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113A -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113A
KR20170136113A KR1020160067388A KR20160067388A KR20170136113A KR 20170136113 A KR20170136113 A KR 20170136113A KR 1020160067388 A KR1020160067388 A KR 1020160067388A KR 20160067388 A KR20160067388 A KR 20160067388A KR 20170136113 A KR20170136113 A KR 2017013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plate
plate
light
backlight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525B1 (ko
Inventor
박한솔
김준식
신버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25B1/ko
Priority to US15/598,745 priority patent/US11099431B2/en
Priority to CN201710368094.1A priority patent/CN107450226A/zh
Publication of KR2017013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7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 G02F2001/13363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백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을 삭제하고 다른 광학 구성요소인 반사판, 확산판, 프리즘 시트가 도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을 삭제함으로써 부품수 감소와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을 슬림화할 수 있어 외관 품질의 향상의 효과도 가져온다.

Description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EDGE TYPE BACKLIGHI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을 삭제하고 다른 광학 구성 요소들이 도광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FPD; Flat Panel Display) 장치는 TV,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등의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즈마 패널 디스플레이 (PDP; Plasma Display Panel)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LCD; 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장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경우 패널 자체적으로 광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광을 패널에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라이트형 (edge light type) 과 직하형 (direct light type) 으로 나눌 수 있으며, 광원으로는 봉상의 냉음극 형광램프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자에는 LED (Light Emitting Diode) 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은 측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광을 공급받기 때문에 측부로부터의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이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광을 다른 광학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보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이의 배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20)은 도광판(23)과, 도광판(23)의 일면에 배치된 광원(21)과, 도광판(23)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22)과, 도광판(23)의 상면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24)와 프리즘 시트(25)를 포함한다.
도광판(23)은 측면으로부터의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0)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광판(23)의 상부에는 확산시트(24) 또는 프리즘 시트(25)가 배치된다.
또한, 도광판(23)의 하부에는 도광판(23)의 하면으로 출사되는 빛을 상부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반사판(22)이 배치된다.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23)으로 입사된 후 도광판(23) 내부에서 반사되며, 상부로 안내되어 출사된다.
확산 시트(24)는 도광판(23)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리즘 시트(25)는 도광판(23)에서 출사되는 광이나 확산 시트(24)에서 확산된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즘 시트(25)의 상부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프리즘 시트(25)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20)은 상부 커버(40), 가이드 패널(30) 및 커버 버텀(cover bottom, 26)를 통해 모듈화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23)을 삭제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인 확산판, 반사판, 프리즘 시트 등이 도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도광판을 삭제하더라도 동등한 수준의 면광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광판을 삭제하여 제품을 경량화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중량을 차지하는 도광판을 삭제하고, 다른 광학 구성 요소들에 도광기능을 부여하거나 향상시켜, 백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을 삭제하더라도 도광판을 구비하는 경우와 동등한 수준의 면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을 삭제하는 대신, 반사판을 통하여 광을 전달하도록 하며, 확산판과 프리즘 시트를 이용하여 휘도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반사판은 확산판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직선구간과,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확산판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구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판은 상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10um 이하로 하고, 하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1u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즘 시트는 산각도가 약 95°~135° 범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주변 암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을 하부에 배치하면, 상단을 박형화 할 수 있어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을 삭제할 수 있음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절감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상대적으로 고중량물인 도광판이 삭제됨으로 인하여, 백라이트 유닛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도광판과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충돌과 마찰에 의한 갈림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의 반대편의 두께를 박형화 할 수 있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약 55인치 패널의 하단에 광원을 배치하고, 직선구간의 길이를 달리하며, 상하단의 휘도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 경사구간의 곡률반경을 달리하며 변곡점 부분의 휘암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직선구간의 길이가 약 280mm 인 반사판의 표면의 광택도를 달리하며, 상하단의 총 광량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확산판의 상면과 하면의 표면거칠기에 따른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프리즘 시트의 산 각도 변화에 따른 휘도 균일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향해 면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250)와, 상기 프리즘 시트(250)의 배면에 배치되는 확산판(240)과, 상기 확산판(24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판(220)과, 상기 확산판(240)과 상기 반사판(220)의 사이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2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10)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단에 배치하는 경우, 반사판(220)의 상부(광원의 반대측)는 확산판(240)과 좁은 간격을 가지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물론 반사판(220)의 외측에는 커버 버텀(260)이 결합되는 것으로, 커버 버텀(260)의 형상을 반사판(220)의 형상에 대응하게 구성하는 경우이다. 물론, 커버 버텀(260)의 형상을 반사판(220을 수용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커버 버텀(260)의 외측에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게 되면, 커버의 형상도 반사판(2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00)은 도광판을 삭제하는 대신, 도광판의 광전달 기능을 다른 구성요소들인 반사판(220), 확산판(240), 프리즘 시트(250)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반사판(220)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의 반사판(220)은 확산판(240)과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직선구간(222)과, 광원(210)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확산판(240)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구간(224)을 구비한다.
