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351A -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 Google Patents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51A
KR20170137351A KR1020160069347A KR20160069347A KR20170137351A KR 20170137351 A KR20170137351 A KR 20170137351A KR 1020160069347 A KR1020160069347 A KR 1020160069347A KR 20160069347 A KR20160069347 A KR 20160069347A KR 20170137351 A KR20170137351 A KR 20170137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inishing material
corner
mortar
til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4776B1 (en
Inventor
고진권
Original Assignee
고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권 filed Critical 고진권
Priority to KR102016006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776B1/en
Publication of KR2017013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7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5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installing edge-protecting bord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material for a tile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of a worker and remarkably reducing work time by rapidly and accurately finishing a corner by using an additional finishing material which can connect tile finishing materials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orner of a wall or a floor to attach th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ing material for a tile includes: a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installation surface unit (1) of a predetermined area coated with mortar (5) to attach the lower surface of the tile (10); and a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The finishing material for a tile also comprises a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unit (22a) to connect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to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22b) connecting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nd vertic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22a). The first connection unit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b) has: an opening surface (26) having a hollow unit (23) and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unit (1) in order for the mortar (5) to flow inside as the hollow unit (23) is opened; and a mortar outflow prevention plate (27) for preventing the mortar (5) from being leak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by being extended from an upper end of the opening surface (26) to the lower side.

Description

타일용 마감부재{FINISHING MATERIALS FOR TILE}[0001]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0002]

본 발명은 타일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 서로 인접된 타일마감재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e finish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le finishing member by using a separate finishing material capable of connecting tile finishing materials adjacent to each other at corner portions of a wall or floor for attaching ti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which is capable of accurately finishing a work and improving worker convenience as well as drastically shortening a working time.

타일은 바닥,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한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장(內裝)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타일 ·내산타일 ·바닥타일 ·염전타일 ·쿼리타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ile is a flat plate clay-sintered product for covering the surface of floor, wall, etc., and it has various kinds of interior tiles, exterior tiles, mosaic tiles, acid tiles, floor tiles, salt tiles, There is a kind.

일반적으로 타일은 건물 내의 욕실, 주방, 베란다, 계단 등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벽과 바닥이나 빗물이 직접 닿는 건물의 외부벽 등의 방수와 청결유지 및 미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시공된다.Typically, tiles are applied to areas where water is used, such as bathrooms, kitchens, verandas, staircases in buildings, and areas that require waterproofing and cleanliness and aesthetics such as floors and exterior walls of buildings that directly touch rainwater.

종래의 타일 시공방법은 모래와 시멘트를 섞고 물을 부어 반죽한 모르타르를 벽이나 바닥 등에 도포한 후에 다수개의 타일을 모자이크 형태로 부착시키면서 벽과 바닥 전체 또는 필요한 부위에 덧씌우는 것이다.Conventional tile construction method is to mix sand and cement, pour water and kneaded mortar on wall or floor, and then attach a number of tiles in a mosaic form to cover the entire wall or floor or the necessary part.

그러나 상기 타일 시공에 있어서, 벽이나 바닥에 부착된 타일 모자이크의 가장자리나 벽면의 각이 진 코너 부분을 면치기로 마무리하였기 때문에 타일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타일이 파손되기 용이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rners of the tile mosaic attached to the wall or the floor are finished by the chamfering at the corners of the wall or the wall of the tile, the edges of the tile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le is easily broken by the tile.

또한, 타일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타일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을 수 있어 파손된 타일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시간 및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tile is broken, the body may be damaged due to the broken tile, so that the working time and the material are wasted for replacing the broken til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43871호(등록일자: 2004년 02월 24일)와 같은 타일마감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ile finishing materials such a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3871 (registered date: February 24, 2004) are mainly used.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타일이 부착되는 벽면의 코너 단부에 모르타르 고정되고 소정 형태의 모르타르공이 구비된 벽면 밀착부재와, 상기 벽면 밀착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고 타일의 단부면을 받침하는 타일 장식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일 장식부재는 모서리부로 위치되는 타일의 단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벽면 밀착부재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받침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타일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마감재가 게재되어 있다.The registra- tion utility model includes a wall surface contact member fixed to a corner end of a wall surface to which a tile is attached and having a mortar ball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wall surface contact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end of the wall surface contact member to a tile- And a tile finishing material for finishing the ti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le supporting member, which is horizontally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contact member,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tile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그러나 상기 타일마감재를 사용할 경우 모르타르로 인해 유동되어 기울어지거나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is use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tends to flow due to the mortar,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can be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wall or floor.

