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780A -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 Google Patents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780A
KR20170135780A KR1020170155002A KR20170155002A KR20170135780A KR 20170135780 A KR20170135780 A KR 20170135780A KR 1020170155002 A KR1020170155002 A KR 1020170155002A KR 20170155002 A KR20170155002 A KR 20170155002A KR 20170135780 A KR20170135780 A KR 2017013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alphabets
alphabet
key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범
Original Assignee
오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범 filed Critical 오영범
Priority to KR102017015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780A/ko
Publication of KR2017013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 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전자 IT기기에 맞도록 한글과, 숫자, 영어가 새롭게 구성된 대한인 자판과 그 전자기기들을 운용하게 하는 콘트롤로로 사방위 체계와 다중 디지탈 운영기로 제작되었다.

Description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 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omitted}
한글의 본래 이치와 생성 원리를, 천부경에서의 근원적 구조 원리로 생성 되도록 하여 전자 IT에 적합하도록 자연과학적으로,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인 대한인 자판으로 새롭게 제작, 발명하였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시, 자음 글자의 경우 혀나 입술같은 발성기관을 본따 만들었다. 모음인 천지인은 성리학에서 가져와 만들고 조합하였다. 한글의 언어학적, 음성학적 지식과 철학적 이론이 한글에 적용되어 있다.
천지인은, 수천년 내려온 인류의 가장 오래된 경전인 천부경 81자에, 천일일 지일일 인일삼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인중천지일 23자가 있다.
한글 창제시, 유학자들의 반발로 성리학을 내세우고 천부경의 비밀이나, 옛글 참조인 가림다 문자등 많은 것은 숨겨진 것 일것이다.
한글은 글자의 형성 하나하나에 인류의 철학적, 과학적 문화가 녹아있다.
이에, 천지인 사상에서 인ㅣ 이 천ㆍ보다 먼저나 위에 두는 것은 자연의 이치를 역행하는 것으로 부작용이 온다.
인이 천과 지 사이에서 존재하며, 땅위에서 안정과 조화로 하늘과 연결이 인성형성, 영통하는 자연의 이치, 자연 원리로 천ㆍ, 인ㅣ, 지ㅡ는 사람을 중심으로 하늘과 땅사이에서 살면서 천지간에 간섭하며 조화한다. 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의 자음 28자중 가장 중요한, ㆍㅿㆁㆆ, 네자와 발음구성에서도 미세한 소리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 빠지고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훈민정음이 담은 우주적 미래의 창제원리에서 퇴보된 것으로, 앞으로 많은 연구로 그 신기를 밝혀 복원함으로 인류문화에 더한 발전이 올것이다. 이에 천부경의 비기 한가닥인 천부도를 응용하여 개발, 대한인을 만들었다. 