다시말해, 광원(210)에서 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측으로 향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사구간(224)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사구간(224)은 직선면 또는 곡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220)이 직선구간(222)과 경사구간(224)을 구비하는 경우, 광원(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구간(222) 측에 배치되고, 경사구간(223)은 광원(210)에서 멀어질수록 확산판(240)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모양을 가진다.
광원(210)이 화상의 하부에 배치된 경우라면, 반사판(220) 전체의 길이(L1)에 대한 직선구간(222)의 길이(L2)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 화상의 하단(하부 50% 영역)의 휘도와 상단(상부 50% 영역)의 휘도의 비율이 비대칭화 되어 화상 품질이 저하된다.
도 4는 약 55인치 패널의 하단에 광원을 배치하고, 직선구간의 길이를 달리하며,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휘도를 측정한 55인치 패널은 상하의 길이(L1)가 약 700mm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직선구간의 길이(도 3의 L2)가 약 380mm 인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106% 로 측정되었으며, 직선구간의 길이(L2)가 약 330mm 인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105% 로 측정되었으며, 직선구간의 길이(L2)가 약 280mm 인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101% 로 측정되었다.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100%인 경우 상단과 하단의 휘도가 대칭인 것을 의미하며,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상단의 휘도가 하단의 휘도 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단의 휘도가 하단의 휘도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직선구간의 길이(L2)가 약 380mm 인 경우의 중심휘도를 100%로 보았을 때, 직선구간의 길이가 약 330mm 인 경우에는 중심휘도가 약 105% 로 측정되었고, 직선구간의 길이가 약 280mm 인 경우에는 중심휘도가 약 118% 로 측정되었다.
휘도 균일도를 화상을 9개로 분할하여 측정하는 9P 휘도 균일도의 경우에도, 직선구간의 길이(L2)가 약 380mm, 330mm, 280mm 로 변화함에 따라, 휘도 균일도가 약 58%, 61%, 61% 로 직선구간의 길이(L2)에 변화를 주어 휘도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직선구간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상하단의 휘도 비율이 감소하게 되며, 직선구간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중심부의 휘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의 상하의 길이가 약 700mm 였으므로, 비율로 환산해보면 직선구간의 길이(L2)가 전체길이(L1)의 약 54% 수준인 경우에, 화상의 상단과 하단의 휘도가 균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광판을 삭제하고 반사판을 이용하여 화상 상단과 하단의 휘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반사판의 직선구간의 길이(L2)가 반사판 전체 길이(L1)의 50~6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직선구간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하게 되면, 살펴본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는 있으나, 직선구간(222)과 경사구간(224)이 만나는 지점(변곡점)에서 부분적으로 암부가 발생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직선구간(222)과 경사구간(224)이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사구간(222)에 곡선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구간(224)이 평면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구간(224R)의 시작 부분을 직선구간에 접하며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성하는 경우, 직선구간(222)과 경사구간(224R)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암부를 완화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 경사구간의 곡률반경을 달리하며 변곡점 부분의 휘암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구간이 평면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변곡점 부분에서 휘암부의 경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직선구간(222)과 접하는 경사구간(224R)에 곡률을 부여한 경우에는 휘암부의 경계가 흐려지며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사구간(224R)에 2000m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부를 구비한 경우와, 6000m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부를 구비한 경우에도 평면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휘암부의 경계가 흐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4000mm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부를 구비한 경우가 휘암부의 경계가 가장 흐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사판의 전체 길이(L1)가 약 700mm 인 반사판의 경우를 살펴본 것이므로, 4000mm의 곡률 반경은 반사판의 길이의 약 5.7배에 해당하는 곡률 반경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 직선구간에 접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곡면부의 곡률반경은 반사판의 길이의 5.5배~6.0배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한편, 반사판(220)에 도광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물성으로는 광택도(Gloss)가 있다.
