부(142)로부터 대략 제2 도어(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3)는 제2 도어(120)의 제2 연결부(123)와 연결되어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부(143)와 제2 연결부(123)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 연결부(123)는 제2 도어(1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제2 도어(120)와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144)는 회전부(142)로부터 제1 연결부(143)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90°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유닛(140)은 그 단면이 대략 알파벳 "L"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동력전달부(144)는 푸시부(1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야 하므로, 제1 도어(110)가 닫힌 경우, 푸시부(132)와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일단이 제1 도어(110)에 고정되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래치유닛(14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션부재(145)의 타단은 래치유닛(140)의 동력전달부(144)에 고정될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래치 레버(141)가 제2 도어(120)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래치 레버(141)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제1 연결부(143)와 제2 연결부(123)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래치유닛(1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토션부재(145)의 회전력의 방향은 푸시부(132)가 동력전달부(144)를 가압하여 래치유닛(140)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그 회전력이 래치 레버(141)와 제1 힌지유닛(130)가 접촉한 경우 래치 레버(141)가 제1 힌지유닛(130)으로부터 받는 힘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스프링일 수 있다. 토션부재(145)는 회전부(142)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 브라켓(146)은 래치 레버(141)가 제1 도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래치 레버(14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제1 도어(1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힌지유닛(150)은 제1 도어(110)에 마련되며, 일단부에는 제2 도어(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2 회전샤프트(151)가 마련되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는 제1 도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힌지유닛(150)이 제1 도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10)에 설치되어 제2 도어(12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닫힘 장치(160)는 사용자가 제1 도어(110)를 소정 각도만큼 닫으면, 그 이후의 폐쇄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제1 도어(110)를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동 닫힘 장치(160)는 자동 닫힘 레버(161)와, 롤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닫힘 레버(161)는 일단부가 나사(164)를 통해 제1 도어(110)에 고정되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롤러(1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동 닫힘 레버(16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162)가 푸시부(132)와 접촉하는 경우 휘어지는 벤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63)는 롤러(162)가 푸시부(132)의 제1 푸시면(133)에서 제2 푸시면(134)으로 롤링(rolling)하거나 제2 푸시면(133)에서 제1 푸시면(134)으로 롤링(rolling)하는 동안 구부러져 롤러(162)가 푸시부(13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162)는 자동 닫힘 레버(16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푸시부(132)의 제1 푸시면(133) 및 제2 푸시면(134) 상에서 롤링 동작을 할 수 있다. 롤러(162)는 제1 도어(110)가 닫힌 경우, 제2 푸시면(134)과 접촉하며 제2 푸시면(134)에 의해 본체(10)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푸시부(132)는 롤러(162)를 제1 도어(11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롤러(162)가 본체(10)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1 도어(110)가 본체(10) 방향으로 가압되며, 제1 도어(110)는 저장실(20)을 더욱 긴밀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도 5,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가 모두 닫힌 경우, 래치유닛(140)은 제1 힌지유닛(130)의 푸시부(132)의 제1 푸시면(133)에 의해 제2 도어(12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래치유닛의 래치 레버(14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제1 연결부(143)는 제2 연결부(123)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가 모두 닫힌 경우, 자동 닫힘 장치(160)의 롤러(162)는 제1 힌지유닛(130)의 푸시부(132)의 제2 푸시면(134)에 의해 본체(10)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자동 닫힘 장치(160)가 설치된 제1 도어(110)는 본체(10)를 향해 가압되므로, 제1 도어(110)는 저장실(20)을 더욱 긴밀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120)만 개방하여 제2 도어(110)에 마련된 도어선반(102)으로부터 식품을 인출하거나 도어선반(102)에 식품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도어 손잡이(121)를 파지하여 제2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도어(120)는 제2 회전샤프트(151)를 회전축으로 제2 힌지유닛(150)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유닛(140)은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의 연결을 해제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2 도어(120)를 개방함에 있어 제1 도어(110)가 함께 열리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단순히 제2 도어(120)를 개폐하는 동작만으로 제1 도어(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20) 모두를 개방하여 저장실(20)의 식품을 인출하거나 저장실(20)에 식품을 인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도어 손잡이(111)를 파지하여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함께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어(110)는 제1 회전샤프트(131)를 회전축으로 제1 힌지유닛(130)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한다. 이때, 제1 도어(110)가 개방됨에 따라 래치 레버(141)는 푸시부(132)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래치 레버(141)를 가압하고 있던 푸시부(132)는 더 이상 래치 레버(141)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 레버(141)는 토션부재(145)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연결 및 고정한다. 즉, 래치 레버(141)의 제1 연결부(143)는 제2 도어(120)의 제2 연결부(123)에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양자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도어유닛(100)을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단순히 제1 도어(110)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상호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제1 도어(110)를 함께 개방하는 경우, 자동 닫힘 장치(160)의 롤러(162)는 제2 푸시면(134)과 제1 푸시면(133)를 순차적으로 롤링하여 푸시부(132)와 이격된다. 반면, 제1 도어(110)를 닫는 경우, 자동 닫힘 장치(160)의 롤러(162)는 제1 푸시면(133)과 제2 푸시면(134)을 순차적으로 롤링 하여 푸시부(132)에 의해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110)를 닫는 경우, 자동 닫힘 장치(160)의 롤러(162)는 제1 푸시면(133)을 통과하여 제2 푸시면(134)과 접촉하는 순간부터는 푸시부(132)에 의해 가압되므로, 사용자는 제1 도어(110)가 제1 푸시면(133)을 통과할 때 까지만 힘을 가하면 되고, 그 이후부터는 푸시부(132)가 제1 도어(110)를 닫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제1 도어(110)를 닫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1 힌지유닛(130)은 제1 도어(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하고, 자동 닫힘 장치(160)를 가압하여 제1 도어(110)가 저장실(20)을 긴밀하게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기존의 제1 힌지유닛(130)을 이용하여 제1 도어(110)의 회전을 지지함은 물론,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래치유닛(140)까지 작동시키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부품수가 절감됨에 따라 재료비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230) 및 래치유닛(2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230)과 래치유닛(240)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230)은 그 일부가 본체(10)에 고정되어 제1 도어(1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힌지유닛(230)은 제1 도어(110)의 제1 힌지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회전샤프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도어(110)는 제1 회전샤프트(231)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힌지유닛(230)은 후술할 래치유닛(2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래치유닛(240)을 가압하는 푸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232)는 제1 회전샤프트(23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33)와, 래치유닛(2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치유닛(240)을 가압하는 푸시면(234)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면(234)은 연장부(233)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푸시면(234)은 제2 도어(12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래치유닛(240)의 동력전달부(244)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푸시면(234)은 래치유닛(240)을 제2 도어(120)가 마련된 전방으로 가압하여 래치유닛(240)의 래치 레버(2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래치유닛(240)은 제1 도어(110)에 마련되며, 래치 레버(241)와 토션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레버(241)는 제1 도어(110)에 대해 회전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다. 