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25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255A
KR20170138255A KR1020160070424A KR20160070424A KR20170138255A KR 20170138255 A KR20170138255 A KR 20170138255A KR 1020160070424 A KR1020160070424 A KR 1020160070424A KR 20160070424 A KR20160070424 A KR 20160070424A KR 20170138255 A KR20170138255 A KR 2017013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power saving
saving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489B1 (ko
Inventor
김상범
김윤선
이호연
김동건
김성훈
장재혁
진승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89B1/ko
Priority to EP17174781.9A priority patent/EP3255932B1/en
Priority to CN201710421997.1A priority patent/CN107483710B/zh
Priority to US15/616,605 priority patent/US10588085B2/en
Priority to ES17174781T priority patent/ES2714798T3/es
Publication of KR2017013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04W4/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2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최근 작은 크기의 웨어러블 기기 혹은 IoT 기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위 기기들은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가진 기능까지 제공하는 등, 고성능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작은 크기로 인해, 배터리 크기는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보다 작아 진보된 절전 성능이 중요한 요구 조건이 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도 활용도의 다양화, 사용자 편의성 등으로 인해, 여전히 절전 성능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다만, 절전 성능의 개선으로 인해 사용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지연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절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말의 절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제공이 지연된다는 점을 미리 알려주어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어링 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을 대상으로 요청된 서비스를 페어링 된 다른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방법은 제2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방법은,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절전 모드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가 상기 제2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한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2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절전 모드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가 상기 제2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한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향상된 절전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제공이 지연된다는 점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말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RX 동작 및 e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단말이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절전 모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MME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RAN 노드, ENB, Node B 또는 기지국이라 칭할 수 있다)(105, 110, 115, 120)과 핵심 망 노드로 불리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라 칭할 수 있다) (125) 및 서빙 게이트웨이 (serving-gateway, 이하 S-GW라 칭할 수 있다) (1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즉, 기지국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망(core network, 이하 CN이라 칭할 수 있다) 간에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LTE 시스템은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사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하여 ENB와 MME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MME와 ENB 사이의 연결을 S1 연결이라 칭할 수 있다. MME는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중추이며 ENB와 S-GW/P-GW 사이의 연결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의 제어 신호는 ENB를 통해 MME로 전송된다. MME는 필요 시 S-GW/P-GW와 교섭하여 제어 신호를 처리한다. 단말의 데이터 신호는 ENB를 통해 S-GW/P-GW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MME(125) 및 S-GW(1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기지국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계층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무선 링크 제어 (radio link control, 이하 RLC) (210, 235),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 (215,230),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PHY) (220, 225)로 구성된다.
PDCP (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RLC (210, 235)는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230)은 하나의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owledge(ACK)/negative acknowledge(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HICH)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이나 PUSCH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상황에서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를 제1 사용자, 서비스 요청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제2 사용자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화를 건 경우, 음성 통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A가 제1 사용자, 사용자 A가 전화를 건 대상인(즉, 음성 통신 서비스 대상인) 사용자 B가 제2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 1에서 제1 사용자(310)가 제2 사용자(320)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305)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315). 이 때, 제1 사용자가 요청하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제2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네트워크는 제2 사용자에게 서비스 요청, 예를 들어 페이징을 전송할 수 있다(320). 이 때, 제2 사용자(300)의 단말이 절전 모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사용자(300)가 상기 서비스 요청, 예를 들어 페이징을 수신할 때까지, 기존보다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310)는 사용자 간에 서비스가 성립되기 위해 필요한 통상 대기 시간 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는 대기 시간이 증가함에 따른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제1 사용자(310)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제공하는 미디어 서비스(이하,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지 여부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 등을 제1 사용자(310)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음성 혹은 상대방 기기의 화면 (화면 상에 문자, 그림 혹은 영상으로 표기 가능)을 이용하여, 예상 대기 시간 혹은 제2 사용자의 단말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를 제1 사용자(310)에게 알려줄 수 있다(325).