다시 말해, 상기 벽이나 바닥 등에 도포된 모르타르가 굳는 동안에 상기 타일마감재가 유동되기 때문에 기울어지거나 상기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이 부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flows while the mortar applied to the wall or floor is hardened, the tile is inclined or is offset from the corner portion, and tiles are not uniformly adhered alo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또한, 모르타르가 굳는 동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타일마감재를 받치기 위한 고임대(60)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고임대(60)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타일마감재가 수평이되도록 어림하여 설치하고, 상기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대폭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3, during the hardening of the mortar, a method of installing a high-lease 60 for support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tile finishing material from tilting is used. However, when the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must be roughly leveled and removed before the mortar hardens.

이로 인해 벽이나 바닥의 코너부분에 타일마감재 간의 끝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타일 시공할 경우 작업자의 불편함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quickly and accurately connect the ends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s to the corners of the wall or the flo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er's discomfort and work time are increased when the tile is appli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타일마감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각이 진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le finishing material for a tile which is installed at an edge of a wall or floor for attaching tiles, Which is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finishing a part of the tile.

또한, 계단 등과 같이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의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which can simultaneously finish corner portions of three adjacent surfaces such as a staircase and a floor.

또한, 타일마감재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의 훼손이나 부재 시에도 작업현장에서 타일마감재의 절취선을 따라 절단한 후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tear line is formed o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to cut off along the perforation line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at the work site even when the finishing material for finish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or the floor is damaged or absent and then bent to finish the corne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한편, 타일이 부착되는 계단 등에 설치될 경우 외측으로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일용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sure member for a tile which can prevent slippage by forming a protrusion outward when the tile is installed on a step or the like to which the tile is attach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타일(10)의 하면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를 포함하는 타일용 마감부재에 있어서, 일측단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의 타측단에서 수직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를 포함하는 코너마감재(20)를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부(22a) 및 제2연결부(22b)는, 중공부(23)를 갖고, 상기 중공부(23)가 개방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이 개구된 개구면(26)과, 상기 개구면(26)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comprising: a first portion (1) pro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mounting surface portion (1) to which a mortar (5) The tile finishing material includes a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a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connected to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to connect the second tile finishing member 30b,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b have a hollow portion 23 and the hollow portion 23 is opened to allow the mortar 5 to flow, 1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surface 26, Tar (5)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the leakage preventing mortar plate 27 for preventing the leakage to the top surface of the tile (10).

또한,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의 연결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에는, 상기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수직된 부분에서 직교되는 제3연결부(22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third tile finishing material 30c connected to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re connected,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22c that is orthogonal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to connec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c.

이때,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되어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40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절단하여 절곡하기 위한 절취부(38)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formed with cutouts 38 for cutting and fol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상기 코너마감재(20)는,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장식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가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r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non-slip parts 35 formed on the decorative surfac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용 마감부재는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벽이나 바닥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타일마감재를 별도의 마감재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별도의 마감재로 인해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어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e finish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or the floor quickly and precisely by connect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on the edge of the wall or floor for attaching the tile with a separate finishing material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can be fixed without being tilt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greatl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In other words, the corner por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losed due to a separate finishing material provided on a corner portion of a wall or a floor, so that the appearance is not only improved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is fixed and uniformly distributed alo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The tiles can be attached, and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또한,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으로 이루어진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어 작업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ners formed by the three adjacent surfaces of the wall and the floor can be closed at the same time, the work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또한, 절취선이 형성된 타일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벽이나 바닥 등의 코너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재가 훼손되거나 부재 시에도 작업현장에서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us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having the perforated line, a separate finishing material for finish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or floor can be damaged or cut off at the work site even in the absence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한편, 타일이 부착되는 계단 등에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를 형성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le is installed on a step or the like to which the tile is attached, a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a user from sliding, thereby improving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코너마감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타일마감재,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제3연결부가 형성된 코너마감재,
도 9는 상기 도 8의 코너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절취부가 형성된 타일마감재,
도 11은 상기 도 10의 타일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가 배수구덮개에 사용된 사용상태도,
도 13은 종래에 고임대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ure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A sectional view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r finishing material of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le finishing material of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frame of a closure member for a til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ner finishing material having a third connection portion of a til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of Fig. 8 is used,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le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ut-away portion of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use state view showing a state of us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of FIG. 10,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drain port cover,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using a high-rent ti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losure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A-A를 자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ure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AA of the closing member.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코너마감재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타일마감재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tile finishing member for a til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side view of a til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연결프레임이다.FIG. 6C is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connection frame of a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다른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제3연결부가 형성된 코너마감재이며, 도 9는 상기 도 8의 코너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finishing material having a third connection part of a til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of FIG. 8 is used.