본 발명인 다중 디지탈 자판인 대한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중 디지탈 다진법을 운용할 수 있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사방위 체계를 도입하여,(발명특허; 사진지도 0348435 등록일 2002년 7월 29일), 한글에 적용하는, 발전된 기술로 업그레이드 하여, 신 다중디지탈 자판인 대한인을 제작하고, 숫자와 한글 자모와 알파벳-각종 언어의 철자-를 동시에 대한인 자판을 사용하여 작업할수 있고, 앱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각종 IT 플렛폼에 동시 접속과 다작업, 다중 명령을 실행하는 다기능 콘트롤러의 특수한 우수성과 안정성으로 디지탈 기기 운용에 폭넓게 쓸수있는 새로운 천부인 운용체계는,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공학의 실효성. 왼손 사용자도 능숙히 사용하는 자연공학. 한글의 비기순리 해석 적용. 정신순화, 지능발달에 성과를 낸다. 대한인의 수리법칙은 천부경의 수열이기에, 글자간 간섭으로 발생하는 오탈자나, 받침다음에 같은 철자를 ?S자로 치면 자동 발생하는 오자가, 생길 수가 없는 법칙이며 디지탈 다진법을 전자 만물에 널리 이롭게 사용할수 있게 한 최초 발명인 대한인 자판과 그를 조화롭게 전자 IT에 접목, 발전 운용하게한 최초 발명인 천부인.
기계식 타자기는 좌우 10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서 넓은 자판을 칠 수 있게 하였다. 능숙하게 사용할수 있는 검지와 중지에 사용하는 철자를 좌우 중앙에 배치하여서 기능적 속도는 빨라졌지만, 철자의 순서는 엉켜서 자판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자판을 보면서 타자를 할 수 밝에 없다. 전자시대에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것은, 기계식 자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작은 면적에 배치되었다. 양손으로도 면적이 좁고, 한손은 배열의 구조적으로 5손가락 각각을 자판에 다 사용할 수 없기에 대부분 사용자가 양손 엄지만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애초의 기계식 타자기의 발명 취지에 적용할수가 없는 것이다. 특허출원한 것은 모음을 인ㅣ 모습으로 지ㅡ, 천ㆍ으로 출원하였다. 하지만
Figure pat00001
의 출원이다. 등록번호 특0159191 등록일자 1998년 08월 10일. 또한 등록번호 10-0201211, 등록일자 1999년 03월 12일, 콤팩트 키보드의 한글코드 입력장치는, 10키로 입력하는 장치이다. 청구항 1에 모음의 자획 ㅣ, ㆍ, ㅡ을 세키에 하나씩 할당하여 청구항 3에서 1항에 있어서, 천이 가죽으로 모은 자음 두자씩을 한키에 할당하고, 도면 5a에서 5f까지에서 ㅣ, ㆍ, ㅡ와 자음의 가로 배열을 10키에 나열하였다. 도면 5g에서 1ㅣ, 2ㆍ, 3ㅡ, 4ㄱㅋ, 5ㄹㅌ, 6ㄴㄷ, 7ㅂㅍ, 8ㅁㅅ, 9ㅈㅊ, 0ㅇㅎ를 그려놓았다. 하지만 지금 사용되고 있는 것은 1ㅣ, 2ㆍ, 3ㅡ, 4ㄱㅋ, 5ㄴㄹ, 6ㄷㅌ, 7ㅂㅍ, 8ㅅㅎ, 9ㅈㅊ, 0ㅇㅁ이다. 이 역시 한글생성원리에 위배되는 부작용을 안고 있으며, 한글의 순리적순서를 역행하여 도저히 능숙하게 한손의 여러손가락 사용을 할 수 없고, 자판을 외워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 받침자 다음자에 오는 자의 ?R자가 같으면, 충돌하여 다음자로 변이 되는 것이다. 손가락의 인체공학적 관점은 철저히 배재하여, 여러가지 부작용을 하게 된 현 한글자판체계가 스마트폰시대에 20년간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다. 기계적 자판의 양손, 열 손가락 사용에 비해서는 엄지로 퇴화된 것으론 신전자 만물시대에 세계적으로 사용하기엔 역부족이다.
한글의 본 이치와 생성원리를, 천부경에서 밝히는 근원적 구조 원리로 생성 되도록 하며, 편리하고 안정적이고 자연 과학적인 자판으로 새롭게 정립하고, 한글 본래의 자음과 모음의 조화 운용원리와, 인체 공학적인 구조도로 배열하고자 했다. 사방위 체계를 발전, 확립하여 최초로 숫자와 한글 자모와 영어의 알파벳-각종언어의 스펠, 철자로 교체가능-을 함께 가진 자판인 대한인을 제작하고, 이들을 동시에 사용한 작업을 할수있고, 앱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각종 IT플렛폼에 다중동시접속과 다작업, 다중명령을 실행하는 다기능콘트롤러로 특수한 우수성과 안전성으로 디지탈 기기 운용에 폭넓게 쓸수 있는 새로운 운영체계인 천부인이다.