광택도는 광선을 정반사하는 물질표면의 성질로, 특정각도로 입사하는 입사광선에 대한 정반사 광량을 기준면에 대한 광량과 비교하여 %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의 광택도는 60ㅀ 각도로 입사하는 광선에 대한 광택도이다.
도 7은 직선구간의 길이가 약 280mm인 반사판의 표면의 광택도를 달리하며, 상단과 하단의 총 광량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택도에 따라서 상단과 하단의 총광량의 비율이 변화하게 된다.
결과를 살펴보면, 광택도가 10% 인 경우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39%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광택도가 27% 인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47%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광택도가 45% 인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41%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상단과 하단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판(220)의 광택도가 약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판(220)에 비드를 구비하여 반사판(220)에서 반사되는 광의 산란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비드의 직경이 작을수록 휘도 분포율이 상승하게 된다.
휘도 분포를 고르게 하기 위한 비드의 직경은 약 10u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의 직경이 10u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란율이 적어서 국부적인 휘도 차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확산판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확산판의 상면과 하면의 표면거칠기에 따른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판의 상면(디스플레이 패널측 면)과 하면(반사판측 면)의 표면거칠기에 따라서도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인 확산판의 경우에는 상면의 표면거칠기(Ra)가 약 1um 수준이고, 하면의 표면거칠기(Ra)는 약 10um 수준이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55%로 도광 기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일반적인 확산판에 비하여 상면의 표면거칠기(Ra)를 증가시키고, 하면의 표면거칠기(Ra)를 감소시키는 경우 하단의 광을 상단으로 보내는 도광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10um, 하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1um 로 설정한 경우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약 69% 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0.01um, 하면의 표면거칠기(Ra)를 약 1um 로 설정한 경우 상단과 하단의 휘도 비율이 93% 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휘도 균일도의 측면에서도 9P 휘도 균일도가 약 23% 수준에서 약 53%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프리즘 시트에 관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인 프리즘 시트는 집광 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산 각도를 약 90도로 설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도 9는 프리즘 시트의 산 각도 변화에 따른 휘도 균일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살펴보면, 굴절률이 약 1.53인 소재를 이용하여, 산 각도를 달리하며, 투광 비율과 반사비율을 측정하였다.
산 각도가 90°인 프리즘의 경우 투광비율 약 19.3%, 반사 비율이 약 25.9%로 측정되었고,
프리즘의 산 각도가 증가함에 투광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사비율의 경우에는 프리즘의 산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약 112°~114° 부근에서 약 30.3% 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이후 산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결과, 프리즘의 산각도 약 114°인 경우 투광비율이 약 30.2%, 반사비율 약 30.3%로 최적의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화상 품질의 측면에서는 투광비율과 반사비율의 증가로 인하여 측면 암부 발생을 저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프리즘 내부 전반사 비율의 증가로 인하여 도광 효과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굴절률이 약 1.45~1.60인 프리즘 시트의 경우, 프리즘의 산 각도를 둔각 (바람직하게는 95°~135°)으로 설정함으로써, 휘도 분포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패널
200 : 백라이트 유닛
210 : 광원
220 : 반사판
222 : 직선구간
224, 224R : 경사구간
240 : 확산판
250 : 프리즘 시트
260 : 커버 버텀

Claims (13)

  1. 평판 형상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확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과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직선구간과,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구간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빛이 출사되는 상면의 표면거칠기(Ra)가 약 1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하면의 표면거칠기(Ra)가 약 1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비드의 평균입경이 약 2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광택도가 약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길이에 대한 직선구간의 길이의 비율은 50~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간은 직선구간과 연결되는 부분에 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곡면부는 접선이 직선구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반사판의 길이(L)의 약 5.5~6.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프리즘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시트는 산각도가 약 95°~13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의 굴절률은 약 1.51~1.58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확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확산판과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직선구간과,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구간을 구비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을 수용하는 커버 버텀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버텀과 상기 커버는 상기 반사판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67388A 2016-05-31 2016-05-31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88A KR102473525B1 (ko) 2016-05-31 2016-05-31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5/598,745 US11099431B2 (en) 2016-05-31 2017-05-18 Edge typ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710368094.1A CN107450226A (zh) 2016-05-31 2017-05-23 边缘型背光单元和包括边缘型背光单元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88A KR102473525B1 (ko) 2016-05-31 2016-05-31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13A true KR20170136113A (ko) 2017-12-11
KR102473525B1 KR102473525B1 (ko) 2022-12-02

Family

ID=6041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88A KR102473525B1 (ko) 2016-05-31 2016-05-31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9431B2 (ko)
KR (1) KR102473525B1 (ko)