래치 레버(241)는 제1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42)와, 제2 도어(1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243)와, 푸시면(23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42)는 일단부가 제1 도어(110)의 래치 고정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래치 브라켓(2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43)는 제2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부(242)로부터 대략 제2 도어(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43)는 제2 도어(120)의 제2 연결부(123)와 연결되어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44)는 회전부(242)로부터 제1 연결부(243)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44)는 푸시면(23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야 하므로, 제1 도어(110)가 닫힌 경우, 푸시면(234)과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션부재(245)는 일단이 제1 도어(110)에 고정되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래치유닛(240)에 고정될 수 있다. 토션부재(245)의 회전력의 방향은 푸시면(234)이 동력전달부(244)를 가압하여 래치유닛(240)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 브라켓(246)은 래치 레버(241)가 제1 도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래치 레버(24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제1 도어(1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 및 래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힌지유닛(330)과 래치유닛(340)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힌지유닛(330)은 그 일부가 본체(10)에 고정되어 제1 도어(1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힌지유닛(330)은 제1 도어(110)의 제1 힌지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회전샤프트(3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힌지유닛(3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푸시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재(37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부(371)와, 래치유닛(34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푸시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재(370)는 제1 도어(110)의 회전에 따라 래치유닛(340)의 동력전달부(344)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372)는 고정부(371)로부터 제2 도어(120)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373)와, 래치유닛(34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래치유닛(340)을 가압하는 푸시면(374)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면(374)은 연장부(373)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래치유닛(340)은 제1 도어(110)에 마련되며, 래치 레버(341)와 토션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레버(341)는 제1 도어(110)에 대해 회전하며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할 수 있다. 래치 레버(341)는 제1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42)와, 제2 도어(1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343)와, 푸시면(37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42)는 일단부가 제1 도어(110)의 래치 고정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래치 브라켓(3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43)는 제2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부(342)로부터 대략 제2 도어(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344)는 회전부(342)로부터 제1 연결부(343)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344)는 푸시면(37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야 하므로, 제1 도어(110)가 닫힌 경우, 푸시면(374)과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션부재(345)는 일단이 제1 도어(110)에 고정되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래치유닛(340)에 고정될 수 있다. 토션부재(345)의 회전력의 방향은 푸시면(374)이 동력전달부(344)를 가압하여 래치유닛(340)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 브라켓(346)은 래치 레버(341)가 제1 도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래치 레버(34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제1 도어(1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100; 도어유닛
110; 제1 도어
120; 제2 도어
130, 230, 330; 제1 힌지유닛
140, 240, 340; 래치 유닛
150; 제2 힌지유닛
160; 자동 닫힘 장치
370; 푸시부재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유닛;
    상기 도어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operate)시키는 푸시부를 갖는 제1 힌지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상호 연결 및 고정하고,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레버(latch lever); 및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 레버에 회전력을 가하는 토션부재(torsion member)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도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푸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power transmission part)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에 고정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그 배면에 상기 제1 연결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도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래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힌지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 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자동 닫힘 레버(auto close lever); 및
    상기 자동 닫힘 레버의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roller)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롤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래치유닛을 밀어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 도어가 닫혀진 경우,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제1 푸시면 및 상기 래치유닛을 밀어 회전시키는 제2 푸시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 힌지유닛; 및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소정 각도만큼 닫히면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자동 닫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유닛은,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접촉하여 상기 래치유닛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레버; 및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 레버에 회전력을 가하는 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션부재의 회전력은 상기 래치 레버와 상기 제1 힌지유닛이 접촉한 경우 상기 래치 레버가 상기 제1 힌지유닛으로부터 받는 힘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유닛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1 푸시면 및 상기 자동 닫힘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2 푸시면을 갖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닫힘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자동 닫힘 레버; 및
    상기 자동 닫힘 레버의 상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힌지유닛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냉장고.