또 다른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의 절취부가 형성된 타일마감재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의 타일마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10 is a tile finishing material having a cut-away portion of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of FIG.

이때,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가 배수구덮개에 사용된 사용상태도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closure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drain port cover.

여기서, 도 13은 종래에 고임대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l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using a conventional high-rent method.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even when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lso,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forward", "rea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not limi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0)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코너마감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3, a finish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surface portion 1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oated with a mortar 5 for attaching the tile 10, A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nd a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disposed between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nd a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for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30b.

여기서,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타일마감재(30)라고 기재할 수 있다.Here,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may be referred to as a tile finishing material 30.

또한, 상기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되기 위한 연결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ile finish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40 to be inserted in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상기 설치면부(1)는, 꺾이거나 각진 부분인 코너부분을 갖는 일정면적의 벽면이나 바닥 등이며, 상기 타일(10)을 부착하기 위한 모르타르(5)가 도포되어 있다.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is a wall surface or a floo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aving corner portions which are folded or angled portions and is coated with a mortar 5 for attaching the tile 10. [

상기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는 상기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고,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connecting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can be quickly And the position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fixed, so that the tiles can be uniformly adhered alo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so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working time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에 하면이 밀착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타일(10)의 하면이 밀착고정되기 위한 일정길이의 밀착판(31)과, 상기 밀착판(31)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장식면(33)과, 상기 제1장식면(33)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기 위한 제2장식면(34)과, 상기 제2장식면(34)에서 상기 밀착판(31)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기 위한 타일인접면(3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5, the lower surface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ile 10 is closely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 first decorative surface 33 that is bent upward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late 31 and a second decorative surface 33 that is bent at the first decorative surface 33 and i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And a tile adjacent surface 36 which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plate 31 on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to be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tile 10 .

상기 밀착판(31)은,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통과되어 상면으로 유출되기 위한 모르타르통과구멍(32)이 다수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mortar passage holes 32 for allowing the mortar 5 appli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to pass therethrough and flow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ghtening plate 31 are formed.

상기 제1장식면(33)과 제2장식면(34)로 인해 형성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타일(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유입된 모르타르(5)로 인해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mortar 5 appli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formed by the first decorative surface 33 and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to form the tile 10 It can be fixed. That is, the side wall of the tile 10 can be fixed by the introduced mortar 5.

이때, 상기 제2장식면(34)은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가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is formed at least a part of a non-slip portion 35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outside.

상기 논슬립부(35)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형성됨으로써 계단 등에서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non-slip portion 35 is formed on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on the step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user.

또한, 논슬립부(35)는 상기 제1장식면(33)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non-slip portion 35 may also be formed on the first decorative surface 33.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타일마감재(30)는 다수개가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되어 상기 타일(10)을 마감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타일마감재(30a)를 상기 설치면부(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제2타일마감재(30b)를 설치한다.A plurality of tile finishing materials 30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to close the tile 10. [ That is,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이때, 상기 설치면부(1)의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가 인접되는 코너부분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ar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y are offset from each other at the adjacent corners, or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30b are prevented from tilting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상기 코너마감재(2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의 타측단에서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4,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for connecting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to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for connecting the first side connection portion 22a to the other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nd connected to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각도는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따라 직각, 예각 또는 둔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코너마감재(20)가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너부분에서 이격되어 발생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b may be a right angle,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along the corner of the mounting surface part 1. That is, since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s form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pace generated from the corner portion from being formed, So that the corner por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losed.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는, 중공부(23a, 23b)를 갖고,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되는 부착면(24a,24b)과, 상기 부착면(24)에서 절곡되어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코너장식면(25a,25b)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have attachment surfaces 24a and 24b having hollow portions 23a and 23b to be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And corner decorative surfaces 25a and 25b that are fold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and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상기 코너장식면(25a,25b)은, 적어도 일부분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되는 논슬립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corner decorative surfaces 25a and 25b may include at least a non-slip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outer side.