이후, 단계 3에서 통상 대기 시간보다 다소 긴 대기 시간 이후, 두 사용자 간에 서비스가 성립될 수 있다 (3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를 요청한 제1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상 대기 시간 또는 제2 사용자의 단말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서비스의 제공이 지연되어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단말이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은 S410 단계에서 절전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400)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또는 사용자의 통계적 특성에 따라 절전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란, 예를 들어, 단말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소모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또는 페어링 되어 있는 단말 간의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가 되는 경우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전력 소모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적으로 절전 모드가 트리거될 수 있다. 이 때, 절전 모드가 트리거 되기 위한 기준 값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이 페어링 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폰의 절전 모드가 트리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이 페어링되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통신 모뎀(예를 들어, 3G 모뎀)의 전원은 OFF되고, 스마트폰이 LTE 망과 연결되어 웨어러블 기기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의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의 이동 통신 모뎀은 ON 상태로 변경되며, 절전 모드가 트리거 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도 절전 모드가 트리거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계적 특성이란 사용자가 단말을 사용하는 패턴에 대한 통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사용자의 통계적 특성에 기반하여 절전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용자가 단말을 사용하는 패턴을 수집하고, 사용자가 단말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특정 시간대(예를 들어, 업무 시간, 취침 시간)에서 절전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사용자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람 어플을 사용하는 경우) 절전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은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패턴을 이용해 절전 모드를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절전 모드를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이 절전 모드를 시작하면, 단말은 S420 단계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전 모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화면을 흑백으로만 표기하거나, 화면 밝기를 미리 정해진 값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GPS 모듈 혹은 근거리 통신 모뎀의 전원을 오프 (power-off) 시키는 등 단말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이동 통신 모뎀의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의 본연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것이므로, 단말은 이동 통신 모뎀을 오프시키지 않는다. 다만, 단말은 이동 통신 모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대신 이동 통신 모뎀을 절전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구동하는 절전 기술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전력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모뎀을 절전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해 단말은 S430 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절전 모드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는 S440 단계에서 단말에 절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단말에 DRX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기존 DRX 동작보다 더 큰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단말에 extended DRX (eDRX)를 설정할 수 있다. DRX가 설정된 단말은 설정된 DRX 주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모니터링하며, 나머지 서브프레임에서는 수신 회로를 오프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를 설정하여 단말에 알려주며, 단말은 DRX 주기 도래 시, 상기 설정된 수의 서브프레임 동안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에서는 통신 모뎀, RF 수신기를 OFF할 수 있다. 또한, eDRX가 설정된 단말은 DRX에 비해 더 긴 주기 동안 수신 회로(예를 들어, 통신 모뎀, RF 수신기)를 오프함으로써 DRX에 비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RX 및 eDRX의 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절전 모드를 트리거하는 경우, 단말에 eDRX가 설정되어 단말이 eDRX로 동작하는 상황을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단말이 절전 모드를 트리거하는 경우, 단말에 DRX 또는 PSM 등이 설정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단말은 자신에게 오는 전화 혹은 특정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페이징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다만, 단말이 상기 페이징 모니터링을 항상 수행하게 되면,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단말은 네트워크와 약속된 정해진 주기마다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주기마다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DRX 동작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활성화 시간(active time, 510)동안만 깨어나 페이징을 수신하거나 셀을 측정하며, 그 외 시간(유휴 시간, 520) 동안에는 이동 통신 모뎀 또는 RF(radio frequency)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시간이 반복되는 주기를 DRX 주기(530)라 하며, 최대 DRX 주기는 2.56 초가 될 수 있다.
한편, DRX 동작으로 인한 절전 효과는 DRX 주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이동 통신 모뎀 또는 RF가 오프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절전 효과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RX 주기를 증가시킨 eDRX가 도입되었다.
도 5b는 eDRX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eDRX 주기(540)는 DRX의 주기(530)보다 긴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13 3G/LTE 표준에서는 최대 eDRX 주기 값(540)을 대기 모드 시 43.69 분, 연결 모드 시 10.24초로 확대했다.
