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678A -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678A
KR20170136678A KR1020160068332A KR20160068332A KR20170136678A KR 20170136678 A KR20170136678 A KR 20170136678A KR 1020160068332 A KR1020160068332 A KR 1020160068332A KR 20160068332 A KR20160068332 A KR 20160068332A KR 20170136678 A KR20170136678 A KR 2017013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eye
chi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519B1 (ko
Inventor
김정모
Original Assignee
(주)타임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임게이트 filed Critical (주)타임게이트
Priority to KR102016006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5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아이 찾기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수신된 아이 정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정보 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이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면, 제2 사용자 단말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도움 요청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YSTEM FOR FINDING CHILD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REOF}
본 발명은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웨어러블 모바일 장치가 발전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어린 아이가 소지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를 소지한 아이들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어린 아이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들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웨어러블 장치가 아이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전원이 방전되는 경우 아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아이를 찾는 동안 아이가 움직이는 경우 아이를 쉽게 찾을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아이가 웨어러블 장치를 소지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아이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와 동일 범위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를 찾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움 요청이 수신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도움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아이 정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도움 요청 전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성격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아이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업데이트 요청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판단부는, 상기 DB부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판단부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저장된 유관기관 단말을 대상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도움 요청 전송부는, 상기 유관기관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관기관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이 정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성격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아이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B부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저장된 유관기관 단말을 대상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관기관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도움 요청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관기관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잃어버린 아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10)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 제1 사용자 단말(200-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10)은 3 이상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아이 찾기 시스템(10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 대응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 아이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제1 사용자로부터 아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GPS 위성 정보, 3G/4G 기지국 또는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입력받은 아이 정보 및 획득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를 아이 찾기 시스템(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2)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은 GPS 위성 정보, 3G/4G 기지국 또는 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00-2)은 획득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아이 정보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 도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움 요청은 아이를 잃어버린 장소, 아이를 잃어버린 시각 및 아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정보는 아이의 얼굴 사진, 아이의 전신 사진 및 아이의 나이, 성격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세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대상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 대응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정보 수신부(110), 도움 요청 전송부(120), DB부(130) 및 대상 판단부(14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용자 단말(200-1,200-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정보 수신부(1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정보 수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아이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부 수신부(110)는 실시간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1 사용자 단말(200-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베터리 소모를 줄이는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도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아이 정보 업데이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아이 정보 업데이트는 아이 얼굴 사진 업데이트, 아이 전신 사진 업데이트, 아이 나이 업데이트 및 아이 성격 업데이트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아이 발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아이 발견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사용자 정보,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발견한 아이의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110)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를 발견한 사용자 단말의 번호는 010-000-0000이며 현재 위치하는 곳은 00역 2번출구 입니다"라는 안내와 함께 발견한 아이의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20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정보 수신부(1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대상 판단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로 특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아이 성격 및 아이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유관기간 단말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유관기관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유관기간 단말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관기관은 실종 어린이 신고 기관일 수 있다.
그리고,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아이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또는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아이 정보가 식별 불가능한 경우에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아이 정보를 수신한 후 6개월이 경과하는 경우,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아이 발견 정보가 수신되면,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 아이 발견 정보를 전송하고, 제3 사용자 단말로 도움 중지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DB부(130)는 아이 찾기 시스템(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부(13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며,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하며,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DB부(13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DB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아이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DB부(130)는 마지막에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DB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유관기관 단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대상 판단부(14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제n 인터페이스,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제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대상 판단부(14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도움 요청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 판단부(140)는 DB부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200-1)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도움 요청 대상 단말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제1 반경 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사용자 단말(200-1)과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최단거리가 제1 반경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반경은 아이의 연령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경은 아이의 연령이 0~2세인 경우 200M, 3~4세인 경우 400M, 5~6세인 경우 600M, 7~9세인 경우 800M 일 수 있다.