또한,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는 상기 중공부(23a,23b)가 개방되어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을 개구한 개구면(26a,26b)을 형성한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b are formed in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so that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are opened and the mortar 5 appli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flows, And the opening faces 26a and 26b are opened.

상기 개구면(26a,26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3a,23b)로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시키거나 상기 코너마감재(20)와 상기 타일(10)이 인접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부착시킬 수 있다. Since the opening surfaces 26a and 26b are formed to allow the mortar 5 to flow into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to more firmly connect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side surface of the tile 10 can be attached so that the tile 10 and the tile 20 are fixed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중공부(23a,23b)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된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면(26a,26b)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을 형성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mortar 5 flowing into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from flowing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and being dirty, The mortar leakage preventing plates 27a and 27b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27 are formed.

상기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은, 상기 타일(10)의 측면과 인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3a,23b)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mortar leakage preventing plates 27a and 27b are forme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tile 10 so that the mortar 5 flowing into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flows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neat state.

상기와 같이 중공부(23a,23b)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중공부(23a,23b)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의 제2연결부(22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한다.The one end of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a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having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as described above and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One end of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formed with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여기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삽입될 경우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모르타르통과구멍(32)은 노출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과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일인접면(36)이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모르타르(5)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e mortar passing hole 32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preferably exposed so that the mortar outflow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e prevention plates 27a and 27b and the tile adjacent surface 36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re closely attached to allow the mortar 5 to flow in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

상기와 같이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a,27b)과 타일인접면(36)이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상기 코너마감재(2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상기 설치면부(1)에 부착된 타일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fixed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because the mortar leakage preventing plates 27a and 27b and the tile adjacent surface 36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from being detached in the direction of the tile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또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로 유입된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 사이에 유입되어 굳어질 경우 발생하는 가루날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rtar 5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hardening, I can finish it.

이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연결된 코너마감재(20)를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타일(10)을 부착한다.The tile 10 is attached by install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connected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상기와 같이 코너마감재(20)에 각각 타일마감재(3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설치면부(1)에서 모르타르(5)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고정된 타일마감재(30)로 인해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타일(10)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By connect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from tilting due to the mortar 5 on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The tiles 10 can be quickly and uniformly attached alo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due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fixed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가 인출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절단된 길이 및 각도의 오차에 관계없이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connected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so as to be pulled out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can be quickly and smoothly formed regardless of the cut length and angle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greatly shorten the working time.

이때,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중공부(23a,23b)에서 인출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설치면부(1)의 가장자리 길이보다 상기 타일마감재(3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된 타일마감재(30)를 인출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so that the length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shorter than the edge length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may be drawn out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

한편,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중공부(23a,23b)에 상기 연결프레임(4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정길이 이상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로 돌출된 걸림돌기(28)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 locking protrusion 28 may be formed inside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40a can be hooked. 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ion frame 4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s 23a and 23b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frame 40a from being drawn over a predetermined length, (28) can be formed.

또한,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정길이 이상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돌출되는 인입방지돌기(37)를 더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frame 40a is inserted in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may protrude in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o prevent the connection frame 40a from being drawn over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the lead-in preventing protrusion 37.

상기 연결프레임(40a)은,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코너마감재(20)가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코너마감재(20) 및 타일마감재(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onnecting frame 40a is for connect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so as not to form a step. As shown in FIGS. 6A to 6B,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일측은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된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40a is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

이때,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 상기 연결프레임(40a)을 삽입할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의 내부에는 각각 걸림돌기(28)와 인입방지돌기(37)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0a)에서 어느 한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동일한 길이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frame 40a is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s 28, The connection frame 4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frame 40a and the connection frame 4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by the same length So that they can be firm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0a)에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에 대응되도록 양측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홈(41a)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40a is formed with guide grooves 41a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s 28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s 37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do.