단말은 절전 모드 구동 시, 상기 설명한 eDRX 기술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만, eDRX 주기를 극단적으로 길게 설정하게 되면, 절전 효과는 극대화되지만, 사용자가 제 때에 페이징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대상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제2 사용자의 단말의 eDRX 주기가 43.69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 제1 사용자는 최대 43.69분 이상을 기다릴 수 있다. 이는 정상적인 전화통화 서비스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단말은 적절한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eDRX 주기를 기존 DRX 주기(예를 들어, 2.56초)보단 긴 5.12초 혹은 10.24초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음성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 제1 사용자는 통상 대기 시간보다 다소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하며, 이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거나 잘못된 상황 판단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eDRX가 설정된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 혹은 상기 단말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6는 단말이 절전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기지국 (603)은 S610 단계에서 단말 (601)에게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603)은 자신이 절전 모드(예를 들어, eDRX)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1(SIB 1)을 이용하여 eDRX를 지원하는 지 여부(eDRX capability)를 단말에 알릴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절전 모드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620 단계에서 절전 모드 관련 정보(예를 들어, eDRX 관련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MME(605)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절전 모드 관련 정보는 단말이 전송하는 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전 모드로서 eDRX가 설정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이하에서 절전 모드 관련 정보는 eDRX 관련 정보 또는 eDRX 파라미터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DRX 관련 정보는 eDRX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eDRX 주기 정보는 단말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배터리의 잔여량에 기반하여 eDRX 주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eDRX 주기 정보를 5.12초로 설정할 수 있는 반면,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eDRX 주기 정보를 10.24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eDRX 주기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eDRX 관련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eDRX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eDRX 관련 정보를 ATTACH 혹은 TAU 과정을 통해, MME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단말은 ATTACH 요청 메시지 또는 TAU 요청 메시지를 통해 eDRX 관련 정보를 MME에 전송할 수 있다.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한 MME(605)는 eDRX 관련 정보에 포함된 상기 eDRX 주기 정보를 허용하는 경우, S630 단계에서 eDRX 주기 정보를 포함한 eDRX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MME(605)은 ATTACH 응답 메시지 혹은 TAU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eDRX 주기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ATTACH 혹은 TAU 응답 메시지에 eDRX 주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eDRX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ME로부터 수신된 eDRX 주기 정보가 단말이 전송한 주기 정보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수신된 eDRX 주기 정보를 사용하여 e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MME로부터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은 수신된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MME(605)에 전달되면, MME(605)는 S640 단계에서 상기 eDRX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603)에게 페이징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S650 단계에서 상기 eDRX 주기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페이징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eDRX 구동 과정을 살펴볼 때, MME는 특정 단말이 eDRX를 구동 중인지 여부를 알고 있을 수 있으며, eDRX를 구동 중인 단말에 적용된 eDRX 주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절전 모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MME는 특정 단말에 대한 절전 모드 관련 정보(이하에서는, eDRX 관련 정보)를 얼리 미디어 서비스(예상 대기 시간 혹은 사용자의 절전 모드 상태 여부를 제공)를 제공하는데 관여하는 네트워크 장치 혹은 어플리케이션 서버 (application server: AS)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VoLTE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관여하는 네트워크 내 장치 혹은 서버는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ME (701)는 특정 단말에 대한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HSS (703)는 가입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CEF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705)은 LTE 망의 관문 역할을 하는 하나의 LTE 네트워크 장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LTE 망을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SCEF을 통해 LTE 망과 접속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VoLTE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VoLTE 서비스를 관장하는 핵심 네트워크 장치인 TAS AS가 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710 단계에서 SCEF에 각 단말에 대한 eDRX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CEF에 송신하는 메시지인 모니터링 요청(Monitoring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SCEF에게 eDRX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eDRX 관련 정보 요청을 수신한 SCEF는 망사업자 정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모니터링 요청을 승인 혹은 거절할 수 있다. 상기 SCEF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청에 따라, 관련된 타 네트워크 장치 (서버)들에게 필요한 설정을 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이벤트 설정(Event configuration)이라고 하며, 이벤트 설정의 절차는 S720 내지 S750에서 설명한다.