  20. 저장실을 갖는 본체;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를 선택적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래치유닛;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 힌지유닛; 및
    상기 제1 힌지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유닛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푸시부재(push member);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60070666A 2016-06-08 2016-06-08 냉장고 KR10256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66A KR102567513B1 (ko) 2016-06-08 2016-06-08 냉장고
US15/488,036 US10006691B2 (en) 2016-06-08 2017-04-14 Refrigerator
EP17172225.9A EP3255363B1 (en) 2016-06-08 2017-05-22 Refrigerator
CN201710425323.9A CN107477960B (zh) 2016-06-08 2017-06-07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66A KR102567513B1 (ko) 2016-06-08 2016-06-0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641A true KR20170138641A (ko) 2017-12-18
KR102567513B1 KR102567513B1 (ko) 2023-08-17

Family

ID=5874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666A KR102567513B1 (ko) 2016-06-08 2016-06-0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06691B2 (ko)
EP (1) EP3255363B1 (ko)
KR (1) KR102567513B1 (ko)
CN (1) CN10747796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452B1 (ko) * 2018-09-10 2019-05-14 (주) 대륭 도어의 닫힘 유지 장치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04B1 (ko)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2060B1 (ko)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0736281B (zh) * 2018-07-18 2023-0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
KR20210008709A (ko) *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402524B1 (ko) * 2020-09-22 2022-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595011B (zh) * 2020-12-15 2023-04-18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839586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283A2 (en) * 2013-02-21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KR20150106281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775B1 (ko) 2011-08-05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1861368B1 (ko) 2011-09-16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04640A (ko)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860713B1 (ko) * 2013-02-23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851777A1 (en) 2013-06-14 2021-07-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218309B1 (ko)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18129B1 (ko) * 2014-04-28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6060530A1 (ko) * 2014-10-17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7935B1 (ko) * 2014-10-2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7138B1 (ko) * 2015-02-03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1682B1 (ko) * 2016-01-05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696874B (zh) 2016-01-29 2017-12-2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门中门冰箱用自锁装置及门中门冰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283A2 (en) * 2013-02-21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KR20140104638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20150106281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2921805A1 (en) * 2014-03-11 2015-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KR101978452B1 (ko) * 2018-09-10 2019-05-14 (주) 대륭 도어의 닫힘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77960B (zh) 2020-02-07
KR102567513B1 (ko) 2023-08-17
EP3255363B1 (en) 2020-03-18
US20170356685A1 (en) 2017-12-14
CN107477960A (zh) 2017-12-15
EP3255363A1 (en) 2017-12-13
US10006691B2 (en)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8641A (ko) 냉장고
US9702613B2 (en) Refrigerator
EP2685185B1 (en) Latch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1391505B2 (en) Refrigerator
KR102025173B1 (ko) 냉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9534828B2 (en) Refrigerator
EP3545246B1 (en) Refrigerator
US10215477B2 (en) Refrigerator
EP2596310A2 (en) Storage unit with a door and a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doo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torage unit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036672A (ko) 냉장고
EP2596308B1 (en) Storage unit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torage unit
EP3671084B1 (en) Refrigerator
KR101645539B1 (ko) 냉장고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100704661B1 (ko) 김치냉장고
KR20130101904A (ko) 냉장고의 밀폐룸
KR20230096368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015327A (ko) 도어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