상기 가이드홈(41a)이 형성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40a)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a)의 가이드홈(41a)에 대응되는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되고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양측이 각각 상기 코너마감재(20) 및 타일마감재(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시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groove 41a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8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37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slide. That is, when the connecting frame 40a is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41a of the connecting frame 40a The connecting frame 4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re fixed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by sliding the fitting protrusions 28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s 37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and connection.

한편, 상기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40a)을 ㄱ자로 절곡하여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동시에 삽입하여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onnection frame 40a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may be bent in a line to insert and connect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at the same time.

상기 ㄱ자로 절곡된 연결프레임(40b)은, 상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가이드홈(41b)이 형성되며, 상기 코너마감재(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로 노출된 연결프레임(40b)의 가이드홈(41b)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슬라이딩하여 끼우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2연결부(22b)로 노출된 연결프레임(40b)의 가이드홈(41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C, the connection frame 40b bent in a stepped shape is formed with guide grooves 41b on both sides thereof. The connection frame 40b is longer than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is slid into the guide groove 41b of the connection frame 40b expos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b of the connection frame 40b expos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또한, 현장작업 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에 삽입되어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provided on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1 are inser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s damaged or not present during the field 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deviation.

다른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면부(1)의 타일방향인 일측면이 개구되고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41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c)을 사용할 경우, 상기 설치면부(1)에 도포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A, the connecting frame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in the direction of the tile is opened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8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guide recess 41c may be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37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slid and fixed. That is, when the connecting frame 40c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mortar 5 appli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flows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o be firmly attached thereto do.

또 다른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40c)을 ㄱ자 형태로 절곡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의 걸림돌기(28) 또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인입방지돌기(37)가 슬라이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4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연결프레임(40d)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프레임(40d)의 내부로 모르타르(5)가 유입되어 상기 타일(10)의 측면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거나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frame 40c is bent in a bent shap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8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or the locking protrusion 37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slid and fixed A guide groove 41d may be formed.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hat is, the mortar 5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frame 40d using the connection frame 40d formed as shown in FIG. 7B to attach the side surface of the tile 10, It is possible to firmly attach the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or securely attach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상기와 같이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면부(1)에 타일(10)을 시공할 경우,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삽입하여 형성될 수 있는 단턱의 형성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설치면부(1)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tile 1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including the connection fram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p formed by insert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in a firmly connected stat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계단,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도록 코너마감재(20)에 제3연결부(22c)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실시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closing member for a t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ner finishing member 20 having a third side surface 1, such as a step, a wall surface and a floor, The connection portion 22c can be formed.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코너마감재(21)는, 상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3연결부(22c)를 더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8 to 9,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has a third connection part (not shown) so as to be installed at a corner part where three installation surface parts 1, such as a step, a wall surface, 22c.

상기 제3연결부(22c)는 상기 타일마감재(3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코너마감재(20)의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절곡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The third connection part 22c is for connecting a third tile finishing material 30c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third connection part 22c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22a and 22b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22b.

이때, 상기 제3연결부(22c)는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와 동일하게 중공부(미도시)를 갖고, 설치면부(1)에 부착되는 부착면(24c)과, 상기 부착면(24c)에서 절곡되어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기 위한 코너장식면(25c)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c has a hollow portion (not shown) simi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and has a mounting surface 24c and a mounting surface 24c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And a corner decorative surface 25c that is bent at the attachment surface 24c and positio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

또한, 상기 중공부(미도시)가 개방되도록 개구면(26c)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면(26c)을 통해 유입된 모르타르(5)가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면(26c)에서 연장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c)이 형성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mortar 5 flowing through the opening surface 26c from flowing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the opening surface 26c is formed to open the hollow portion (not shown) A mortar leakage preventing plate 27c extending from the opening surface 26c is formed.

상기와 같이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는, 상기 제1연결부(22a)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부(22b)에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고, 상기 제3연결부(22c)에 상기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한 후, 3면의 설치면부(1)가 인접되어 형성된 코너부분에 설치된다.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having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c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connecting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And the third tile finishing material 30c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2c and then the three side surface portions 1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s.

이때, 상기 코너마감재(21)와 타일마감재(30)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40)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frame 40 may be used to connect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firmly.