상기 SCEF는 S720 단계에서 HSS에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HSS는 S730 단계에서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 또는 가입자 데이터 삽입 요청 메시지(insert subscriber data request)을 MME에 전송할 수 있다. MME는 eDRX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 상기 이벤트 설정 절차에는 MM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ME는 eDRX 관련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 또는 가입자 데이터 삽입 응답 메시지(insert subscriber data response))를 HSS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ME가 HSS에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단말 간의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eDRX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유하고 있는 단말 간 페어링을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페어링이 가능한 단말의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단말 중 페어링 중인 단말에 대한 정보를 페어링 상태 지시자라 칭할 수 있다.
MME는 단말로부터 현재 페어링 중인 단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페어링 정보 및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페어링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페어링 가능한 단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통해 어떤 단말이 페어링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페어링 상태 지시자는 예를 들어,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각 단말의 식별자에 추가된 1비트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를 통해 페어링 된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페어링 상태 지시자는 비트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가능한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절전 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페어링 되어 있는 다른 단말에 포워딩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 가능한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OFF인 경우 요청된 서비스를 페어링 가능한 단말에 포워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요청된 서비스를 페어링 된 단말에 포워딩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 시 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에서 동적으로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포워딩 지시자를 수신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페어링 된 단말에 포워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MME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포워딩 지시자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워딩 지시자는 절전 모드일 때와 OFF 상태일 때 서비스를 포워딩할 것인지 여부를 각각 나타내는 1 비트 정보 또는 서비스를 포워딩할 것인지 여부를 한번에 지시하기 위한 2 비트의 정보 또는 비트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페어링 된 단말 간에 서비스를 포워딩 할 것인지 여부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한 HSS는 S750 단계 내지 S760 단계에서 에서 eDRX 관련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를 SCEF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HSS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는 MME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HSS로부터 최초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 시, 사용자의 단말에 관련된 정보가 HSS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HSS는 동일 사용자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의 식별자를 페어링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페어링 정보는 단말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단말이 HSS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단말은 LTE 단말과 페어링되어 사용될 가능성이 크므로, HSS에는 LTE 단말과 웨어러블 단말의 식별자가 페어링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HSS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 시 서비스 또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포워딩 지시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HSS는 MME로부터 수신하지 않고도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는 각각 MME 또는 HSS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중 일부는 MME로부터 나머지 일부는 HSS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정보와 포워딩 지시자는 HSS로부터 수신되고, 페어링 상태 지시자는 MME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HSS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절전 모드(예를 들어, eDRX)가 설정된 단말, 상기 단말의 eDRX 주기 정보,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포워딩 지시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기 전(예를 들면, 단말이 연결된 직후) 또는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이벤트 설정이 완료된 후, MME는 S770 단계에서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 이벤트란 예를 들어, 특정 단말이 eDRX을 설정/해제하거나, 기설정된 정보가 변경되는 등 단말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이벤트 발생 시 MME는 S780 단계에서 단말 이벤트 발생에 따른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SCEF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SCEF는 S790 단계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는 모니터링 지시(monitoring indication)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라 칭할 수 있다.