CN (1) CN1074502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1140B (zh) * 2018-11-30 2021-06-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6916A1 (en) * 2003-04-28 2007-05-24 Hidemi Ito Electromagnetic-shielding light-diffusing sheet
US7600908B2 (en) * 2006-02-10 2009-10-13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system using the same
US20100034987A1 (en) * 2006-10-27 2010-02-11 Hideki Fujii White polyester film for light reflective plate
US20110007506A1 (en) * 2008-04-11 2011-01-13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ighting apparatus
US7995160B2 (en) * 2008-08-26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979343B2 (en) * 2012-03-26 2015-03-17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212258A1 (en) * 2012-08-31 2015-07-30 Koninklijke Philips N.V. Illumination device based on thermally conductive sheet with light diffusing p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916A (en) * 1975-01-30 1977-11-29 Copal Company Limited Light diffusing device
JP2742880B2 (ja) * 1994-08-12 1998-04-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光源、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光拡散シート
US6280063B1 (en) * 1997-05-09 2001-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ightness enhancement article
US6266476B1 (en) * 1998-08-25 2001-07-24 Physical Optics Corporation Optical element having an integral surface diffuser
JP4592972B2 (ja) * 2001-02-08 2010-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光拡散フィルム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4531290B2 (ja) * 2001-05-18 2010-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拡散フィルム、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372933A (ja) * 2001-06-15 2002-12-26 Koichi Matsui 直下型照明装置
TWI310856B (en) * 2002-12-12 2009-06-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4705470B2 (ja) * 2003-06-16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CN1957276A (zh) 2004-05-25 2007-05-02 通用电气公司 光学膜、光漫射膜及其制备和使用方法
US7280170B2 (en) * 2004-05-25 2007-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film, light-diffusing fil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601634B1 (ko) * 2008-12-04 2016-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621013B1 (ko) * 2008-12-09 2016-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463190B (zh) 2008-12-22 2014-12-01 優寶股份有限公司 光反射體及面光源裝置
JP2010157444A (ja) 2008-12-27 2010-07-1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砲弾型ledを用いた照明ユニットおよび面発光装置
KR101975488B1 (ko) 2012-03-14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76397B1 (ko) 2014-11-07 2015-12-22 희성전자 주식회사 도광판이 삭제된 에지라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렌즈 및 이 렌즈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6916A1 (en) * 2003-04-28 2007-05-24 Hidemi Ito Electromagnetic-shielding light-diffusing sheet
US7600908B2 (en) * 2006-02-10 2009-10-13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system using the same
US20100034987A1 (en) * 2006-10-27 2010-02-11 Hideki Fujii White polyester film for light reflective plate
US20110007506A1 (en) * 2008-04-11 2011-01-13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ighting apparatus
US7995160B2 (en) * 2008-08-26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sm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979343B2 (en) * 2012-03-26 2015-03-17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212258A1 (en) * 2012-08-31 2015-07-30 Koninklijke Philips N.V. Illumination device based on thermally conductive sheet with light diffusing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99431B2 (en) 2021-08-24
US20170343858A1 (en) 2017-11-30
CN107450226A (zh) 2017-12-08
KR102473525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8891B (zh) 導光板及背光模組
KR20160022220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14136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0662540B1 (ko) 스트라이프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도광판,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KR100790497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07286261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7118064A1 (zh)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692888B1 (ko) 도광판과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US8096669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9009738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86759A (ko) 정면 휘도가 개선된 길이방향 웨이브 패턴의 프리즘 산을갖는 프리즘 시트,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및 상기백라이트 유니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4815930B2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77272B1 (ko)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도광판
KR20170136113A (ko)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0474060C (zh) 照明器件及使用该照明器件的显示装置
KR100844159B1 (ko) 백라이트 장치용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의 제조장치
KR20150034933A (ko) 바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893521B1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용 균일도 보상필름 및 이를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0790422B1 (ko) 스트라이프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도광판,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KR100920810B1 (ko) 스크래치 방지 집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백라이트 유닛
KR101239076B1 (ko) 측면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을 채용한 액정표시소자
KR20150029186A (ko) 도광판 및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11899661A (zh) 前光模块及其反射式显示设备
KR20120067446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93907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