이와 같이,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이용함으로써 3면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상기 벽면과 바닥 등과 같이 3면의 코너부분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벽면이나 바닥에 코너마감재를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3면의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하기 위해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요청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작업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formed with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2c,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work three surfaces. In other words, since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formed with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c can be installed at corner portions on three sides such as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corner finishing materials can be installed on each wall surface or floor, By requesting the assistance of another worker to install the finishing material 30, the working time can be increas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또한, 상기 계단과 같이 3면의 코너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3연결부(22c)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1)를 상기 3면의 코너부분에 설치하여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rner portions on three sides as in the step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1 on which the third connection portions 22c are formed may be installed on the corner portions of the three surfaces, do.

다시 말해, 상기 3면의 코너부분을 갖는 계단 등과 같이 각각의 설치면부에 타일마감재를 설치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수시로 확인해야 하거나 모르타르가 굳을 동안 작업자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고정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타일마감재를 따라 타일이 균일하게 부착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sinc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on each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s such as the step having the three corner portions, the working tim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fixed so as not to be tilted The worker is required to confirm the work from time to time or the hardness of the work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during the hardness of the mortar is solved and the work is facilitated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fixed and installed, The tiles can be uniformly adhered to each other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tiles.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타일용 마감부재는,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에 절취부(38)를 더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le finish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portion 38 i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s shown in FIG.

상기 절취부(38)는 상기 타일마감재(30)의 밀착판(31)과 제2장식면(3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판(31)에 제1절취선(38a)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판(31)과 마주보는 제2장식면(34)에 상기 제1절취선(38a)과 동일하도록 제2절취선(38b)이 형성된다.The cut portion 38 is preferably formed on the adhesive plate 31 and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at is, a first perforated line 38a is formed on the adherent plate 31 and a second perforated line 34a is formed on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facing the adhered plate 31 so as to be the same as the first perforated line 38a 38b are formed.

상기 제1절취선(38a) 및 제2절취선(38b)은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가 45도 각도가 되도록 절단될 수 있게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절단하기 위해 'V'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erforation line 38a and the second perforation line 38b may be formed obliquely so that both ends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cut at an angle of 45 degrees, V 'shape so as to be cut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substrate 1.

상기와 같이 절취부(38)가 형성된 타일마감재(30)의 사용방법은 현장에서 작업도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 작업자가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절취부(38)를 절단하여 상기 설치면부의 코너부분에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서로 인접시켜 설치할 수 있다. The method of usi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n which the cutouts 38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using the cutting means to remove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s 20 during operation in the field,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마감재(30)에 'V'자 형으로 형성된 절취부(38)인 제1절취선(38a)을 절단한 제1절단조각(39a)과 제2절취선(38b)을 절단한 제2절단조각(39b)을 제거한 후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제1장식면(33)을 절곡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에 설치도록 할 수 있다.11, the first cutting piece 39a and the second cutting piece 39b, which are the cut-away portions 38 formed in the V-shape o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The first cutting surface 33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bent to b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after the second cutting piece 39b with the perforated line 38b cut is removed.

이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현장에서 작업도중에 상기 코너마감재(20)의 훼손 및 부재 시에도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양끝단부를 절단하거나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신속하게 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uts both ends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or cuts and bends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when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s damaged or absent during the work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quickly close the corner portion of the side wall.

이때,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상기 제2장식면(34)에 형성된 절취부(38)에 따라 절단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절취부(38)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타일마감재(30)의 타일인접면(3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attached to the portion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which is adjacent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so as to be easily cut along the cut-out portion 38 formed on the second decorative surface 34 (36) is not form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상기 타일마감재(30)를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프레임(40)을 통해 코너마감재(20)에 연결되어 모르타르가 도포된 설치면부(1)에 부착된 후 타일을 부착한다. 즉, 상기 설치면부(1)에는 상기 코너마감재(20)에 연결된 상기 타일마감재(30)가 기울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에 따라 다수개의 타일(10)이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or connected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40 and att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coated with mortar After that, tiles are attached. That is,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onnected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without being tilted so that a plurality of tiles 10 are uniformly adhered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델링하기 위한 일반 주택의 베란다, 화장실 등에서 타일을 덧붙이는 작업을 할 경우 상기 배수관(50)에 설치되는 상기 배수구덮개(51)의 가장자리에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타일과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12, when a tile is added to a veranda, a toilet, etc. of a general house for remodel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drain port cover 51 installed in the drain pipe 50 By provid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ep from the til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tile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tile.