이 때, MME는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변경된 eDRX 관련 정보를포함시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로 동작하던 단말에 eDRX가 설정된 경우, MME는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단말에 설정된 eDRX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에 대해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수신한 eDRX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이 절전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eDRX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VoLTE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서버는 착신이 성공할 때까지의 예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얼리 미디어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절전 모드 여부를 알려주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더 상세한 정보, 예를 들어 예상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대기 시간 등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와의 VoLTE 서비스를 요청할 때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ARS 등의 음성 서비스를 통해 VoLTE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대기 시간 등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VoLTE 서비스를 요청하는 상황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TAS AS 대신 영상 통화를 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통화를 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대기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음성 서비스 또는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기 시간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직후에 상기 과정을 통해 단말의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과정을 통해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말에 대한 eDRX 관련 정보 및 페어링 정보는 모니터링 요청/응답 메시지(Monitoring Request/Response), 이벤트 설정(Event Configuration),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Monitoring Indication)를 통해 송수신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SCEF와 송수신하는 다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다른 표준 (예를 들어, SIP 메시지) 혹은 구현적인 메시지, 소정의 과정을 통해, eDRX 관련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809)는 S810 단계에서 다른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라 칭할 수 있다)에 대한 음성/영상 통화 등의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은 S820 단계 및 S830 단계에서 IMS 개체인 P-CSCF(proxy call state control function, 807), S-CSCF(serving call state control function805)를 거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서버 (803)에 전송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예를 들어 VoLTE 서비스를 위한 TAS A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를 요청한 제1 사용자와 수신 사용자인 제2 사용자가 동일한 망의 가입자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다른 망의 가입자인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수신된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84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란, 제1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요청한 경우, 음성 전화 설정이 완료되기 전에,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특정 ARS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의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를 트리거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의 트리거 여부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MME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은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일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 할 수 있다.
상기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의 트리거를 결정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MRF를 통해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85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MRF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청을 수신한 MRF는 S86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승낙하는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떤 얼리 미디어를 전송할 것인지, 예상 대기 시간은 얼마인지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MRF는 이를 이용하여 단말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로 ARS 음성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적절한 ARS 음성 서비스 멘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단순히 상대방 통화 예정자인 제2 사용자가 절전모드에 있어 대기 시간이 다소 길다는 멘트뿐 아니라, 좀 더 상세하게 예상 대기 시간 정보도 포함하여 ARS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예상 대기 시간은 MME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은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예상되는 최소 대기 시간을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MRF는 S87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별도의 신규 전용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신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ARS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 음성 서비스 멘트를 구성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ARS 음성 서비스 외에,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문자, 그림 혹은 영상을 통해서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사용자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절차와 비슷한 절차를 통해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와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면,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동일한 서버인 TAS AS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전용 네트워크 장치 혹은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신된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에는 영상 통화 역시 시작 시점까지의 대기 시간의 정도를 고려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ARS 음성, 화면상의 문자, 그림, 영상 등을 통해, 상대방의 절전 모드로 인한 긴 대기 시간 알림, 혹은 예상 대기 시간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상황 또는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제1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는 S880 단계 내지 S895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 실패 메시지를 S-CSCF 및 P-CSCF를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910 단계에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 엔티티인 P-CSCF 및 S-CSCF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단말에 절전 모드(예를 들어, eDRX)가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수신된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eDRX로 구동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이 eDRX로 구동중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92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이하에서는,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수신된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의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93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단말의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미리 수신된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94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에 있어 대기 시간이 다소 길다는 내용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한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예를 들어, ARS 음성 서비스 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문자, 그림 또는 영상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95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지 않으며, 요청된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통신이 가능한 복수 개의 단말을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 뿐아니라, 이동통신 모뎀을 가진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워치)를 소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좀 더 다양한 솔루션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사용자(1001)는 이동통신 모뎀을 가진 스마트폰 (1010)과 웨어러블 기기 (1020)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각 단말은 고유의 전화번호 A, B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두 단말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모든 단말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필요는 없다. 