한글 자음 14자와 모음 3자를 최초로 9개의 칸에 배치하여 두고 전자적 기능을 운용하는 키로 사용하는 다중키를 생성, 형성하여서 실행시키기 위해서 사방위 체계를 숫자와 알파벳, 자음 모음을 각각 위나, 옆칸으로 구성하여 사방위 박스 띠를 구성하고 그간을 각각의 콘트롤키, 앱키, 플렛폼키 등으로 사용하게 하여 전자IT상의 다중다채널 플랫폼, 콘트롤러, OSB등으로 폭넓게 사용하는 천부인은 다중디지탈 자판 대한인과, 숫자키, 알파벳키, 자모키, 기능키 등이 사방위체계 배열구성을 가지고 제작된 최초 발명인 대한인 자판을 가진 천부인이다. 9개의 칸에 구성한 것은 한글 순리에 맞게 자음은 3자씩 제아귀를 맞혀두고, ㅋ, ㅌ, ㅍ, ㅎ은 최초로 한칸에 두고, 모음은 천ㆍ, 인ㅣ, 지ㅡ로 사람이 땅 사이에서 중심이 되자, 자모의 조화가 비로소 기계타자자판의 시대에 묻혔던 한글의 과학성이 회복되어서, 새천년 전자시대에 유일하게 디지탈 다중화 할수있는 글자로 다중전자운용체계로 사용할 수 있고, 이진법의 차원이 다진법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한없이 발전할수 있는 디지탈 부호를 생성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한인의 생성원리는, 원ㅇ이 천이고 시작의 형상이며, ㅇ이 쪼개지면서 ㅎ이 되고, ㅁ이 된것이다. 방ㅁ이 쪼개지면서 한조각이 떨어져나간 ㄷ, ㅂ,이 되고, 두 조각이 떨어져 나간 ㄹ, ㅌ, ㅍ이 된 것이다.
각 ㅊ, ㅈ, ㅅ이 ㄱ, ㄴ, ㅋ으로 생성되는 원리이다. ㅇ은 ㆍ의 큰원이며 ㆍ은 하나의 점으로 없는 것에서 생겨난 하늘이며, ㅡ는 땅 ㆍ이 크게 일어나 땅으로 된것이며, 그 사이에 ㅣ이 서있는, 천지인의 생성이며, 원방각과 어우러져 인간이 천지간 조화를 아우르는 조화의 대삼합을 일으키는 큰 의미의 대한인이다. 처음, 인간은 흙, 돌, 나무에 쐐기 형태의 문자를 새겨서 전달하고 남겼으며, 이는 인두로 지져 새긴 인인 것이다. 갑골문, 녹도문, 특히 가림다 문자는 한글의 원류 뿌리 볼정도 흡사하다. ㆍ은 모르스 부호의 ㆍㅡ로 시작해서 종이에 ㆍ을 펀칭한 텔랙스가 되었다. ㆍ이 다시 디지탈 부호화 되서 이진법 ㅁ이다. 자연과학이 창제원리인 한글에서 ㅇ→ㅁ→ㄱ의 생성은 디지탈 현상이며, 콤퓨터 언어의 디지탈다분법이다. 한글에는 이런 원리가 있으니, 이로서 무궁한 조화를 생성하게 정립, 응용하여 전자 디지탈 세상에서 새 혁신인 큰 한글의 인이 되는 대한인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두 자 모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서 한 형태를 이루는 모양은 크게 생동하는 모양이며, 이 서로 이어지는 현상의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 새로운 전자시대의 큰 한글 구성이며 이것이 대한인인 것이다. 한글 자음 14자와 모음 3자를 9개의 칸안에 최초로 배치하여둔 구성. 한글 순리에 맞게 자음은 3자씩 제 아귀를 맞혀두고, ㅋ, ㅌ, ㅍ, ㅎ는 최초로 한칸에 모아두고, 모음은 천ㆍ, 인ㅣ, 지ㅡ로 배치, 구성한 자판이며, 각각의 칸을 전자적 기능을 부여한 다중키로 운용하게한, 최초의 발명인 디지탈 다중자판인 대한인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과 사방위 체계로 배열된 숫자와 알파벳, 자음, 모음, 각종 기능키, 콘트롤키, 앱키, 플랫폼키 등으로 사용하게 운용하여, 그 각각의 칸들이 다중 다채널 운영체계로 전자 IT상에서 운영하게 제작된. 최초 발명인 대한인과 천부인.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 실효성과 왼손 사용자도 능숙히 사용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이다. 한글의 비기를 순리해석해서 적용, 정신순화, 지능 발달에 성과가 있다. 대한인의 수리 법칙은 천부경의 수열이기에, 글자간 간섭으로 발생하는 오탈자나, 받침과 다음 ?S자가 같을시 발생하는 오자가 생기지 않는다. 단어가 아닌 글자사이에서 갑자기 띠어쓰기 칸을 치는 것은 단어와 단어를 인지하는 인성적인 리듬을 깨트려서 타자를 치는 속도를 오히려 저하시키고 혼란한 사고의 뒤엉킴을 가져왔다. 오랜 언어적 익숙함에 어긋나는 기능적 엇박자를 요구하기에, 머리는 자동적 생각에 의한 타자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대한인 자판은 이를 해결하고, 편한 타자와 사고의 안정을 가져온다. 디지탈 다진법을, 전자 만물에 널리 이롭게 사용하는 대한인에서 전자 IT에 조화롭게 접목하고, 천부인으로 운용되어 발전하는 최초의 발명을 함이다.