따라서, 본 발명은 배수구덮개(51) 및 타일(10)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부의 코너부분에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된 코너마감재(20)를 이용하여 타일마감재(3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절단된 길이 등에서 발생되는 오차에 관계없이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코너마감재(20)의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타일의 상면으로 모르타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in hole cover 51 and the tile 10 are installe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installed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bent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portion, The corner portion can be closed regardless of an error occurring in the cut length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or the like and the mortar leakage preventing plate 27 of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can be used as a top surface of the til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from leaking out.

또한, 종래와 같이 설치면부의 모르타르로 인해 타일마감재가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상기 코너마감재(20)를 사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타일마감재(30)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을 부착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or flowing due to the mortar on the installation surface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position of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fixed, The tiles can be uniformly adhered thereto, which facilitates the work,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20)로 인해 상기 설치면부(1)의 코너부분을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일마감재(30)를 따라 균일하게 타일이 부착됨으로써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rners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can be closed to prevent a space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he tiles can be uniformly attached along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

또한, 벽과 바닥 등이 인접된 3면으로 이루어진 코너부분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어 작업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corner portions including three adjacent surfaces of a wall and a floor can be closed at the same time, the work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한편, 작업 현장에서 상기 코너마감재(20)가 훼손되거나 부재 시에도 상기 타일마감재(30)에 형성된 절취선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상기 코너부분을 마감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s damaged or does not exist at the work site, the perforated line formed o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can be cut and bent to finish the corner portion so that the work can be completed quickly .

다른 한편, 계단 등에 상기 논슬립부(35)가 형성된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를 사용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nd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on which the non-slip portions 35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ag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설치면부 5: 모르타르
10: 타일 20, 21: 코너마감재
22a: 제1연결부 22b: 제2연결부
22c: 제3연결부 23: 중공부
24: 부착면 25: 코너장식면
26: 개구면 27: 모르타르유출방지판
28: 걸림돌기 30: 타일마감재
31: 밀착판 32: 모르타르통과구멍
33: 제1장식면 34: 제2장식면
35: 논슬립부 36: 타일인접면
37: 인입방지돌기 38: 절취부
38a: 제1절취선 38b: 제2절취선
39a: 제1절단조각 39b: 제2절단조각
40: 연결프레임 41: 가이드홈
50: 배수관 51: 배수구덮개
60: 고임대
1: Mounting surface 5: Mortar
10: tiles 20 and 21: corner finishing material
22a: first connection part 22b: second connection part
22c: third connection part 23: hollow part
24: attachment face 25: corner decorative face
26: opening face 27: mortar leakage prevention plate
28: Locking device 30: Tile finishing material
31: Adhering plate 32: Mortar passage hole
33: first decorative surface 34: second decorative surface
35: non-slip portion 36: tile adjacent surface
37: incoming prevention projection 38:
38a: first perforation line 38b: second perforation line
39a: first cutting piece 39b: second cutting piece
40: connecting frame 41: guide groove
50: Drain pipe 51: Drain cover
60: For rent

Claims (5)