즉, 상호 보완을 통해, 소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근거리에 있는 두 단말은 서로 연동(또는 페어링)될 수 있으며, 두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은 절전 모드로 구동됨으로써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기기가 절전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나의 단말이 절전 모드로 구동되면, 앞서 설명하였던 절차에 따라,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통해 절전 모드로 구동되는 단말의 eDRX 관련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보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스마트폰과 페어링 중이라는 정보 역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MME 또는 HSS로부터 페어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페어링 정보에 스마트 폰의 식별자 및 웨어러블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MME 또는 HSS로부터 상기 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기기가 페어링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상태 지시자는 1 비트의 정보 또는 비트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2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이 페어링 중이라는 정보 및 제2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가 절전 모드임을 수신한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사용자(1003)는 S1010 단계에서 절전 모드 중인 웨어러블 기기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가 전화를 건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때,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5)는 MME 또는 HSS로부터 수신된 페어링 정보 및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와 페어링된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와 페어링된 스마트폰을 확인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1020 단계에서 상기 절전 모드인 웨어러블 기기 대신 웨어러블 기기와 페어링 중인 스마트폰으로 페이징을 전송 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인 웨어러블 기기 대신 이와 페어링된 스마트폰에 페이징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대신 페어링된 스마트폰에 페이징을 전송한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1030 단계에서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절전 모드 중이므로, 이와 페어링된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전환한다는 내용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통상적인 대기 시간 내에 통화를 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절전 모드인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 요청 시 페이징을 전환할 것인 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 시 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을 통해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포워딩 지시자를 통해 페이징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포워딩 지시자를 통해 페이징을 전환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전송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1020 단계에서 웨어러블 기기에 페이징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은 어느 하나의 기기의 전원이 OFF 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MME 또는 HSS로부터 페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말의 전원이 OFF 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OFF 된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기기와 페어링 가능한 단말로 페이징을 전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징의 전환 여부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 당시에 설정하거나 또는 단말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포워딩 지시자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이징 전환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1 사용자 (1103)는 S1110 단계에서 제2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서버 (1101), 예를 들어 TAS AS에 전달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기 전 또는 후에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페어링 정보 및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통해 제2 사용자의 단말의 페어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페어링 된 단말에 대해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S1120 단계에서 얼리 미디어 전송 기능을 트리거할 수 있다.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의 트리거 여부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서비스를 요청한 대상인 제2 사용자의 단말 기기가 절전 모드 중이며, 다른 단말 기기와 페어링 중이라면, 다른 단말 기기에 페이징을 전송한 후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는, 절전 모드인 단말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예상 대기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예상 대기 시간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하지 않고 절전 모드인 단말과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리 미디어 서비스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MME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를 요청한 대상이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 중이며, 다른 단말 기기와 페어링 중인 경우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가 트리거 되는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얼리 미디어(Early media) 서비스가 트리거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1130 단계에서 페어링된 다른 단말에 페어징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절전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에 대한 페이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ARS 음성 서비스를 통해 페어링된 단말 기기로 통화를 전환한다는 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별도의 신규 전용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신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ARS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 음성 서비스 멘트를 구성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ARS 음성 서비스 외에,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문자, 그림 혹은 영상을 통해서도 상기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성 통화뿐 아니라 영상 통화도 동일한 절차를 통해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송수신부(1210), 제어부(1220), 저장부(1230)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네트워크 엔티티인 SCEF에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210)는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따른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20)는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SCEF를 통해 MME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SCEF을 통해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eDRX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eDRX 주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페어링 정보, 페어링 상태 지시자, 포워딩 지시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220)는 MME로부터 SCEF를 통해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예를 들어,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20)는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변경된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는 단말에 새롭게 설정된 eDRX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220)는 단말에 새롭게 설정된 eDRX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0)는 제1 사용자의 