도 1 : 9×9칸인, 81 대한인 기본 구성 운용도해도
도 2 : 숫자 10칸, 영어 알파벳 9칸, 한글 자모 9칸을 가진, 30대한인 자판 기본 구성도해도.
도 3 : 48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한글자모 9칸이나 영어알파벳 9칸은 영상모니터로 변할수 있다.
도 4 : 56 대한인 자판 기본 구성도해도
도 5 : 숫자와 한글의 사방체계로, 알파벳이 중앙에 구성된, 63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도 6 알파벳과 숫자를 3자씩 한칸에 둔, 최초 세로배열, 30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 도해도
도 7: 숫자와 알파벳을 4자씩 한칸에 두고 10칸으로 최초 세로 배열된, 18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도면 8 : 숫자와 알파벳을 3자씩 한칸에 두고, 최초 세로 배열된, 18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 구성도해도
도면 9 : 숫자와 한글자모가 사방위 체계로 합치된 한글자모가 12칸인, 42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①~
Figure pat00002
칸은 모니터 영상이나, 기타 전자기기 등의 배열로 전환. 30개의 별도 접점을 가진 다중분활 디지탈미디어 영상모니터 화면. 다른 언어를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메모, 노트, 각종데이타, 심벌, 로고, 사진, 앨범, 지도, 내비, 사진지도, 게임, 쇼핑, 은행, 카톡, 트위터, 양방향 카메라 영상, 각종전자 사물기등을 불러서 모니터 상에서 보고, 전환, 수정, 작업후 삽입, 또는 유튜브 등의 동영상을 상대방에게 보낼때도, 상대방과 영상통화를 하는 동시에 보낼 매채나 동영상을 따로 모니터 상에 구동시켜 보면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모니터 상에 사물기기 들의 작동을 보면서 작업, 작동명령하는 키. 다중 다채널 동시공유기 콘트롤러키와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작동키등에 각각의 다중 분활화면의 접점키를 부여 하는것. 81개의 각각의 칸을-대한인 자판상의 모든 각각의 칸은 각종 앱키로 각종전자IT에 양방향으로 접속, 구동시키는 다중 다채널 운영체계인것. 또한 각각의 키에는 미리 설정해둔 앱, 플랫폼이 있어서, 잠겨있는 상태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칸을 길게 누르면서 동시에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PIN No.를 입력하여야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잠금 콘트롤키를 가지고 있는것. 각각의 칸의 사방의 선을 길게 누른 상태로 늘이거나, 줄여서 칸의 크기를 자유로이 넓이고 줄이는 콘트롤 키. 한글 자모나 알파벳, 숫자 등의 모든 칸들을 각각 제거, 삭제하거나 삽입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배열 이동콘트로키. 양방향 동시 작업시 대한인 자판의 타자된 활자나 음성명령등을 전자적펄스로 디지탈 코드화해서 변환하여 양방향 상대기기에 전송하여, 타자된 활자나 음성으로 나타나게 하는 지원기와 이를 구동하는 콘트롤키. 대한인 상의 모든칸은 사방위 체계의 고유 좌표로 설정하여 각각 고유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을 디지탈 펄스화해서 사방위 체계로 전환 실행하는 프로그램 앱과 어플리케이션구동키. 등을 가지고 제작된 최초 발명인 대한인 자판과 운영체계 천부인.