타일(10)의 하면을 부착하기 위해 모르타르(5)가 도포된 일정면적의 설치면부(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타일마감재(30a)와,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타일마감재(30b)를 포함하는 타일용 마감부재에 있어서,
일측단에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22a)와, 상기 제1연결부(22a)의 타측단에서 수직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타일마감재(30b)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22b)를 포함하는 코너마감재(20)를 구성하고,
상기 제1연결부(22a) 및 제2연결부(22b)는, 중공부(23)를 갖고, 상기 중공부(23)가 개방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유입되도록 상기 설치면부(1) 방향의 일면이 개구된 개구면(26)과, 상기 개구면(26)의 상측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르타르(5)가 상기 타일(10)의 상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유출방지판(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마감부재.
A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longitudinally installed on a mounting surface portion 1 of a certain area on which a mortar 5 is applied for attaching a lower surface of the tile 10; And a second tile finishing member (30b) connected to the second tile finishing member
A first connection part 22a for connecting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to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2b for connecting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a A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is forme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b have a hollow portion 23 and are open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surface portion 1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urface 1 so that the hollow portion 23 is opened, And a mortar outflow preventing plate (26) for preventing the mortar (5) from flowing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whil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surface 27) of the ti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타일마감재(30a)와 제2타일마감재(30b)의 연결된 부분에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제3타일마감재(30c)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마감재(20)에는, 상기 제3타일마감재(30c)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22a)와 제2연결부(22b)의 수직된 부분에서 직교되는 제3연결부(22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마감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tile finishing material (30c) orthogonally connected at a 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tile finishing material (30a) and the second tile finishing material (30b)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further includes a third connecting portion 22c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b to connect the third tile finishing material 30c Wherein the tile is made of a met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너마감재(20)와 타일마감재(30)에 삽입되어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마감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connection frame (40)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to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30)는, 절단하여 절곡하기 위한 절취부(3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마감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is formed with cutouts (38) for cutting and fold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일마감재(30)와 상기 코너마감재(20)는, 상기 타일(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장식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외측으로 형성된 논슬립부(35)가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마감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til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corner finishing material 20 ar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 decorative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utside on the decorative surfac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ile 10 Of the tile.
KR1020160069347A 2016-06-03 2016-06-03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KR101854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en) 2016-06-03 2016-06-03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en) 2016-06-03 2016-06-03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51A true KR20170137351A (en) 2017-12-13
KR101854776B1 KR101854776B1 (en) 2018-06-20

Family

ID=6094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47A KR101854776B1 (en) 2016-06-03 2016-06-03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7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4963A1 (en) * 2020-01-23 2021-07-28 Schlüter-Systems KG Profile system with corner connecting e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1Y1 (en) * 2003-12-16 2004-03-12 권오정 A finish some day tile
KR200419563Y1 (en) * 2006-03-22 2006-06-21 마경수 Picture Bar and Corner Bar for Ceiling Molding
KR20080088327A (en) * 2007-03-28 2008-10-02 선세근 Interior molding
KR101290645B1 (en) * 2012-03-28 2013-08-07 황영흠 Tile molding apparatus
KR101579726B1 (en) * 2015-07-17 2015-12-23 김범진 Coner Bead for Gypsum Plaster Boards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689A (en) * 2012-02-20 2013-08-28 상록엔비텍(주) Wood plastic combination plate coupling stracture and bracket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1Y1 (en) * 2003-12-16 2004-03-12 권오정 A finish some day tile
KR200419563Y1 (en) * 2006-03-22 2006-06-21 마경수 Picture Bar and Corner Bar for Ceiling Molding
KR20080088327A (en) * 2007-03-28 2008-10-02 선세근 Interior molding
KR101290645B1 (en) * 2012-03-28 2013-08-07 황영흠 Tile molding apparatus
KR101579726B1 (en) * 2015-07-17 2015-12-23 김범진 Coner Bead for Gypsum Plaster Boards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4963A1 (en) * 2020-01-23 2021-07-28 Schlüter-Systems KG Profile system with corner connec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776B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767B2 (en) Channel screed
US6338229B1 (en) Wall strip with raised bead for plaster screeding comprising two nailing strips connected by a riser strip configuration
US5997009A (en) Single-piece se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a secondary seal
US20120005967A1 (en) Adapto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walls around tubs, showers, and the like
US7600355B1 (en) Unitary molded corner piece method and apparatus
KR101334320B1 (en) Device for fixing terracotta panel on building
CZ203794A3 (en) Screed and protective strips for window frames and the like as well as their connection to plaster
US20090172875A1 (en) Bathing area surround
GB2425785A (en) A profile system
KR101854776B1 (en) Finishing materials for tile
US6128793A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KR20090006127U (en) Shedding mechanism for opening slab
JP4672444B2 (en) Waterproof pan for renovation
US20110000149A1 (en) Tiling system
KR100982437B1 (en) Washboard
KR20200144766A (en) In-conner finishing equipment for molding
KR101920424B1 (en) corner bead for corner finish with tile
KR200219926Y1 (en) The ceiling corner closing stuff
US20080250748A1 (en) Joist Holder
KR102250069B1 (en)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JP3103835B2 (en) Window surrounding structure
KR200334466Y1 (en) The tile finishing material
KR200373394Y1 (en) Finishing material of tile
KR200212927Y1 (en) floor corner molding in construction orna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