제2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1220)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얼리 미디어 서비스의 제공 여부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0)는 MME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은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일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요청의 대상 단말이 절전 모드로 구동 중이고,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과 페어링 중인 경우, 제어부(1220)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요청의 대상 단말이 OFF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220)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220)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제2 사용자의 단말이 절전 모드에 있어 대기 시간이 다소 길다는 내용의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20)는 수신된 eDRX 주기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얼리 미디어를 통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을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ARS 음성 서비스, 화면상의 문자, 그림,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요청 대상 단말(이하, 단말 A)이 절전 모드로 구동 중이고, 다른 단말(이하, 단말 B)과 페어링 중인 경우에, 제어부(1220)는 단말 A에 대한 페이징을 단말 B로 전송하고, 단말 B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20)는 MME로부터 SCEF를 통해 수신한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페어링 상태 지시자를 통해 단말 A와 단말 B가 페어링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단말 A에 대한 페이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얼리미디어 서비스를 단말 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0)는 ARS 음성 서비스를 통해 페어링된 단말 기기로 통화를 전환한다는 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포워딩 지시자가 페이징의 포워딩을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전환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요청 대상 단말(이하, 단말 A)이 OFF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220)는 단말 A와 페어링 가능한 단말 B로 페이징을 전송하고, 단말 B에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MME로부터 SCEF를 통해 수신한 페어링 정보를 통해 단말 A와 단말 B가 페어링 가능한 기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징을 전환한 후, 제어부(1220)는 단말 A에 대한 페이징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얼리미디어 서비스를 단말 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0)는 ARS 음성 서비스를 통해 단말 A의 전원이 OFF 상태이며, 단말 B로 통화를 전환한다는 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포워딩 지시자가 페이징의 포워딩을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전환 절차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제1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른 페이징 메시지를 MME에 전송할 수 있으며, MME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eDRX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기 eDRX 주기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기 전 또는 제공한 후에 페이징 메시지를 MME 및 기지국을 통해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라 송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MME로부터 수신되는 eDRX 관련 정보, 페이징 정보, 포워딩 지시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0)는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eDRX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MME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MME는 송수신부(1310), 제어부(1320), 저장부(1330)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의 eDRX 관련 정보, 페이징 정보, 포워딩 지시자 등을 포함한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이벤트 발생에 따른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20)는 본 발명에 따른 MME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20)는 단말로부터 eDRX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에 eDRX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단말에 eDRX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모니터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단말의 eDRX 관련 정보, 페이징 정보, 페이징 상태 지시자, 및 포워딩 지시자를 포함한 모니터링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0)는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감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eDRX 관련 정보를 포함한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eDRX 관련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페이징을 수신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1320)는 기지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때, eDRX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3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eDRX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부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절전 모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여부 또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을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절전 모드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가 상기 제2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한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상기 단말의 절전 모드 여부 또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2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제1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부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절전 모드 관련 정보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상기 제2 단말의 절전 모드 여부 또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을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13.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행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변경 지시 메시지에 절전 모드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얼리 미디어 서비스가 상기 제2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요청한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E.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E.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얼리 미디어 서비스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상기 단말의 절전 모드 여부 또는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데 필요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E.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은,
    상기 절전 모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주기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E.
KR1020160070424A 2016-06-07 2016-06-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424A KR102458489B1 (ko) 2016-06-07 2016-06-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7174781.9A EP3255932B1 (en) 2016-06-07 2017-06-07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710421997.1A CN107483710B (zh) 2016-06-07 2017-06-07 在无线通信系统中为终端提供服务的方法和设备
US15/616,605 US10588085B2 (en) 2016-06-07 2017-06-07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17174781T ES2714798T3 (es) 2016-06-07 2017-06-07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un servicio para un termin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424A KR102458489B1 (ko) 2016-06-07 2016-06-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55A true KR20170138255A (ko) 2017-12-15
KR102458489B1 KR102458489B1 (ko) 2022-10-25

Family

ID=5922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424A KR102458489B1 (ko) 2016-06-07 2016-06-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88085B2 (ko)
EP (1) EP3255932B1 (ko)
KR (1) KR102458489B1 (ko)
CN (1) CN107483710B (ko)