Claims (1)

  1. 9×9칸인, 81 대한인 기본구성운용도해도.
    Figure pat00003

    ①~
    Figure pat00004
    칸은 모니터 영상이나, 기타 전자기기 등의 배열로 전환. 30개의 별도 접점을 가진 다중분활 디지탈 미디어 영상 모니터 화면. 다른 언어를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메모, 노트, 각종데이타, 심벌, 로고, 사진, 앨범, 지도, 내비, 사진지도, 게임, 쇼핑, 은행, 카톡, 트위터, 양방향 카메라 영상, 각종전자사물기 등을 불러서 모니터상에서 보고, 전환, 수정, 작업후 삽입, 또는 유튜브등의 동영상을 상대방에게 보낼때도, 상대방과 영상통화를 하는 동시에 보낼 매채나 동영상을 따로 모니터 상에 구동시켜 보면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모니터 상에 사물기기 들의 작동을 보면서 작업, 작동명령하는 키. 다중다채널 동시공유기 콘트롤러키와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작동키등에 각각의 다중분활화면의 접점키를 부여 하는 것. 81개의 각각의 칸을-대한인 자판상의 모든 각각의 칸은 각종 앱키로 각종전자 IT에 양방향으로 접속, 구동시키는 다중 다채널 운영체계인것. 또한 각각의 키에는 미리 설정해둔 앱, 플랫폼이 있어서, 잠겨있는 상태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칸을 길게 누르면서 동시에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PIN No.를 입력하여야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잠금 콘트롤키를 가지고 있는것. 각각의 칸의 사방의 선을 길게 누른 상태로 늘이거나, 줄여서 칸의 크기를 자유로이 넓이고 줄이는 콘트롤 키. 한글 자모나 알파벳, 숫자 등의 모든 칸들을 각각 제거, 삭제 하거나 삽입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배열이동콘트롤키. 양방향 동시작업시, 대한인자판의 타자된 활자나 음성명령등을 전자적 펄스로 디지탈 코드화해서 변환하여 양방향 상대기기에 전송하여, 타자된 활자나 음성으로 나타나게 하는 지원기와 이를 구동하는 콘트롤키. 대한인 상의 모든 칸은 사방위 체계의 고유 좌표로 설정하여 각각 고유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을 디지탈 펄스화해서 사방위체계로 전환실행하는 프로그램앱과 어플리케이션구동키. 등을 가지고 제작된 최초 발명인 대한인 자판과 운영체계 천부인.
    종속항(1)
    숫자 10칸, 영어 알파벳 9칸, 한글자모 9칸을 가진, 30 대한인 자판기본구성도해도. 숫자와 알파벳이 사방위체계로 구성된것.
    Figure pat00005

    종속항 (2). 48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한글자모 9칸이나 영어알파벳 9칸은 영상모니터로 변할수 있다.
    영어알파벳 세로 구성.
    Figure pat00006

    종속항(3) 56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Figure pat00007

    종속항(4) 숫자와 한글의 사방체계로 알파벳이 중앙에 구성된, 63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 구성도해도
    Figure pat00008

    종속항(5). 알파벳과 숫자를 3자씩 한칸에 둔, 최초 세로배열, 30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Figure pat00009

    종속항(6). 숫자와 알파벳을 4자씩 한 칸에 두고 10칸으로 최초 세로 배열된, 18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Figure pat00010

    종속항(7). 숫자와 알파벳을 3자씩 한칸에 두고, 최초 세로 배열된, 18 영어 대한인 자판 기본 구성도해도.
    Figure pat00011

    종속항(8)
    숫자와 한글 자모가 사방위 체계로 합치된 한글자모가12칸인, 42 대한인 자판 기본구성도해도.
    Figure pat00012
KR1020170155002A 2017-11-20 2017-11-20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KR20170135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02A KR20170135780A (ko) 2017-11-20 2017-11-20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02A KR20170135780A (ko) 2017-11-20 2017-11-20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80A true KR20170135780A (ko) 2017-12-08

Family

ID=6092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002A KR20170135780A (ko) 2017-11-20 2017-11-20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7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6116A (zh) * 2018-09-27 2019-01-22 深圳市语芯维电子有限公司 通过语音识别键盘功能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6116A (zh) * 2018-09-27 2019-01-22 深圳市语芯维电子有限公司 通过语音识别键盘功能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y et al. Brailletouch: mobile text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Noyes Chord keyboards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US20100125449A1 (en) Integratd phonetic Chinese system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CN101135936A (zh) 快速键入设备和方法
CN102779003A (zh) 汉字拼形输入法
KR20170135780A (ko) 천부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만든 대한인 자판과 전자만물운용체계인 천부인
KR20130061349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9739365A (zh) 中小学教学用多功能键盘及专业输入用多功能键盘
CN104503599B (zh) 一种基于36键位的藏文输入系统
WO2014146140A2 (en) A mnemonic relative position international keyboard system set on new focus field platform
CN104156078B (zh) 一种藏文输入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CN104536590B (zh) 基于西夏文声韵字根输入法的嵌入式软键盘系统
CN101866338B (zh) 创建汉字字符的方法
KR101001085B1 (ko) 휴대폰 자판 영어 알파벳 자모 배열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JPH0521247B2 (ko)
JPS63200266A (ja) 中国語入力装置
CN101236459A (zh) 一种利用韩文字母输入汉字的方法
CN106406558B (zh) 数字键实现双拼、五笔字根输入和配套键盘
JPH0449709Y2 (ko)
KR20060059586A (ko)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의 자/모음 배열과정과 그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