그리고, 대상 판단부(14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도움 요청 대상 단말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반경은 제1 반경을 초과하는 반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아이를 잃어버린 시각에서 경과한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경을 늘리는 요청이 수신된 경우 등일 수 있다. 즉, 도움 요청 전송부(120)를 통해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한 후 10분이 경과하면, 대상 판단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도움 요청 대상 단말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 및 아이 정보가 수신되었고, 아이 정보에 포함된 아이의 연령이 3세인 경우, 대상 판단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서 400M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움 요청 전송부(120)는 대상 단말로 판단된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움 요청 팝업이 전송된 후 10분이 경과하면, 대상 판단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서 520M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의 도움 요청 팝업이 전송된 후 15분이 경과하면, 대상 판단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서 676M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경과 시간이 5분 증가할 때 마다 제1 반경에서 30% 증가한 반경을 제2 반경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대상 판단부(14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제2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과 제2 반경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도움 요청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제2 반경에 포함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제2 반경에 포함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가 특정 장소인 경우, 대상 판단부(14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가 놀이 동산인 경우, 대상 판단부(140)는 제1 반경과 무관하게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가 놀이 동산인 경우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도움 요청 대상 단말이 되는 경우, 대상 판단부(140)는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도록 도움 요청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판단부(140)는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도움 요청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아이 정보가 식별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대상 판단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1)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도움 요청 전송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를 수신한 후 6월이 경과하면, 대상 판단부(140)는 아이 정보 업데이?z 요청을 전송하도록 도움 요청 전송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아이 정보가 현재 아이의 상태를 명확히 반영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200-1)에서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 도움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1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 단말(200-1)에서 실행된 아이 찾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움 요청이 입력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도움 요청 창(300)의 장소 입력(310) 및 시간 입력(320)을 통해 도움 요청의 상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도움 요청(340)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200-1)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 도움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350)을 전송할 수 있으며, 도움 요청 팝업(350)은 아이 사진(3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추가 정보 보기(380)가 선택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아이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진 더보기(390)가 선택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은 아이 찾기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아이 전신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아이 정보를 수신한다(S410). 이때,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아이 성격 및 아이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420). 예를 들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아이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430). 구체적으로,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아이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이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200-2)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2)이 제1 사용자 단말(200-1)의 위치에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제2 사용자 단말(200-2)을 대상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 찾기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2)로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한다(S450). 이때, 도움 요청 팝업은 제1 사용자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아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 찾기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100: 미아 방지 시스템
110: 정보 수신부
120: 도움 요청 전송부
130: DB부
140: 대상 판단부
200-1: 제1 사용자 단말
200-2: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아이 찾기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아이 정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DB부;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대상 판단부;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도움 요청 전송부;를 포함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성격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아이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업데이트 요청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판단부는,
    상기 DB부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판단부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저장된 유관기관 단말을 대상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도움 요청 전송부는,
    상기 유관기관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관기관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
  6.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이 정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정보는 아이 얼굴 사진, 아이 전신 사진 및 아이 상세 설명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 상세 설명은 아이 나이, 성격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아이 정보의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아이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B부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 요청의 대상 단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저장된 유관기관 단말을 대상 단말로 판단하고,
    상기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관기관 단말로 상기 아이 정보를 포함하는 도움 요청 팝업을 전송하는 도움 요청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움 요청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유관기관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찾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68332A 2016-06-01 2016-06-01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5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32A KR101955519B1 (ko) 2016-06-01 2016-06-01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32A KR101955519B1 (ko) 2016-06-01 2016-06-01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678A true KR20170136678A (ko) 2017-12-12
KR101955519B1 KR101955519B1 (ko) 2019-03-11

Family

ID=609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332A KR101955519B1 (ko) 2016-06-01 2016-06-01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7431A (zh) * 2018-12-29 2019-05-07 于德媛 救助信息交互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494A (ko) 2013-07-08 2015-01-19 권형석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494A (ko) 2013-07-08 2015-01-19 권형석 위급상황(미아발생) 현장에 근접한 불특정 다수의 회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7431A (zh) * 2018-12-29 2019-05-07 于德媛 救助信息交互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519B1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2773B1 (en) Geo-fencing based upon semantic location
KR10220952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US988344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US20130262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ce Detection and Linking to Media Exposure Data
WO2017041571A1 (zh) 一种室内定位方法及用户终端
US88046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ons and radio resources
US20200329339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2014018726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etection and User Identification for Media Exposure Data
US10064153B2 (en)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position estimation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recording medium, and position estimation system
US20170149486A1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EP3626005A1 (en) New access point setup
US20170223514A1 (en) Sensor-based action control for mobi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US20190069329A1 (en) Determining when to establish connection between mobile client and proxy devices
EP29583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027191A (zh) 时间的更新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00452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ccess point in local area network at electronic device
JP6379305B1 (ja) ワイヤレス信号特性に基づくモバイルデバイスを使用したユーザコンテキストの検出
KR101955519B1 (ko) 아이 찾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7072353B2 (ja) 位置探索システムおよび位置探索方法
US978826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901743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for joint transmission thereof
US9832748B1 (en) Synchronizing beacon data among user devices
US9788148B2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enhancing zest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78208A1 (zh) 感知业务的实现方法和设备
WO2015181855A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