ES (1) ES2714798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3630A (zh) * 2019-10-04 2022-05-13 三星电子株式会社 激活5g用户的方法和装置
US11463986B2 (en) 2017-03-24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743862B2 (en) 2017-03-2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39B1 (ko) 2018-08-08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3794903A4 (en) * 2018-08-27 2021-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URES AND UE FOR OPTIMIZING RESOURC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PROVISION OF 5G SERVICES
CN111417174B (zh) * 2019-01-07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节电处理方法及设备
CN111436103B (zh) * 2019-02-02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模式的切换方法、节能模式的配置方法及通信设备
US10945120B2 (en) 2019-02-27 2021-03-0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provisioning and us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location mappings in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or 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US10972368B2 (en) * 2019-05-17 2021-04-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reduced signa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monitoring
US11197243B1 (en) * 2020-05-26 2021-12-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network control data of a user equipment in cellular networks
US11381955B2 (en) 2020-07-17 2022-07-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device related information
CN115243401A (zh) * 2021-04-22 2022-10-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系统、可读取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11895080B2 (en) 2021-06-23 2024-02-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solution of inter-network domain names
US11737023B2 (en) * 2021-09-20 2023-08-22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peripheral wireless pairing by device positioning and adaptive powe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5810A1 (en) * 2007-10-24 2010-10-07 Naoto Itab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radio base station, and higher-order apparatus for radio base station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5197431A1 (en) * 2014-06-25 2015-12-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buffering downlink dat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149B1 (en) * 1998-07-20 2002-04-09 Ameritech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ubscriber unit for use therein
CN100518218C (zh) * 2005-05-13 2009-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回铃音播放广告的方法
KR101248568B1 (ko) * 2006-06-09 2013-06-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US7987378B2 (en) 2007-01-05 2011-07-26 Apple Inc. Automatic power-off of bluetooth device from linked device
US9060374B2 (en) * 2010-04-27 2015-06-16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network system and device
WO2011154761A1 (en) * 2010-06-10 2011-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transfer of downlinik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378148B (zh) * 2010-08-23 2016-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hss、及核心网网元获知终端能力的方法和系统
US10111168B2 (en) * 2012-05-02 2018-10-23 Mediatek Inc. User equipment enhancement for diverse data application
CN106060912B (zh) * 2013-03-29 2020-02-07 英特尔Ip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扩展型呼叫非连续接收(drx)周期
EP3306988B1 (en) * 2013-09-27 2019-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pc enhancement for long drx and power saving state
CN105101472B (zh) * 2014-05-08 2019-08-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双连接系统中的drx协调机制
KR102611234B1 (ko) * 2015-04-03 2023-12-0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연장된 drx 사용을 위한 시스템 향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5810A1 (en) * 2007-10-24 2010-10-07 Naoto Itab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radio base station, and higher-order apparatus for radio base station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5197431A1 (en) * 2014-06-25 2015-12-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buffering downlink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3986B2 (en) 2017-03-24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743862B2 (en) 2017-03-24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4503630A (zh) * 2019-10-04 2022-05-13 三星电子株式会社 激活5g用户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3928A1 (en) 2017-12-07
ES2714798T3 (es) 2019-05-30
EP3255932A1 (en) 2017-12-13
EP3255932B1 (en) 2019-02-06
CN107483710A (zh) 2017-12-15
CN107483710B (zh) 2021-03-23
US10588085B2 (en) 2020-03-10
KR102458489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371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为终端提供服务的方法和设备
US11582826B2 (en) Methods for handling periodic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CN110463316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置带宽部分操作的方法及其装置
US11792635B2 (en) Methods for handling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KR10182478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불연속 동작을 개시하는 사용자 장비
RU2578666C2 (ru) Уменьшение избыто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при переходах между состояниями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rrc)
JP6480641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
KR20200116511A (ko)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EP3791681A1 (en) Methods for suspending inactive when resuming and resuming inactive when suspending
CN105430593B (zh) 处理用于装置对装置通信的开放直接发现的装置
KR20210157040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1242157A1 (en) Handling of qoe measurements in inactive state
KR202200527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999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mobility in LWA
KR20240056512A (ko) 계층 2 ue-네트워크 중계를 위한 rrc 타이머
KR10238137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Cellular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86899A1 (en) Interface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and an application
KR20200036705A (ko)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IoT 단말의 연결성 관리 방법
JP7495275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基地局
US20220182858A1 (en) Extending ue fast dormancy at upper layers
US20240196468A1 (en) Keeping a terminal in a connected state while the terminal is away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KR202201342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시간 스위칭 타이머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4316164A1 (en) Sidelink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KR202201343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숏-타임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4186279A1 (en) Acquiring on-demand system information for out-of-coverage remote-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